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200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T-2000은 중국과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한 주력 전차로, 파키스탄에서는 알 칼리드(Al-Khalid)로 불린다. 1988년 10월에 개발이 결정되어 1990년 1월에 MBT-2000 개발 계획으로 시작되었으며, 80식 전차, 88식 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서방 국가의 기술을 채용하고, 125mm 활강포를 주무장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모로코 등에서 운용 중이며, VT-1A는 MBT-2000의 발전형으로 각국에 판매를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의 전차 - 알-자라르 전차
기동성이 뛰어나 최고 속도 50km/h를 낼 수 있고 좁은 지역에서도 기동 가능하도록 설계된 알-자라르 전차의 방호력, 무장, 사격 통제, 운용 현황, 운용 국가는 알려진 바 없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59식 전차
59식 전차는 1950년대 후반 소련의 T-54A 전차를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 및 생산되었으며, 100mm 강선포를 주포로 사용하고, 야간 투시 시스템과 수직 안정화 장치가 추가된 개량형도 존재하며, 69식, 79식, 80식 전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85식 전차
85식 전차는 1980년대 파키스탄군의 노후 전력 현대화를 위해 중국과 협력 개발되었으며, 파키스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105mm 강선포 장착 초기형과 125mm 활강포 탑재 파생형이 개발, 수출되었고, 방어력 및 사격 통제 시스템 개선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 주력전차 - M48 패튼
M48 패튼은 M46 패튼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미국의 주력 전차로, 90mm 주포에서 105mm 주포로 개량되었고,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항속거리와 연비 효율성을 높였으며, 여러 파생형과 다양한 국가에서 운용 및 개량되어 여러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전차이다.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1은 서독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105mm 주포를 장착한 주력전차로, NATO 회원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었다.
MBT-2000 | |
---|---|
개요 | |
명칭 | 90-II식 전차 |
종류 | 주력 전차 |
사용 국가 | 파키스탄 |
파생형 | 알-할리드 전차 |
제원 | |
전체 길이 | 10.7 m |
차체 길이 | 7.00 m |
전폭 | 3.50 m |
높이 | 2.40 m |
중량 | 48.0 t |
현가 방식 | 토션바 방식 |
야지 기동 속도 | 69 km/h |
불균일지 기동 속도 | 45 km/h |
항속 거리 | 450 km (최대 550km) |
주무장 | 2A46 125mm 활강포 |
부무장 | 90-II식 12.7mm 중기관총 86식 7.62 mm 기관총 9M119대전차 미사일 |
장갑 | 복합 장갑 및 콘탁트5(반응 장갑) |
엔진 | KMDB 6TD-2디젤 엔진 |
엔진 출력 | 1200 hp |
승무원 | 3 명 |
기타 | |
개요 | |
명칭 | MBT-2000 |
종류 | 3세대 파키스탄 주력전차 |
용도 | MBT(Main Battle Tank) |
개발 국가 | 파키스탄 |
생산 기간 | 2001년 ~ 현재 |
사용 국가 | 파키스탄 |
대당 가격 | 57억~71억원(470만-580만불) |
생산량 | 800여대 |
승무원 | 3명 |
크기 | |
길이 | 10.07 m (33.0 ft) |
높이 | 2.40 m (7.9 ft) |
폭 | 3.50 m (11.5 ft) |
중량 | 46 t(51 short tons) |
무장 | |
주무장 | 125 mm 활강포, 39발 |
장전 방식 | 수동 장전 |
부무장 | 12.7 mm 외부 AA MG, 500발 7.62 mm 동축 MG, 3000발 두정 |
기동 | |
엔진 | KMDB 6TD-2 6기통 디젤 1,200 hp (890 kW) |
마력 | 1,200 hp (1119 kW) |
출력비 | 26 hp/t |
현가 장치 | 토션바 |
노상 속도 | 72 km/h |
항속 거리 | 500km |
이미지 | |
![]() | |
개요 | |
명칭 | 알-할리드 |
정보 | |
파생 | 90-II식 전차 |
2. 역사
MBT-2000, 또는 알 칼리드 전차는 중국과 파키스탄이 공동으로 개발한 주력 전차이다. 1970년대 소련의 위협 증대와 노후화된 59식 전차 대체 필요성을 느낀 중국과, 인도와의 군사적 긴장 상황에서 강력한 신형 전력을 원했던 파키스탄의 요구가 일치하여 공동 개발이 추진되었다. 1980년대부터 NORINCO 주도로 신형 전차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1990년 1월 파키스탄과 공식적인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며 MBT-2000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전차는 기존 중국 전차들의 기술과 소련제 T-72 전차 설계를 참고하였으며, 영국제 엔진과 프랑스제 변속기 등 서방의 기술 요소도 적극적으로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복합 장갑과 추가적인 폭발 반응 장갑(ERA) 장착 능력을 갖추어 방호력을 강화했다.
비록 MBT-2000은 중국 육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지는 않았지만,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과 경험은 이후 중국의 차세대 주력 전차인 98식 전차와 99식 전차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파키스탄에서는 '알 칼리드'라는 제식 명칭으로 채택되어 현재 주력 전차로 운용되고 있다.
2. 1. 개발 배경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분쟁 상황 속에서 강력한 육군력의 핵심이 될 차기 주력 전차를 필요로 했다. 한편, 중국은 1970년대 소련의 군사적 위협에 직면하고, 노후화된 59식 전차를 대체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1980년 NORINCO(중국북방공업공사)가 설립되었고, 내몽고기계 그룹 공사가 새로운 전차 시리즈 개발 임무를 맡게 되었다.중국은 80식 전차를 기반으로 88A/B식 전차 개발에 성공하며 기술을 축적했고, 소련과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연구 개발을 진행했다. 파키스탄 역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한 안보 위협과 인접국 인도의 군비 확장에 대응하여 자국의 군사력 증강을 추진하고 있었다. 파키스탄은 이전부터 중국제 전차를 대량으로 수입해왔으며, 라이센스 생산을 통해 자체적인 기술력도 축적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면서 1988년 10월, 신형 전차의 공동 개발이 결정되었다. 이 계획은 1990년 1월 파키스탄과의 공동 개발 계약 서명을 통해 MBT-2000(수출명) 개발 계획으로 본격화되었다. 파키스탄에서는 이 전차를 '알 칼리드'(الخالد ٹینک|알-칼리드 탱크ur)로 명명했다.
MBT-2000(개발명 90-II식 전차)은 완전히 새로운 설계가 아니라, 기존 중국 전차들의 구성 요소를 상당 부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제1세대 59식 전차에서 10%, 69/79식 전차에서 15%, 제2세대 85-C식 전차에서 20%의 기술 및 부품이 전체의 45%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55%가 새롭게 개발된 부분이다.
새로운 구성 요소 개발 과정에서는 소련제 T-72 전차의 기술이 상당수 참고된 것으로 보인다. (이 T-72는 루마니아를 통하거나,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노획된 전차가 이란을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영향으로 MBT-2000의 차체 크기나 전체적인 디자인은 T-72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차체와 포탑은 기본적으로 용접된 강판 구조이지만, 방어력이 중요한 전면부에는 복합 장갑이 적용되었다. 특히, 중국 전차로는 처음으로 모듈식 복합 장갑(콤포지트 방식)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피탄 시 손상된 장갑 모듈을 쉽게 교체하거나 향후 더 발전된 장갑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파키스탄 사양과 중국 시제 차량에는 각기 다른 형태의 폭발 반응 장갑(ERA)을 장착할 수 있다. 러시아제 콘탁트-5 ERA를 완전히 장착했을 경우 전투 중량은 약 48ton으로, 동시대 주력 전차들과 비교하면 비교적 경량에 속한다.
개발 과정에서는 서방 국가의 기술도 적극적으로 채택되었다. 엔진은 영국의 챌린저 1 전차에 사용된 퍼킨스 콘도르(Perkins Condor) 수랭식 디젤 엔진의 1,200마력 버전을 탑재했다. 변속기는 프랑스의 르클레르 전차에도 채용된 SESM ESM 500 자동 변속기를 사용했다. 사격 통제 시스템(FCS)은 85-IIAP식 전차에서 성능이 입증된 이스라엘제 ISFCS-212의 개량형을 탑재하는 등, 신뢰성 있는 검증된 부품들을 다수 통합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성능을 확보하고자 했다.
비록 90-II식 전차는 중국 인민해방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지는 않았지만, 이 전차의 개발 과정에서 얻어진 기술과 경험은 이후 중국의 차세대 주력 전차 개발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90-II식 설계를 기반으로 재설계 및 개량된 98식 전차와 99식 전차가 개발되어 현재 중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운용되고 있다.
2. 2. 개발 과정
1970년대 중국은 소련의 군사적 위협 증대와 구세대 59식 전차의 노후화 문제에 직면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1980년, 국영 방산업체 NORINCO가 설립되었고, 산하의 내몽고기계 그룹 공사가 새로운 전차 개발 임무를 맡게 되었다. 이는 80식 전차 개발과 88A/B식 전차 개발 성공으로 이어졌다.한편, 파키스탄은 인접국 인도와의 지속적인 군사적 긴장 관계 및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인한 안보 불안 속에서 육군력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특히 강력한 주력 전차 확보가 시급한 과제였다. 파키스탄은 이전부터 중국제 전차를 대량으로 도입했으며, 일부는 라이센스 생산을 통해 자체적인 기술 축적도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1988년 10월 차기 전차 공동 개발에 합의하게 된다. 이후 1990년 1월, 중국과 파키스탄은 공동 개발 계약을 공식적으로 체결하며 MBT-2000 개발 계획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 전차는 파키스탄에서 알 칼리드 전차로 명명되었으며, 1,200마력 엔진을 탑재하여 러시아의 T-80 전차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목표로 했다.
MBT-2000(또는 90-II식 전차)은 완전히 새로운 설계가 아니라 기존 기술과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기존 중국 전차들의 구성 요소를 상당 부분 활용했는데,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내용 없음)
나머지 55%는 새롭게 개발되었는데, 여기에는 소련제 T-72 전차의 기술이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T-72는 루마니아를 통해 입수했거나,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이 노획한 것을 중국이 수입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영향으로 MBT-2000의 차체 크기나 디자인은 T-72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차체와 포탑은 기본적으로 용접 강판 구조이지만, 전면부에는 복합 장갑을 채택하여 방호력을 높였다. 특히 중국 전차 최초로 본격적인 모듈식 복합 장갑(콤포지트 방식)을 도입하여, 피탄 시 손상된 장갑의 교체가 용이해졌고 향후 더 발전된 장갑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파키스탄 사양과 중국 사양 모두 각기 독자적으로 개발한 폭발 반응 장갑 (ERA)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러시아제 콘탁트-5 반응 장갑을 모두 장착했을 경우 전투 중량은 약 48ton으로, 동급 주력 전차 중에서는 비교적 가벼운 편에 속한다.
개발 과정에서 서방 국가의 검증된 기술도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엔진은 영국 챌린저 1 전차에 사용된 퍼킨스 콘도 수냉 디젤 엔진의 1,200마력 버전을 탑재했다. 변속기는 프랑스 르클레르 전차에 채용된 SESME사 SM-500 자동 변속기를 사용했으며, FCS는 파키스탄이 운용하던 85-IIAP식 전차의 이스라엘제 ISFCS-212 시스템을 개량하여 탑재하는 등, 성능이 검증된 부품들을 다수 도입했다.
90-II식 전차는 중국 육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전차의 개발 경험과 기술은 이후 중국의 차세대 주력 전차인 98식 전차와 99식 전차 개발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으며, 이 두 전차는 현재 중국 육군의 핵심 전력으로 운용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MBT-2000, 즉 알 칼리드 전차로 제식 채용되어 주력 전차로 활약하고 있다.
3. 제원
3. 1. 기본 제원
wikitext
구분 | 내용 |
---|---|
승무원 | 3명 |
길이 | 10.07m |
높이 | 2.4m |
폭 | 3.5m |
중량 | 46ton (약 46266.43kg) |
주무장 | 125 mm 활강포, 탄약 39발 |
장전방식 | 수동장전 |
부무장 | 12.7 mm 대공기관총 (탄약 500발) 7.62 mm 동축기관총 2정 (탄약 3000발) |
엔진 | KMDB 6TD-2 6기통 디젤 엔진 1200hp (890kW) |
출력비 | 26 hp/t |
현가장치 | 토션바 |
노상속도 | 72km/h |
항속거리 | 500km |
3. 2. 무장
구 소련 계열의 2A46 125mm 활강포를 기반으로 한 중국제 125mm 활강포를 주무장으로 탑재한다. 이 포는 원본보다 포신 수명이 더 길다고 알려져 있다. 자동 장전 장치를 갖추고 있어 분당 10~12발의 사격 속도를 낼 수 있다.사용 가능한 탄종으로는 APFSDS탄, HEAT탄, HEAT-FRAG탄 등이 있으며, 인도군의 T-90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9M119 레플렉스 대전차 미사일 발사 기능도 추가되었다. 탄종별 성능은 다음과 같다.
- '''125-I APFSDS-T탄''': 텅스텐 합금 탄심을 사용하며, 탄심의 길이 대 직경비(L/D비)는 20:1이다. 포구 초속은 1,730m/s이고 최대 사정거리는 2500m에서 3000m 사이이다(야간 유효 사정거리는 850m–1300m). 2000m 거리에서 460mm 두께의 균질 압연 강판(RHA)을 관통할 수 있다.
- '''125-II APFSDS-T탄''': 우라늄 탄심을 사용하며, 중국과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했다. 소련/러시아제 APFSDS-T탄보다 탄심의 L/D비가 더 길다고 알려져 있다. 2500m 거리에서 60도의 입사각으로 350mm에서 400mm 두께의 균질 압연 강판을 관통할 수 있으며, 2000m 거리에서는 600mm 두께의 균질 압연 강판을 관통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부무장으로는 12.7 mm 대공 기관총 1정(탄약 500발)과 7.62 mm 동축 기관총 1정(탄약 3,000발)을 장착한다.
사격 통제 장치는 안정화된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내장된 포수용 조준경과 탄도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다. 1998년 파키스탄의 사막 지대에서 진행된 시제차(알 할리드 전차) 평가 시험 결과에 따르면, 40km/h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2000m 떨어진 동적 표적에 사격했을 때 85%의 명중률을 기록했다고 발표되었다.
3. 3. 엔진 및 기동성
우크라이나 KMDB에서 제작한 6기통 디젤 엔진인 6TD-2를 탑재하여 1,200 마력(hp) (890 kW)의 출력을 낸다. 출력비는 톤당 26 마력(hp/t)이다. 서스펜션은 토션바 방식을 사용한다.초기 시제품 단계에서는 중국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독일 MTU 396 디젤 엔진(1,200 마력)을 사용했으나, 이후 개발 과정에서 영국제 퍼킨스 콘도(Perkins Condor) CV12-1200TCA, 우크라이나제 6TD 및 6TD-II(1,200 마력), 독일제 MTU-871 또는 TCM AVDS-1790(1,200 마력) 등 다양한 엔진을 테스트하며 변경을 거듭했다.
파키스탄 육군 사양인 '''알 할리드''' 전차의 경우, 초기에는 프랑스제 1,500 마력급 디젤 엔진 탑재도 고려되었으나, 1998년 파키스탄이 실시한 핵실험으로 인해 국제적인 제재가 가해지면서 프랑스제 엔진 도입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후 파키스탄은 우크라이나로부터 T-84 전차 320대를 도입한 경험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이 있고 T-84와 부품 호환성이 높은 우크라이나제 6TD-II(1,200 마력) 디젤 엔진을 최종적으로 채택했다.
MBT-2000은 정지 상태에서 32 km/h까지 도달하는 데 약 10초가 소요된다. 노상 최고 속도는 72 km/h이며, 항속 거리는 500km에 달한다. 또한, 완전 자동 변속 장치를 채택하여 중국제 전차로는 처음으로 제자리 선회가 가능해졌다.
4. 파생형
; 90-I식(시제 1형)
: 최초의 시제 차량으로, 중국에서 생산한 125mm 활강포와 사격 통제 시스템을 탑재했다. 포탑 디자인은 서방 국가의 전차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엔진은 중국에서 제조된 MTU396 1,200마력 디젤 엔진과 독일 렌크(Renk)사의 자동 변속기를 장착했다.
; 90-II식(시제 2형)
: 서방의 사격 통제 시스템과 탐색 장치를 탑재했으며, 엔진은 퍼킨스 콘도 CV12-1200TCA (1,200마력), 변속기는 프랑스제 SM-500 자동 변속기를 사용했다.
; 시제 3형
: 엔진을 우크라이나제 6TD/6TF-II 디젤 엔진(1,200마력)으로 변경했다.
; 90-IIA식(시제 4형)
: 엔진을 독일제 MTU-871/TCM AVDS-1790 디젤 엔진(1,200마력)으로 변경하려 했으나, 파키스탄이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독일 정부가 엔진 제공을 거부하여 개발이 중단되었다.
; 120mm 포 탑재형
: 1992년부터 1998년까지 프랑스 GIAT사에서 제작한 120mm 활강포를 탑재하여 사격 시험을 진행했다.
; 90-IIM식 (MBT-2000)
: 독일제 1,200마력 엔진과 프랑스제 1,500마력 엔진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우크라이나제 1,200마력 엔진을 정식으로 채택했다.
: 2000년 11월에 공식 발표되었으며, 이후 파키스탄에서 라이선스 생산되어 '''알 할리드'''(الخالد|알 할리드ur)라는 이름으로 운용되고 있다. 현재는 중국과 파키스탄 양국이 독자적으로 개량한 모델인 '''VT-1A'''를 여러 국가에 판매하려고 시도 중이다.
; VT-1A
: 2009년에 공개된 MBT-2000의 발전형 모델이다. 복합 장갑을 모듈식으로 변경하고, 주포 등 주요 장비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인간 공학적인 측면에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
; 90-III식 (90-IIWM식)
: 90-II식의 후속 모델로 개발 중인 수출용 주력 전차이다. 차체 전면과 포탑 전면에 모듈식 복합 장갑을 장착했으며, 엔진과 전자 장비 등 다양한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5. 운용 국가
참조
[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Chapman & Hall, Incorporated
2017-02-14
[2]
웹사이트
Bangladesh army gets 44 new Chinese main battle tanks MBT 2000 and Locating Radar LLC-2
http://www.armyrecog[...]
2013-03-18
[3]
간행물
Chinese MBT-2000 export successes
Vayu and Aerospace Defense
2014-02-28
[4]
웹사이트
http://www.strategyp[...]
[5]
웹사이트
Redefining Sri Lanka - Pakistan Ties an Indian Perspective
http://www.vifindia.[...]
2020-01-08
[6]
웹사이트
Sri Lanka Buying Al-Khalid Tanks from Pakistan
http://www.asian-def[...]
2020-01-08
[7]
뉴스
Peru plans to buy military tanks from China
https://andina.pe/in[...]
2018-08-27
[8]
뉴스
China steals $114 million U.S. defense deal with Peru
https://m.washington[...]
2017-12-29
[9]
뉴스
No hay dinero para devolver tanques chinos MBT-2000
http://larepublica.p[...]
2017-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