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M-29 서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GM-29 서전트는 미국이 개발한 전술 지대지 미사일로, 1962년부터 MGM-5 코퍼럴을 대체하여 미국 육군에 배치되었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제트 추진 연구소에서 초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치오콜 화학, 스페리 자이로스코프 등 여러 기관이 개발에 참여했다.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고, 스페리 자이로스코프사의 관성 유도 장치를 사용했다. 서독과 대한민국에도 배치되었으며, MGM-52 랜스로 대체될 때까지 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탄도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탄도 미사일 - 퍼싱 II
퍼싱 II는 미국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SS-20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높은 정확도와 폭발력 조절 기능을 갖췄으나, 중거리 핵전력 조약에 따라 퇴역하였다. - 미국의 지대지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미국의 지대지 미사일 - 하푼
하푼은 보잉에서 제작한 미국의 대함 미사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 가능하며 액티브 레이다 호밍 유도 방식과 시스키밍 순항 궤도를 통해 생존성과 유효성을 높여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MGM-52 랜스
MGM-52 랜스는 미국 육군이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운용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핵탄두, 중성자탄, 재래식 탄두를 탑재 가능하며 최대 사거리 125km, 마하 3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냉전 종식과 함께 퇴역하여 한국에서도 철수되었다.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MGM-29 서전트 | |
---|---|
개요 | |
![]() | |
종류 | 전술 탄도 미사일 |
개발 국가 | 미국 |
사용 국가 | 미국 육군, 독일 육군 |
개발 및 생산 | |
설계 | 제트 추진 연구소 |
설계 시기 | 1955년 |
제작사 | 스페리 유타 |
생산 대수 | 약 500기 |
생산 계약 시작 | 1956년 3월 |
운용 | |
사용 시기 | 1962년–1979년 |
최초 배치 | 1962년 6월 (미국 내) |
퇴역 | 1977년 5월 (미국 내) |
제원 | |
무게 | 4,600 kg |
길이 | 10.52 m |
직경 | 79 cm |
엔진 | 티오콜 XM100 |
엔진 추력 | 200 kN |
연료 | 고체 연료 |
사거리 | 139 km |
유도 방식 | 관성 항법 |
탄두 | W52 (M65) 핵탄두 |
탄두 위력 | 200 kt |
부스터 연소 시간 | 34초 |
기타 | |
형식 | 지대지 전역 공격 |
종류 | 단거리 탄도 미사일, 핵미사일 |
2. 개발
코포럴 E 지대지 미사일 시험기 발사 직후인 1948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IT)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미 육군용 신형 고체 추진제 로켓 초기 연구를 시작했다.[1] 그러나 전술 미사일 탑재용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만들지 못해 1951년 4월 초기 연구가 종료되었다.[2]
이후 고체 연료 로켓 개발은 제너럴 일렉트릭 XSSM-A-13 헤르메스 A-2 계획으로 이어졌고, "인터널 버닝 스타" 설계 신형 로켓 모터가 RV-A-10 시험기에서 테스트되었다.
1953년 중반 RV-A-10 시험 프로그램은 종료되었지만, 1953년 11월 30일 JPL은 서전트 연구 지속 추가 계약을 체결했다. 1954년 10월 7일 미 육군 육전군 권고로 1955년 1월 1일부터 서전트 전술 지대지 미사일 계획이 공식 시작되었으며, 레드스톤 병기창이 기술 관리 감독을 맡았다.[5] 치오콜 화학사 레드스톤 사업부는 로켓 모터 금속 부품 설계와 모터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JPL 하청업체로 참여했다.[7] 제식명 '''SSM-A-27'''이 미사일에 할당되었지만, 1955년 6월 16일 전후 사용이 중단되어 단명했다. 1958년 11월 5일 서전트 미사일 시스템은 제한 생산 승인을 받았다.
최초 실험용 서전트 미사일은 1956년 발사되었고, '''XM15'''로 지정되었다.[10] 1956년 2월 말 스페리 자이로스코프사가 공동 계약자로 지명되었고, 1956년 3월 JPL과 하청 계약을 체결하며 공동 계약 관계가 시작되었다.[10] 1960년 7월 1일 JPL은 계획에서 철수하고 스페리 유타사(SUCO)가 주 계약자 역할을 인계받았다.[11] 서전트 개발 계획은 1961년 9월 28일 마지막 연구 개발 미사일 비행으로 종료되었다.
1958년 4월 1일 서전트 계획은 레드스톤 병기창에서 미 육군 로켓 유도 미사일국(ARGMA)으로 이관되었고, 1960년 8월 1일 ARGMA에서 미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ABMA)으로 장비 관리 책임이 이관되었다.
1962년 6월 서전트는 '''M15'''로 처음 작전 운용 배치되었으며, MGM-5 코포럴 미사일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1963년 육해공군 명칭 통일로 명명 규칙이 변경되면서 XM15는 '''XMGM-29A''', M15는 '''MGM-29A'''로 개칭되었다.
2. 1. 개발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독일의 V-2 로켓 기술을 획득하여 미사일 개발에 착수했다. 1948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IT)의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미국 육군을 위한 새로운 고체 추진제 로켓의 초기 연구를 시작했으나, 1951년 4월에 성과 없이 종료되었다.[2] 하지만 이 연구는 고체 추진제 기술 개발에 기여했다.이후 제너럴 일렉트릭의 헤르메스 A-2 계획을 통해 "인터널 버닝 스타" 설계를 이용한 신형 로켓 모터가 RV-A-10 시험기에서 테스트되었다. 이 모터는 중심 연소 방식으로, 정적 추력을 얻는 기존의 종단 연소 방식과 연료가 절연체 역할을 하여 경량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중심 연소 방식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1953년 11월 30일, JPL은 서전트 연구 지속을 위한 추가 계약을 체결했다. 1954년 10월 7일 미국 육군 육전군(Army Field Forces)의 권고에 따라, 1955년 1월 1일부터 서전트 전술 지대지 미사일 계획이 공식 시작되었으며, 레드스톤 병기창이 기술 관리 감독을 맡았다.[5] 치오콜 화학사의 레드스톤 사업부는 로켓 모터 금속 부품 설계와 모터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JPL의 하청업체로 참여했다. 1955년 6월 16일 전후, SSM-A-27이라는 제식명이 미사일에 할당되었으나 곧 사용이 중단되었다. 1958년 11월 5일, 서전트 미사일 시스템은 제한 생산 승인을 받았다.
최초의 실험용 서전트 미사일은 1956년에 발사되었으며, XM15로 지정되었다.[10] 1956년 2월 말, 스페리 자이로스코프사가 공동 계약자로 지명되었다. 1960년 7월 1일, JPL은 서전트 계획에서 철수하고 스페리 유타사(SUCO)가 주 계약자 역할을 이어받았다. 서전트 개발 계획은 1961년 9월 28일 마지막 연구 개발 미사일 비행으로 종료되었다.
1962년 6월, 서전트는 M15로 처음 작전 운용 배치되었으며, 1963년 육해공군 명칭 통일로 명명 규칙이 변경되면서 시험 미사일 XM15는 XMGM-29A, 작전 운용 미사일 M15는 MGM-29A로 각각 개칭되었다.
2. 2. 개발 과정
1948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IT)의 제트 추진 연구소(JPL)는 서전트 계획에 따라 미국 육군을 위한 새로운 고체 추진제 로켓의 초기 연구를 시작했다.[1] 그러나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1951년 4월에 미국 육군 병기과는 서전트의 초기 연구 종료를 지시했다.[2]1955년 1월 1일, 서전트 전술 지대지 미사일 계획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5] 주 계약자는 JPL이었고, 레드스톤 병기창이 기술적인 관리 감독을 맡았다. 티오콜 화학사의 레드스톤 사업부는 로켓 모터의 금속 부품 설계와 모터 프로그램의 나머지를 실행하기 위한 JPL의 하청업체로서 개발에 참여했다.[7]
1956년 2월 말, 스페리 자이로스코프사가 서전트 계획의 공동 계약자로 지명되었다.[10] 1960년 7월 1일, JPL은 서전트 계획에서 손을 떼고 스페리 유타사(SUCO)가 주 계약자 역할을 인계받았다.[11] 1961년 9월 28일, 마지막 연구 개발 미사일 비행으로 서전트 개발 계획은 기본적으로 종료되었다.
3. 기술적 특징
MGM-29 서전트는 고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하여 액체 연료 로켓 모터를 사용한 이전의 MGM-5 코퍼럴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았다.[12] 고체 연료 로켓은 일단 점화되면 연소를 멈출 수 없었기 때문에, 사거리는 비행 경로의 중간쯤에서 유도 장치에 의해 전개되는 드래그 브레이크를 통해 제어되었다.[12] 이 드래그 브레이크는 엔진 추력을 상쇄하여 미사일이 지표면으로 탄도 비행 경로를 따르도록 했다.
유도 방식은 MGM-5 코퍼럴의 명령 유도 대신 스페리 자이로스코프사의 '''AN/DJW-8''' 관성 유도 장치를 사용했다.[12] 이를 통해 대응책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필요한 지상 장비를 줄일 수 있었다.
MGM-5 코퍼럴에 비해 발사 준비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는데, MGM-5 코퍼럴은 첫 미사일 발사에 9시간이 걸린 반면, MGM-29 서전트는 1시간 미만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12]
MGM-29 서전트는 200kN의 이륙 추력, 4530kg의 이륙 중량, 790mm의 직경, 10.52m의 길이, 그리고 1.8m의 핀(fin) 길이를 가지고 있었다. 최소 사거리는 이며, 최대 사거리는 였다.[20]
4. 운용
MGM-29 서전트는 1962년 미국 육군에 의해 MGM-5 코퍼럴을 대체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1963년까지 유럽과 대한민국, 1964년까지 독일 부대에 배치되었다.[15] 1970년대 초 MGM-52 랜스로 교체될 예정이었지만 랜스 개발이 지연되면서 서전트는 계속 사용되었다.[16] 마지막 미국 육군 대대는 1977년에 해체되었다.[17]
서전트는 200kN의 이륙 추력, 4530kg의 이륙 중량, 790mm의 직경, 10.52m의 길이, 그리고 1.8m의 핀 길이를 가지고 있었다. 서전트 미사일은 약 40.23km의 최소 사거리와 약 135.18km의 최대 사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서전트의 운용을 관리하던 서전트 계획국(SERGEANT Project Office)은 1962년 8월 1일에 활동을 시작했지만, 1969년 7월 1일에 축소가 시작되어 1969년 9월 15일에는 폐지되었다. 서전트 계획국 대신 서전트 비품국(SERGEANT Commodity Office)이 설립되었지만, 이 부서도 1970년 4월 6일에 폐지되었고, 그 기능은 신설된 육전 특별 장비 관리국(Land Combat Special Items Management Office)에 흡수되었다.
4. 1. 미국
MGM-29 서전트는 MGM-5 코퍼럴을 대체하여 1962년 미국 육군에 배치되기 시작했다.[15] 1963년에는 유럽과 대한민국에 배치되었다.[15] 1970년대 초, MGM-52 랜스 미사일로 대체되기 시작했으며,[16] 1977년에 마지막 미국 육군 대대가 해체되었다.[17]서전트 미사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군단에 대한 일반적인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야전군에 배속되었다.[18] 서전트의 운용은 전장 미사일 개발의 중간 단계로, 코퍼럴의 액체 연료 취급의 단점을 피했지만, 발사 전 광범위한 준비와 점검, 그리고 반(半) 트레일러 지원 차량의 배열을 필요로 했다.[19]
1962년 6월, 미국 육군 전술 서전트 2개 대대와 3개의 탄약 보급 부대가 편성되어 훈련을 시작했다. 1963년 3월, 미국 육군의 서전트 대대가 처음으로 미국 국외에 배치되었으며, 1964년까지 군사 지원 프로그램(MAP) 서전트 3개 대대가 서독에 배치되었다.
1964년에 서전트 시스템의 마지막 미사일이 구매되었으며, 1962년 1월부터 1964년 9월 사이에 총 7개의 육군 서전트 대대와 그 지원 부대가 편성, 훈련, 배치되었다. 그 내역은 육군 전략 군단(STAC)의 1개 대대, 유럽의 5개 대대, 그리고 한국의 1개 대대이다.
1968년 6월 27일, 전력 개발 부참모장(ACSFOR)은 한정 생산에서 스탠다드 A로 서전트의 재분류를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1972년부터 MGM-29A는 신형 MGM-52 랜스 미사일로 교체되기 시작했고, 1977년 5월에 미국 육군의 마지막 서전트 대대가 활동을 중단했지만, 그 후에도 서독에서 2년 동안 랜스로 교체될 때까지 서전트를 운용했다. 이 교체 완료를 기점으로 모든 서전트의 운용은 종료되었다.
미국 육군에서 운용된 서전트 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 기간 | 배치 장소 |
---|---|---|
제5대대, 제30 야전 포병 연대 | 1963년 - 1975년 | Vicenza|비첸차영어, 이탈리아 |
제3대대, 제38 야전 포병 연대 | 1962년 - ? | 포트 실 |
제1대대, 제68 야전 포병 연대 | 1964년 - 1970년 | 서독 |
제5대대, 제73 야전 포병 연대 | 1963년 - 1975년 | 서독 |
제5대대, 제77 야전 포병 연대 | 1963년 - 1975년 | 서독 |
제3대대, 제80 야전 포병 연대 | 1964년 - 1970년 | 서독 |
제3대대, 제81 야전 포병 연대 | 1963년 - 1976년[23] | 대한민국 |
4. 2. 서독
Bundeswehrde (독일 연방군) 육군의 제150, 250, 350 로켓 포병대대와 제650 로켓 포병대대는 1964년부터 1976년까지 MGM-29 서전트를 운용했다.[21]부대 | 운용 기간 |
---|---|
제150 로켓 포병대대 | 1964년 ~ 1976년 |
제250 로켓 포병대대 | 1964년 ~ 1976년 |
제350 로켓 포병대대 | 1964년 ~ 1976년 |
제650 로켓 포병대대 | 1965년 ~ 1976년 |
4. 3. 대한민국
MGM-29 서전트는 1963년부터 대한민국에 배치되어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5] 박정희 정부 시절, 주한미군은 MGM-52 랜스 핵미사일을 배치하여 북한에 핵 공격력을 과시했는데, 이 랜스 미사일은 중성자탄을 탑재했다고 보도되기도 했다.2011년 기준으로, 랜스 미사일은 에이태킴스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랜스와 에이태킴스는 모두 M74 자탄을 사용하는 집속탄을 장착할 수 있다. 한국군은 에이태킴스 M74 300발 버전을 구매했는데, 이는 사거리가 128km에서 300km로 늘어난 대신 자탄 수는 1/3로 줄어든 버전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에이태킴스 1발에는 300여 개의 자탄이 들어 있어 축구장 3~4개 넓이를 초토화할 수 있다고 한다.[26] 다른 보도에서는 에이태킴스에 950개의 자탄이 들어 있어 축구장 3~4개 크기를 초토화할 수 있다고도 한다.[27] 그러나 M74 950발은 33,000m²를 초토화하며, 일반적인 축구장 넓이는 4,000~11,000m²이다.
미국 육군 서전트 대대는 1963년 3월에 처음으로 미국 국외에 배치되었으며, 대한민국에는 제3대대, 제81 야전 포병 연대가 1963년부터 1976년까지 운용되었다.[23]
5. 파생형
캐스터 로켓 단계는 서전트 파생형으로, 스카우트 위성 발사체의 2단계로 사용되었다.[28] "베이비 서전트" 로켓 묶음은 주피터-C 사운딩 로켓의 2, 3단계와 주노 I, 주노 II 발사체의 2, 3, 4단계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주노 I은 최초의 미국 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다.
6. 제원 (MGM-29A)
속성 | 값 |
---|---|
전장 | 10.52m |
직경 | 790mm |
날개폭 | 1.8m |
발사 중량 | 4530kg |
속도 | 초음속 |
사거리 | 46km - 140km |
엔진 | 티오콜 XM-100 고체 연료 로켓 모터 (추력 200kN) |
탄두 | W52 열핵탄두 (핵출력: 200 kt) |
7. 북한
2011년 기준으로, 북한은 KN-02 미사일을 실전배치했다. 코퍼럴, 서전트, 랜스, 에이태킴스와 북한의 KN-02는 같은 용도, 같은 사거리의 미사일이다.[1]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2]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3]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4]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5]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6]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7]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8]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9]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0]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1]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2]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3]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Volume VII
1995
[14]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5]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6]
서적
History of the Sergeant Weapon System
U.S. Army Missile Command, Redstone Arsenal, Alabama
1972
[17]
Q
[18]
웹사이트
Weapons of the Field Artillery (1965)
https://www.youtube.[...]
US Army
2013-05-11
[19]
간행물
Sergeant electrodynamics
http://www.flightglo[...]
1964-04-23
[20]
웹사이트
Thiokol
https://web.archive.[...]
Box Elder County, Utah
[21]
웹사이트
USAREUR Charts - SERGEANT Missile
http://www.usarmyger[...]
[22]
웹사이트
USAREUR Charts - SERGEANT Missile
http://www.usarmyger[...]
[23]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E–12, Documents on East and Southeast Asia, 1973–1976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4]
웹사이트
Missile.index
http://missile.index[...]
Missile.index Project
2007-06-09
[25]
웹사이트
Designation-Systems.Net - MGM-29
http://www.designati[...]
2005-12-09
[26]
뉴스
"美, 北 ICBM 쏘자 김정은 텐트까지 거리 계산해 미사일 날려"
한국경제
2020-09-14
[27]
뉴스
北, 신형 지대지 전술미사일 개발한 듯…에이태킴스와 닮은 꼴(종합2보)
연합뉴스
2019-08-11
[28]
웹인용
Scout Launch Vehicle Program
http://www.nasa.gov/[...]
NASA
2011-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