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루트는 공기를 불어넣어 진동을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플루트는 약 43,000년 전 슬로베니아에서 발견되었으며, 중국, 독일 등지에서도 오래된 플루트가 발견되었다. 플루트는 세로로 부는 형태와 가로로 부는 형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각 지역에서 특색 있는 플루트가 발달했다. 플루트의 음높이는 구멍을 열고 닫거나 공기압을 조절하여 변경하며, 헤드 조인트의 형태는 음향 성능과 음색에 영향을 미친다. 장피에르 랑팔, 제임스 골웨이, 최나경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플루트 연주자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루트 - 나이 (악기)
나이는 이란, 아랍, 터키 등에서 사용되는 원통형 관악기로, 갈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며, 지공의 개수와 연주법에 따라 다양한 음을 낼 수 있다. - 플루트 - 카발
카발은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양쪽 끝이 열린 플루트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앞면 7개, 뒷면 1개의 연주 구멍을 가지고 있고, 과거 양치기들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민속 음악에 널리 쓰인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플루트 | |
---|---|
플루트 | |
![]() | |
악기 분류 | |
종류 | 목관악기 |
발음체 | 공기 |
연주 방법 | |
발음 원리 | 좁은 공기 흐름이 날카로운 모서리에 부딪혀 소리를 냄 |
역사 | |
기원 | c. 43,000년 전 독일 가이센클뢰스터레 동굴에서 발견된 뼈 플루트 |
초기 형태 | 중국에서 9,000년 전 발굴된 뼈 플루트 페루 카랄에서 5,000년 전 발굴된 플루트 |
고대 문헌 | 이아 (c. 기원전 400년) 기록에 대나무로 만든 가로 피리(ch'ih) 언급 |
종류 | |
서양 플루트 | 피콜로 플루트 알토 플루트 베이스 플루트 |
인도 플루트 | 반수리 |
일본 플루트 | 노칸 시노부에 류테키 |
기타 플루트 | 네이 샤쿠하치 단소 피리 |
구조 | |
재료 | 대나무 나무 금속 뼈 플라스틱 |
음높이 조절 | 지공을 손가락으로 막거나 열어서 조절 |
연주법 | |
가로 피리 | 입술 옆에 대고 바람을 불어 넣는 방식 |
세로 피리 | 악기 끝을 입에 대고 바람을 불어 넣는 방식 |
추가 정보 | |
관련 악기 | 리코더 |
2. 역사
플루트의 기원은 매우 오래되어, 구석기 시대에 동물의 뼈에 구멍을 낸 형태의 악기가 발견되기도 한다.[61]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플루트 후보로는 약 4만 3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슬로베니아의 디브예 바베 플루트와[23][24] 비슷한 시기의 독일 가이센클뢰스터레 동굴 플루트 등이 있다.[3] 이는 초기 인류 사회에 이미 음악 문화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29]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은 기원전 2600~2700년경 수메르의 쐐기 문자 점토판에서 찾을 수 있으며,[34] 길가메시 서사시[35]나 성경[36] 등 고대 문헌에서도 플루트(또는 유사 관악기)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아시아에서도 오랜 플루트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약 9,000년 전의 뼈피리[31]나 주나라 시대의 치(篪)[33] 등이 발견되었고, 인도에서는 고대 문헌[41]과 힌두교 예술 등에서 플루트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 서양 플루트의 직접적인 조상은 중세 독일 지역에서 사용된 6개 구멍 플루트로 여겨지며, 그 기원은 아시아에 있다는 주장도 있다.[61] 이후 유럽에서는 음색과 음역을 넓히고 연주를 쉽게 하기 위한 개량이 꾸준히 이루어졌다. 특히 18세기에는 세로 플루트인 리코더보다 가로 플루트가 점차 우세해졌으며, 19세기 뵘(Boehm)이 개발한 키 시스템은 현대 플루트의 기초가 되었다.
일본에서도 고대부터 다양한 종류의 피리(笛|후에일본어)가 사용되었다.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에는 가악에서 료테키(龍笛) 등이 연주되었고, 겐지 모노가타리 같은 문학 작품에도 등장할 만큼 귀족 문화의 일부였다. 이후 노(能)의 하야시(囃子)나 에도 시대의 가부키, 민간 축제 등에서도 노칸(能管), 시아노부에(篠笛) 같은 피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세기 중반 서양 플루트가 전래되었고, 19세기 이후에는 서양 목관악기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2. 1. 세계의 플루트
플루트의 기원은 매우 오래되어, 동물의 뼈에 구멍을 낸 구석기 시대의 호루라기와 같은 것이 스위스에서 출토되었다.[61] 플루트에는 세로피리와 가로피리가 있지만, 구조상 먼저 세로피리가 등장하고, 그 후 가로피리가 개발되었다고 생각된다.[62] 플루트는 북과 함께 고대부터 기본적인 구조가 거의 변하지 않은 악기이다.[63]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플루트는 슬로베니아 디브예 바베에서 발견된 어린 동굴곰의 대퇴골 조각으로 만들어진 디브예 바베 플루트일 수 있으며, 약 43,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2~4개의 구멍이 뚫려 있지만, 이것이 진정한 플루트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3][24] 2008년 독일 울름 근처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는 최소 35,000년 전의 플루트가 발견되었다.[25] V자형 취구를 가진 5개의 구멍이 있는 이 플루트는 독수리 날개뼈로 만들어졌으며, 이 발견은 2009년 8월 ''네이처'' 저널에 발표되었다.[26] 한때 발견된 가장 오래된 악기로 확인되었으나,[27] 이후 가이센클뢰스터레 동굴에서 발견된 플루트가 42,000년에서 43,0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지면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갱신했다.[3]
호흘레 펠스 플루트는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호흘레 펠스의 비너스 옆과 가장 오래된 인간 조각상 근처에서 발견된 여러 악기 중 하나이다.[28] 연구자들은 이 발견이 현생 인류가 유럽에 정착했을 당시 잘 정착된 음악 전통이 있었음을 보여주며,[29]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현생 인류 사이의 행동 및 인지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27]

독일 남부 슈바벤 알프의 가이센클뢰스터레 동굴에서는 2004년에 18.7cm 길이의 3개 구멍 플루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매머드 상아로 만들어졌으며 30,000년~37,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30][64] 같은 동굴에서 이전에 발굴된 두 개의 백조 뼈 플루트는 약 36,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에도 오래된 플루트 문화가 있다. 중국 자후의 무덤에서는 9,000년 된 구디(뼈피리)가 29개의 비슷한 표본과 함께 발굴되었다.[31] 붉은관황새의 날개뼈로 만들어졌으며, 각각 5~8개의 구멍이 있다.[32] 가장 오래된 중국 횡취 피리는 후베이성 수이저우의 증이후 묘에서 발견된 ''치''(篪) 피리로, 기원전 433년 주나라 후기에 만들어졌다.[33] 옻칠한 대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끝이 막혀 있고 측면에 5개의 구멍이 있다. 공자가 편찬했다고 전해지는 시경에도 치 피리가 언급된다.
플루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2600~2700년경 수메르어 설형문자 점토판에서 찾을 수 있다.[34] 기원전 2100~600년에 걸쳐 발전한 길가메시 서사시 점토판에도 플루트가 언급되어 있다.[35] "음악 텍스트"로 알려진 설형문자 점토판 세트는 현악기(바빌로니아 리라로 추정됨)의 7개 음계 조율 지침을 담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embūbum''"으로, 이는 "피리"를 의미하는 아카드어 단어이다.[35]
성경 창세기 4장 21절은 유발을 "수금과 퉁소 부는 자의 조상"으로 언급한다. 여기서 '퉁소'는 일부 학자들이 관악기 또는 관악기 일반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유발은 유대교-기독교 전통에서 피리의 발명가로 여겨진다.[36] 성경의 다른 부분(사무엘상 10:5, 열왕기상 1:40, 이사야서 5:12 및 30:29, 예레미야서 48:36)에서는 피리를 "''chalil''"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속이 빈"이라는 어근에서 유래한 말이다.[37] 성지에서는 청동기 시대(기원전 4000~1200년)와 철기 시대(기원전 1200~586년)의 피리가 발굴되었다.[36]
역사학자 알렉산더 부흐너는 선사 시대 유럽에 플루트가 존재했지만 그 문화가 이어지지 못했고, 오늘날 유럽 플루트의 기원은 아시아라고 주장했다. 전파 경위는 불명확하지만 12~13세기 독일에서는 이미 플루트가 존재했으며, 특히 6개 구멍의 플루트가 애용되었다. 이 악기가 현재 플루트와 직접 연관되어 있다. 이후 플루트의 역사는 음색 개량, 음역 확대, 반음계 도입, 연주 편의를 위한 키 채용 등의 과정이었다. 18세기에는 그때까지 우세했던 세로 플루트인 리코더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19세기 초 영국인 노런의 링 키 발명과 뵘의 개량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인도에서는 일부 초기 플루트가 경골(정강이뼈)로 만들어졌다. 플루트는 항상 인도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38] 여러 자료에 따르면 횡취 플루트는 인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39][40] 기원전 1500년 인도 문헌에 횡취 플루트에 대한 언급이 있기 때문이다.[41] 대나무 플루트는 인도 고전 음악에서 중요한 악기이며 서양 플루트와는 별개로 발전했다. 힌두교 신 크리슈나는 전통적으로 대나무 플루트의 명수로 여겨진다. 인도 플루트는 서양 플루트에 비해 매우 간단하며, 대나무로 만들어지고 키가 없다.[51] 현재 두 가지 주요 인도 플루트가 사용된다. 첫 번째는 반수리(Bansuri, बांसुरी)로, 6개의 손가락 구멍과 1개의 입술 구멍이 있으며 주로 북인도의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사용된다. 두 번째는 베누(Venu) 또는 풀랑구잘(Pullanguzhal)로, 8개의 손가락 구멍이 있으며 주로 남인도의 카르나틱 음악에서 연주된다. 현재 엇갈린 손가락 기술을 사용하는 8개 구멍 플루트는 많은 카르나틱 플루티스트들 사이에서 흔하다. 이전에는 남인도 플루트는 7개의 손가락 구멍만 있었으며, 20세기 초 팔라담 학파의 샤라바 샤스트리가 개발한 지판 표준을 사용했다.[52] 플루트 소리의 질은 사용된 특정 대나무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남인도 나거코일 지역에서 자라는 대나무가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53] 1998년 아비나시 발크리슈나 파트워단은 바라타 나티아 샤스트라의 사라나 차투슈타이를 바탕으로 현재 인도 고전 음악에 존재하는 10개의 '타타스(thatas)'에 완벽하게 조율된 플루트를 제작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54] 구자라트어의 지역 방언에서는 플루트를 파보(Pavo)라고도 하며,[55] 두 개의 플루트(조디요 파보, Jodiyo Pavo)를 동시에 연주하기도 한다.

중국에는 크기, 구조(공명막 유무), 구멍 수(6~11개), 음정(다른 음역)이 다양한 여러 종류의 디즈(笛子)가 있다. 대부분 대나무로 만들어지지만 나무, 옥, 뼈, 철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중국 피리의 특징 중 하나는 구멍 중 하나에 공명막(디모)을 부착하는 것이다. 이 막은 보통 얇은 종이로, 관 안의 공기 기둥과 함께 진동하여 피리에 밝은 소리를 준다. 현대 중국 관현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피리는 방디(梆笛), 취디(曲笛), 신디(新笛), 다디(大笛)이다. 세로로 연주하는 대나무 피리는 샤오(簫)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다른 종류의 관악기로 분류된다.
일본의 피리인 푸(일본어: 笛 후에)는 일본의 다양한 음악용 피리를 포함하며, 끝을 불고 연주하는 샤쿠하치와 호치쿠, 그리고 횡으로 불고 연주하는 가쿠부에, 코마부에, 류테키, 노칸, 시노부에, 카구라부에 및 민테키 등이 있다.

소디나(sodina)는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 전역에서 발견되는 끝 부분을 불어서 연주하는 플루트이다. 이 섬에서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로,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의 끝 부분을 불어서 연주하는 플루트(수링, suling)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소디나의 전신이 보르네오에서 이주해 온 마다가스카르 최초 정착민들이 가져왔음을 시사한다.[56] 가장 유명한 현대 소디나 플루티스트인 라코토 프라(Rakoto Frah, 2001년 사망)의 이미지는 현지 통화인 아리아리(ariary)에 등장했다.[57]
스링(sring, 블룰이라고도 함)은 코맹맹이 소리 같은 음색을 지닌 비교적 작은 끝 부는 플루트로, 동아르메니아의 코카서스 지역에서 발견된다.[58] 나무나 갈대로 만들어지며, 보통 일곱 개의 손가락 구멍과 하나의 엄지 구멍[58]을 가지고 있어 디아토닉 음계를 생성한다. 한 아르메니아 음악학자는 스링이 아르메니아의 대표적인 악기라고 생각한다.[59]

오자(Ọjà)는 나이지리아 원주민인 이보족이 사용하는 전통 악기이다. 오자는 이보 음악이 연주되는 문화 행사나 이벤트에서 사용된다. 나무, 대나무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한쪽 끝에 바람을 불어넣고 악기 본체에 있는 구멍을 막았다 텄다 하면서 다른 음표를 만들어 연주한다.[60]
2. 2. 한국의 플루트
대금Daegeum|대금eng은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큰 대나무 횡취식 피리이다. 진동판이 있어 독특한 음색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3. 종류
플루트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부는 방식에 따라 리코더처럼 세로로 부는 '''세로피리'''와 서양식 콘서트 플루트처럼 가로로 부는 '''가로피리'''(횡주 플루트)로 나뉜다. 또한, 공기를 취구의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관(피플)이 있는 '''피플 플루트'''(휘슬, 리코더, 오카리나 등)와 연주자가 직접 입술로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비피플 플루트'''로 구분할 수도 있다. 피플 플루트는 연주하기 쉽지만 음색 조절의 폭이 좁은 편이다. 비피플 플루트는 다시 가로로 부는 횡주 플루트(콘서트 플루트, 피콜로 등)와 관 끝에 입을 대고 부는 '''끝으로 부는 플루트'''(샤쿠하치, 케나 등)로 나뉜다.
관의 끝이 막혔는지 열렸는지에 따라서도 분류된다. 오카리나, 순, 팬파이프 등은 한쪽 끝이 막힌 '''폐쇄형'''이고, 콘서트 플루트나 리코더 같은 '''개방형''' 플루트는 배음이 풍부하여 음색이 더 밝고 표현력이 좋다. 대부분의 플루트는 관이 하나지만, 팬파이프처럼 여러 개의 관을 묶어 사용하거나 이중 플루트처럼 여러 관을 동시에 울리는 경우도 있다.
부는 방법에 있어서는 입으로 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문화권에서는 코로 숨을 불어 연주하는 코피리도 사용된다. 이는 동남아시아부터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입에서 나오는 숨을 불결하게 여겨 코로 연주한다는 설도 있다. 파이프 오르간의 플루트 관처럼 벨로우즈나 팬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경우도 있다.
플루트를 만드는 재료는 매우 다양하다. 대나무나 나무가 전통적으로 많이 쓰였으며(트라베르소 등), 그 외에도 돌, 흙(오카리나, 순 등), 뼈, 뿔, 조개껍데기, 종이, 갈대, 심지어 오뎅꼬치로도 만들 수 있다. 근대 이후에는 금속(양은, 은, 금, 플래티넘 등)이나 플라스틱, 유리 등도 재료로 사용된다.
특정한 소리를 내거나 용도를 위해 만들어진 피리들도 있다. 새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우구이스부에(꾀꼬리 피리), 하토부에(비둘기 피리) 등이 있으며, 사냥감을 유인하기 위한 시카부에(사슴 피리), 키지부에(꿩 피리) 등도 있다. 그 외에도 목동이 가축에게 신호를 보내는 피리, 안마사가 사용하던 피리, 기차나 배의 신호용 피리, 경기나 신호용 호루라기, 조난 시 구조 신호용 피리, 음높이 조절용 피치파이프 등 다양한 목적의 피리가 존재한다.
3. 1. 세계의 플루트
가장 오래된 플루트 유물로는 슬로베니아의 디브예 바베 플루트(약 43,000년 전 추정)와 독일 호흘레 펠스 동굴에서 발견된 독수리 뼈로 만든 플루트(최소 35,000년 전) 등이 있다.[23][24][25][26][27][3] 중국에서는 약 9,000년 전의 뼈 피리(붉은관황새 뼈)가 자후 유적에서 발굴되었으며,[31][32] 주나라 시대에는 후베이성 수이저우의 증이후 묘에서 기원전 433년경의 가로피리인 '치'(篪)가 발견되기도 했다.[33] 가장 오래된 플루트 기록은 기원전 2600~2700년경 수메르의 쐐기 문자 점토판에서 찾을 수 있다.[34] 인도에서는 기원전 1500년경 문헌에서 가로피리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며,[41] 힌두교의 신 크리슈나는 전통적으로 대나무 플루트의 명수로 묘사된다.[51]역사학자 알렉산더 부흐너는 오늘날 유럽 플루트의 기원이 아시아에 있다고 주장했으며, 12~13세기 독일 지역에서 6개 구멍을 가진 플루트가 애용되었다. 이는 현재 플루트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 이후 플루트는 음색 개량, 음역 확대, 반음계 도입, 키(key) 시스템 채용 등을 거치며 발전했다. 18세기에는 이전까지 우세했던 세로피리인 리코더를 점차 대체하게 되었고, 19세기 초 영국인 노런의 링 키 발명과 테오발트 뵘의 개량을 거쳐 현대적인 플루트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플루트는 부는 방식에 따라 크게 세로피리와 가로피리로 나뉜다. 리코더처럼 세로로 부는 플루트가 있는가 하면, 현대 서양식 콘서트 플루트처럼 가로로 부는 플루트도 있다. 또한 공기를 취구의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관(피플)이 있는 피플 플루트(휘슬, 리코더, 오카리나 등)와 연주자가 직접 입술로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비피플 플루트로 구분할 수도 있다. 비피플 플루트는 다시 가로로 부는 횡주 플루트(콘서트 플루트, 피콜로, 반수리 등)와 관 끝에 입을 대고 부는 끝으로 부는 플루트(네이, 샤오, 단소, 샤쿠하치, 케나 등)로 나뉜다. 관의 끝이 막혔는지 열렸는지에 따라 폐쇄형(오카리나, 팬파이프 등)과 개방형(콘서트 플루트, 리코더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대부분 입으로 불지만, 일부 문화권에서는 코피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 지역별 플루트 ===
- '''인도''': 대나무로 만들며 키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북인도 힌두스타니 음악에서 주로 쓰이는 반수리(6개 손가락 구멍)와 남인도 카르나틱 음악에서 주로 연주되는 베누(8개 손가락 구멍)가 대표적이다.[51][52]
- '''중국''': 다양한 종류의 디지(笛子)가 있으며, 대부분 대나무로 만들지만 옥, 뼈, 철 등으로 만들기도 한다. 구멍 중 하나에 '디모'라는 얇은 막을 붙여 특유의 밝은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 중국 관현악에서는 방디, 취디, 신디, 다디 등이 흔히 쓰인다. 세로로 부는 샤오도 있다.
- '''한국''': 고유한 플루트로 대금이 있으며, 독특한 음색을 지닌다.
- '''일본''': 후에(笛)라고 불리는 다양한 플루트가 있다. 끝으로 부는 샤쿠하치, 홋치쿠 등과 가로로 부는 고마부에, 류테키, 노칸, 시노부에, 가구라부에, 민테기 등이 있다.


- '''마다가스카르''': 소디나는 끝으로 부는 플루트로,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의 수링과 유사하여 초기 정착민들이 보르네오에서 전파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6] 유명 연주자로는 라코토 프라가 있다.[57]
- '''아르메니아''': 스링은 나무나 갈대로 만드는 끝으로 부는 플루트로, 보통 7개의 손가락 구멍과 1개의 엄지 구멍이 있다.[58][59]
- '''나이지리아''': 이보족의 전통 악기인 오자(Ọjà)는 나무, 대나무, 또는 금속으로 만들며 문화 행사에서 사용된다.[60]
플루트는 대나무, 나무, 뼈, 금속, 플라스틱, 유리, 흙 등 매우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특정 소리를 모방하거나(예: 새소리, 휘파람) 특정 용도(예: 신호용 호각, 조율용 피치파이프)로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피리들도 존재한다.
3. 2. 한국의 플루트
한국에는 대금이라는 전통적인 횡취식 피리가 있다.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큰 피리이다. 대금은 진동판이 있어 독특한 음색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4. 음향학
플루트는 악기의 구멍에 공기를 불어넣어 진동을 만들어 소리를 낸다.[42][43] 공기의 흐름은 베르누이 효과 또는 사이펀 효과를 만들며, 이로 인해 플루트 내부의 공명기(일반적으로 원통형) 안의 공기가 진동하게 된다. 연주자는 악기 본체의 구멍을 열고 닫아 음높이를 바꾸는데, 이는 공명기의 유효 길이를 조절하여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원리이다. 또한, 연주자는 공기압을 조절하여 구멍을 여닫지 않고도 플루트 내부 공기가 기본 주파수 대신 배음에서 공명하게 함으로써 음높이를 바꿀 수도 있다.[44]
헤드 조인트의 형태는 음향 성능과 음색에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45] 그러나 어떤 형태가 가장 좋은지에 대해서는 제조사 간에 명확한 합의가 없다. 취구(엠부슈어 홀)의 음향 임피던스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46] 음향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는 취구와 헤드 튜브를 연결하는 구멍(라이저)의 길이와 직경, 라이저 끝부분의 곡률, 그리고 일본의 농관 플루트처럼 악기 목 부분에 설계된 구조적 제한 등이 있다.
전문 플루트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눈을 가린 상태에서는 여러 다른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플루트 간의 소리 차이를 유의미하게 구분하지 못했다.[47] 두 차례의 블라인드 청취 테스트에서도 첫 번째에는 어떤 플루트도 정확히 식별되지 않았고, 두 번째 테스트에서는 은으로 만든 플루트만이 식별되었다. 이 연구는 플루트 몸체의 재질이 음색이나 다이내믹 레인지(소리의 크기 범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
5. 저명한 연주자
참조
[1]
논문
Classification of Musical Instruments: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German by Anthony Baines and Klaus P. Wachsmann
https://www.jstor.or[...]
1961-03-00
[2]
논문
Flutes Offer Clues to Stone-Age Music
2009-06-24
[null]
뉴스
Flutes Offer Clues to Stone-Age Music
https://www.nytimes.[...]
2009-06-24
[3]
논문
Τesting models for the beginnings of the Aurignacian and the advent of figurative art and music: The radiocarbon chronology of Geißenklösterle
[4]
웹사이트
Brookhaven Lab Expert Helps Date Flute Thought to be Oldest Playable Musical Instrument, Bone flute found in China at 9,000-year-old Neolithic site
https://www.bnl.gov/[...]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5]
웹사이트
Music in the Ancient Andes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0-12-10
[6]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Flutes in North America
http://www.Flutopedi[...]
2020-12-10
[7]
서적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W. W. Norton & Company
1940-00-00
[8]
웹사이트
Ancient Chinese Musical Instrument's Depicted On Some Of The Early Monuments In The Museum
https://www.penn.mus[...]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9]
서적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W. W. Norton & Company
1940-00-00
[10]
서적
Musical Instruments of Nepal
Nepali Folk Instrument Museum
2007-00-00
[11]
서적
Colour Encyclopedia of Musical Instruments
Hamlyn
1980-00-00
[12]
서적
The History of Musical Instruments
W. W. Norton & Company
1940-00-00
[13]
웹사이트
Flute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2-05-25
[14]
사전
flute, n.1
Oxford University Press
1989-00-00
[15]
웹사이트
Flute
http://www.merriam-w[...]
2012-05-25
[16]
웹사이트
Flutist
http://www.oxforddic[...]
2015-01-05
[17]
웹사이트
Flautist
http://www.oxforddic[...]
2015-01-05
[18]
웹사이트
Fluter (c.1400)
http://www.oed.com/v[...]
[19]
웹사이트
Fluter
http://machaut.uchic[...]
2015-01-05
[20]
웹사이트
Fluter
http://dictionary.re[...]
2015-01-05
[21]
웹사이트
Is it flutist or flautist?
http://www.fenwicksm[...]
2015-01-05
[22]
웹사이트
Flutenist
https://books.google[...]
2015-01-05
[23]
웹사이트
Neanderthal jam
http://whyfiles.org/[...]
University of Wisconsin, Board of Regents
2006-03-14
[24]
웹사이트
Flute History
http://cogweb.ucla.e[...]
UCLA
2007-06-00
[25]
웹사이트
BBC: 'Oldest musical instrument' found
http://news.bbc.co.u[...]
BBC News
2013-08-10
[26]
논문
New Flutes Document the Earliest Musical Tradition in Southwestern Germany
2009-08-00
[27]
뉴스
'Oldest musical instrument' found
http://news.bbc.co.u[...]
2009-06-25
[28]
웹사이트
Music for cavemen
http://cosmiclog.msn[...]
MSNBC
2009-06-24
[29]
뉴스
Flutes Offer Clues to Stone-Age Music
https://www.nytimes.[...]
2009-06-24
[30]
웹사이트
Archeologists discover ice age dwellers' flut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4-12-30
[31]
웹사이트
The bone age flute
http://news.bbc.co.u[...]
BBC
1999-09-23
[32]
논문
The early development of music. Analysis of the Jiahu bone flutes
http://antiquity.ac.[...]
2004-12-00
[33]
서적
Xun Xu and the Politics of Precision in Third-Century AD China
Brill Publishers
[34]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Flutes in Europe and Asia
http://Flutopedia.co[...]
2012-01-08
[35]
웹사이트
Flutes of Gilgamesh and Ancient Mesopotamia
http://Flutopedia.co[...]
2012-01-08
[36]
논문
Review of 'Music in Ancient Israel/Palestine: Archaeological, Written, and Comparative Sources', by Joachim Braun
http://www.biu.ac.il[...]
[37]
웹사이트
chalil
http://biblesuite.co[...]
[38]
서적
Students' Britannica India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39]
서적
How to Play Flute & Shehnai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 Ltd
[40]
서적
Music and Music-makers
https://books.google[...]
Ayer Publishing
[41]
서적
Choreographic Music for the Dance
https://books.google[...]
Read Country Books
[42]
웹사이트
Flute acoustics
http://www.phys.unsw[...]
2007-06-00
[43]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flute acoustics
http://www.phys.unsw[...]
2006-01-18
[44]
웹사이트
The Flute
http://hyperphysics.[...]
2016-03-20
[45]
학술지
Anatomy of a Headjoint
http://eldredspellfl[...]
[46]
웹사이트
Acoustic impedance of the flute
http://www.phys.unsw[...]
[47]
학술지
Silver, gold, platinum—and the sound of the flute
http://iwk.mdw.ac.at[...]
[48]
서적
Encyclopedia of physical science and technology
Academic Press
2002
[49]
웹사이트
https://www.yamaha.c[...]
2024-08-00
[50]
서적
The Flute and Flute-Playing in Acoustical, Technical, and Artistic Aspects
Dover Publications
[51]
서적
Th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서적
The Dictionary of Hindustani Classical Music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
[53]
서적
The Rough Guide to South India 3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54]
논문
Fundamental principles governing Indian classical music by research on Bharata Muni's Natya Shastra
[55]
Youtube
Jodiyo Pavo by Mubarak Ali Husain 2016
https://www.youtube.[...]
2016-03-24
[56]
학술지
Music among the Malagasy
https://books.google[...]
1879-11-08
[57]
뉴스
Le billet Rakoto Frah vaut de l'or
http://www.lexpressm[...]
2011-07-15
[58]
서적
Armenia §I: Folk Music, 3: Epics
Macmillan Publishers
[59]
서적
Grakan nshkhark' Komitas Vardapeti beghun grch'ēn: npast mē Komitas Vardapeti srbadasman harts'in
Ganatahayots' Aṛajnordarani "K'ristonēakan Usman ew Astuatsabanut'ean Kedron"
[60]
웹사이트
Top 10 Igbo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https://www.legit.ng[...]
2017-09-22
[61]
서적
写真で分かる! 楽器の歴史 楽器学入門
時事通信出版局
2015-09-30
[62]
서적
写真で分かる! 楽器の歴史 楽器学入門
時事通信出版局
2015-09-30
[63]
서적
世界の民族楽器文化図鑑 大自然の音から、音を出す道具の誕生まで
柊風舎
2013-12-15
[64]
뉴스
Archeologists discover ice age dwellers' flute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