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ic semper tyranni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ic semper tyrannis"는 "폭군에게는 항상 그렇게"라는 뜻의 라틴어 구문으로, 권력 남용에 대한 비난이나 저항을 나타내는 구호로 사용되어 왔다. 이 문구는 로마 공화국 수립과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미국에서는 버지니아 주의 문장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USS Virginia 잠수함과 제149 전투 비행대대의 휘장에도 사용되었으며, 에이브러햄 링컨 암살 사건과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 테러 등 역사적 사건과 관련되어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용구 - 황금알을 낳는 거위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탐욕으로 지속적인 이익의 근원을 파괴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우화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죽이지 말라"는 관용구와 다양한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윤리 경영이나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 교훈으로 활용된다.
  • 관용구 - 구어
    구어는 격식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자연스러운 언어 형식으로, 속어, 축약, 욕설 등을 포함하며, 문법적 생략이 빈번하고, 문어와 차이를 보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 모토 - 카르페 디엠
    카르페 디엠은 "현재를 잡아라"라는 라틴어 표현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 대신 현재에 충실하며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라는 가르침을 담고 있고, 호라티우스 시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 문화에서 널리 사용된다.
  • 모토 - 메멘토 모리
    메멘토 모리는 "죽음을 기억하라"는 라틴어 어구로, 고대 로마 개선식의 관습, 기독교 신학, 중세 유럽의 "죽음의 무도" 등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현대에는 삶의 덧없음을 상기시키는 철학적 주제로 재해석된다.
  • 라틴어 표어 - SPQR
    SPQR(원로원과 로마 시민)은 고대 로마를 상징하는 라틴어 약어로, 로마 공화정부터 제정 시대까지 공식 표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마 시의 문장 및 문서에서 코무네를 나타내는 약자로 사용되고, 로마의 역사와 권위를 상징하는 다의적인 표현이다.
  • 라틴어 표어 - 메멘토 모리
    메멘토 모리는 "죽음을 기억하라"는 라틴어 어구로, 고대 로마 개선식의 관습, 기독교 신학, 중세 유럽의 "죽음의 무도" 등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현대에는 삶의 덧없음을 상기시키는 철학적 주제로 재해석된다.
Sic semper tyrannis
개요
버지니아 주의 문장
버지니아 주의 문장
의미폭군에게는 언제나 이와 같이
언어라틴어
용례미국 버지니아 주의 모토
존 윌크스 부스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암살하면서 외친 말
상세 내용
로마자 표기Sik semper tyrannis
어원이 문구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음.
기원 주장고대 로마 시대의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과 관련되었다는 주장이 있음.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연설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음.
버지니아 주와의 연관성1776년에 조지 와이스가 버지니아 주 인장 디자인에 처음 사용.
버지니아 주의 정신을 상징하는 문구로 자리 잡음.
존 윌크스 부스의 외침1865년 4월 14일, 존 윌크스 부스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암살하면서 이 문구를 외침.
이 사건으로 인해 "Sic semper tyrannis"는 폭력적인 저항의 상징으로 인식되기도 함.
기타 사용 사례
미국 혁명미국 독립 전쟁 당시 저항군 사이에서 널리 사용됨.
기타다양한 맥락에서 폭정에 대한 저항의 표현으로 사용됨.

2. 역사

"Sic semper tyrannis"라는 문구는 역사 속에서 권력 남용에 대한 저항을 상징하며, 여러 인물과 사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고대 로마와 미국의 역사에서 이 문구는 독재와 폭정에 맞서는 정신을 대변해왔다.

제149 전투 비행대대의 휘장

2. 1. 고대 로마

기원전 509년, 로마 왕국의 마지막 왕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의 아들 섹스투스 타르퀴니우스가 귀부인 루크레티아를 강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루크레티아는 이 사실을 알리고 자결했으며, 분노한 귀족들과 시민들은 왕과 그의 가족을 몰아내고 로마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 사건은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지며, "Sic semper tyrannis" 문구가 이 사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당시 라틴어 문헌에 근거하지는 않는다.[4]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에 가담한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원로는 루키우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후손으로, 이 문구를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2][4] 그러나 플루타르코스는 브루투스가 암살 직후 아무 말도 하지 않았거나, 그의 발언은 혼란 속에서 묻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3] 코넬 대학교 고전학 교수인 마이크 퐁텐은 이 문구가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의 매형이자 장군 겸 정치가인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가 그라쿠스 암살 소식을 듣고 한 말을 조지 와이드가 라틴어로 번역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아에밀리아누스는 토지 개혁 때문에 암살당한 그라쿠스에 대해 반대했다.[4] 그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 (1.47)를 인용하며 ὡς ἀπόλοιτο καὶ ἄλλος, ὅτις τοιαῦτά γε ῥέζοι.|호스 아폴로이토 카이 알로스, 호티스 토이아우타 게 레조이.grc라고 반응했다고 플루타르코스의 《그라쿠스 전기》 (21.4)에 보고되어 있다.[4]

이 문구는 권력을 남용하는 사람에 대한 비난이나 권력 남용에 대한 저항 구호로 사용되어 왔다.

2. 2. 미국

이 문구는 1776년 조지 메이슨이 제5차 버지니아 협약에 제시하여 버지니아 영연방 문장의 일부가 되었다. 버지니아 영연방의 문장에는 창을 든 미덕이 묘사되어 있으며, 그녀는 왕관이 근처에 놓인 폭정의 엎드린 형상 위에 발을 올려놓고 있다. 이 문장은 메이슨이 계획하고 조지 와이드가 디자인했으며, 와이드는 미국 독립 선언서에 서명했고 토머스 제퍼슨에게 법학을 가르쳤다.[5] 남북 전쟁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문장의 이미지와 관련된 농담은 "Sic semper tyrannis"가 실제로 "내 목에서 발을 떼라"를 의미한다는 것이다.[6]

"Happy While United"는 1780년 버지니아 주에서 주조한 메달의 슬로건이었다. 토머스 제퍼슨이 처음 구상한 이 메달은 버지니아 원주민들과 제퍼슨이 계획한 조약을 체결한 원주민들에게 수여하기 위해 주조 및 디자인되었다. 이 메달은 버지니아 식민지인이 앉아 미국 원주민과 함께 평화의 파이프를 즐기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앞면에는 "폭군에 대한 반항은 신에 대한 순종이다"라는 문구와 함께, 살해된 적을 짓밟고 승리한 버지니아 주 상징의 변형이 묘사되어 있다.

이 문구는 해당 주의 이름을 딴 미국 해군의 공격 잠수함인 USS ''Virginia''의 모토이다. 그 전에는 핵 추진 순양함 USS ''Virginia''의 모토였다. 이 문구는 버지니아주 조인트 베이스 랭리-유스티스에 위치한 제149 전투 비행대대의 휘장에도 나타난다.

존 타일러의 아버지인 존 타일러 시니어는 어린 타일러와 그의 동료 학생들이 묶어놓은 교사에게 이 문구를 외쳤다.[7]

해리엇 비처 스토는 논픽션 논쟁적인 저서인 ''엉클 톰스 캐빈''에서 도망 노예 광고가 ''Sic semper tyrannis'' 및 "폭군에 대한 저항은 신에 대한 순종이다"와 같은 명판 모토와 함께 남부 신문에 등장하는 것에 대해 아이러니하게 언급했다.[8]

미국 남북 전쟁 동안, 적어도 하나의 미국 흑인 부대 연대가 이를 그들의 모토로 사용했다.[9]

존 윌크스 부스는 1865년 4월 14일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 암살 후 자신의 일기에 "Sic semper tyrannis"라고 외쳤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카이사르 암살과의 연관성 때문이었다.[10][11][12]

이 문구는 부스와 같이 당시 메릴랜드에서 남부 지지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던 친남부 남북 전쟁 노래인 "메릴랜드, 나의 메릴랜드"에도 등장했다. 이 문구를 포함한 이 노래는 1939년부터 2021년 제거될 때까지 메릴랜드의 공식 주가였다.[13]

1977년 10월 토머스 로렌스 히긴스가 생방송에서 반동성애 운동가인 애니타 브라이언트에게 파이를 던진 후, 그는 이 문구를 언급하며 "그래서 항상 광신자에게"라고 말했다.[14]

티머시 맥베이는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 테러를 감행한 1995년 4월 19일 체포되었을 때 이 문구와 링컨의 사진이 있는 티셔츠를 입고 있었다.[15]

이 문구는 또한 펜실베이니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앨런타운의 모토이기도 하다.[16]

참조

[1] 뉴스 Booth Speech Reveals a Killer's Min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11-23
[2] 뉴스 The Fault in His Stars http://www.baltimore[...] Baltimore Magazine 2015-11-23
[3] 웹사이트 Caesar https://www.perseus.[...] Plutarch's Lives
[4] 웹사이트 The Real Source Behind "Sic Semper Tyrannis" https://medium.com/i[...] Medium 2022-07-28
[5] 서적 The Life of George Mason, 1725–1792 https://books.google[...] G.P. Putnam's Sons
[6] 간행물 Memoirs of the Confederate War for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Leonard Scott & Co. 2010-08-21
[7] 서적 From Classroom to White House: The Presidents and First Ladies as Students and Teacher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1-11-28
[8] 서적 A key to Uncle Tom's cabin: presenting the original facts and documents upon which the story is founded J. P. Jewett & Co.
[9] 웹사이트 USCT Regimental Flag – 22nd United States Colored Infantry https://jubiloemanci[...] 2011-05-03
[10] 웹사이트 Diary Entry of John Wilkes Booth http://www.law.umkc.[...]
[11] 뉴스 TimesMachine April 15, 1865 – New York Times http://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2] 웹사이트 Ford's Theater Historic Site Visit https://events.fords[...]
[13] 뉴스 On bill-signing day, Hogan officially legalizes sports betting, repeals state song https://www.wjla.com[...] WJLA-TV 2021-05-18
[14] 서적 No Sanctuary Teachers and the School Reform That Brought Gay Rights to the Masses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9
[15] 뉴스 Did McVeigh Plan to get Caught, or was he Sloppy? Denver Rocky Mountain News 1997-12-19
[16] 웹사이트 What Does 'Sic Semper Tyrannis' Mean? https://heavy.com/en[...] Heavy.com 2022-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