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카르페 디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카르페 디엠"은 라틴어 구절로, "현재를 즐겨라" 또는 "오늘을 잡아라"라는 뜻을 지닌다. 이 표현은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의 시구에서 유래되었으며,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고 덧없는 인생에서 현재를 소중히 여기고 즐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호라티우스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영향을 받아 이러한 가치관을 강조했으며, "카르페 디엠"은 그의 시 "오데스" 1:11에 등장한다. 이 구절은 "소녀여, 장미를 거두어라"와 같은 유사한 표현들과 함께, 서양 문화에서 인생의 덧없음과 현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격언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인용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토 - 메멘토 모리
    메멘토 모리는 "죽음을 기억하라"는 라틴어 어구로, 고대 로마 개선식의 관습, 기독교 신학, 중세 유럽의 "죽음의 무도" 등을 통해 표현되었으며, 현대에는 삶의 덧없음을 상기시키는 철학적 주제로 재해석된다.
  • 모토 - 좌우명
    좌우명은 사회 집단, 조직, 개인의 행동 지침이나 신념을 나타내는 단어나 문구로, 국가, 국제기구, 기업 등에서 가치와 목표를 표현하며 문학 작품의 주제를 암시하기도 한다.
  • 시간 관리 - 인내
    인내는 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종교,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과학적으로는 보상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종교적으로는 다양한 미덕으로, 철학적으로는 기다림의 어려움으로 다뤄지며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 긍정적 수용, 공감, 자기 수양과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해된다.
  • 시간 관리 - 일정
    일정은 시간과 순서를 정하여 일이나 과정이 계획된 대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목표 달성, 프로젝트 관리, 컴퓨팅, 통신, 운영 과학,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 배분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카르페 디엠
기본 정보
의미현재를 즐겨라, 오늘을 잡아라
종류격언
어원호라티우스의 시
관련된 개념메멘토 모리, 죽음, 실존주의
상세 정보
내용시간이 덧없이 흘러감을 인식하고 현재 이 순간에 충실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해석오늘을 믿어라, 내일은 최소한으로만 믿어라.

2. 의미

호라티우스의 "현재를 잡아라, 가급적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라는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 '미래는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에피쿠로스 학파와 연관되어 이해되기도 한다.[22]

2. 1. 어원

Carpela는 2인칭 단수 현재 시제 능동태 명령법으로, 호라티우스가 "즐겨라, 잡아라, 이용하라, 활용하라"는 의미로 사용한 ''carpō'' ("따다" 또는 "뽑다"의 뜻)의 활용형이다.[2] ''Diem''은 "날"을 뜻하는 ''dies''의 대격이다. 따라서 carpe diemla을 직역하면 "익은 날을 따다" (즉, 현재를 즐겨라)가 된다.[3] 라틴 학자이자 세인트 조셉 대학교 교수인 마리아 S. 마르실리오는 ''carpe diem''이 원예적 은유이며, 특히 시의 맥락에서 "날을 따다"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지적한다. 이는 익어가는 과일이나 꽃을 따서 모으는 것을 연상시키며, 자연의 감각적 경험에 뿌리를 둔 순간을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4]

2. 2. 호라티우스의 시

호라티우스의 "현재를 잡아라, 가급적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는 에피쿠로스 학파와 연계하여 이해되는 구절이다.[22] '미래는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원래 송가(오드)(en) 1:11에서 사용되었으며, 원문과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Tu ne quaesieris, scire nefas, quem mihi, quem tibi finem di dederint,la알려고 묻지 말게, 안다는 건 불경한 일[23], 신들이 나에게나 그대에게나 무슨 운명을 주었는지,
Leuconoe, nec Babylonios temptaris numeros.la레우코노에여, 점을[24] 치려고도 하지 말게.
Ut melius, quidquid erit, pati.la더 나은 일은, 미래가 어떠하든, 주어진 대로 겪어내는 것이라네.
Seu pluris hiemes seu tribuit Iuppiter ultimam,la유피테르 신께서 그대에게 주시는 게, 더 많은 겨울이든, 마지막 겨울이든.
quae nunc oppositis debilitat pumicibus mare Tyrrhenum:la지금 이 순간에도 티레니아해의 파도는 맞은 편의 바위를 깎고 있네.
sapias, vina liques et spatio brevi spem longam reseces.la현명하게나, 포도주는 그만 익혀 따르고, 짧은 인생, 먼 미래로의 기대는 줄이게.
dum loquimur, fugerit invida aetas:la지금 우리가 말하는 동안에도, 인생의 시간은 우릴 시기하며 흐른다네.
carpe diem,la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제때에 거두어 들이게, 미래에 대한 믿음은 최소한으로 해두고.



Carpela호라티우스가 "즐겨라, 잡아라, 이용하라, 활용하라"는 의미로 사용한 ''carpō'' ("따다" 또는 "뽑다")의 2인칭 단수 현재 시제 능동태 명령법 활용형이다.[2] ''Diem''은 "날"을 뜻하는 ''dies''의 대격이다. carpe diemla을 직역하면 "익은 날을 따다"—즉, 현재를 즐겨라—가 된다.[3] 세인트 조셉 대학교 교수 마리아 S. 마르실리오는 ''carpe diem''이 원예적 은유이며, "날을 따다"로 번역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4] 이는 익어가는 과일이나 꽃을 따서 모으는 것을 연상시키며, 순간을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

호라티우스의 시구에서 이 문구는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의 일부이며, "현재를 즐겨라, 내일(미래)을 거의 믿지 마라"로 번역된다. 이 시는 미래는 예측할 수 없으며, 오늘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하여 자신의 미래를 더 낫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문구는 호라티우스의 에피쿠로스 학파 배경을 바탕으로 이해된다.

『송가』(Carmina)는 호라티우스가 사랑, 정치, 우정, 일상생활, 철학적 의문 등을 노래한 104편의 시를 모은 것이다. "카르페 디엠"(Carpe diem)은 제1권 제11수에 등장하며,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 즉 "내일 일은 최대한 믿지 말고, 그날의 꽃을 꺾어라"라는 구절의 일부분이다. 시 전체에서는 신들이 우리에게 어떤 죽음을 언제 줄지는 알 수 없고, 알려고 애쓰기보다는 어떤 죽음이라도 받아들이는 것이 더 낫고, 짧은 인생 속에서 미래에 희망을 구하기보다는 그날그날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즐기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의 의도는 에피쿠로스주의에 있으며, 쾌락주의에 있는 것은 아니다.

구약성서 및 신약성서에도 "우리는 먹고 마시자, 내일 죽을 것이니"와 같은 구절이 있다. "인생은 짧고 시간은 덧없으니, 지금 있는 기회를 최대한 잡아야 한다"와 같은 실존적인 경고로 사용된다.

2. 3. 관련 표현

호라티우스의 "현재를 잡아라, 가급적 내일이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la)는 '미래는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호라티우스가 에피쿠로스 학파에 속하였으므로, 이 구절은 보통 그와 연계하여 이해된다.[22] 피르케이 아보트(en) 1:14에는 "그리고 만약 지금이 아니라면, 언제? (And if not now, when?)"라는 유사한 격언이 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작품, ''지금 피어나는 장미를 거두세요''


"Collige, virgo, rosasla" ("소녀여, 장미를 거두어라")는 아우소니우스 또는 베르길리우스에게 귀속된 시 "De rosis nascentibusla" (Idyllium de rosisla라고도 함)의 마지막 구절에 등장한다.[9] 이 구절은 젊은이들에게 너무 늦기 전에 인생을 즐기라고 권고한다. 로버트 헤릭의 1648년 시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처녀들에게"의 "지금 피어나는 장미를 거두세요"와 비교해 볼 수 있다.

1898년 독일 엽서. 학생 생활을 묘사하며 '가우데아무스 이기투르'()라고 쓰여 있다


"De Brevitate Vitaela"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는 종종 "가우데아무스 이기투르" (기뻐하자)로 언급되며, 훗날 죽음을 맞이할 것을 알면서도 학생 생활을 즐기라는 내용을 담은 인기 있는 학술 코메르치움 송가이다. 12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세 라틴어이다.

관련 표현으로 ''메멘토 모리''(네가 죽을 존재임을 기억하라)가 있으며, 이는 카르페 디엠la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호라티우스에게 있어, 우리 자신의 죽음에 대한 자각은 현재의 중요성을 깨닫는 데 핵심이다. "네가 죽을 존재임을 기억하라, 그러니 오늘을 붙잡아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메멘토 모리la 구절은 많은 바니타스la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참회와 연관되기도 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이 두 구절을 거의 정반대의 접근 방식으로 받아들여, 카르페 디엠la은 삶을 즐기라고 권고하고 메멘토 모리la는 삶의 유혹에 저항하라고 권고한다. 이는 호라티우스가 사용한 메멘토 모리la 구절의 원래 의미와는 다르다.

"Collige, virgo, rosasla" ("소녀여, 장미를 거두어라")라는 문구는 아우소니우스 또는 베르길리우스에게 귀속되는 시 'De rosis nascentibusla' (Idyllium de rosisla라고도 함)의 마지막에 나타난다.[20] 이는 젊은이들에게 늦기 전에 인생을 즐기도록 권하는 시이다. 이와 유사한 내용은 17세기 영국 바로크 시인 로버트 헤릭의 "처녀들에게, 시간을 잘 활용하라" (To the Virgins, to Make Much of Time영어)에 등장하는 "장미 봉우리를 거두어라"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영어)와 일본 다이쇼 시대 유행가 '곤돌라의 노래'의 구절 "짧은 생명이니, 소녀여 사랑하라"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memento morila)는 "카르페 디엠"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겸손"과 "참회"라는 측면은 "카르페 디엠"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두 문구는 상반된 세계관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는데, "카르페 디엠"이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후회 없는 인생을 살 것을 권한다면, "메멘토 모리"는 검소하고 겸손하며 온화한 존재가 되라고 권한다.

"ubi sunt"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그들은 어디로 갔는가?)는 인생의 덧없음을 호소하며 죽음에 대해 숙고하는 것이지만, "카르페 디엠"과는 달리 행동을 촉구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의 학생가 '가우데아무스 이기투르' (Gaudeamus igiturla, "자, 기뻐하자", 또는 '인생의 짧음에 대하여' De Brevitate Vitaela라고도 함)는 언젠가는 모든 사람이 죽게 될 것이며, 학생 생활을 즐기는 것에 대한 노래이다. 중세 라틴어로 쓰여진 이 시의 원형은 12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 각지에서 축제 등 때 학생들에 의해 불려졌다.

호라티우스는 '도시 쥐와 시골 쥐'라는 제목의 시에서 "카르페 디엠"의 구절을 스스로 패러디하고 있다. 그 시에는 "그 길을 잡아라"(carpe viamla)라는 구절이 나타나, 도시에 사는 자와 시골에 사는 자의 인생에 대한 다른 태도를 비교하고 있다.

3. 역사적 배경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시두리길가메시에게 슬픔을 버리고 삶을 받아들이라고 조언한 것은 이 개념의 최초 기록으로 여겨지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를 길가메시에게 애도를 그만두고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정상적인 행동으로 돌아가라고 촉구하는 것으로 본다.[6][7]

성경의 구약성서 『이사야서』 및 신약성서 『고린도전서』 15장 32절에는 "먹고 마시자, 내일 죽을 테니"라는 구절이 나오지만, 모두 부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사야서』에서는 믿음이 없는 사람의 생활을, 『고린도전서』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다면 결국 사람은 욕심대로 살다가 악에 빠질 것이라는 가정을 묘사한다.

전도서』 9장에도 비슷한 구절이 있다. 사람의 생사는 신만이 알고, 인간은 알 수 없으며, 선인과 악인 모두에게 똑같은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인간의 삶은 악으로 가득 차 있고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이 세상에서 최악의 일이라는 것이다. 죽으면 모든 것이 사라지므로, 짧은 인생 동안 고생하고, 주어지는 빵을 먹고 술을 마시며 인생을 즐기고,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3. 1. 고대 문학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시두리길가메시에게 슬픔을 버리고 삶을 받아들이라고 조언한 것이 이 개념에 대한 최초의 기록된 표현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를 길가메시에게 애도를 포기하고 "애도의 경계 의례를 뒤집어 메소포타미아 사회의 정상적이고 규범적인 행동으로 돌아가라"고 촉구하는 것으로 본다.[6][7]

3. 2. 성경

성경에서는 "먹고 마시자, 내일 죽을 테니"라는 구절이 구약성서의 『이사야서』 및 신약성서의 『고린도전서』 15장 32절에 등장한다. 하지만 둘 다 부정적인 문맥 속에 있다. 전자는 믿음이 없는 자의 생활 묘사이다. 후자에서는 만약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다면 죽은 자의 부활도 없고, 죽은 자의 부활도 없다면 사람은 죽기 전에 욕심대로 생활하여 악에 빠질 것이라는 가정을 이야기한다.

구약성서의 『전도서』 9장에도 비슷한 구절이 있다. 사람의 생사는 오직 신만이 알고, 인간은 알 수 없으며, 선인에게도 악인에게도 똑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 인간의 삶이 악으로 가득 차고, 그 다음은 죽을 뿐이라는 것이, 해 아래에서 일어나는 일들 중 최악의 것이라는 것. 죽으면 모든 것이 사라지므로, 짧고 덧없는 인생을 사는 동안 고생하고, 그 대신 주어지는 빵을 먹고 술을 마시며 인생을 즐기고,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내용이 언급된다.

4. 대중문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로빈 윌리엄스가 연기한 존 키팅 선생은 "카르페 디엠, 오늘을 즐겨라, 소년들이여, 삶을 비상하게 만들어라."라는 대사를 남겼다. 이 대사는 미국 영화 연구소(AFI)가 2005년에 선정한 미국 영화 역사에서의 100대 명대사에서 95위를 차지했다.[25] 현대 영어 표현인 "YOLO"는 "인생은 한 번뿐이다"라는 뜻으로, 카르페 디엠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10][11]

동물의 숲 시리즈에서는 물고기를 잡을 때 이 구절을 언급한다. 동물의 숲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에서는 붕어를 잡으면 "붕어를 잡았어! 카르페 디엠!"이라는 메시지가 나온다.[13]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는 잉어를 잡으면 "잉어를 잡았어! 정말 현재를 즐겼어!"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14]

테리 프래쳇의 소설 ''카르페 주굴룸''은 "현재를 즐겨라" 대신 "목을 잡아라"로 번역되는 패러디 제목이다.[15]

2011년 피니와 퍼브 에피소드 "롤러코스터"는 "카르페 디엠"이라는 노래로 끝난다.

2017년 한국 드라마 ''시카고 타자기''에서 클럽 "카르페 디엠"은 신율이 소유하고 있으며, 서휘영이 이끄는 조선 청년 해방 동맹의 혁명 활동 장소로 등장한다.[16]

사회 철학자 로만 크르즈나릭은 저서 ''카르페 디엠 리게인드'' (2017)에서 ''카르페 디엠''을 소비 문화에 대한 비판적 사고 실험으로 제시한다.[17][18]

요커 아웃의 "카르페 디엠"은 슬로베니아를 대표하여 2023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사용되었다.[19]

유럽 민주주의 운동 2025의 약어 DiEM은 라틴어 금언을 암시한다.

비틀쥬스 뮤지컬의 노래 "the Whole Being Dead Thing"에서 비틀쥬스는 "우리는 더 많은 현재를 즐겼어야 했어 / 이제 우리는 그것들을 절대 보지 못할 거야!"라고 노래한다.

1970년대 중반 프랑스에는 카르페 디엠이라는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가 있었다.

5. 바로크 시대의 영향

"카르페 디엠"은 "메멘토 모리" 등과 함께 바로크 정신의 핵심 단어이다.

30년 전쟁의 혹독한 경험 속에서 17세기에는 "바니타스"(헛됨, 모든 것은 헛되다)나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 등 인생은 덧없는 일과성이라는 강한 감정이 형성되었다. 모든 활동의 무익함을 강하게 느낀 사람들은 이에 맞서, 영원에 대해 생각하기보다는 이 순간, 이 장소를 유효하게 사용해야 한다며 쾌락을 허용하는 감정으로 기울어졌다. 바로크 문학, 바로크 미술, 바로크 음악, 바로크 건축 등 바로크 시대의 예술에서 보이는 경쾌함, 호색함, 유희성, 유동성 등은 이 중심적인 감정에 기반한다. 앞서 언급한 영국의 시인 로버트 헤릭의 『처녀들에게,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라』(To the Virgins, to Make Much of Time영어)에는 "카르페 디엠"과 공통된 구절이 노래되었으며, 독일의 시인 마르틴 오피츠1624년 시에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de)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있다.

참조

[1] 문서 "Carmina, Liber I"
[2] 서적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https://www.perseus.[...] American Book Company
[3] 뉴스 How 'Carpe Diem' Got Lost in Translation https://daily.jstor.[...] JStor Daily 2019-08-07
[4] 웹사이트 How "Carpe Diem" Got Lost in Translation https://daily.jstor.[...] 2023-04-27
[5] 문서 Translation https://www.perseus.[...] 1882
[6] 서적 When Heroes Love: The Ambiguity of Eros in the Stories of Gilgamesh and Davi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서적 Scribes, Sages, and Seers: The Sag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World: The Sage in the Mediterranean World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or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De rosis nascentibus" http://www.fh-augsbu[...] Augsburg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2007-08-11
[10] 뉴스 Carpe Diem! How the philosophy of 'seize the day' was hijacked https://inews.co.uk/[...] 2018-03-17
[11] 웹사이트 YOLO https://en.oxforddic[...] 2018-03-17
[12]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Movie Quotes http://www.afi.com/1[...] American Film Institute 2015-03-25
[13] 웹사이트 Crucian carp https://nookipedia.c[...] 2024-03-18
[14] 웹사이트 Carp https://nookipedia.c[...] 2024-03-18
[15] 웹사이트 Carpe Jugulum https://tvtropes.org[...]
[16] 웹사이트 TV Review: ''Chicago Typewriter'' (Spoilers!) https://thekatcafe.c[...] 2020-06-06
[17] 웹사이트 What it really means to 'Seize the day' http://www.bbc.com/c[...] 2019-06-16
[18] 뉴스 Reclaiming carpe diem: How do we really seize the da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4-02
[19] 웹사이트 Slovenia: Joker Out to premiere 'Carpe Diem' on Saturday night! https://eurovision.t[...] 2023-02-06
[20] 웹사이트 De rosis nascentibus http://www.fh-augsbu[...] 2007-08-11
[21] 서적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http://www.perseus.t[...] American Book Company
[2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Hora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3] 문서 라틴어 "Nefas"(네파스)
[24] 문서 당시 로마에서 유행했던 바빌로니아 숫자점을 두고 말하고 있다.
[25] 웹인용 AFI's 100 Years…100 Movie Quotes http://www.afi.com/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