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 상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V 상치는 2008년 대한민국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된 유조선으로, 여러 차례 이름을 변경했다. 2018년 1월, 중국 상하이 인근 동중국해에서 화물선 CF 크리스탈과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했고, 며칠 후 폭발과 함께 침몰했다. 이 사고로 승무원 32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유조선에 실려 있던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가 유출되어 환경 오염을 야기했다. MV 상치는 이란에서 대한민국으로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를 운송 중이었으며, 사고로 인해 대한민국의 에너지 수급과 석유화학 산업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해양 사고 - 2018년 케르치 해협 사건
2018년 케르치 해협 사건은 러시아 해안 경비대가 케르치 해협을 통과하려던 우크라이나 해군 함정 3척을 나포하여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국제사회의 규탄을 받았으며, 이후 국제해양법재판소의 명령과 포로 교환을 통해 선박과 선원이 우크라이나로 반환된 사건이다. - 2018년 해양 사고 - KM 시나르 방운호 침몰 사고
KM 시나르 방운호 침몰 사고는 2023년 3월 10일 인도네시아 토바 호수에서 악천후, 과적, 선박 결함, 안전 규정 위반, 미숙한 대처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여객선 침몰 사고로,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한국 사회에 해상 안전 관리 시스템 재검토의 계기가 되었다. - 유조선 - 엑슨발데즈
엑슨발데즈는 1989년 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좌초되어 대규모 원유 유출 사고를 일으킨 유조선이다. - 유조선 - LNG선
LNG선은 액화 천연 가스를 해상 운송하는 특수 선박으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Q-Max급까지 등장했으며, 탱크 형태에 따라 모스형과 멤브레인형으로 나뉘고, 대한민국은 멤브레인형 LNG선 건조 기술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 동중국해의 침몰선 - 야시마 (전함)
야시마는 일본 해군이 최초로 발주한 근대적 전함 중 하나로,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나 여순항 앞바다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하여 일본 해군에 타격을 주고 장갑순양함 국산화와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 동중국해의 침몰선 - 도네 (방호순양함)
러일 전쟁 후 일본 해군이 자체 설계 능력을 입증하고자 엘스윅 크루저 요시노를 참고하여 건조한 2등 방호순양함 도네는 일본 순양함 중 왕복 기관을 탑재한 마지막 함선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중국 수역 경비 활동에 참여 후 1933년 격침되었다.
| MV 상치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선박 이름 (2008) | Saman |
| 선박 이름 (2008–2012) | Sepid |
| 선박 이름 (2012) | Gardenia |
| 선박 이름 (2012–2013) | Seahorse |
| 선박 이름 (2013–2018) | Sanchi |
| 선박 종류 | 수에즈맥스 유조선 |
| 이전 국적 | 파나마 |
| 선박 등록 | 몰타, 발레타 (2008–2012) 투발루, 푸나푸티 (2012–2014) 탄자니아, 잔지바르 (2014–2016) 파나마, 파나마 (2016–2018) |
| 운항 노선 | 불명 |
| 주문 일자 | 2005년 5월 20일 |
| 건조 | 현대삼호중공업, 대한민국 |
| 조선소 번호 | S316 |
| 기공 일자 | 2007년 10월 29일 |
| 진수 일자 | 2008년 2월 5일 |
| 완공 일자 | 2008년 4월 24일 |
| 취역 | 2008년–2018년 |
| 식별 부호 | 호출 부호: 3FJU8 (2016년부터) (2016년부터) |
| 운명 | 홍콩 선적 화물선 CF Crystal과의 충돌 후 침몰 |
| 선박 정보 | |
| 배수량 | 189,653톤 |
| 갑판 | 불명 |
| 동력 | MAN-B&W 6S70MC-C, |
| 추진 | 단일 축, 고정 피치 프로펠러 |
| 속력 | (최대) (운항) |
| 수용량 | 불명 |
| 승무원 | 32명 |
| 소유 및 운영 | |
| 선박 소유주 (2016년부터) | Bright Shipping Ltd, 홍콩 |
| 선박 운영자 | 국립 이란 유조선 회사(NITC, 이란) |
| 사고 | |
| 사고 내용 | 2018년 1월 6일, 상하이 동쪽 해상에서 CF Crystal과 충돌 후 화재 발생, 2018년 1월 14일 침몰 |
2. 역사
MV 상치는 2008년 대한민국 현대삼호중공업에서 이란 국영 유조선 회사를 위해 건조된 유조선이다. 건조 이후 여러 차례 선박의 이름과 등록된 국가(기국)가 변경되었다. 2018년 1월, 이란에서 대한민국으로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를 운송하던 중 동중국해에서 화물선과 충돌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고, 결국 침몰하여 승무원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 1. 건조 및 소유권 변동
이 선박은 2008년 대한민국 영암군에 있는 현대삼호중공업에서 이란 국영 유조선 회사(National Iranian Tanker Company)를 위해 건조되었다. 건조 당시 이름은 '사만'이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이름과 기국(선적 국가)이 변경되었다.| 시기 | 변경 내용 | 이름 | 기국 |
|---|---|---|---|
| 2008년 (건조 시) | 초기 명명 | 사만 | (명시되지 않음) |
| 2008년 (인도 한 달 후) | 이름 변경 | 세피드 | (명시되지 않음) |
| 2012년 6월 | 이름 및 기국 변경 | 가데니아 | 몰타 → 투발루 |
| 2012년 11월 | 이름 변경 | 씨호스 | 투발루 |
| 2013년 8월 | 이름 변경 | 상치 | 투발루 |
| 2014년 4월 | 기국 변경 | 상치 | 탄자니아 |
| 2016년 7월 | 기국 변경 | 상치 | 파나마 |
2. 2. 2018년 충돌 사고
2018년 1월 6일, ''산치''는 동중국해에서 홍콩 선적 화물선 ''CF 크리스탈''과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중국 상하이 동쪽 296km 해상에서 일어났다.[5] ''산치''는 이란 아살루예에서 대한민국 대산으로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 13만 6천 톤(약 96만 배럴)을 운송 중이었으며, 이는 한국의 석유화학 기업인 한화토탈로 향하던 화물이었다.화재는 며칠 동안 계속되었고, 1월 10일에는 유조선의 일부가 폭발했다.[5] 추가적인 폭발 이후 ''산치''는 결국 2018년 1월 14일에 침몰했다. 이 사고로 승무원 32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시신 1구는 해상에서, 2구는 선내 구명정에서 수습되었다.[6]
사고 해역에는 광범위한 기름띠가 형성되었으며, 유출된 화물과 연료유를 포함한 선박 잔해는 수심 115m 아래에 가라앉아 있다.[7]
3. 선박 제원
산치는 전체 길이 274.18m, 선폭 50m, 만재 흘수선 17m의 이중 선체 원유 운반선이었다. 재화 중량 톤수 164,154톤으로, 이 선박은 수에즈 운하를 화물 적재 상태로 통과할 수 있는 선박인 전형적인 수에즈막스 유조선이었다. 산치는 18,660kW의 MAN-B&W 6S70MC-C 저속 디젤 엔진으로 구동되어 고정 피치 프로펠러를 구동했으며, 이 유조선의 운항 속도는 15.4노트였다.[1][3]
4. 사고 여파
''산치''호 침몰 사고는 승무원 전원이 사망하거나 실종되는 비극적인 인명 피해를 낳았다. 또한, 선박에 실려 있던 대량의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와 연료유가 동중국해로 유출되어 심각한 해양 오염을 일으켰으며, 이는 해양 생태계에 장기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이 사고는 대한민국의 한화토탈로 향하던 화물의 전량 소실로 이어져 국내 에너지 수급 및 석유화학 산업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4. 1. 인명 피해
승무원 32명 전원이 사망했다. 시신은 총 3구가 수습되었는데, 1구는 해상에서 수습되었고 나머지 2구는 선내 구명정에서 수습되었다.[6] 나머지 29명의 선원은 실종 상태이다.4. 2. 환경 오염
2018년 1월 발생한 ''산치''호 침몰 사고는 대규모 기름 유출로 이어져 심각한 해양 오염을 초래했다. 사고 선박은 이란에서 대한민국 한화토탈로 운송 중이던 약 13만 6천 톤(96만 배럴)의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를 싣고 있었으며, 이 화물과 선박 연료유가 동중국해로 유출되었다.사고 해역에는 광범위한 유막이 형성되었으며, 유출된 기름과 선박의 잔해는 수심 115m 아래에 가라앉았다.[7] 유출된 콘덴세이트와 벙커유는 해양 생태계에 장기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4. 3.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2018년 1월 6일, 이란 아살루예에서 대한민국 대산으로 향하던 유조선 ''산치''호가 중국 상하이 동쪽 160nmi 해상인 동중국해에서 화물선 ''CF 크리스탈''과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했다.[5] 이 유조선은 대한민국의 석유화학 기업인 한화토탈에 136,000톤(960,000 배럴)의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를 운송 중이었다.사고로 인해 한화토탈로 향하던 천연 가스 콘덴세이트 전량이 소실되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에너지 수급 및 석유화학 산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고 선박은 며칠간 화염에 휩싸이다 1월 14일 침몰하였고, 이 과정에서 광범위한 유막이 형성되어 해양 오염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6][7] 침몰한 선체와 화물, 연료유 등은 수심 115m 아래에 가라앉아 있다.[7]
참조
[1]
간행물
2018-01-08
[2]
웹사이트
Biohazard team on standby as Iranian tanker turns toxic fireball
http://www.marinetra[...]
Marinetraffic
2018-01-08
[3]
간행물
2018-01-08
[4]
간행물
2018-01-14
[5]
뉴스
Oil tanker Sanchi partially explodes in East China Sea
http://edition.cnn.c[...]
2018-01-10
[6]
뉴스
Burning Iranian oil tanker has sunk after January 6 accident: Chinese
https://www.reuters.[...]
2018-01-14
[7]
웹사이트
China Considering Salvage of Sunken Iranian Tanker
https://worldmaritim[...]
World Maritime News
2018-01-22
[8]
문서
SANCHI
http://vesselregiste[...]
DNV.GL
2018-01-16
[9]
뉴스
Burning Iranian oil tanker has sunk after January 6 accident: Chinese
https://www.reuters.[...]
로이터
2018-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