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Ϝ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사용된 문자이며, 현재는 주로 숫자 6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페니키아 문자 와우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어의 반모음 /w/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아테네 방언에서는 /w/ 음이 소멸하면서 숫자 기호로만 남게 되었다. 디감마, 에피세몬, 스티그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팜필리아 지역에서는 변형된 형태의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 유니코드에는 다양한 형태의 Ϝ가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문자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그리스 문자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은 요한 바이어가 제시한 항성 명명법으로, 별자리 내 별의 밝기에 따라 그리스/라틴 문자를 부여하고 별자리 소유격 명칭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밝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으며, 현대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Ϝ
기본 정보
디감마 스티그마
디감마 스티그마
문자Ϝ
유니코드U+03DC, U+03DD
이름디감마
소리/w/, /u/
언어학
그리스어στ

2. 역사

페니키아 문자 (

와우)에서 유래한 디감마(Ϝ)는 초기 그리스어에서 반모음 /w/ 음소로 존재했고, 많은 방언에서 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만, F의 글자 모양이 아닌 그 이형자(Ϝ)가 이 자음자(Ϝ)로 사용되었다.[33] 문자 명칭은 아마 셈어와 마찬가지로 와우(Ϝαῦgrc)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적 증거는 시대가 새로운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코린토스 출토 도자기 파편. 고대 그리스어 ἄναξgrc (ἄναξ) "왕"의 여격 고형 (w'anakti)가 적혀 있다.


고대 그리스어의 아테네 방언에서는 /w/가 소멸했기 때문에, 이 글자는 숫자로서만 사용되게 되었다. 후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기원전 1세기) 등은 그 형태에서 디감마(δίγαμμαgrc, 2개의 Γ)라고 부르게 되었다[34].

미케네 그리스어에는 /w/ 소리가 있었다. 이 소리는 선 문자 B와 디감마를 사용하는 고대 그리스 비문에서 증명되었다. 트로이의 히타이트어 이름인 ''Wilusa''가 그리스어 이름 *''Wilion'' (고전 ''Ilion'', 즉 일리움)에 해당한다는 사실로도 확인된다.[1]

/w/ 음은 다양한 방언에서 다양한 시기에 소실되었으며, 대부분 고전 시대 이전에 사라졌다. 이오니아어에서는 /w/가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기록되기 전(기원전 7세기)에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 아이올리아어는 /w/ 음을 가장 오래 유지한 방언이었다.

/w-/가 소실되기 전에 그리스어에 유입된 차용어는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해당 음을 잃었다. 예를 들어, 오스크어 Viteliu|비텔리우osc (vitulus|비툴루스la '어린 송아지, 수컷 송아지' 비교)는 그리스어 단어 를 낳았다. 베네티의 아드리아 부족은 Ἐνετοί|Enetoigrc라고 불렸다. /w/가 사라진 후 그리스어에 유입된 차용어에서는 음소가 다시 /w/로 표기되었는데, 예를 들어 ''vates''의 철자 Οὐάτεις|오우아테이스grc를 비교해 볼 수 있다.

일부 지역 방언에는 현대 키릴 문자 И와 유사한 디감마 문자의 변형된 글리프가 존재했다. 팜필리아의 한 지역 알파벳에서는 이 변형된 형태가 표준 디감마와 나란히 두 개의 별개의 문자로 존재했다. 이 방언에서 /w/ 소리가 일부 환경에서 순치음 /v/로 변경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된다. F자 모양의 문자는 새로운 /v/ 소리를 나타냈을 수 있으며, 특별한 И자 모양의 형태는 이전 /w/ 소리가 보존된 위치를 나타냈다.[5]

팜필리아 디감마


U+0376/0377 문자는 팜필리아 지방(현재 터키 남부의 안탈리아 주)의 비문에 사용된 Ͷ를 나타내는 문자이며, 일반적인 디감마와는 구분되어 사용되었다.[36]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ͶU+0376ͷU+0377N-디감마


2. 1. 기원

디감마(Ϝ)는 페니키아 문자 ( 와우)에서 유래하였다. 초기 그리스어에는 반모음 가 음소로 존재했고, 많은 방언에서 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만 의 글자 모양이 아닌 그 이형자 [33]가 이 자음자(Ϝ)로 사용되었다. 문자 명칭은 아마 셈어와 마찬가지로 와우(Ϝαῦgrc)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적 증거는 시대가 새로운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어의 아테네 방언에서는 이미 가 소멸했기 때문에, 이 글자는 숫자로서만 사용되게 되었다. 후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기원전 1세기) 등은 그 형태에서 디감마(δίγαμμαgrc, 2개의 Γ)라고 부르게 되었다[34].

2. 2. 미케네 그리스어

미케네 그리스어에는 소리가 있었다. 이 소리는 선 문자 B와 디감마를 사용하는 고대 그리스 비문에서 증명되었다. 트로이의 히타이트어 이름인 ''Wilusa''가 그리스어 이름 *''Wilion'' (고전 ''Ilion'', 즉 일리움)에 해당한다는 사실로도 확인된다.[1]

2. 3. 고전 그리스어

/w/ 음은 다양한 방언에서 다양한 시기에 소실되었으며, 대부분 고전 시대 이전에 사라졌다. 이오니아어에서는 /w/가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기록되기 전(기원전 7세기)에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 아이올리아어는 /w/ 음을 가장 오래 유지한 방언이었다.

/w-/가 소실되기 전에 그리스어에 유입된 차용어는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해당 음을 잃었다. 예를 들어, 오스크어 Viteliu|비텔리우osc (vitulus|비툴루스la '어린 송아지, 수컷 송아지' 비교)는 그리스어 단어 를 낳았다. 베네티의 아드리아 부족은 Ἐνετοί|Enetoigrc라고 불렸다. /w/가 사라진 후 그리스어에 유입된 차용어에서는 음소가 다시 /w/로 표기되었는데, 예를 들어 ''vates''의 철자 Οὐάτεις|오우아테이스grc를 비교해 볼 수 있다.

2. 4. 팜필리아 디감마

일부 지역 방언에는 현대 키릴 문자 И와 유사한 디감마 문자의 변형된 글리프가 존재했다. 팜필리아의 한 지역 알파벳에서는 이 변형된 형태가 표준 디감마와 나란히 두 개의 별개의 문자로 존재했다. 이 방언에서 소리가 일부 환경에서 순치음 로 변경되었을 수 있다고 추정된다. F자 모양의 문자는 새로운 소리를 나타냈을 수 있으며, 특별한 И자 모양의 형태는 이전 소리가 보존된 위치를 나타냈다.[5]

U+0376/0377 문자는 팜필리아 지방(현재 터키 남부의 안탈리아 주)의 비문에 사용된 를 나타내는 문자이며, 일반적인 디감마와는 구분되어 사용되었다.[36]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ͶU+0376ͷU+0377N-디감마


3. 숫자

디감마/와우는 밀레투스에서 유래된 그리스 숫자 체계에서 숫자 6을 나타냈으며, 알파벳 순서에서 원래 위치를 반영했다. 이는 고전 알파벳의 24개 글자에 더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된 세 글자 중 하나였으며, 나머지 두 글자는 숫자 90을 나타내는 코파 (ϙ)와 900을 나타내는 삼피 (ϡ)였다. 후기 고대 시대와 비잔틴 시대의 필기 역사에서 이 세 기호는 모두 모양이 여러 번 바뀌었으며, 디감마는 결국 "ϛ"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

그것은 오늘날까지 그리스 숫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군주의 재위 번호나 책의 장을 나열하는 등 영어에서 로마 숫자가 사용되는 맥락과 유사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문자 시퀀스 ΣΤ΄가 훨씬 더 흔하게 사용된다.

숫자 6을 나타내는 용법으로는 후세에 다양한 글자 모양으로 변화하여, 최종적으로 7-8세기경 합자 στgrc(st)와 혼동되어 "스티그마"라고 불리게 되었다.[34]

4. 글자 모양의 발전

흑색상 그림 항아리에 그려진 알파벳으로, 사각형 모양의 디감마가 포함되어 있다.


디감마(Ϝ)는 대략 Y자 모양()을 한 페니키아 문자 와우(waw)에서 파생되었다.[6] 와우에서 파생된 두 그리스 문자 중 디감마는 알파벳 위치를 유지했지만 모양이 --로 변경되었고, 웁실론은 원래 모양을 유지했지만 새로운 알파벳 위치에 놓였다. 초기 크레타에서는 원래 페니키아 문자에 더 가까운 고대 디감마 형태(
x16px
) 또는 줄기가 옆으로 구부러진 변형(
x16px
)을 가지고 있었다.[6] 고대 시대에 -- 모양은 엡실론의 발전과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엡실론은
x16px
에서 "E"로 바뀌었고, 가로선이 직각이 되었으며 줄기의 하단이 잘려나갔다.) 디감마의 경우, 이것은 고전적인 "F"와 사각형 --의 두 가지 주요 변형으로 이어졌다.[6]

페니키아 문자 (와우)에서 유래했다. 초기 그리스어에는 반모음 /w/가 음소로 존재했고, 많은 방언에서는 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만 W의 글자 모양이 아닌 그 이형자[33]가 이 자음자(Ϝ)로 사용되었다. 문자 명칭은 아마 셈어와 마찬가지로 와우(Ϝαῦ|와우grc)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적 증거는 시대가 새로운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어의 아테네 방언에서는 이미 /w/가 소멸했기 때문에, 이 글자는 숫자로서만 사용되게 되었다. 후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기원전 1세기) 등은 그 형태에서 디감마(δίγαμμα|디감마grc, 2개의 Γ)라고 부르게 되었다[34].

숫자 6을 나타내는 용법으로는 후세에 다양한 글자 모양으로 변화하였다.

4. 1. 금석학

디감마(Ϝ)는 대략 Y자 모양()을 한 페니키아 문자 와우(waw)에서 파생되었다.[6] 와우에서 파생된 두가지의 그리스 문자중, 디감마는 알파벳 위치를 유지했지만 모양이 --로 변경되었고, 웁실론은 원래 모양을 유지했지만 새로운 알파벳 위치에 놓였다. 초기 크레타에서는 원래 페니키아 문자에 더 가까운 고대 디감마 형태() 또는 줄기가 옆으로 구부러진 변형()을 가지고 있었다.[6] 고대 시대에 -- 모양은 엡실론의 발전과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엡실론은 에서 "E"로 바뀌었고, 가로선이 직각이 되었으며 줄기의 하단이 잘려나갔다). 디감마의 경우, 이것은 고전적인 "F"와 사각형 --의 두 가지 주요 변형으로 이어졌다.[6]

페니키아 문자 (와우)에서 유래했다. 초기 그리스어에는 반모음 가 음소로 존재했고, 많은 방언에서는 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만 의 글자 모양이 아닌 그 이형자 [33]가 이 자음자(Ϝ)로 사용되었다. 문자 명칭은 아마 셈어와 마찬가지로 와우(Ϝαῦ|와우grc)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적 증거는 시대가 새로운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어의 아테네 방언에서는 이미 가 소멸했기 때문에, 이 글자는 숫자로서만 사용되게 되었다. 후에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기원전 1세기) 등은 그 형태에서 디감마(δίγαμμα|디감마grc, 2개의 Γ)라고 부르게 되었다[34].

숫자 6을 나타내는 용법으로는 후세에 다양한 글자 모양으로 변화하여, 최종적으로 7-8세기경 합자 στ|스트grc와 혼동되어 "스티그마"라고 불리게 되었다[34].

4. 2. 필기체

필기체에서 사각형 C 형태는 "C"와 유사한 둥근 형태로 더 발전했다(파피루스 사본에서는 --, 동전에서는
x16px
로 발견됨). 그런 다음 끝에 아래쪽 꼬리가 생겼으며(--, --) 마지막으로 라틴 문자 "s"와 같은 모양을 갖게 되었다(--).[8] 이러한 필기체 형태는 후기 고대 시대의 석비에서도 발견된다.[7]

4. 3. στ 합자와의 혼동

9세기와 10세기에 필기체 디감마는 시그마(그 역사적인 "달 모양" 형태)와 타우의 결합자인 στ와 시각적으로 혼동되었다.[9] στ 합자는 9세기부터 필기체에서 흔해졌다. 닫힌 형태와 열린 형태 모두 합자와 숫자에 대해 구별 없이 사용되었다. 이 합자는 "스티그마" 또는 "스티"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오늘날 스티그마라는 이름은 텍스트 기능과 숫자 기능 모두에 적용된다.

5. 글자 혼동

역사적으로 Ϝ/스티그마의 모양은 다른 기호와 매우 유사하여 쉽게 혼동될 수 있다. 고대 파피루스에서 숫자 Ϝ의 필기체 C자 모양은 당시 시그마의 일반적인 형태였던 C자 모양("달 모양")과 구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유사성은 오늘날에도 발견되는데, 현대의 스티그마(ϛ)와 현대의 최종 시그마(ς)는 대부분의 글꼴에서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둘 다 고대 C자 모양에서 아래쪽으로 뻗는 장식이 추가된 형태를 역사적으로 이어받았다. 두 문자가 인쇄물에서 구분된다면, 스티그마의 위쪽 고리가 최종 시그마의 위쪽 고리보다 약간 더 크고 오른쪽으로 더 멀리 뻗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두 문자는 현대 사용법에서 숫자 표기법과 텍스트 모두에서 항상 문맥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최종 형태의 시그마는 숫자에 나타나지 않으며(숫자 200은 항상 중간 시그마 σ로 쓰인다), 일반 그리스어 텍스트에서 "στ" 시퀀스는 단어의 마지막에 나타날 수 없다.

중세 시대의 Ϝ의 S자 모양(--)은 καὶ("그리고")의 현대 약어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글리프 혼동 사례는 인쇄된 대문자 형태에서 발생하며, 이번에는 스티그마와 다른 숫자 코파 (90) 사이에 발생한다. 고대 및 중세 필기체에서 코파는

x16px
에서
x16px
,
x16px
,
x16px
을 거쳐
x16px
로 발전했다. 대문자 형태 -- 및 --는 코파 또는 스티그마를 나타낼 수 있다. 18세기 일부 평론가들은 당시 인쇄에서 이 두 값 사이의 빈번한 혼동을 이미 언급했다.[11] 이러한 모호성은 현대 글꼴에서도 지속되며, 많은 글꼴이 코파 또는 스티그마에 --와 유사한 글리프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6. 이름

이 기호는 문자 또는 숫자 기능, 혹은 둘 다를 지칭하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6. 1. 와우 (Wau)

와우(다양하게는 바우, 와우 등으로 표기됨)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를 나타내는 알파벳 문자의 원래 이름이다.[12][6] 재구성된 두음 문자 표기 "ϝαῦel"로 자주 언급된다. 이 형태 자체는 그리스 비문에서 역사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지만, 이름을 나타내는 방식은 당시 라틴어 문법학자들의 설명에서 추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를 ''vau''로 표기한다.[13]

페니키아 문자 (와우)에서 유래했다. 초기 그리스어에는 반모음 가 음소로 존재했고, 많은 방언에서는 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만 의 글자 모양이 아닌 그 이형자 [33]가 이 자음자(Ϝ)로 사용되었다. 문자 명칭은 아마 셈어와 마찬가지로 와우(Ϝαῦgrc)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문헌적 증거는 시대가 새로운 것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6. 2. 디감마 (Digamma)

이오니아어에서는 가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기록되기 전(기원전 7세기)에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부재로 인해 운율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이전 존재를 많은 경우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단어 ἄναξgrc ("(부족) 왕, 군주, (군사) 지도자")[1]는 원래 ϝάναξgrc 였을 것이며(이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증명됨)[2], 단어 οἶνοςgrc ("포도주")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예상되는 운율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추가적인 증거와 친족 분석을 통해 οἶνοςgrc가 이전에는 ϝοῖνοςgrc 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예: 크레타 도리아어 와 라틴어 vīnumla 비교, 이는 영어 ''wine''의 기원이다[4]).

디감마(Digamma)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알파벳으로서의 이 문자를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름이다. 문자 그대로 "두 개의 감마(gamma)"를 의미하며, 원래 문자의 모양, 즉 다른 감마(Γ) 위에 놓인 감마(Γ)의 모양을 묘사한다.

6. 3. 에피세몬 (Episemon)

"에피세몬"(episēmon)은 비잔틴 시대에 숫자 기호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디감마/스티그마를 특별히 지칭하는 이름이나, 알파벳 외 숫자 기호 그룹 전체(디감마, 코파, 삼피)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그리스어 단어 "ἐπίσημονgrc"에서 유래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구별되는 표식", "배지"를 의미한다.[15][16][17][18][19]

ἐπί-grc (''epi-'', "위에")와 σήμαgrc (''sēma'', "기호")에서 유래되었는데, 관련 형용사 "ἐπίσημοςgrc" ("구별되는", "뛰어난")의 중성형이기도 하다. 이 단어는 초기 기독교의 신비주의적 수비학을 통해 숫자 "6"과 연결되었다. 교회 교부 이레네우스가 전한 이단자 마르쿠스의 가르침에 따르면, 숫자 6은 그리스도의 상징으로 여겨져 "ὁ ἐπίσημος ἀριθμόςgrc" ("뛰어난 숫자")라고 불렸으며, 마찬가지로 Ἰησοῦςgrc (''예수'')라는 이름은 여섯 글자로 이루어져 "τὸ ἐπίσημον ὄνομαgrc" ("뛰어난 이름") 등으로 불렸다. 6세기의 논문 ''문자의 신비에 관하여''는 6을 그리스도와 연결시키며, 숫자 기호를 "to Episēmon"이라고 부른다. 같은 이름은 15세기의 그리스 수학자 니콜라오스 랍다스의 산술 교본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중세 초기에 라틴어로 작성된 그리스 알파벳에 대한 여러 서유럽 기록에서도 발견된다. 그중 하나는 비드에게 귀속되는 산술에 관한 교육 텍스트인 ''De loquela per gestum digitorum''으로, 여기에서 6, 90, 900을 나타내는 세 개의 그리스 숫자 기호는 각각 "에피시몬", "코페", "엔네아코시스"라고 불린다. 비드로부터 이 용어는 17세기 르네상스 인문주의자 요세푸스 유스투스 스칼리게르에 의해 채택되었다. 그러나 비드의 언급을 잘못 해석한 스칼리게르는 "에피세몬"이라는 용어를 디감마/6만을 위한 고유한 이름으로 사용하는 대신, 세 개의 숫자 기호를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인 용어로 적용했다. 스칼리게르로부터 이 용어는 그리스어 및 기타 유사한 문자 체계에서 알파벳 순서를 벗어나는 보조 숫자 기호를 지칭하는 새로운 의미로 현대 학계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6. 4. 가벡스 (Gabex) 또는 감(m)엑스 (Gam(m)ex)

알렉산드리아의 암모니우스는 4세기 성경 주석에서 6을 나타내는 숫자 기호를 동시대 사람들이 ''가벡스''(gabex)라고 불렀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20][21] 일부 현대 저자들은 암모니우스의 같은 언급을 ''감(m)엑스''(gam(m)ex)로 읽기도 한다.[22][23] 암모니우스와 후대의 신학자들은[24] 예수가 "셋째 시" 또는 "여섯째 시"에 죽었다고 기록된 복음서 간의 명백한 모순과 이본(異本)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이 기호를 논하고 있는데, 이는 필사자의 실수로 인해 숫자 기호가 서로 쉽게 대체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6. 5. 스티그마 (Stigma)

"스티그마"(στίγμα|스티그마grc)는 원래 "표", "점", "구멍" 또는 일반적으로 "기호"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그리스어 명사였으며, 동사 στίζω("구멍을 내다")에서 유래되었다.[25] 이 단어는 이전에 쓰기와 관련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리듬 표기에서 음절의 짧음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두점의 점을 나타내는 이름이었다.[26] 이후 이 단어는 특히 στ 합자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채택되었는데, 이는 초기 ''st-''의 두문자어적 가치뿐만 아니라 시그마의 이름과의 유사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같은 유추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다른 이름으로는 ''sti''[27] 또는 ''stau''가 있다.[28][29]

7. 문자 인코딩

Ϝgrc는 여러 문자 인코딩 방식을 가지고 있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ϜU+03DCϝU+03DD고대 그리스 문자
ͶU+0376ͷU+0377N-디감마



U+0376/0377 문자는 팜필리아 지방(현재 터키 남부의 안탈리아주)의 비문에 사용된 를 나타내는 문자이며, 일반적인 디감마와는 구분되어 사용되었다[36].

유니코드에는 디감마, 팜필리아 디감마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문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티그마(Ϛ, ϛ)는 그리스 문자에서 숫자 6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콥트 문자에서 사용된 디감마와 유사한 형태의 문자도 존재한다.

참조

[1] LSJ ἄναξ
[2] 서적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Cambridge UP
[3] LSJ οἶνος
[4] 웹사이트 wine https://www.etymonli[...] 2023-06-03
[5] 간행물 Proposal to add Greek epigraphical letters to the UCS http://www.opoudjis.[...]
[6] 서적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Clarendon
[7] 논문 The alphabetic numeral system in Attica
[8] 서적 Griechische Palaeographie, Vol. 2 B.G. Teubner
[9] 서적 Handbook of Greek and Latin palaeography https://archive.org/[...] D. Appleton
[10] 서적 Greek: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modern language Routledge
[11] 서적 Neues Lehrgebäude der Diplomatik, Vol.2
[12] 서적 A companion to the ancient Greek language Blackwell
[13] 문서
[14] 서적 Buttmann's larger Greek grammar: a Greek grammar for use of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15] 서적 Der Traktat "Vom Mysterium der Buchstaben." Kritischer Text mit Einführung, Übersetzung und Kommentar de Gruyter
[16] 논문 Notes on the development of the Greek alphabet
[17] 서적 Opera omnia, vol. 1
[18] 문서 Animadversiones in Chronologicis Eusebii
[19] 백과사전 Marcosians
[20] 사전 γαβέξ https://books.google[...]
[21] 문서
[22] 논문 The Digamma, Koppa, and Sampi as numerals in Greek https://zenodo.org/r[...] 2019-09-09
[23] 서적 Novum Testamentum graece
[24] 논문 Ignotum episemon gabex
[25] 문서
[26] 서적 Latin Verse and European Song https://archive.org/[...] Methuen
[27] 문서
[28] 서적 The Greek Qabalah: Alphabetic Mysticism and Numerology in the Ancient World Samuel Weis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Proposal to add Greek epigraphical let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5-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