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QUAR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SQUARE는 1976년 안도 마사히로에 의해 결성된 일본의 퓨전 재즈 밴드이다. 1978년 앨범 《Lucky Summer Lady》로 데뷔하여, 198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밴드는 잦은 멤버 교체를 겪었으며, 1991년 혼다 마사토가 가입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2000년에는 밴드 형태를 해체하고 안도와 이토 타케시의 유닛 형태로 활동했으며, 2003년에는 25주년을 기념하여 THE SQUARE로 밴드명을 변경하기도 했다. T-SQUARE는 45주년 기념 콘서트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The Square Reunion, AnMi2, Trio The Square 등 다양한 파생 밴드 및 프로젝트를 통해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U2
U2는 1976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결성되어 사회적, 정치적, 영적인 주제를 다루는 서정적인 가사와 독특한 기타 사운드, 혁신적인 무대 연출로 유명하며 1억 5천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세계적인 록 밴드이다. - 1976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포리너 (밴드)
1976년 믹 존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영국계 미국 록 밴드 포리너는 수많은 히트곡과 데뷔 앨범의 성공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멤버 교체와 갈등 속에서도 록 음악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고 2024년 록 앤 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일본의 록 밴드 - THE BOOM
THE BOOM은 오키나와 민요에서 영감을 받은 "섬 노래"로 큰 성공을 거둔 일본 록 밴드로, 해외 공연과 "섬 노래"의 리메이크를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데뷔 25주년 기념 투어를 마지막으로 해산했다. - 일본의 록 밴드 - 엘리펀트 카시마시
엘리펀트 카시마시는 1981년 결성되어 미야모토 히로지를 중심으로 1988년 데뷔한 일본의 4인조 록 밴드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독특한 가사, 활발한 공연 활동, 그리고 드라마와 영화 주제가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쌓으며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T-SQUARE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2. 역사
1976년 11월 안도 마사히로를 중심으로 '''더 스퀘어'''(THE SQUARE)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으며, 1978년 9월에 데뷔 앨범 ''Lucky Summer Lady''를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에는 밴드명을 '''티스퀘어'''(T-SQUARE)로 변경하였고, 1991년에는 색소포니스트 마사토 혼다가 새롭게 합류하였다.
2. 1. 결성 초기 (1976년 ~ 1978년)
1976년 11월, 당시 메이지 대학 학생이었던 기타리스트 안도 마사히로를 중심으로 '''더 스퀘어'''(THE SQUARE)라는 이름의 밴드가 결성되었다.[18] 초기 멤버는 안도 마사히로(기타), 나카무라 유지(베이스), 하카마즈 준(피아노), 하라다 슌이치(드럼)였다.[18] 밴드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따왔다는 안도 마사히로의 언급[19]과, 안도와 하라다가 지하철에서 당시 유행하던 '매디슨 스퀘어 백'과 4인조 구성에 착안하여 지었다는 설이 있다. 이후 키보디스트는 하카마즈 준에서 미야기 준코로 교체되었다.1977년, 일본대학 예술학부 출신의 색소폰 연주자 이토 타케시와 드러머 마이클 S. 카와이가 밴드에 합류했다.[20] 마이클 S. 카와이는 기존 드러머 하라다 슌이치를 대신했으며, 이토 타케시는 여러 차례 게스트로 참여하다가 색소폰과 플루트를 담당하는 정식 멤버가 되었다.[20]
1978년, 백킹 기타리스트 미쿠리야 유지, 키보디스트 사기스 시로, 퍼커셔니스트 센바 키요히코가 추가로 합류하면서 밴드는 CBS/소니와 계약을 맺었다.[187] 같은 해 9월, 첫 번째 정규 앨범 ''Lucky Summer Lady''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했다.[187] 이 앨범은 디스코 풍의 사운드를 특징으로 했으며, 리드 색소폰 연주자인 이토 타케시가 Lyricon을 사용하기 시작한 첫 앨범이기도 하다. 당시 재즈나 스튜디오 뮤지션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던 일본 퓨전 음악계에 멤버 전원이 신인으로 구성된 더 스퀘어의 등장은 주목을 받았다.
2. 2. 더 스퀘어 (The Square) 시대 (1978년 ~ 1988년)
1976년 11월 메이지 대학 재학생이었던 기타리스트 안도 마사히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18] 초기 멤버는 안도 마사히로(기타), 나카무라 유지(베이스), 하카마즈 준(피아노), 하라다 슌이치(드럼)였다. 안도 마사히로는 밴드 이름 '더 스퀘어(The Square)'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19] 이후 키보디스트 미야기 준코, 드러머 마이클 S. 카와이가 합류했고, 1977년에는 일본대학 예술학부 출신의 색소폰 연주자 이토 타케시가 게스트 참여를 거쳐 정식 멤버로 가입했다.[20]1978년 9월, CBS/소니와 계약을 맺고 데뷔 앨범 ''Lucky Summer Lady''를 발매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87] 당시 멤버는 안도, 이토, 나카무라, 미야기, 카와이에 더해 미쿠리야 유지(기타), 사기스 시로(키보드), 센바 키요히코(퍼커션)까지 8명이었다. 초기 음악은 디스코 풍의 사운드를 특징으로 했으며, 이토 타케시는 당시 최신 악기였던 리리콘(Lyricon)을 도입하여 이후 앨범마다 리리콘을 사용한 곡을 선보이는 전통을 만들었다.
데뷔 이후 멤버 교체가 이어졌다. 키보디스트가 미야기 준코에서 프리즘 출신의 쿠메 다이사쿠로, 드러머가 마이클 S. 카와이에서 아오야마 준으로 바뀌면서 밴드의 사운드는 점차 록 음악의 색채를 띠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보컬을 기용한 곡을 시도하기도 했는데, ''Rockoon'' 앨범이 대표적이다.[190] 이후 드러머는 시미즈 에이지로로 교체되었고, 1981년에는 베이시스트가 나카무라 유지에서 타나카 토요유키로 교체되었다. 타나카의 슬랩 베이스 주법은 밴드의 사운드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1982년, 드러머가 하세베 토루로, 키보디스트가 쿠메 다이사쿠에서 이즈미 히로타카로 교체되었다. 이즈미 히로타카는 이후 15년간 활동하며 밴드의 핵심 멤버로 자리 잡았다. 이로써 안도, 이토, 타나카, 이즈미, 하세베로 구성된 밴드의 첫 번째 안정적인 라인업이 구축되었고, 이 구성은 1985년 말까지 유지되었다.[18] 1985년에는 하세베 토루의 뒤를 이어 노리타케 히로유키가 드러머로 합류했고, 1986년 말에는 타나카 토요유키를 대신해 스토 미츠루가 베이시스트로 가입했다.[18] 이로써 안도 마사히로(기타), 이토 타케시(색소폰, EWI), 이즈미 히로타카(키보드), 노리타케 히로유키(드럼), 스토 미츠루(베이스)로 이루어진, 팬들에게 가장 익숙한 황금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이 시기 이토 타케시는 기존에 사용하던 리리콘[21]을 야마하의 양산형 윈드 신시사이저인 WX7[22]으로 교체했고, 이후 아카이의 EWI(Electronic Wind Instrument)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23]
1980년대 중반에는 'ALL ABOUT YOU', 'TRAVELERS' 등 여러 곡들이 산토리 주류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넓혀갔다.
1987년 12월, 미국 퓨전 밴드 히로시마의 오프닝 공연을 맡으며 뉴욕 Cat Club에서 첫 미국 공연을 가졌다.[25][26][18] 이 공연을 계기로 에픽 레코드의 프로듀서에게 발탁되어[18] 1988년 앨범 ''TRUTH''를 미국에서 발매하고 첫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24][18] 이 앨범의 타이틀 곡 'TRUTH'는 후지 TV의 F1 그랑프리 중계 테마곡으로 사용되면서 일본 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밴드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 발매 시, 현지에 이미 'SQUARES'라는 이름의 밴드가 있었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고자 밴드명을 '''T-SQUARE'''로 변경했다.[24][18] 이때 만들어진 T자 로고와 빨간 사각형 디자인은 이후 일본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1988년에는 일본에서 앨범 ''Yes, No''를 발매했는데, 이때까지는 일본 내에서 여전히 '더 스퀘어(The Square)'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99] 같은 해 11월 로스앤젤레스의 록시(Roxy)에서 공연할 때는 'T-SQUARE'라는 이름과 로고를 사용했다.[28] 이듬해인 1989년부터는 일본에서도 공식적으로 밴드명을 '''T-SQUARE'''로 변경하고 활동을 이어갔다.
2. 3. 티스퀘어 (T-SQUARE) 시대 (1989년 ~ 현재)
1988년 미국에서의 활동을 계기로 밴드명 변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당시 미국에는 이미 비슷한 이름의 밴드 "SQUARES"가 있었기 때문에[199], 미국 활동 시에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T-SQUARE'''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 3일 로스앤젤레스 록시 공연에서 'T-Square'라는 이름과 현재의 로고가 처음 사용되었다.[28] 1989년부터는 일본 내에서도 공식적으로 밴드명을 '''T-SQUARE'''로 변경하고[200] 앨범 ''Wave''를 발매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부터 이토 타케시는 릴리콘 대신 AKAI의 EWI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개명 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으나, 1990년 말, 밴드의 창립 멤버이자 프론트맨이었던 이토 타케시가 LA에서의 솔로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그룹을 탈퇴했다.[18] 이토의 탈퇴는 밴드와 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의 후임으로는 이전 해 스페셜 라이브에 혼 섹션으로 참여했던 혼다 마사토가 1991년 정식으로 가입했다.[18] 혼다의 가입은 오디션 없이 투어 참여를 통해 결정되었다.[286] 1991년 2월에는 이토의 송별과 혼다의 환영을 겸한 "FAREWELL & WELCOME LIVE" 공연이 열렸다.
혼다 마사토의 합류는 밴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하이퍼 색소폰 플레이어"라는 수식어와 함께 앨범 ''NEW-S''로 데뷔한 혼다는 이토와는 다른 스타일의 연주로 밴드의 음악에 테크니컬한 요소를 더했다. 특히 ''NEW-S'' 앨범의 첫 트랙인 "Megalith"는 혼다가 직접 작곡했으며,[202] 그의 음악성과 연주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혼다 재적 시기에는 후지 TV의 F1 그랑프리 중계 테마곡으로 사용된 "Truth" (1987년 발표) 외에도 "Faces" (1993년 앨범 ''Impressive'' 수록) 등이 큰 인기를 얻었다.[203] 이 시기 T-SQUARE는 홀 투어, 라이브 하우스 투어 외에도 히비야 야외 음악당에서의 스페셜 라이브 "야온에서 놀자(野音であそぶ일본어)" 개최, 다양한 타이업 싱글 발매, 해외 레코딩, 해외 뮤지션 및 오케스트라와의 협업 앨범 제작 등 활발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펼쳤다. 1994년에는 대한민국에서 콘서트를 개최하기도 했다. 당시 한국 정부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식 허가를 받아 공연을 성사시켰으며, 이는 이후 T-SQUARE가 한국에서 꾸준히 공연을 이어오는 계기가 되었다.
혼다 마사토는 7년간 활동하며 7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했으나, 1997년 앨범 ''Blue in Red'' 발매 후 솔로 활동을 위해 탈퇴했다. 동시에 16년간 키보드를 맡았던 이즈미 히로타카도 밴드를 떠났다.[18] 이들의 후임으로는 색소폰에 미야자키 타카히로, 키보드에 난바 타다시가 1998년 합류했다.[18] 난바는 가입 전 ''Blue in Red'' 앨범의 "Knight's Song" 편곡과 안도 마사히로의 솔로 앨범 ''Andy's'' (1996)에 수록되었던 ''Gran Turismo''의 테마곡 "Moon Over The Castle" 연주에 참여한 바 있다.[29][208] 1998년에는 밴드 결성 20주년을 기념하여 전·현 멤버들이 모여 "야온에서 놀자" 특별 공연을 가졌다.[30][31] 그러나 1998년 말, 난바 타다시가 탈퇴하고 마츠모토 케이지가 새로운 키보디스트로 합류했다. 이 라인업(안도, 미야자키, 노리타케, 스토, 마츠모토)은 2000년 중반까지 유지되었다.[18]
2000년 중반, T-SQUARE는 잠시 활동 형태를 변경했다. 베이스 스토 미츠루, 드럼 노리타케 히로유키, 키보드 마츠모토 케이지는 '''트리오 더 스퀘어'''(Trio The Square)로 활동했으며,[32] 안도 마사히로와 이토 타케시는 10년 만에 다시 뭉쳐 유닛 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Friendship'' 앨범을 발표했으며,[212] 라이브 공연에는 노리타케 히로유키, 베이시스트 무라카미 키요시, 그리고 당시 서포트 멤버였던 키보디스트 카와노 케이조가 참여했다. 카와노 케이조는 이후 T-SQUARE의 정식 멤버가 되어 20년 이상 활동하게 된다. 2001년에는 하드 록 성향의 사이드 프로젝트 '''T-Square Plus'''를 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33][34]
2003년, 밴드 결성 25주년을 맞아[36] T-SQUARE는 다시 "The Square"라는 이름으로 앨범 ''Spirits''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이토 타케시, 노리타케 히로유키, 스토 미츠루, 이즈미 히로타카 등 전 멤버들과 안도 마사히로, 그리고 신 멤버 카와노 케이조가 참여했다.[215] 또한 기존 곡들을 새롭게 편곡한 앨범 ''T Comes Back''도 발매했다.[256]
2004년, 카와노 케이조가 정식 키보디스트로 합류했으며, 베이시스트는 스토 미츠루에서 모리오카 카츠지로 교체되었다. 같은 해 앨범 ''Groove Globe'' 발매 후, 드러머가 노리타케 히로유키에서 반도 사토시로 교체되면서[37] 다시 밴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2005년 앨범 ''Passion Flower'' 발매 직후 베이시스트가 모리오카 카츠지에서 타나카 싱고로 다시 교체되었다.[38] 이 시기(2004년~2008년)에는 T-Square의 초대 드러머였던 마이클 S. 카와이가 퍼커셔니스트 및 프로듀서로 참여하기도 했다.
2008년, 밴드 결성 30주년을 기념하여 전·현 멤버들이 모인 '''T-Square Super Band'''가 결성되었다.[44] 멤버는 안도 마사히로, 이토 타케시, 미야자키 타카히로, 타나카 싱고, 스토 미츠루, 이즈미 히로타카, 카와노 케이조, 노리타케 히로유키, 반도 사토시였다.[220] 이들은 ''Wonderful Days'' 앨범을 발표하고[45] 기념 공연을 가졌다.[46][47] 2009년에는 앨범 ''Discoveries''를 발매했다.[222]
2010년에는 젊은 멤버들의 작곡 참여 비중을 높인 앨범 時間旅行|시간여행(지칸 료코)일본어를 발표했으며,[223] 과거 곡들을 재녹음한 앨범 宝曲|보곡(타카라노 우타)일본어 - T-Square plays The Square - 도 발매했다.[258] 2011년에는 정규 앨범 ''Nine Stories''[224]와 또 다른 재녹음 앨범 夢曲|몽곡(유메노 우타)일본어 - T-Square plays The Square - 를 발표했다.[259] 2012년에는 정규 앨범 ''Wings''[225]와 재즈 피아니스트 야마시타 요스케 등이 참여한 커버 앨범 虹曲|무지개 곡(니지노 우타)일본어를 발매했다.[260]
2013년, 밴드 결성 35주년을 맞아 다시 "T-Square Super Band"를 결성했다.[50] 2008년 라인업에서 이즈미 히로타카가 제외되고 퍼커셔니스트 셈바 키요히코가 합류했다.[226] 이들은 앨범 ''Smile''을 발매했으며, 같은 해 발매된 앨범 ''History''에서는 이토 타케시의 참여가 줄어 팬들의 우려를 낳기도 했으나, 밴드를 탈퇴한 것은 아니었다.[51] 35주년 기념 공연 실황은 2014년 블루레이 및 DVD로 발매되었고,[52][53][54] 같은 해 정규 앨범 ''NEXT''가 발매되었다.[227]
2015년에는 앨범 ''Paradise'', 2016년에는 앨범 ''Treasure Hunter''를 발매했다. 이 두 앨범부터 T-Square의 음반이 미국의 아이튠즈와 스포티파이에서도 서비스되기 시작했다.[229] 2017년에는 블루 노트 도쿄에서 "The Square Reunion"이라는 이름으로 두 차례 특별 공연을 가졌다. 첫 공연은 1982-1985년 라인업(안도, 이토, 하세베 토오루, 타나카 토요유키, 이즈미 히로타카, 카와노 케이조(서포트)),[276] 두 번째 공연은 1987-1990년 라인업(안도, 이토, 노리타케 히로유키, 스토 미츠루, 이즈미 히로타카, 카와노 케이조(서포트))으로 진행되었다.[277] 같은 해 4월에는 정규 앨범 ''REBIRTH''를 발매했다.[230]
2018년, 밴드 결성 40주년을 맞이하여 4월에 앨범 ''City Coaster''를, 11월에는 "T-Square and The Square Reunion"이라는 이름으로 기념 앨범 ''It's a Wonderful Life!''를 발매했다.[232] 40주년 기념 콘서트에는 니시아라이 중학교 취주악부가 특별 출연하여 "Takarajima"를 협연했으며, 1998년 20주년 공연 이후 처음으로 쿠메 다이사쿠가 참여하기도 했다.[55]
2021년, 밴드를 결성하고 이끌어 온 리더 안도 마사히로가 탈퇴를 발표했다. 이후 밴드는 '''T-SQUARE alpha'''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2022년에는 혼다 마사토가 약 25년 만에 밴드에 복귀하여 '''T-SQUARE alpha X''' 체제로 활동하고 있다. 2023년에는 밴드 결성 45주년을 기념하는 콘서트를 개최했으며, 2024년에는 새로운 멤버를 선발하기 위한 오디션을 진행했다.
3. 파생 밴드
(내용 없음)
3. 1. The Square Reunion/T-Square Family
2000년 8월, 리더 안도 마사히로를 제외한 멤버 4명(노리타케 히로유키, 스도 미츠루, 미야자키 타카히로, 마츠모토 게이지)이 탈퇴하고 이토 타케시가 10년 만에 복귀하면서 밴드 형태는 해체되고 안도와 이토의 유닛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는 앨범 『T-SQUARE』 제작 당시 안도의 탈퇴 선언에서 비롯되었으며, 다른 멤버들도 탈퇴 의사를 밝히면서 협의 끝에 밴드 형태 해소가 결정되었다. 밴드로서의 T-SQUARE는 8월 20일 중앙 알프스 재즈 페스티벌 출연을 마지막으로 활동을 마쳤다.유닛 체제 전환 직후, 고베 치킨 조지의 20주년 기념 공연에서는 각 파트에서 가장 오랫동안 재적했던 5명, 즉 안도, 이토, 이즈미 히로타카, 노리타케, 스도가 모여 이틀간 구 밴드명 "THE SQUARE"를 부활시켜 공연했다. 이 멤버 구성으로는 1990년 이후 10년 만의 라이브였다. 이 공연은 'MOMENT -Memorial Live at CHICKEN GEORGE-'라는 제목으로 2001년 CD로 발매되었다.
2001년에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T-SQUARE plus'''를 결성하기도 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전 건즈 앤 로지스의 드러머 맷 소럼, 전 오지 오스본 밴드의 베이시스트 Phil Soussan|필 수산eng, 키보디스트 Vince DiCola|빈스 디콜라eng, 기타리스트 더그 보시 등이 참여하여 하드 록 사운드를 추구했으며, 셀프 커버 앨범 'TRUTH 21century'를 발표했다.
데뷔 25주년인 2003년에는 앨범 'TRUTH' 발표 당시 멤버이자 각 파트 최장 재적 멤버인 안도, 이토, 이즈미, 노리타케, 스도 5명이 "귀환 한정"이라는 이름으로 3년 만에 재결합했다. 밴드명도 다시 "THE SQUARE"로 변경하고 서포트 멤버 고노 게이조를 더한 6인 체제로 1년간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이 멤버로는 13년 만의 앨범 'Spirits'를 발표하고, 라이브 투어, 한국 공연, 크로스오버 재팬 출연, 구 멤버들과 브라스 섹션을 초청한 25주년 기념 공연 "야외에서 놀기", 카시오페아와의 첫 조인트 라이브 "CASIOPEA vs THE SQUARE", 카시오페아 멤버들과 T-SQUARE 구 멤버들이 참여한 셀프 커버 앨범 'T comes back' 발표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2004년 유닛 활동 재개 이후에도 과거 멤버들과의 교류는 계속되었다. 2021년 안도 마사히로가 T-Square를 떠난 후, 이토 타케시와 반도 사토시는 T-Square Alpha를 결성했다.[62][63] 2021년 4월 26일 이즈미 히로타카가 급성 심부전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65] T-Square는 그를 추모하며 그가 작곡한 곡들을 중심으로 콘서트를 열었고, 2022년부터 매년 추모 콘서트를 이어가고 있다.
안도 마사히로의 고별 콘서트 이후,[129] 2021년 연말 특별 라이브 쇼에서는 마츠모토 게이지가 2000년 이후 처음으로 T-Square 공연에 참여했다.[69] 2022년 5월 발매된 49번째 앨범 ''WISH''에는 혼다 마사토와 마츠모토 게이지가 약 25년 만에 스튜디오 녹음에 참여했다.[70][236] 이 앨범은 일본 레코드 협회(RIAJ)의 2023년 골드 디스크 대상에서 최우수 기악 앨범으로 선정되었다.[71]
2022년 12월 연말 공연에서는 혼다 마사토가 T-Square Alpha 라인업과 함께 공연했으며, 이 조합은 T-Square Alpha X로 명명되었다.[73] "Double Sax"를 의미하는 X를 이름에 넣어 밴드의 45주년을 홍보하는 데 사용했다.[74]
2023년 10월 21일 도쿄 국제 포럼 홀 A에서 열린 T-Square 45주년 기념 콘서트에는 와타나베 카즈미, 토리야마 유지, 니시아라이 중학교 취주악부, 마사토 혼다 빅 밴드 스테이션이 특별 게스트로 참여했다. 특히 이 콘서트에는 이전 기념 콘서트(2003, 2008, 2013, 2018년)에 참여하지 않았던 혼다 마사토도 참여하여 이토 타케시, 미야자키 타카히로와 함께 역대 프론트맨 3명이 처음으로 한 무대에 섰다.[79] 이는 1998년 히비야 야외음악당에서 열린 데뷔 20주년 기념 라이브 "노온에서 놀다"에서 신구 멤버 총 15명이 모여 각 시대의 스퀘어를 재현한 이후, 역대 멤버들이 대거 모인 중요한 이벤트였다.
3. 2. AnMi2/AnMitsuru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3. 3. Trio The Square/The Masato Honda Band/Voice of Elements
해당 섹션 제목("Trio The Square/The Masato Honda Band/Voice of Elements")과 요약("T-SQUARE 해체 시기에 결성된 밴드들이다.")에 부합하는 내용은 제공된 원본 소스 내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2019년 이후의 T-SQUARE 활동 및 멤버 변동 사항, 기념 공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명시된 특정 밴드들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3. 4. Ottottrio
(내용 없음)3. 5. KoreNoS/Rocket Jam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 'KoreNoS/Rocket Jam'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3. 6. Casiopea vs. The Square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3. 7. Synchronized DNA
(내용 없음)3. 8. Pyramid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Pyramid'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3. 9. Akasaka Trio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Akasaka Trio' 또는 요약에서 언급된 안도 마사히로, 노리타케 히로유키, 스토 미츠루 세 멤버로 구성된 트리오 활동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4. 구성원
1976년 11월, 당시 메이지 대학 학생이었던 안도 마사히로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18] 초기 멤버는 베이시스트 나카무라 유지, 피아니스트 하카마즈 준, 드러머 하라다 슌이치였다. 곧 하카마즈는 미야기 준코로 교체되었고, 일본대학 예술학부 출신의 이토 다케시(색소폰)와 마이클 S. 카와이(드럼)가 합류하며 밴드의 초기 형태를 갖추었다.[20]
1978년 CBS/소니와 계약하고 첫 앨범 ''Lucky Summer Lady''를 발표하며 정식 데뷔했다.[187] 데뷔 초에는 미쿠리야 유지(기타), 사기스 시로(키보드), 센바 키요히코(퍼커션) 등이 참여하며 멤버 수가 8명에 달했으나, 점차 5인조(기타, 키보드, 색소폰, 베이스, 드럼) 구성으로 정착되었다.
T-SQUARE는 오랜 활동 기간 동안 수많은 멤버 변화를 겪었다. 1980년대 초반에는 쿠메 다이사쿠(키보드), 아오야마 준(드럼), 시미즈 에이지(드럼), 타나카 토요유키(베이스) 등이 거쳐 갔으며, 1982년 이즈미 히로타카(키보드)와 하세베 토오루(드럼)가 합류했다.[18] 1985년 말 노리타케 히로유키가 하세베를 대신했고, 1986년 말 스토 미츠루가 타나카를 대신하며[18] 안도, 이토, 이즈미, 스토, 노리타케로 이어지는 밴드의 첫 번째 전성기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이 시기 밴드는 'The Square'에서 'T-SQUARE'로 밴드명을 변경하고(1989년 앨범 ''Wave''부터 공식 사용[200]), F1 그랑프리 테마곡 "Truth"의 성공 등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1990년 말, 이토 다케시가 솔로 활동을 위해 잠시 밴드를 떠나고 혼다 마사토가 새로운 색소폰 주자로 합류했다.[18] 혼다는 7년간 활동하며 "Megalith", "Faces" 등 T-SQUARE의 또 다른 대표곡들을 남겼다. 1994년에는 당시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정부의 공인을 받아 내한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이후로도 꾸준히 한국에서 공연을 이어오고 있다.
1998년 혼다 마사토와 함께 16년간 키보드를 담당했던 이즈미 히로타카가 동시에 탈퇴하면서[18] 미야자키 타카히로(색소폰)와 난바 타다시(키보드)가 영입되었다. 하지만 난바는 1년이 채 되지 않아 탈퇴하고, 서포트 멤버였던 마츠모토 케이지가 정식 키보디스트로 합류했다.[18]
2000년 8월, 리더 안도 마사히로를 제외한 멤버 전원(노리타케, 스토, 미야자키, 마츠모토)이 탈퇴하며 밴드는 큰 변화를 맞는다.[18] 10년 만에 복귀한 이토 다케시와 안도 마사히로의 2인 유닛 형태로 활동을 시작했으며[33], 이후 가와노 게이조(키보드, 2000년 서포트 시작, 2004년 정식 합류[37]), 반도 사토시(드럼, 2004년 합류[144]), 다나카 신고(베이스, 2005년부터 서포트 멤버[38]) 등이 합류하며 다시 밴드 체제를 갖추었다.
2019년 가와노 게이조가 뇌출혈로 활동을 중단하게 되면서[57], 시라이 아키토가 새로운 키보디스트로 참여하게 되었다.[56] 2021년 2월, 창립 멤버이자 리더였던 안도 마사히로가 45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밴드를 떠난다고 발표했으며[60][61], 그의 후임으로 기타리스트 하라 유마가 영입되었다.[62][63] 같은 해 4월, 오랜 기간 밴드의 핵심 멤버였던 이즈미 히로타카가 급성 심부전으로 별세했다.[65]
T-SQUARE는 정규 멤버 외에도 각 시기별로 뛰어난 실력의 서포트 뮤지션들이 앨범 녹음과 라이브 공연에 참여하며 밴드의 음악을 풍성하게 만들어왔다. 현재 활동 중인 멤버 및 과거 멤버, 주요 서포트 멤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구성원
| 이름 | 담당 악기 | 활동 기간 |
|---|---|---|
| 이토 다케시 | 색소폰, EWI, 플루트 | 1977년 ~ 1990년, 2000년 ~ 현재 |
| 반도 사토시 | 드럼 | 2004년 ~ 현재 |
| 시라이 아키토 | 키보드 | 2019년 ~ 현재 |
- '''이토 다케시''': 1977년부터 밴드 초창기 멤버로 활동했으며, 1991년 탈퇴했다가 2000년에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33]
- '''반도 사토시''': 2004년 여름, 노리타케 히로유키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T-SQUARE의 최장수 드러머이다.[144] T-SQUARE 활동 외에도 솔로 앨범을 발표하고,[48][145][146] 다른 아티스트의 앨범 작업이나 ''Mario Kart 8''[87], ''Gran Turismo'' 시리즈[153] 등 비디오 게임 사운드트랙에도 참여하는 등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바쁜 일정으로 인해 라이브 공연 등에서 야마모토 마오키[154]나 가와구치 센리[155][156]가 드럼 연주를 대신하기도 한다.
- '''시라이 아키토''': 2019년 12월부터 서포트 멤버로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카와노 케이조의 건강 문제로 인한 활동 중단 이후 정식 멤버로 합류하여 현재까지 키보드를 담당하고 있다.
| 이름 | 담당 악기 | 활동 기간 |
|---|---|---|
| 다나카 신고 | 베이스 | 2005년 ~ 현재 |
- '''다나카 신고''': 2005년 앨범 ''Passion Flower'' 발매 기념 라이브 공연에서 "스페셜 서포트" 멤버로 처음 참여했다.[38] 이후 T-SQUARE의 라이브 및 레코딩에서 베이스를 담당하며 오랜 기간 활동하고 있다.
4. 2. 이전 구성원
아래는 T-SQUARE를 거쳐 간 주요 멤버들의 목록이다. 정식 멤버 외에 오랜 기간 활동하거나 밴드에 큰 영향을 미친 서포트 멤버 및 세션 뮤지션 일부도 포함될 수 있다.| 파트 | 이름 (원어) | 활동 기간 (정식/주요) | 비고 (작곡, 특징 등) |
|---|---|---|---|
| 기타 | 미쿠리야 유지 (御厨 裕二일본어) | 1978–1979 | 리듬 기타 담당. 1978년 앨범 Lucky Summer Lady부터 참여했으며[187], 2002-2003년에도 서포트로 참여했다. |
| 키보드 | 하카마즈카 준 (袴塚 淳일본어) | 1976–1977 | 밴드 결성 초기 멤버이다.[18] |
| 미야기 준코 (宮城 純子일본어) | 1977–1980 | 하카마즈카 준의 후임으로 활동했다.[20] | |
| 사기스 시로 (鷺巣 詩郎일본어) | 1978–1980 (서포트) | 미야기 준코와 함께 활동했으며, 서포트 및 편곡에도 참여했다.[187] | |
| 쿠메 다이사쿠 (久米 大作일본어) | 1980–1982 | 미야기 준코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밴드 사운드를 록 지향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90] 이후 재결합 공연 등에서 서포트 멤버로 참여했다.[55] | |
| 이즈미 히로타카 (和泉 宏隆일본어) | 1982–1997, 2003–2004 | 15년 이상 활동하며 밴드의 핵심 사운드를 구축했다.[18] "OMENS OF LOVE", "宝島" 등 T-SQUARE의 대표적인 명곡들을 다수 작곡했다. 밴드 25주년 기념 재결합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215], 이후에도 서포트 멤버로 활동했다. (2021년 4월 26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65]) | |
| 난바 타다시 (難波 正司일본어) | 1998 | 이즈미 히로타카의 후임으로 합류했으나, 1년 미만으로 짧게 활동했다.[18] 『그란 투리스모』의 테마곡 "Moon Over The Castle" 편곡 등에 참여했다.[208] | |
| 마츠모토 케이지 (松本 圭司일본어) | 1998–2000 | 난바 타다시의 후임으로 서포트 멤버를 거쳐 정식 멤버가 되었다.[18] 전자음악 요소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했다. 2000년 탈퇴 후에도 서포트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69] | |
| 가와노 게이조 (河野 啓三일본어) | 2000–2020 | 서포트 멤버로 시작하여 2004년 정식 멤버가 되었고[37], 20년간 활동하며 T-SQUARE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활동한 키보디스트가 되었다. 2019년 뇌출혈 발병 후 재활에 집중하기 위해 2020년 밴드를 탈퇴했다.[57] 탈퇴 후에도 서포트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 |
| 베이스 | 나카무라 유지 (中村 裕二일본어) | 1976–1980 | 밴드 결성 시의 초대 베이시스트로, 초기 4개의 앨범 녹음에 참여했다.[18] |
| 타나카 토요유키 ({{lang) | 1981–1986 | 슬랩 베이스 주법을 도입하여 밴드 사운드에 펑키(Funky)한 느낌을 더했다. "Rodan",[114] "Between",[130] "Stingray",[131] "Stimulator",[112] "Overhead Kick"[113] 등의 곡을 작곡했다. 1986년 탈퇴 후 재결합 공연 등에서 서포트 멤버로 참여했다.[18] | |
| 스토 미츠루 ({{lang) | 1986–2000, 2003–2004 | T-SQUARE의 첫 번째 장기 베이시스트로, 밴드의 대표 앨범 중 하나인 Truth(1987)부터 참여했다.[198] "Nab That Chap",[91] "Dooba Wooba"(노리타케 히로유키와 공동 작곡),[132] "Sunnyside Cruise",[99] "Pioggia Di Capri",[133] "From the Bottom of My Heart",[94] "Explorer", "Ms. Bracing",[134] "Scrambling",[135] "Our Fortress", "An Evening Glow"[136] 등 다수의 곡을 작곡했다. 2000년 탈퇴 후 25주년 기념 재결합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35], 이후에도 서포트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밴드 TRIX를 결성하여 활동 중이다.[178] | |
| 무라카미 키요시 ({{lang) | 2000 (서포트) | 밴드가 유닛 체제로 활동하던 시기의 라이브 공연에서 서포트 멤버로 참여했다.[33] | |
| 이시카와 슌스케 "Xenon" ({{lang) | 2001–2002 (세션) | T-Square Plus의 라이브 공연에 세션 베이시스트로 참여했다.[33] 헤비메탈 밴드 세이키마-II의 멤버로도 알려져 있다. | |
| 모리오카 카츠지 ({{lang) | 2004–2005 | 2003년 연말 공연에 처음 참여했으며[137], 2004년 스튜디오 앨범 Groove Globe[216]와 2005년 Passion Flower 녹음에 참여했다.[217] | |
| 드럼 | 하라다 슌타로 ({{lang) | 1976 | 더 스퀘어 결성 초기 멤버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밴드를 떠났다.[18] |
| 마이클 S. 카와이 ({{lang) | 1977–1979 | 하라다 슌타로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초기 3개의 스튜디오 앨범 녹음에 참여했다.[187][188][189] 이후 프로듀서 및 퍼커셔니스트로 밴드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2004-2008) | |
| 아오야마 준 ({{lang) | 1979–1980 (2013년 12월 3일 사망) | 마이클 카와이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앨범 Rockoon 녹음에 참여했다.[190] 야마시타 타츠로의 서포트 드러머로도 유명하다.[138] | |
| 시미즈 에이지 (清水 永二일본어) | 1981 | 아오야마 준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앨범 Magic 녹음에 참여했다.[191] | |
| 하세베 토오루 ({{lang) | 1982–1985 | 1982년 앨범 각선미의 유혹부터 참여했다.[192] 1985년 탈퇴 후에도 재결합 공연 등에 참여하고 있다. | |
| 노리타케 히로유키 ({{lang) | 1985–2000 (정식), 2000–2004 (서포트) | 하세베 토오루의 후임으로 합류하여 15년간 정식 멤버로, 이후 4년간 서포트 멤버로 활동하며 T-SQUARE의 리듬 섹션을 오랫동안 책임졌다. "Dooba Wooba!"(스토 미츠루와 공동 작곡),[132] "No More Tears",[93] "One Step Beyond",[134] "Yuh-Ja",[133] "Tooi Taiko",[94] "Eurostar"[140] 등의 곡을 작곡했다. 2004년 탈퇴 후에도 재결합 공연 등에 참여하고 있다. 카시오페아의 드러머 진보 아키라와 드러머 듀오 Synchronized DNA를 결성하기도 했다.[142][143] | |
| 퍼커션 | 센바 키요히코 ({{lang) | 1978–1980 | T-SQUARE의 초대 퍼커셔니스트로, 데뷔 앨범부터 1980년 앨범 Rockoon까지 활동했다.[187] 이후에도 게스트 뮤지션으로 여러 앨범에 참여했다. |
4. 3. 지원 구성원
T-SQUARE는 오랜 활동 기간 동안 다수의 뮤지션들이 지원 멤버로서 앨범 제작 및 라이브 공연에 참여하며 밴드의 사운드를 풍성하게 만들었다. 정규 멤버 외에 세션 연주자나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참여한 멤버들이 T-SQUARE의 음악적 여정에 기여했다.'''현재 지원 멤버'''
- '''다나카 신고''' (베이스): 2005년 앨범 ''Passion Flower''의 라이브 공연에서 "스페셜 서포트" 멤버로 처음 참여했으며,[38] 이후 T-SQUARE의 주요 지원 베이시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13년까지는 지원 멤버(Plus member)로, 이후 현재까지 베이스를 담당하고 있다.
- '''시라이 아키토''' (키보드): 가와노 게이조의 건강 문제 이후 2019년 12월부터 세션 키보디스트로 참여하기 시작했으며,[56] 앨범 ''AI Factory'' 녹음 등에 참여했다.[234] 2020년 10월 28일까지 지원 멤버(Plus member) 역할도 겸했다.
'''이전 지원 멤버'''
- '''미쿠리야 유지''' (기타): 1978년부터 1979년까지 리듬 기타리스트로 활동했으며,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잠시 다시 참여했다.
- '''사가스 시로''' (키보드): 1978년부터 1980년까지 키보디스트로 활동하며 1979년부터 1980년까지는 지원 멤버 역할도 겸했다.
- '''필립 세이스''' (키보드): 1995년 T-Square and Friends 앨범 ''Miss You In New York''에 참여했으며, 2019년 6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가와노 게이조의 공백 기간 동안 앨범 ''Horizon'' 녹음과 T-Square Alpha 투어에 키보드 및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57][278]
- '''가와베 타케히로''' (키보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키보드 및 지원 멤버로 활동했다.
- '''혼다 마사토''' (색소폰, EWI):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나, 1990년부터 1991년까지는 지원 멤버 역할도 병행했다. 2022년 앨범 ''WISH'' 녹음에 참여하며 오랜만에 T-SQUARE 작업에 복귀했다.[70] 2022년부터 2024년 1월까지 지원 멤버로 활동했다.
- '''스토 미츠루''' (베이스): 1986년부터 2000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03년 25주년 기념 재결성 시 다시 참여했다.[35] 이후 2008년, 2013년, 2018년 기념 공연 및 2023년에도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작곡가로서 "Nab That Chap",[91] "Dooba Wooba"(노리타케 히로유키와 공동 작곡),[132] "Sunnyside Cruise",[99] "Pioggia Di Capri",[133] "From the Bottom of My Heart",[94] "Explorer", "Ms. Bracing",[134] "Scrambling",[135] "Our Fortress", "An Evening Glow"[136] 등을 남겼다.
- '''무라카미 키요시''' (베이스): 2000년 유닛 시대에 라이브 공연에서 세션 베이시스트로 참여했다.[33]
- '''이시카와 슌스케 "Xenon"''' (베이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T-Square Plus의 "JAPAN version" 라이브 공연 중 세션 베이시스트 및 지원 멤버로 밴드에 합류했다.[33]
- '''사토 유다이''' (베이스): 2019년 4월부터 12월까지 잠시 베이스 지원 멤버로 활동했다.
- '''모리미츠 소타''' (베이스): 2021년 T-Square 앨범 ''Fly! Fly! Fly!''[235]와 2022년 ''Wish''에 참여했다.[236]

- '''마이클 S. 카와이''' (드럼, 퍼커션):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정규 드러머로 활동했으며, 밴드의 첫 세 개 스튜디오 앨범에 참여했다.[187][188][189]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퍼커셔니스트 및 프로듀서로 다시 참여하여 ''Groove Globe'',[39] ''Passion Flower'',[40] ''Blood Music'',[41] ''Wonderful Days''[42] 앨범의 퍼커션을 담당하고, ''33''[43]을 포함한 5개 앨범의 프로듀싱을 맡았다. 2018년 40주년 기념 콘서트에도 출연했다.[55]
- '''노리타케 히로유키''' (드럼): 1985년 말 하세베 토오루를 대신하여 합류하여 2000년까지 정식 멤버로 활동했으며,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지원 멤버로 활동했다.[141] T-스퀘어에서 두 번째로 오래 활동한 드러머(15년 정식 멤버, 4년 지원 멤버)이다. ''Wave'' 앨범의 ''Dooba Wooba!''를 스토 미츠루와 공동 작곡했으며,[132] ''No More Tears'',[93] ''One Step Beyond'',[134] ''Yuh-Ja'',[133] ''Tooi Taiko'',[94] ''Eurostar''[140] 등을 작곡했다. 2008년, 2013년, 2018년 기념 공연 및 2023년에도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센바 키요히코''' (퍼커션): 1978년부터 1980년까지 T-SQUARE의 초대 퍼커셔니스트로 활동했다. 그룹 데뷔부터 1980년 앨범 ''Rockoon''까지 정식 멤버였으며, 이후에도 다수의 앨범에 게스트 뮤지션으로 참여했다. 2013년, 2018년,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마츠모토 케이지''' (키보드): 1998년 말, 난바 타다시의 탈퇴 후 서포트 키보디스트로 합류하여 활동하다가 1999년 앨범 ''Sweet & Gentle'' 제작 후 정식 멤버가 되었다. 2000년 앨범 ''T-SQUARE'' 발매 후 밴드 형태 해체 시 탈퇴했다. 이후 2021년 연말 특별 라이브[69] 및 2022년 앨범 ''WISH'' 녹음에 참여하며[70] 2024년 1월까지 지원 멤버로서 다시 활동했다.
- '''미야자키 타카히로''' (색소폰, EWI):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이즈미 히로타카''' (키보드): 1982년부터 1997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03년 25주년 기념 재결성 시 다시 참여했다. 이후 2008년, 2018년 기념 공연에도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쿠메 다이사쿠''' (키보드):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18년 40주년 기념 콘서트[55] 및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타나카 토요유키''' (베이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08년, 2013년, 2018년,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하세베 토오루''' (드럼):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18년 40주년 기념 콘서트 및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안도 마사히로''' (기타): 1976년부터 2021년까지 리더이자 기타리스트였으며,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 '''가와노 게이조''' (키보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정규 멤버였으며,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지원 멤버 역할도 겸했다. 2023년 기념 공연에 지원 멤버로 참여했다.
이 외에도 고노 게이조(키보드), 이케다 타츠야(베이스), 고모부치 기이치로(베이스), 하야시 료(키보드), 기타지마 겐지(기타), Penny-K(키보드), 사카모토 류타(베이스), 야마다 타츠야(드럼), 혼마 다이지(드럼) 등 많은 뮤지션들이 라이브 공연이나 특정 프로젝트(T-SQUARE plus 등)에서 지원 멤버로 참여하여 T-SQUARE의 음악 활동을 도왔다. 특히 2000년 유닛 체제 전환 이후에는 프로젝트별로 국내외의 다양한 뮤지션들과 협업하는 경우가 많았다.
5. 음반 목록
데뷔 앨범인 《Lucky Summer Lady》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50개의 정규 음반을 비롯한 다수의 음반이 발표되었다.
5. 1. 정규 앨범
데뷔 앨범인 《Lucky Summer Lady》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50개의 정규 음반을 비롯한 다수의 음반이 발표되었다.| 제목 | 발매일 | 품번 | 비고 |
|---|---|---|---|
| Lucky Summer Lady | 1978.09.21 | VRCL-2001 | 「THE SQUARE」 명의 |
| Midnight Lover | 1978.12.21 | VRCL-2002 | |
| Make Me A Star | 1979.06.21 | VRCL-2003 | |
| Rockoon | 1980.04.01 | VRCL-2004 | |
| MAGIC | 1981.11.01 | VRCL-2005 | |
| 각선미의 유혹 | 1982.11.21 | VRCL-2006 | |
| 우리 물에 Rainbow | 1983.05.21 | VRCL-2007 | |
| ADVENTURES | 1984.04.01 | VRCL-2010 | |
| Stars and the Moon | 1984.12.01 | VRCL-2013 | |
| R・E・S・O・R・T | 1985.04.01 | VRCL-2014 | |
| S・P・O・R・T・S | 1986.03.05 | VRCL-2017 | |
| TRUTH | 1987.04.01 | VRCL-2055 | |
| YES,NO. | 1988.02.26 | VRCL-2021 | |
| WAVE | 1989.03.21 | VRCL-2024 | 「T-SQUARE」 명의 |
| NATURAL | 1990.04.21 | VRCL-2026 | |
| NEW-S | 1991.03.21 | VRCL-2030 | |
| IMPRESSIVE | 1992.04.22 | VRCL-2034 | |
| HUMAN | 1993.04.21 | VRCL-2037 | |
| 여름의 혹성 | 1994.04.21 | VRCL-2039 | |
| Welcome to the Rose Garden | 1995.05.21 | VRCL-2042 | |
| B.C. A.D. (Before Christ&Anno Domini) | 1996.04.21 | VRCL-2044 | |
| BLUE IN RED | 1997.05.21 | VRCL-2046 | |
| GRAVITY | 1998.05.30 | VRCL-2047 | |
| Sweet & Gentle | 1999.05.21 | VRCL-2051 | |
| T-SQUARE | 2000.04.01 | VRCL-2052 | |
| FRIENDSHIP | 2000.10.18 | VRCL-3333 | |
| BRASIL | 2001.05.23 | VRCL-3337 | |
| New Road, Old Way | 2002.04.24 | VRCL-3339 | |
| Spirits | 2003.04.23 | VRCL-3343 | 「THE SQUARE」 명의 |
| GROOVE GLOBE | 2004.04.21 | VRCL-10002 | 「T-SQUARE」 명의 |
| PASSION FLOWER | 2005.04.20 | VRCL-10004 | |
| BLOOD MUSIC | 2006.04.19 | VRCL-10007 | |
| 33 | 2007.04.18 | VRCL-10008 | |
| Wonderful Days | 2008.05.21 | VRCL-10011 | 「T-SQUARE SUPER BAND」 명의 |
| DISCOVERIES | 2009.05.27 | VRCL-10014 | 「T-SQUARE」 명의 |
| 시간여행 | 2010.05.26 | VRCL-10101 | |
| Nine Stories | 2011.04.27 | VRCL-10103 | |
| Wings | 2012.05.23 | VRCL-10107 | |
| Smile | 2013.04.24 | VRCL-10109 | 「T-SQUARE SUPER BAND」 명의 |
| NEXT | 2014.06.01 | VRCL-10117 | 「T-SQUARE」 명의 |
| Paradise | 2015.07.08 | OLCH-10001/2 | |
| TREASURE HUNTER | 2016.04.27 | OLCH-10003/4 | |
| REBIRTH | 2017.04.26 | OLCH-10007/8 | |
| CITY COASTER | 2018.04.25 | OLCH-10010/1 | |
| 'It a Wonderful Life! | 2018.11.14 | OLCH-10013/4 | 「T-SQUARE & THE SQUARE Reunion」 명의 |
| HORIZON | 2019.04.24 | OLCH-10015/6 | 「T-SQUARE」 명의 |
| AI Factory | 2020.06.10 | OLCH-10017/8 | |
| FLY! FLY! FLY! | 2021.04.21 | OLCH-10022/3 | |
| WISH | 2022.05.18 | OLCH-10024/5 | |
| VENTO DE FELICIDADE 〜しあわせの風〜 | 2023.05.31 | OLCH-10028/30[369] |
- 기재된 품번은 빌리지 뮤직에서 발매되고 있는 현행반이다.
- ''Lucky Summer Lady'' 부터 ''S・P・O・R・T・S''는 1990년~1996년에 소니 뮤직 "CD선서" 시리즈로 염가 재발매되었다.
- 결성 25주년을 맞이한 2001년부터 2002년에 걸쳐, ''Lucky Summer Lady''부터 ''T-SQUARE''까지 DSD 마스터링(VILLAGE DSD MASTERING SERIES)으로 재발매되었다. 현행반은 이 시리즈이다.
- 과거 작품은 초회반만 종이 재킷이나 SACD로 발매되었으며, 현재는 통상 사양반만 발매된다.
- 데뷔 35주년을 맞이한 2013년에는 ''무지개곡 〜T-SQUARE plays T & THE SQUARE SPECIAL〜''까지의 기획반을 포함한 모든 오리지널 앨범을 메트로폴리스 스튜디오에서 리마스터링하여 ''T-SQUARE 35th Anniversary THE BOX 2013''에 수록하여 발매하였다. Apple Music을 비롯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동일한 리마스터 음원을 배포하고 있다.
- 2015년부터는 고해상도 오디오 음원도 배포가 시작되었다.
5. 2. 라이브 앨범
2023년 1월 18일, T-스퀘어는 2021년 12월 31일 라이브 콘서트의 디지털 앨범을 발매했다.[246] 이어서 2023년 3월 1일에는 2022년 7월 3일 콘서트 투어의 디지털 앨범을 발매했다.[247]5. 3. 리어레인지/셀프 커버 앨범
(내용 없음)5. 4. 컴필레이션 앨범
리마스터반이 2007년에 발매.2009년, 소니 뮤직 다이렉트에서 재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