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는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의 첫 번째 효소로, NADH를 산화시키고 유비퀴논을 환원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이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막 사이 공간으로 양성자를 펌핑하여 ATP 합성에 필요한 전기화학적 전위 차이를 생성한다. 복합체 I은 45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그 중 7개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해, 나머지는 핵 DNA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 효소의 기능 이상은 미토콘드리아 질환, 리 증후군,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으며, 억제제로는 로테논, 아세토제닌 등이 있다. 또한, 엽록체에서도 복합체 I과 상동성을 가진 효소가 발견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광합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1.6.5 - NADH:유비퀴논 환원효소 (전위불형성형)
    NADH:유비퀴논 환원효소 (전위불형성형) (NDH-2)는 NADH를 유비퀴논으로 산화시키는 효소로, 미토콘드리아 내막 또는 세포막에 위치하며, 로테논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데아미노NADH를 기질로 사용할 수 없으며, FAD를 보조 인자로 사용하는 아폽토시스 유도 인자와 관련된 효소이다.
  • 해당 - 유비퀴논
    유비퀴논(CoQ10)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지용성 유기 화합물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이며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를 보호하고 면역 반응에도 관여한다.
  • 해당 - 글루코스
    글루코스는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단당류로, D-글루코스 이성질체는 덱스트로스라고도 불리며 생물체의 에너지원, 식물의 광합성 생산물, 그리고 다양한 탄수화물의 구성 성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광계
    광계는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며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광수집 복합체에 둘러싸인 반응 중심을 가지며 물 분해를 통해 전자를 얻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계 II와 NADPH를 생성하는 광계 I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 내재성 막 단백질 -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광합성에서 광계 II와 광계 I 사이의 전자 및 에너지 전달을 매개하고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양성자를 수송하여 ATP 합성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로서, 순환적 광인산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와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 8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이다.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일반 정보
EC 번호7.1.1.2
GO 코드0008137
효소 명칭NADH:유비퀴논 환원 효소 (수소 이온 수송형)
CAS 등록번호9028-04-0
IUBMB EC 번호1/6/5/3
단백질 정보
심볼Respiratory complex I
이름Respiratory complex I
OPM 패밀리246
OPM 단백질6g72
막단백질체 슈퍼패밀리255
관련 정보
다른 명칭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Type I NADH dehydrogenase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호흡 복합체 I
복합체 I
구조 정보
호열균 Thermus thermophilus 유래의 복합체 I의 결정 구조 (PDB|3M9S)

2. 기능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의 첫 번째 효소는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이다. 전자 전달 연쇄에는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 코엔자임 Q-사이토크롬 c 환원효소(복합체 III),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복합체 IV)의 세 가지 에너지 전달 효소가 있다.[1] 복합체 I은 전자 전달 연쇄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효소이다.[2]

복합체 I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NADH + H+ + CoQ + 4H+in→ NAD+ + CoQH2 + 4H+out

이 과정에서, 복합체는 산화된 NADH 분자당 네 개의 양성자내막을 가로질러 이동시켜,[3][4][5] ATP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전위 차이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높은 막 전위가 존재할 때, 반응은 역전될 수 있는데, 이는 유비퀴놀에 의한 호기성 숙신산염-지지 NAD+ 환원이라고 하며, 정확한 촉매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반응의 원동력은 ATP 가수분해 또는 숙신산염 산화 동안 복합체 III 및 IV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막을 가로지르는 전위이다.[7]

복합체 I은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8] 실제로, 미토콘드리아 활성과 체세포 배아 발달 동안의 프로그래밍된 세포 죽음 (PCD)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

3. 구성 및 구조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는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효소이다.[2]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연쇄에는 복합체 I 외에도 코엔자임 Q-사이토크롬 c 환원효소(복합체 III), 사이토크롬 c 산화효소(복합체 IV)의 총 3종의 에너지 변환 효소가 있다.[1]

복합체 I에 의해 촉매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NADH + H+ + CoQ + 4H+in→ NAD+ + CoQH2 + 4H+out

이 과정에서 복합체는 산화된 NADH 분자당 네 개의 양성자내막을 가로질러 이동시켜,[3][4][5] ATP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화학적 전위 차이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높은 막 전위가 존재할 때, 반응은 역전될 수 있는데, 이는 유비퀴놀에 의한 호기성 숙신산염-지지 NAD+ 환원이라고 하며, 정확한 촉매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7]

복합체 I은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8]

복합체 I의 전체 구조와 전자 전달 개략도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는 호흡 복합체 중 가장 크며, 포유류의 경우 45개의 독립적인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가진다. 특히 기능적으로 중요한 것은 플라빈 (FMN) 보결 분자단과 8개의 철-황 클러스터이다. 45개의 소단위체 중 7개는 미토콘드리아 게놈에 의해 암호화된다.[21][22]

구조는 긴 막 도메인(약 60개의 막 횡단 나선)과 친수성 도메인으로 "L"자 모양을 이루며, 알려진 모든 산화 환원 중심과 NADH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24]

복합체 I은 49-kDa 및 PSST 소단위체의 경계면에 유비퀴논 결합 포켓을 포함한다. 유비퀴논에 대한 제안된 즉각적인 전자 공여체인 철-황 클러스터 N2 근처에서 고도로 보존된 티로신은 퀴논 환원 부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26]

복합체 I의 보존된 소단위체[30]
#사람/ 소단위체사람 단백질단백질 설명 (UniProt)
코어 소단위체a
1NDUFS7 / PSST / NUKMNDUS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7, 미토콘드리아
2NDUFS8 / TYKY / NUIMNDUS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8, 미토콘드리아
3NDUFV2 / 24kD / NUHMcNDUV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2, 미토콘드리아
4NDUFS3 / 30kD / NUGMNDUS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3, 미토콘드리아
5NDUFS2 / 49kD / NUCMNDUS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2, 미토콘드리아
6NDUFV1 / 51kD / NUBMNDUV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1, 미토콘드리아
7NDUFS1 / 75kD / NUAMNDUS1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75 kDa 소단위체, 미토콘드리아
8ND1 / NU1MNU1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1
9ND2 / NU2MNU2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2
10ND3 / NU3MNU3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3
11ND4 / NU4MNU4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4
12ND4L / NULMNU4L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4L
13ND5 / NU5MNU5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5
14ND6 / NU6MNU6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6
코어 부속 소단위체b
15NDUFS6 / 13ANDUS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6, 미토콘드리아
16NDUFA12 / B17.2NDUAC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2
17NDUFS4 / AQDQNDUS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4, 미토콘드리아
18NDUFA9 / 39kDaNDUA9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9, 미토콘드리아
19NDUFAB1 / ACPMACPM_HUMAN아실 캐리어 단백질, 미토콘드리아
20NDUFA2 / B8NDUA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2
21NDUFA1 / MFWENDUA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
22NDUFB3 / B12NDUB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3
23NDUFA5 / AB13NDUA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5
24NDUFA6 / B14NDUA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6
25NDUFA11 / B14.7NDUAB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1
26NDUFB11 / ESSSNDUBB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1, 미토콘드리아
27NDUFS5 / PFFDNDUS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5
28NDUFB4 / B15NDUB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
29NDUFA13 /A13NDUAD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3
30NDUFB7 / B18NDUB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7
31NDUFA8 / PGIVNDUA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8
32NDUFB9 / B22NDUB9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9
33NDUFB10 / PDSWNDUBA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0
34NDUFB8 / ASHINDUB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8, 미토콘드리아
35NDUFC2 / B14.5BNDUC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소단위체 C2
36NDUFB2 / AGGGNDUB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2, 미토콘드리아
37NDUFA7 / B14.5ANDUA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7
38NDUFA3 / B9NDUA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3
39NDUFA4 / MLRQc,dNDUA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
40NDUFB5 / SGDHNDUB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5, 미토콘드리아
41NDUFB1 / MNLLNDUB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
42NDUFC1 / KFYINDUC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소단위체 C1, 미토콘드리아
43NDUFA10 / 42kDNDUAA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0, 미토콘드리아
44NDUFA4L2NUA4L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유사 2
45NDUFV3NDUV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3, 10kDa
46NDUFB6NDUB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6
어셈블리 팩터 단백질[31]
47NDUFAF1cCIA30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어셈블리 팩터 1
48NDUFAF2MIMIT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어셈블리 팩터 2
49NDUFAF3NDUF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어셈블리 팩터 3
50NDUFAF4NDUF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어셈블리 팩터 4



참고:


  • a 곰팡이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발견됨
  • b 어떤 종에도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
  • c ''Schizosaccharomyces pombe''와 같은 곰팡이 종에서 발견됨
  • d 최근 연구에서는 NDUFA4를 복합체 IV의 소단위체로 설명했으며 복합체 I의 소단위체가 아님을 밝힘[34]

3. 1. 전자 전달 경로

NADH는 처음에 복합체 I에 결합하여 효소의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 보결 분자단에 두 개의 전자를 전달하여 FMNH2를 생성한다. FMN의 전자 수용체인 이소알록사진 고리는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FAD)와 동일하다.[1] 그런 다음 전자는 일련의 철-황(Fe-S) 클러스터를 통해 FMN을 거쳐 최종적으로 조효소 Q10(유비퀴논)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전자 흐름은 단백질의 산화 환원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온화 가능한 측쇄의 p''K'' 값을 변경시키는 단백질의 형태 변화를 유도하며, 4개의 수소 이온이 미토콘드리아 기질 밖으로 펌핑되도록 한다. 유비퀴논(CoQ)은 두 개의 전자를 받아 유비퀴놀(CoQH2)로 환원된다.[11]

유비퀴논 환원 이전의 전자 전달 경로로 제안된 경로는 다음과 같다: NADH – FMN – N3 – N1b – N4 – N5 – N6a – N6b – N2 – Q, 여기서 Nx는 철-황 클러스터에 대한 명명 규칙이다.[12] N2 클러스터의 높은 환원 전위와 사슬 내 다른 클러스터들의 상대적인 근접성은 단백질 내에서 장거리 효율적인 전자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NADH에서 N2 철-황 클러스터로의 전달 속도는 약 100 μs).[13]

전자 스핀 공명(EPR) 및 이중 전자-전자 공명(DEER)에 의해, 친수성 영역에서 플라빈에서 퀴논 결합 부위로 연결되어 위치하는 7개의 철-황 클러스터를 통해 전자가 이동하는 것이 밝혀졌다.[80]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전자 터널링 경로가 터널링 전류 이론에 기반한 계산을 통해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인접한 철-황 클러스터 간의 터널링 경로는 주로 2개의 시스테인 배위자 및 1개의 단백질 잔기(mediator)로 구성된다. mediator 잔기는 다양한 다른 생물종 간에 잘 보존되며, 또한 이들을 치환한 변이체에서 전자 이동 속도가 계산상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mediator 잔기가 생체 내에서 전자 이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서브 유닛 간의 내부 물이 전자 이동 속도를 크게 증가시키고, 생체 내에서 관찰되는 높은 전자 이동 효율 달성에 필수적임이 밝혀졌다.[81]

복합체 I의 평형 역학은 주로 퀴논 산화 환원 주기에 의해 구동된다. 높은 양성자 구동력 조건(그리고 그에 따라 유비퀴놀이 농축된 풀)에서 효소는 역방향으로 작동한다. 유비퀴놀은 유비퀴논으로 산화되고, 그 결과 방출된 양성자는 양성자 구동력을 감소시킨다.[14]

4. 활성/불활성 전이

진핵생물 복합체 I의 촉매 활성은 복잡하다. 효소에는 촉매적·구조적으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활성형(A형)이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형(D형)이다.[47][48] 생리학적 온도(>30 °C)에서 기질이 결핍되면 효소는 비활성형으로 바뀐다. 하지만 NADH의 느린 반응(k~4 min-1)과 이어서 일어나는 유비퀴논의 환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몇 번의 대사 회전 후, 효소는 활성 상태가 되어 빠른 속도(k~104 min-1)로 촉매 작용을 나타낸다. 2가 양이온(Mg2+, Ca2+)이 존재하거나 알칼리성 상태에서는 활성화가 더 길어진다.[47][48]

비활성화 과정의 높은 활성화 에너지 (270 kJ/mol)는 복합체 I에 큰 구조 변화가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재까지 밝혀진 두 종류의 구조 간의 차이는 효소 표면에 노출되는 시스테인 잔기의 수뿐이다. 비활성형 복합체 I의 시스테인 잔기를 N-에틸말레이미드 또는 DTNB와 같은 설프히드릴 시약으로 보호하면, 효소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반면, A형은 설프히드릴 시약과는 반응하지 않는다.[47][48]

이러한 구조 변화는 매우 중요한 생리학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활성형은 니트로소티올과 페르옥시질산에 의한 저해를 받기 어렵고, 반대로 비활성형은 더 받기 쉽다.[49] 복합체 I의 활성 형태에서 비활성 형태로의 전환은 생리적 온도에서 효소의 전환율이 제한될 때 병리학적 조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저산소증, 허혈[50][51] 또는 조직의 산화 질소:산소 비율이 증가할 때(예: 대사성 저산소증)[52] 발생한다.

5. 억제제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의 가장 잘 알려진 억제제는 로테논(유기 살충제로 사용)이다. 로테논 및 로테노이드는 안토니아(마전과), 데리스, 론코카르푸스 (콩과 콩아과) 등의 식물에서 생성되는 이소플라보노이드이다. 17세기부터 로테논 함유 식물을 인디언들이 어독성으로 사용했다는 보고가 있다[82].피에리시딘 A도 유비퀴논과 유사한 화합물이며, 복합체 I의 유비퀴논 결합 부위에 강력하게 결합한다. 로테논 또는 피에리시딘과 같은 소수성 억제제는 종단 철-황 클러스터 N2와 유비퀴논 사이의 전자 이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로테논에 의한 복합체 I의 장기적인 조직적 억제는 도파민 작용성 뉴런의 선택적 변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3]

아데노신 이인산 리보스에 의해서도 억제된다. 이것은 효소의 뉴클레오티드 결합 부위에서의 경쟁적 저해이다[84]。 NADH의 친수성 유사체와 유비퀴논의 소수성 유사체는 이 효소의 처음과 마지막에서 전자의 전달을 억제하고 있다.

가장 유력한 복합체 I의 억제제는 아세토게닌류이다. 아세토게닌은 퀴논 결합에 필수적인 것으로 제시되는 ND2 서브유닛에 가교 결합한다[85]。롤리니스타틴 2는 로테논과 결합 부위가 다른 최초의 억제제이다[86]

6. 병리학

복합체 I의 소단위체 돌연변이는 미토콘드리아 질환, 리 증후군(아급성 괴사성 뇌척수증)을 유발할 수 있다.[62] 미토콘드리아 DNA(mtDNA)에서 유래한 다양한 복합체 I 소단위체의 점 돌연변이는 레버 유전 시신경 위축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62] 복합체 I 결함은 파킨슨병의 병인에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는 반응성 산소종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복합체 I은 복합체 III처럼 산소로 전자를 누출하여 독성이 강한 초과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62]

파킨슨병의 정확한 병인은 불분명하지만,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 및 환경 독소와 함께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복합체 I의 억제는 과산화물의 생산과 프로테아좀 활성의 감소를 유발하며, 이는 파킨슨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62] Esteves 등(2010)은 파킨슨병 환자의 세포주에서 복합체 I의 양성자 누출 증가를 발견했으며, 이는 최대 호흡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했다.[63]

뇌 허혈/재관류 손상은 복합체 I 손상을 통해 매개된다.[6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산소 결핍은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이 자연적인 보조 인자인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를 잃고 비활성화되는 조건을 유발한다.[65][66] 산소가 존재할 때 효소는 유비퀴논에 의한 NADH 산화의 생리적 반응을 촉매하여 호흡 사슬(복합체 III 및 IV)의 하류에 전자를 공급한다. 허혈은 호박산 수준의 극적인 증가를 초래한다. 호박산이 존재할 때 미토콘드리아는 역전자 이동을 촉매하여 호박산에서 나온 전자의 일부가 복합체 I의 FMN으로 상류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역전자 이동은 복합체 I FMN의 환원,[56] ROS 생성 증가, 이어서 환원된 보조 인자(FMNH2)의 손실 및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생산 손상을 초래한다. 복합체 I에 의한 FMN 손실 및 I/R 손상은 FMN 전구체인 리보플라빈의 투여로 완화될 수 있다.[66]

최근 연구는 뇌에서 복합체 I 활성의 다른 역할들을 조사했다. Andreazza 등(2010)은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복합체 I 활성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지만, 우울증 또는 조현병 환자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전전두피질의 단백질 산화 및 질산화가 증가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연구가 양극성 장애에 대한 잠재적 치료 연구를 위해 복합체 I을 표적으로 해야 함을 시사한다.[67] Moran 등(2010)은 심각한 복합체 I 결핍 환자에서 산소 소비율이 감소하고 성장 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복합체 I의 다른 유전자 돌연변이가 서로 다른 표현형을 유발하여 복합체 I 결핍의 병태생리학적 증상의 변동을 설명한다고 밝혔다.[68]

살충제에 노출되는 것 또한 복합체 I을 억제하고 질병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충제로 사용되는 유기인산염인 디클로르보스의 만성적인 저농도 노출은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이는 디클로르보스가 복합체 I 및 II의 활성 수준을 변화시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활성과 ATP 합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69]

7. 초과산화물(슈퍼옥사이드) 생성

복합체 I은 활성 산소의 한 종류인 초과산화물(슈퍼옥사이드) (및 과산화 수소)을 생성할 수 있다.[53] 복합체 I은 적어도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초과산화물을 생성하는데, 순방향 전자 전달 과정에서는 매우 적은 양(전체 전자 흐름의 0.1% 미만)의 슈퍼옥사이드만 생성된다.[53][54][55]

반면, 역방향 전자 전달에서는 복합체 I이 미토콘드리아 내 슈퍼옥사이드 생성의 주요 지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약 3-4%의 전자가 슈퍼옥사이드 생성으로 전환된다.[56] 역방향 전자 전달은 환원된 유비퀴놀 풀(포유류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숙신산 탈수소효소,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 전자 전달 플라보단백질, 디하이드로오로트산 탈수소효소 등에 의해 공급됨)에서 전자가 복합체 I을 거쳐 NAD+를 NADH로 환원시키는 과정이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기화학적 전위차에 의해 일어난다.

역방향 전자 전달이 어떤 병리학적 조건에서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시험관 내 실험에 따르면 숙신산 농도가 높고 옥살아세트산 또는 말산 농도가 낮을 때 슈퍼옥사이드가 다량 생성될 수 있다.[57] 이러한 현상은 조직 허혈, 즉 산소 공급이 차단될 때 발생할 수 있다.[58]

슈퍼옥사이드는 세포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신경근 질환 및 노화와 관련 있는 활성 산소 종이다.[59] NADH 탈수소효소는 FMNH2 (또는 반환원 플라빈)에서 산소(O2)로 하나의 전자를 전달하여 슈퍼옥사이드를 생성하며, 남은 라디칼 플라빈은 불안정하여 나머지 전자를 철-황 센터로 전달한다. 슈퍼옥사이드 형성 속도는 NADH와 NAD+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60][61]

최근 연구에서는 복합체 I이 활성 산소종 발생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88] 복합체 I은 최소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초과산화물(과산화수소 포함)을 합성할 수 있는데, 전방 전자 전달에서는 아주 적은 양의 초과산화물만 합성된다(전체 전자 흐름의 0.1% 이하).[88][89]

역전자 이동에서 복합체 I은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초과산화물 합성에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5% 이상의 전자가 초과산화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역전자 이동은 환원된 유비퀴놀 풀(포유류 미토콘드리아의 석신산 탈수소 효소,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 효소, 다이하이드로오로트산 탈수소 효소에서 공급됨)로부터의 전자가 복합체 I을 거쳐 NAD+을 NADH로 환원하는 과정으로, 미토콘드리아 내막 전위의 전위에 의해 진행된다. 역전자 이동이 어떤 병적 상태에서 ''in vivo''에서 발생하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in vitro'' 실험에서는 석신산 농도가 높고, 옥살아세트산 또는 사과산이 저농도일 때 발생한다.[90]

8. 엽록체에서의 복합체 I

복합체 I과 상동성을 가진, 양성자를 펌핑하고 유비퀴논을 사용하는 NADH 탈수소 효소 복합체는 대부분의 육상 식물의 엽록체 유전자에서 ''ndh''라는 이름으로 발견된다. 이 복합체는 시아노박테리아에서 유래된 원래의 공생에서 유래되었지만, 대부분의 진핵 조류, 일부 겉씨식물(소나무 와 네테식물) 그리고 일부 매우 어린 속씨식물 계통에서 손실되었다. 이 복합체의 목적은 엽록체가 호흡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는 불분명했지만, 현재는 ''ndh''가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서 광합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유리한 조건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없어도 된다. ''ndh''가 없는 속씨식물 계통은 그들의 어린 나이로부터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하지만, 겉씨식물이 그렇게 오랫동안 ''ndh'' 없이 육지에서 생존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70]

9. 유전자

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복합체 I)의 소단위체는 미토콘드리아 게놈과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21][22][23]

포유류의 경우 효소는 44개의 개별 단백질 소단위체로 구성되며, 이 중 7개는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해 암호화된다.[21][22][23]

복합체 I의 보존된 소단위체[30]
#사람/ 소단위체사람 단백질단백질 설명 (UniProt)Pfam 패밀리 (사람 단백질 포함)
코어 소단위체a
1NDUFS7 / PSST / NUKMNDUS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7, 미토콘드리아
2NDUFS8 / TYKY / NUIMNDUS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8, 미토콘드리아
3NDUFV2 / 24kD / NUHMcNDUV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2, 미토콘드리아
4NDUFS3 / 30kD / NUGMNDUS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3, 미토콘드리아
5NDUFS2 / 49kD / NUCMNDUS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2, 미토콘드리아
6NDUFV1 / 51kD / NUBMNDUV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1, 미토콘드리아
7NDUFS1 / 75kD / NUAMNDUS1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75 kDa 소단위체, 미토콘드리아
8ND1 / NU1MNU1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1
9ND2 / NU2MNU2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2
10ND3 / NU3MNU3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3
11ND4 / NU4MNU4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4
12ND4L / NULMNU4L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4L
13ND5 / NU5MNU5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5
14ND6 / NU6MNU6M_HUMANNADH-유비퀴논 산화환원효소 사슬 6
코어 부속 소단위체b
15NDUFS6 / 13ANDUS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6, 미토콘드리아
16NDUFA12 / B17.2NDUAC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2
17NDUFS4 / AQDQNDUS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4, 미토콘드리아
18NDUFA9 / 39kDaNDUA9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9, 미토콘드리아
19NDUFAB1 / ACPMACPM_HUMAN아실 캐리어 단백질, 미토콘드리아
20NDUFA2 / B8NDUA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2
21NDUFA1 / MFWENDUA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
22NDUFB3 / B12NDUB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3
23NDUFA5 / AB13NDUA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5
24NDUFA6 / B14NDUA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6
25NDUFA11 / B14.7NDUAB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1
26NDUFB11 / ESSSNDUBB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1, 미토콘드리아
27NDUFS5 / PFFDNDUS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5
28NDUFB4 / B15NDUB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
29NDUFA13 /A13NDUAD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3
30NDUFB7 / B18NDUB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7
31NDUFA8 / PGIVNDUA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8
32NDUFB9 / B22NDUB9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9
33NDUFB10 / PDSWNDUBA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0
34NDUFB8 / ASHINDUB8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8, 미토콘드리아
35NDUFC2 / B14.5BNDUC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소단위체 C2
36NDUFB2 / AGGGNDUB2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2, 미토콘드리아
37NDUFA7 / B14.5ANDUA7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7
38NDUFA3 / B9NDUA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3
39NDUFA4 / MLRQc,dNDUA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
40NDUFB5 / SGDHNDUB5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5, 미토콘드리아
41NDUFB1 / MNLLNDUB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
42NDUFC1 / KFYINDUC1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소단위체 C1, 미토콘드리아
43NDUFA10 / 42kDNDUAA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10, 미토콘드리아
44NDUFA4L2NUA4L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4-유사 2
45NDUFV3NDUV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플라보단백질 3, 10kDa-
46NDUFB6NDUB6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베타 서브컴플렉스 소단위체 6
조립 인자 단백질[31]
47NDUFAF1cCIA30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조립 인자 1
48NDUFAF2MIMIT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조립 인자 2
49NDUFAF3NDUF3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조립 인자 3
50NDUFAF4NDUF4_HUMANNADH 탈수소 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조립 인자 4



참고:


  • a 곰팡이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발견됨
  • b 어떤 종에도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
  • c ''Schizosaccharomyces pombe''와 같은 곰팡이 종에서 발견됨
  • d 최근 연구에서는 NDUFA4를 복합체 IV의 소단위체로 설명했으며 복합체 I의 소단위체가 아님을 밝힘[34]


다음은 사람에서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복합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목록이다.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 NDUFA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1, 7.5kDa
  • NDUFA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2, 8kDa
  • NDUFA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3, 9kDa
  • NDUFA4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4, 9kDa
  • NDUFA4L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4-유사
  • NDUFA4L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4-유사 2
  • NDUFA5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5, 13kDa
  • NDUFA6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6, 14kDa
  • NDUFA7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7, 14.5kDa
  • NDUFA8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8, 19kDa
  • NDUFA9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9, 39kDa
  • NDUFA10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10, 42kDa
  • NDUFA1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11, 14.7kDa
  • NDUFA1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12
  • NDUFA1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13
  • NDUFAB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β 부분 복합체, 1, 8kDa
  • NDUFAF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조립 인자 1
  • NDUFAF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조립 인자 2
  • NDUFAF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조립 인자 3
  • NDUFAF4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α 부분 복합체, 조립 인자 4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 NDUFB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1, 7kDa
  • NDUFB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2, 8kDa
  • NDUFB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3, 12kDa
  • NDUFB4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4, 15kDa
  • NDUFB5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5, 16kDa
  • NDUFB6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6, 17kDa
  • NDUFB7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7, 18kDa
  • NDUFB8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8, 19kDa
  • NDUFB9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9, 22kDa
  • NDUFB10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10, 22kDa
  • NDUFB1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β 부분 복합체, 11, 17.3kDa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부분 복합체 (불명)
  • NDUFC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부분 복합체 (불명), 1, 6kDa
  • NDUFC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1, 부분 복합체 (불명), 2, 14.5kDa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
  • NDUFS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1, 75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2, 49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3, 30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4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4, 18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5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5, 15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6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6, 13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7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7, 20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DUFS8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철-황 단백질8, 23kDa (NADH-조효소 Q 환원효소)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플라보 단백질1
  • NDUFV1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플라보 단백질1, 51kDa
  • NDUFV2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플라보 단백질2, 24kDa
  • NDUFV3 – NADH 탈수소효소(유비퀴논) 플라보 단백질3, 10kDa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 MT-ND1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1
  • MT-ND2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2
  • MT-ND3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3
  • MT-ND4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4
  • MT-ND4L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4L
  • MT-ND5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5
  • MT-ND6 - 미토콘드리아에서 암호화된 NADH 탈수소효소 소단위체 6

참조

[1] 서적 Biochemistry WH Freeman & Company
[2] 논문 Energy converting NADH: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3] 논문 Two protons are pumped from the mitochondrial matrix per electron transferred between NADH and ubiquinone 1984-04
[4] 논문 The proton pumping stoichiometry of purified mitochondrial complex I reconstituted into proteoliposomes 2006-12
[5] 논문 "-->H+/2e- stoichiometry in NADH-quinone reductase reactions catalyzed by bovine heart submitochondrial particles" 1999-05
[6] 논문 Sodium influence on energy transduction by complexes I from Escherichia coli and Paracoccus denitrificans 2011-03
[7] 논문 Redox-dependent change of nucleotide affinity to the active site of the mammalian complex I 2007-09
[8]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in the network of known and unknown facts 2010-03
[9] 논문 Mitochondrial bioenergetics linked to the manifest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of Abies alba 2009-12
[10]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3rd Edition Wiley
[11] 논문 A giant molecular proton pump: structure and mechanism of respiratory complex I 2015-06
[12] 논문 Iron-sulfur clusters/semiquinones in complex I 1998-05
[13] 논문 Mössbauer spectroscopy on respiratory complex I: the iron-sulfur cluster ensemble in the NADH-reduced enzyme is partially oxidized 2012-01
[14] 논문 The coupling mechanism of respiratory complex I - a structur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 2012-10
[15] 논문 Evidence for two sites of superoxide production by mitochondrial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2011-08
[16] 논문 Structural basis for the mechanism of respiratory complex I 2009-10
[17] 논문 Single particle analysis confirms distal location of subunits NuoL and NuoM in Escherichia coli complex I 2007-08
[18] 논문 A two-state stabilization-change mechanism for proton-pumping complex I 2011-10
[19] 논문 Structural biology. Mechanistic insight from the crystal structure of mitochondrial complex I http://publikationen[...] 2015-01
[20] 논문 Structure of a Na+/H+ antiporter and insights into mechanism of action and regulation by pH 2005-06
[21]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2] 논문 Bovine complex I is a complex of 45 different subunits 2006-10
[23] 논문 NDUFA4 is a subunit of complex IV of the mammalian electron transport chain 2012-09
[24] 논문 Structure of the hydrophilic domain of respiratory complex I from Thermus thermophilus 2006-03
[25] 논문 The architecture of respiratory complex I 2010-05
[26] 논문 Quinone binding and reduction by respiratory complex I 2010-12
[27] 논문 Higher plant-like subunit composi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from Chlamydomonas reinhardtii: 31 conserved components among eukaryotes 2004-10
[28] 논문 Tracing the evolution of a large protein complex in the eukaryotes,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2005-05
[29] 논문 Direct assignment of EPR spectra to structurally defined iron-sulfur clusters in complex I by double electron-electron resonance 2010-02
[30] 논문 Mitochondrial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in eukaryotes: a highly conserved subunit composition highlighted by mining of protein databases 2011-11
[31] 논문 A molecular chaperone for mitochondrial complex I assembly is mutated in a progressive encephalopathy 2005-10
[32] 논문 Human CIA30 is involved in the early assembly of mitochondrial complex I and mutations in its gene cause disease 2007-07
[33] 논문 Mutations in NDUFAF3 (C3ORF60), encoding an NDUFAF4 (C6ORF66)-interacting complex I assembly protein, cause fatal neonatal mitochondrial disease 2009-06
[34] 논문 NDUFA4 is a subunit of complex IV of the mammalian electron transport chain 2012-09-05
[35] 서적 Modern Crop Protection Compounds https://onlinelibrar[...] Wiley‐VCH 2019-01-25
[36] 논문 A mutation in the PSST homologue of complex I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from Tetranychus urticae i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METI acaricides https://doi.org/10.1[...] 2017-01
[37] 논문 A review of the molecular mechanisms of acaricide resistance in mites and ticks https://doi.org/10.1[...] 2023-08
[38] 논문 "[The ""nivrées"", or ichthyotoxic plants of French Guyana]" 1982-09
[39] 논문 The ND2 subunit is labeled by a photoaffinity analogue of asimicin, a potent complex I inhibitor 2010-03
[40] 논문 Natural substances (acetogenins) from the family Annonaceae are powerful inhibitors of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Complex I) 1994-07
[41] 논문 Essential structural factors of annonaceous acetogenins as potent inhibitors of mitochondrial complex I 1998-07
[42]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inhibitor rotenone inhibits and redistributes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2 via nitration in human dopaminergic SH-SY5Y cells 2008-10
[43] 논문 A competitive inhibition of the mitochondrial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by ADP-ribose 1997-07
[44] 논문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metformin: an overview http://www.hal.inser[...] 2012-03
[45] 논문 New insights in drug-induced mitochondrial toxicity 2011
[46]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inhibition triggers NAD+-independent glucose oxidation via successive NADPH formation, “futile” fatty acid cycling, and FADH2 oxidation https://doi.org/10.1[...] 2024-01-25
[47] 논문 Characterisation of the active/de-active transi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2014-07
[48] 논문 Ischemic A/D transi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and its role in ROS generation 2016-07
[49] 논문 S-nitrosa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depends on its structural conformation 2007-12
[50] 논문 Attenuation of oxidative damage by targeting mitochondrial complex I in neonatal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2018-08
[51] 논문 Deactiva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after hypoxia-ischemia in the immature brain 2019-09
[52] 논문 Does nitric oxide modulate mitochondrial energy generation and apoptosis? 2002-03
[53] 논문 How mitochondria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2009-01
[54] 논문 Dependence of H2O2 formation by rat heart mitochondria on substrate availability and donor age 1997-02
[55] 논문 The dependence of brain mitochondria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on oxygen level is linear, except when inhibited by antimycin A 2019-03
[56] 논문 Reverse electron transfer results in a loss of flavin from mitochondrial complex I: Potential mechanism for brain ischemia reperfusion injury 2017-12
[57] 논문 High rates of superoxide production in skeletal-muscle mitochondria respiring on both complex I- and complex II-linked substrates 2008-01
[58] 논문 Krebs cycle metabolites and preferential succinate oxidation following neonatal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in mice 2018-02
[59] 논문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complex I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from Escherichia coli and comparison to the enzyme from mitochondria 2008-03
[60] 논문 The mechanism of superoxide production by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from bovine heart mitochondria 2006-05
[61] 논문 Superoxide radical formation by pure complex I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from Yarrowia lipolytica 2005-08
[62] 논문 Mechanisms of rotenone-induced proteasome inhibition 2010-08
[63] 논문 Mitochondrial respiration and respiration-associated proteins in cell lines created through Parkinson's subject mitochondrial transfer 2010-05
[64] 논문 Bra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and Mitochondrial Complex I Damage 2019-11
[65] 논문 Critical Role of Flavin and Glutathione in Complex I-Mediated Bioenergetic Failure in Bra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2018-05
[66] 논문 Redox-Dependent Loss of Flavin by Mitochondrial Complex I in Brain Ischemia/Reperfusion Injury 2019-09
[67]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activity and oxidative damage to mitochondrial proteins in the prefrontal cortex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2010-04
[68] 논문 Mitochondrial bioenergetics and dynamics interplay in complex I-deficient fibroblasts 2010-05
[69] 논문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impairment and liver dysfunction following chronic exposure to dichlorvos 2010-04
[70] 논문 On the Edge of Dispensability, the Chloroplast ''ndh'' Genes. 2021-11-19
[71] 논문 The ND2 subunit is labeled by a photoaffinity analogue of asimicin, a potent complex I inhibitor.
[72] 서적 Biochemistry WH Freeman & Company
[73] 논문 Energy converting NADH: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74] 논문 Redox-dependent change of nucleotide affinity to the active site of the mammalian complex I.
[75]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in the network of known and unknown facts.
[76] 논문 Mitochondrial bioenergetics linked to the manifest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of Abies alba.
[77] 서적 Biochemistry J. Wiley & Sons
[78] 논문 Bovine complex I is a complex of 45 different subunits
[79] 논문 Structure of the hydrophilic domain of respiratory complex I from Thermus thermophilus
[80] 논문 Direct assignment of EPR spectra to structurally defined iron-sulfur clusters in complex I by double electron-electron resonance..
[81] 논문 Electron Tunneling in Respiratory Complex I..
[82] 논문 '[The "nivrées", or ichthyotoxic plants of French Guyana]'
[83] 논문 Mitochondrial complex I inhibitor rotenone inhibits and redistributes vesicular monoamine transporter 2 via nitration in human dopaminergic SH-SY5Y cells.
[84] 논문 A competitive inhibition of the mitochondrial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complex I) by ADP-ribose.
[85] 논문 The ND2 subunit is labeled by a photoaffinity analogue of asimicin, a potent complex I inhibitor.
[86] 논문 Natural substances (acetogenins) from the family Annonaceae are powerful inhibitors of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Complex I).
[87] 논문 S-nitrosation of mitochondrial complex I depends on its structural conformation
[88] 논문 How mitochondria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89] 논문 Dependence of H2O2 formation by rat heart mitochondria on substrate availability and donor age
[90] 논문 High rates of superoxide production in skeletal-muscle mitochondria respiring on both complex I- and complex II-linked substr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