맨위로가기

INDYCA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NDYCAR는 북미에서 개최되는 오픈 휠 레이싱 시리즈로, 1994년 인디 레이싱 리그(IRL)로 시작하여 2008년 챔프카 월드 시리즈를 흡수하며 현재의 INDYCAR 시리즈로 발전했다. CART와의 갈등, 드라이버 안전 문제, 챔프카와의 통합 과정을 거쳤으며, 타원형 트랙 외에 로드 코스와 시가지 레이스도 포함한다. "로드 투 인디"라는 육성 시스템을 통해 하위 레이스 시리즈를 운영하며, 포인트 시스템을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INDYCAR
일반 정보
INDYCAR 로고
INDYCAR 로고
스포츠자동차 경주
창립1911년
ACCUS-FIA 가입1997년
관할 지역
본부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회장제이 프라이
최고 경영자마크 마일스
웹사이트indycar.com
운영
분류
카테고리오픈 휠 자동차

2. 역사

"인디 카"(Indy Car)라는 이름은 본래 미국 오픈 휠 레이싱의 한 축인 USAC 챔피언십 디비전에서 경쟁하던 경주차를 가리키는 별명이었다. 이는 해당 스포츠에서 가장 유명한 대회인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유래했으며, 점차 공식 명칭인 "챔피언십 카"(Championship Car, Champ Car)를 대신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다.

이후 오픈휠 레이싱의 주도권을 잡은 CART 역시 이 명칭을 계속 사용했고,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IMS)는 1992년 ''IndyCar'' 상표를 등록하여 CART에 사용을 허가했다. 그러나 1996년, IMS 사장 토니 조지가 새로운 경쟁 시리즈인 인디 레이싱 리그(IRL)를 출범시키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IRL의 등장은 ''IndyCar'' 상표권을 둘러싼 법적 분쟁으로 이어졌고, 결국 CART는 1996 시즌 이후 해당 명칭 사용을 포기하고 IRL은 2002 시즌 말까지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3][4] 이에 따라 CART는 "챔프 카"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IRL은 6년간의 유예 기간이 끝난 2003년부터 주요 시리즈 명칭을 '인디카 시리즈'(IndyCar Series)로 변경했다. 한편, 여러 어려움을 겪던 CART는 같은 해 파산했고, 그 자산을 인수한 이들이 챔프 카 월드 시리즈(CCWS)를 새롭게 출범시켰다. 하지만 두 시리즈의 경쟁 구도는 오래가지 못했다.

2008년, IRL과 챔프 카 월드 시리즈는 마침내 통합에 합의하며 10년 이상 이어진 미국 오픈휠 레이싱의 분열 시대를 마감했다.[11] 통합된 시리즈는 '인디카 시리즈'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고, 운영 기구 역시 2011년 기존의 '인디 레이싱 리그'에서 'INDYCAR'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2013년에는 법인명도 INDYCAR LLC로 바꾸었다.[5] 이러한 통합 과정은 미국 오픈휠 레이싱계의 재편을 가져왔다.

2. 1. 설립 배경 및 CART와의 갈등 (1994-2007)

"인디 카"(Indy Car)라는 용어는 본래 미국 자동차 클럽(USAC) 챔피언십 디비전에서 경쟁하는 차량들의 별칭이었으며, 이 명칭은 해당 스포츠의 최고 인기 대회인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유래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공식 명칭인 "챔피언십 카"(Championship Car, Champ Car)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USAC의 뒤를 이어 오픈휠 레이싱의 주관 단체가 된 CART는 인디애나폴리스 500 경기를 직접 승인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인디 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며 주요 시리즈를 "CART PPG 인디 카 월드 시리즈"로 명명했다. 1992년,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IMS)는 ''IndyCar'' 상표를 미국 특허청에 등록하고, 이를 CART에 라이선스했다.

그러나 1994년, IMS의 사장 토니 조지는 새로운 레이싱 시리즈인 인디 레이싱 리그(Indy Racing League, IRL)를 설립했고, 이 시리즈는 1996년부터 경주를 시작했다. 토니 조지는 당시 CART가 소수의 부유한 팀 중심으로 운영되고 기술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더 저렴한 비용으로 참가할 수 있는 오픈휠 레이스를 구상했다. 특히 IRL은 초기에는 타원형 트랙(오벌 트랙)에서만 경주를 개최하여, 미젯이나 스프린트 카 출신 미국 드라이버들이 A.J. 포이트, 마리오 안드레티, 알 언서 시니어, 바비 언서 등 과거의 전설들처럼 인디카 무대로 진출하는 통로를 만들고자 했다.

IRL의 출범은 CART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1996년, IRL은 인디 500 출발 그리드 33자리 중 25자리를 IRL 소속 팀에게 배정하겠다고 선언했다.[6] 이에 CART는 인디 500과 같은 날짜인 현충일에 미시간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U.S. 500이라는 대규모 경주를 개최하며 맞대응했다. 또한, ''IndyCar'' 상표 사용권을 둘러싼 법적 분쟁도 발생했다. IMS가 라이선스 종료를 시도하자 CART는 1996년 3월 소송을 제기했고, IMS 역시 CART의 상표 사용 금지를 요구하는 맞소송을 제기했다.[3] 결국 양측은 CART가 1996 시즌 이후 ''IndyCar'' 상표 사용을 중단하고, IRL은 2002 시즌 말까지 해당 명칭을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4] 이에 따라 CART는 1997년부터 "CART"라는 이름으로 브랜드를 변경하고 차량을 지칭할 때 "챔프 카"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

IRL은 1997년 새로운 기술 규정을 도입하여 더 저렴한 섀시와 생산 기반 엔진 사용을 의무화했는데, 이는 CART 규격 차량과의 호환성을 없애 분리를 더욱 확고히 했다. 초기 IRL 시리즈는 부족한 일정, 경험 없는 팀과 드라이버 등으로 인해 특히 인디 500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IRL은 점차 안정화되었고, 2000년부터는 CART 팀들의 인디 500 참가를 허용하기 시작했다. 결정적으로 2003년, 엔진 공급사였던 혼다와 토요타가 CART를 떠나 IRL로 이적하면서 팀 펜스케, 칩 가나시 레이싱 등 CART의 유력 팀과 드라이버들이 대거 IRL로 옮겨왔다. 이로 인해 IRL은 북미 오픈휠 레이싱의 중심으로 급부상했다. 같은 해, IRL은 최고 시리즈 명칭을 "인디카 시리즈"로 변경했으며, IRL은 국제 자동차 연맹(FIA)처럼 운영 조직의 명칭으로 남게 되었다.

반면, 주요 팀과 스폰서, 엔진 공급사를 잃은 CART는 심각한 재정난에 빠져 2003년 파산을 신청했다. 이후 CART의 자산을 인수한 세 명의 전 CART 팀 소유주들은 2004년 챔프 카 월드 시리즈(CCWS)를 출범시켰다.[7] 그러나 CCWS 역시 과거의 위상을 회복하지 못했고, 결국 2008년 IRL에 흡수 통합되면서 분열 시대는 막을 내렸다.[17] 이 통합된 시리즈는 인디카 시리즈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CART와 IRL의 오랜 분열과 경쟁은 팬들의 외면을 초래했고, 결과적으로 같은 시기 미국 내에서 NASCAR의 인기가 급상승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

2. 2. 챔프카 월드 시리즈와의 통합 (2008)

챔프카 월드 시리즈는 2003년 파산한 CART(Championship Auto Racing Teams)를 대체하여 설립되었다.[7] 한편, 인디 레이싱 리그(IRL)는 2002년부터 CART의 주요 팀들을 끌어들이기 시작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2007년 11월, IRL의 창립자이자 CEO인 토니 조지는 챔프카와의 통합 논의를 시작했다.[8] 2008년 1월 23일, 조지는 2008년 인디카 시리즈 전체 시즌 참가를 약속하는 챔프카 팀들에게 무상으로 차량과 엔진을 임대하는 구체적인 제안을 발표했다. 이 제안에는 챔프카의 주요 경주였던 롱비치 그랑프리, 토론토, 에드먼턴, 호주 서퍼스 파라다이스 경주를 인디카 시리즈 일정에 편입시켜 사실상 미국 오픈 휠 레이싱을 재통합하려는 목표가 담겨 있었다.[8]

통합 과정에서 일정 조율이 필요했는데, 특히 롱비치 그랑프리는 트윈 링 모테기에서 열리는 인디 재팬 300과 같은 주말에 예정되어 있었다.[9]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2월 10일, 토니 조지와 IRL 관계자들은 일본을 방문하여 모테기 경주 일정 변경을 논의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9][10]

결국 2008년 2월, 토니 조지와 챔프카 월드 시리즈 소유주들은 2008 시즌부터 두 시리즈를 통합하기로 최종 합의했다.[11] 이 합의에 따라 챔프카 월드 시리즈는 롱비치 그랑프리를 마지막으로 개최한 후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 다수의 챔프카 팀들은 IRL이 제공한 장비를 이용하여 인디카 시리즈로 이전했으며, 이로써 12년간 이어진 미국 오픈휠 레이싱의 분열 시대는 막을 내리고 IRL에 의한 흡수 통합이 이루어졌다.[17]

그러나 이러한 분열 기간 동안 팬들의 관심은 상당 부분 NASCAR로 옮겨가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2. 3. 통합 이후의 발전 (2009-현재)

2008년 챔프 카 월드 시리즈와의 통합 이후, 시리즈는 인디카 시리즈(IndyCar Series)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통합된 시리즈의 발전을 위해 여러 변화가 이루어졌다.

2010년 2월, 토니 조지의 뒤를 이어 랜디 버나드가 새로운 CEO로 취임했다.[12][18] 버나드는 시리즈 발전을 위해 2012년 시즌 도입을 목표로 새로운 엔진과 섀시 패키지인 아이코닉 프로젝트를 추진했다.[19][20][21]

2011년 1월 1일, 리그 운영 기구는 기존의 인디 레이싱 리그(IRL)라는 명칭 대신 상표로서 'INDYCAR'를 채택하며 공식적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는 통합된 시리즈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새로운 달라라 DW12 레이스카가 2012년 시즌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랜디 버나드는 2012년 10월 CEO직에서 해고되었고, 후임으로는 마크 마일스가 임명되었다.

2013년에는 드림웍스 애니메이션과 협력하여 인디카 레이싱을 소재로 한 코미디 영화 터보가 개봉되었다. 같은 해 11월 1일, 인디카 운영 회사의 법적 명칭은 INDYCAR LLC로 최종 변경되었다.[5]

통합 이후 인디카 시리즈는 과거 챔프 카 시리즈와 유사하게 유럽식 오픈 휠 레이싱의 특성을 일부 가지게 되었다. 칩 가나시 레이싱이나 팀 펜스케와 같은 기존의 주요 팀들이 여전히 강세를 보였고, 외국 출신 드라이버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또한 차량 기술은 점차 전자 장비와 공기역학에 더 의존하게 되었으며, 경기 일정 역시 전통적인 타원형 트랙 외에 로드 코스와 스트리트 서킷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드라이버 안전

드라이버 안전은 인디카 시리즈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다. 특히 시리즈 초창기에는 많은 드라이버가 심각한 부상을 겪었다. 로드 레이싱 경기장과 비교했을 때, 타원형 트랙은 코스 이탈 시 안전 공간(런오프)이 부족하고, 긴 직선 구간과 경사진 코너(뱅크)로 인해 주행 속도가 매우 빨라 작은 실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초기에는 차량 설계가 드라이버 부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고, 시리즈는 이러한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섀시 설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왔다. 2003년에는 미국의 레이싱 전설 마리오 안드레티와 전 챔피언 케니 브랙이 관련된 큰 사고가 있었고,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에서의 테스트 중 토니 레나가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고 이후, IRL(인디 레이싱 리그, 인디카의 전신)은 차량 속도를 줄이고 안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했다.

인디카는 충격 흡수 방호벽인 SAFER 배리어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도입한 레이싱 시리즈이기도 하다. 이 시스템은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주요 타원형 레이싱 서킷에 설치되어 드라이버 안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SAFER 시스템의 연구 및 설계는 헐먼-조지 가문과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의 지원과 자금으로 이루어졌다.[13][14]

3. 1. 사망 사고

IndyCar가 IRL로 발족한 1996년 이후, 시리즈 경기 및 관련 테스트 세션 중 발생한 사고로 사망한 드라이버는 다음과 같다.

IndyCar 시리즈 사망 사고 (1996년 이후)
날짜 (현지 시간)드라이버국적사고 경위
1996년 5월 17일스콧 브레이턴미국1996년 인디애나폴리스 500 연습 세션 중 사고
2003년 10월 22일토니 레나미국파이어스톤 비공개 테스트 세션 중 사고
2006년 3월 26일폴 데이나미국2006년 도요타 인디 300 연습 세션 중 사고
2011년 10월 16일댄 웰던영국2011년 IZOD 인디카 월드 챔피언십 결승 레이스 중 사고
2015년 8월 24일저스틴 윌슨영국2015년 ABC 서플라이 500 결승 레이스 중 사고[15]


4. 로드 투 인디 (Road to Indy)

유럽에서 F1을 정점으로 F2나 F3 같은 하위 카테고리가 있는 것처럼, 북미 오픈 휠 레이스에도 아래와 같은 등급 체계가 있다. 이러한 레이스는 인디카(IndyCar)가 운영하는 육성 프로그램 "로드 투 인디(Road to Indy)"를 통해 관리된다. 아래 목록에서 위에 있을수록 높은 등급의 레이스이다.


  • NTT 인디카 시리즈: 북미 최상위 오픈 휠 레이스이다. 세계 3대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히는 인디 500을 비롯하여 오벌 트랙, 로드 코스, 시가지 코스 등 다양한 형태의 트랙에서 경기가 개최된다. 참가 드라이버들의 국적과 경력이 매우 다양하며, 하위 카테고리에서 승격하는 선수뿐만 아니라 F1 등 다른 포뮬러 레이스에서 전향해 온 선수들도 있다.
  • 인디 NXT: 인디카 시리즈 바로 아래에 위치한 카테고리이다. 인디카 시리즈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종종 인디카 레이스와 함께 개최되기도 한다.
  • 인디 프로 2000 챔피언십: F3와 동등한 수준의 규격을 가진 차량으로 경쟁하는 카테고리이다. 로드 투 인디의 4개 레이스 시리즈 중 가장 역사가 길며, 1986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과거에는 마쓰다와 굿이어가 주요 스폰서였다.
  • 쿠퍼 타이어 U.S.F2000 내셔널 챔피언십: 포뮬러 포드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주니어 포뮬러 카테고리이다. 1991년부터 2006년까지 개최되었다가 중단된 것을, 인디카가 부활시키는 형태로 2010년부터 재개했다. 레이스는 일부를 제외하고 인디 프로 2000 챔피언십과 동일한 일정으로 개최된다.

5. 포인트 시스템

이 포인트 시스템은 인디카 시리즈와 인디 라이츠에 적용된다. 모든 드라이버에게 포인트가 부여되며, 시리즈 중 가장 많은 출주 대수인 인디 500의 33대에 맞춰 33위까지 설정되어 있다.[22]

순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11위12위13위14위15위16위17위18위-24위25위-33위
포인트50403532302826242220191817161514131210



또한, 인디 500을 제외한 레이스에서는 폴 포지션을 획득하면 1포인트, 최다 랩 리드를 기록하면 2포인트가 추가로 주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2011 Las Vegas Accident Information http://sportsillustr[...] 2012-07-11
[2] 웹사이트 Roger Penske buys Indianapolis Motor Speedway, IndyCar Series from Hulman family https://www.cbssport[...] 2019-11-07
[3] 서적 The Indy Car Wars: The 30-year Fight for Control of American Open-Wheel Racing 2015-10-27
[4] 서적 The Indy Car Wars: The 30-year Fight for Control of American Open-Wheel Racing 2015-10-27
[5] 웹사이트 INBiz: Your one-stop source for your business. https://bsd.sos.in.g[...] 2019-05-19
[6] 서적 The Indy Car Wars: The 30-year Fight for Control of American Open-Wheel Racing 2015-10-27
[7] 서적 The Indy Car Wars: The 30-year Fight for Control of American Open-Wheel Racing 2015-10-27
[8] 뉴스 Tony George Makes an Offer for Unity http://www.speedtv.c[...] SpeedTV.com 2008-01-23
[9] 뉴스 George off to Japan in pursuit of unification http://www.indystar.[...] IndyStar.com 2008-02-09
[10] 뉴스 Official optimistic IRL-Champ Car merger talks will continue http://www.indystar.[...] IndyStar.com 2008-02-12
[11] 뉴스 Done Deal http://www.indycar.c[...] IndyCar.com 2010-08-22
[12] 뉴스 Meet the CEO http://www.indycar.c[...] Indy Racing League 2010-02-02
[13] 웹사이트 SAFER Barrier https://www.indycar.[...]
[14] 웹사이트 Owens Corning Foam Helps SAFER Barrier Protect Drivers https://www.indycar.[...]
[15] 웹사이트 AP https://twitter.com/[...]
[16] 웹사이트 Roger Penske buys Indianapolis Motor Speedway, IndyCar Series from Hulman family https://www.cbssport[...] 2019-11-07
[17] 웹사이트 Done deal :: IndyCar® Series http://www.indycar.c[...] 2008-03-13
[18] 뉴스 A 'league' to call their own: Bernard hopes to make IndyCar noticeable on racing radar. http://it.tmcnet.com[...] 2010-06-20
[19] 뉴스 Technology ICONIC Advisory Committee http://indycar.com/t[...] IndyCar.com 2011-02-18
[20] 뉴스 2012 car strategy embraces innovation http://www.indycar.c[...] IndyCar.com 2010-07-14
[21] 웹사이트 IZOD Indycar Series http://www.indycar.c[...] www.indycar.com 2017-12-22
[22] 문서 34台以上が出走したレースも存在する。1997年のインディ500では35台が、2011年のラスベガス・ワールド・チャンピオンシップでは34台が出走し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