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숫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숫자는 미노아 문명과 미케네 문명에서 수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기호에서 유래했으며, 아티카 숫자와 이오니아 숫자로 발전했다. 아티카 숫자는 알파벳을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최초의 체계였고, 이오니아 숫자는 현재 사용되는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이오니아 숫자는 기원전 5세기경에 등장하여 에우클레이데스에 의해 정리되었으며, 24개의 그리스 알파벳과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세 개의 문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했다. 그리스 숫자는 십진법 체계로, 각 자릿수에 해당하는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기하며, 덧셈 원리를 따른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60진법 자리 표시 체계로 확장되어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사용되었으며,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숫자 오른쪽에 케라이아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수학 - 주판
주판은 기원전 27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문명에서 사용된 수 계산 도구로, 현대에는 전자 계산기 사용 증가로 사용이 줄었으나 교육용 및 시각 장애인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 그리스 수학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은 기원전 300년경 에우클레이데스가 집필한 13권의 수학 및 기하학 책으로, 이전 그리스 수학자들의 업적을 집대성하고 기하학, 비례론, 수론, 무리량론을 다루며 공리적 방법과 구성적 방법으로 수학적 지식을 논리적으로 제시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숫자 - 마야 숫자
마야 숫자는 점과 선을 조합하여 0부터 19까지의 숫자를 나타내고 20진법을 사용하여 그 이상의 수를 표현하는 고대 마야 문명의 수 체계로, 마야 달력과 연관되어 있으며 유니코드에도 포함되어 있다. - 숫자 - 이집트 숫자
이집트 숫자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10진법 숫자 체계로, 상형 문자를 이용하여 1부터 100만까지의 숫자를 표기했으며, 단위분수를 표현하는 특수 기호와 0과 유사한 '네페르' 기호, 그리고 숫자에 해당하는 고유한 단어를 사용했다. - 그리스 문자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그리스 문자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은 요한 바이어가 제시한 항성 명명법으로, 별자리 내 별의 밝기에 따라 그리스/라틴 문자를 부여하고 별자리 소유격 명칭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밝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으며, 현대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리스 숫자 | |
---|---|
개요 | |
종류 | 기수법 |
표기 | 고대 그리스어 |
사용 | 고대 그리스 그리스 |
숫자 | |
값 | 문자 |
1 | Α, α |
2 | Β, β |
3 | Γ, γ |
4 | Δ, δ |
5 | Ε, ε |
6 | Ϛ, ϛ (ΣΤ, στ) |
7 | Ζ, ζ |
8 | Η, η |
9 | Θ, θ |
십의 자리 | |
값 | 문자 |
10 | Ι, ι |
20 | Κ, κ |
30 | Λ, λ |
40 | Μ, μ |
50 | Ν, ν |
60 | Ξ, ξ |
70 | Ο, ο |
80 | Π, π |
90 | Ϙ, ϙ |
백의 자리 | |
값 | 문자 |
100 | Ρ, ρ |
200 | Σ, σ |
300 | Τ, τ |
400 | Υ, υ |
500 | Φ, φ |
600 | Χ, χ |
700 | Ψ, ψ |
800 | Ω, ω |
900 | Ϡ, ϡ |
추가 기호 | |
기호 | 설명 |
' (아포스트로피) | 숫자를 나타냄. |
, (콤마) | 천 단위를 나타냄. |
예시 | |
11 | ΙΑ' |
24 | ΚΔ' |
47 | ΜΖ' |
108 | ΡΗ' |
666 | χξϛ' |
2024 | ,ΒΚΔ' |
2. 역사
미노아 문명에서 사용한 선문자 A와 미케네 문명에서 사용한 선문자 B에는 수를 나타내는 기호도 있었다. 예를 들면 𐄇gmy = 1, 𐄐gmy = 10, 𐄙gmy = 100, 𐄢gmy = 1000, 𐄫gmy = 10000과 같은 기호가 사용되었다.[1]
그리스 숫자는 크게 아티카 숫자와 이오니아식 숫자 두 가지 체계로 발전하였다. 아티카식 숫자는 초기 형태로, 이후 이오니아식 숫자로 발전하면서 현대 그리스 숫자의 기반이 되었다.
2. 1. 아티카식 숫자
아티카 숫자는 알파벳을 사용하여 수를 나타낸 최초의 숫자 체계였으며, 훗날 로마 숫자 정립에 영향을 주었다. 기원전 7세기경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이 체계는 수를 나타내는 단어의 첫 글자를 숫자 기호로 사용하는 음성 기호 체계였다.[1] 예를 들어, 10을 나타내는 기호는 Δ였는데, 이는 10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ΔΕΚΑ (데카)"의 첫 글자에서 유래했다.아티카 숫자에서 1은 |, 5는 , 10은 , 100은 , 1000은 , 10000은 와 같이 문자에 수를 부여했다. 50, 500, 5000, 50000은 위에 작은 10의 거듭제곱을 붙여
이와 동일한 방식이 아티카 밖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기호는 지역 문자에 따라 달랐다. 예를 들어 보이오티아에서는 1,000을 로 표기했다.[2]
2. 2. 이오니아식 숫자
현재와 같은 모양의 그리스 숫자는 이오니아의 밀레토스에서 개발되었다. 19세기 연구자들은 그리스 숫자의 정립과 확산이 기원전 3세기 무렵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23] 현대 고고학자들은 그보다 이른 기원전 5세기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4] 기원전 402년, 아테네에서는 그 때까지 사용하던 서방 고대 그리스 알파벳을 버리고 밀레토스의 이오니아 알파벳을 받아들였다.[25] 현재의 그리스 숫자 체계를 정리한 사람은 에우클레이데스로, 그는 당시 사용하였던 그리스 알파벳 24자와 함께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와우(6), 코파(90), 삼피(900)를 숫자로 채용하였다. 삼피의 경우 기원전 2세기 무렵 밀레토스에선 사용되지 않은 문자이기 때문에 에우클레이데스가 이를 사용한 것은 이례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26] 페니키아에서 유래한 문자들이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 원년 무렵 사이에 아테네에서도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27] 일반적으로는 아테네에서 현재의 그리스 숫자 체계 사용이 완전히 정착된 것은 기원후 50년 무렵이라고 본다.[22]이오니아식은 1부터 9까지, 10부터 90까지, 100부터 900까지 각각 서로 다른 문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10, 20, 30, 40, 100, 200, 300, 400 등과 같이 각 자릿수에 해당하는 문자를 조합하여 숫자를 나타낸다. 이 방식은 아티카 숫자보다 간결하며, 현대 그리스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오니아식은 일반적인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지만, 숫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뒤에 '(아포스트로피)를 붙여 표기한다.
사용하는 문자는 현재 표준 그리스 문자 24자 외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3자(6, 90, 9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25'''는 이오니아식으로 '''τκε'el'''로 표기된다.
이 방법으로는 3자릿수까지만 표기할 수 있으므로, 1000~9999(4자릿수)는 앞에 ,(콤마)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4321'''은 ''',δτκα'el''') 10000 이상(5자릿수 이상)은 αΜ을 앞에 붙여 2배, 3배가 되는 배수 표기와 4자릿수 이하 부분의 조합으로 표기한다. (예: '''88888'''은 '''αΜη', ,ηωπη'el''') 다만,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4자릿수 이상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이오니아식 기수법은 히브리 문자와 아랍 문자를 이용한 숫자 표기법(히브리 숫자, 아라비아 문자 기수법)에 영향을 미쳤다. 히브리 문자 표기법에서는 그리스 숫자에서 사용하지 않는 차데()를 사용하기 때문에, 90 이상의 숫자 표기는 그리스 숫자와 달라진다. 또한, 400까지밖에 문자가 없기 때문에, 500 이상은 100+400, 200+400과 같이 표기한다. 아라비아 문자를 이용한 기수법에서는 일반적인 아라비아 문자의 순서와 다른 압자드 순서로 숫자를 배정한다.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된 고트 문자와 키릴 문자에서도 유사한 기수법을 사용했다.
고대 | 비잔틴 | 현대 | 값 | 고대 | 비잔틴 | 현대 | 값 | 고대 | 비잔틴 | 현대 | 값 | |||
---|---|---|---|---|---|---|---|---|---|---|---|---|---|---|
α̅ | Αʹel | 1 | rowspan="18" | | ι̅ | Ιʹel | 10 | rowspan="18" | | ρ̅ | Ρʹel | 100 | ||||
β̅ | Βʹel | 2 | κ̅ | Κʹel | 20 | σ̅ | Σʹel | 200 | ||||||
γ̅ | Γʹel | 3 | λ̅ | Λʹel | 30 | τ̅ | Τʹ | 300 | ||||||
δ̅ | Δʹel | 4 | μ̅ | Μʹel | 40 | υ̅ | Υʹel | 400 | ||||||
ε̅ | Εʹel | 5 | ν̅ | Νʹel | 50 | φ̅ | Φʹel | 500 | ||||||
및 및 | Ϛʹel ΣΤʹ | 6 | ξ̅ | Ξʹ | 60 | χ̅ | Χʹel | 600 | ||||||
ζ̅ | Ζʹel | 7 | ο̅ | Οʹel | 70 | ψ̅ | Ψʹel | 700 | ||||||
η̅ | Ηʹel | 8 | π̅ | Πʹel | 80 | ω̅ | Ωʹel | 800 | ||||||
θ̅ | Θʹel | 9 | 및 및 | Ϟʹ | 90 | 및 및 | 및 및 및 | Ϡʹ | 900 | |||||
및 | ͵α | ͵Α | 1000 | ͵ι | ͵Ι | 10000 | ͵ρ | ͵Ρ | 100000 | |||||
͵β | ͵Β | 2000 | ͵κ | ͵Κ | 20000 | ͵σ | ͵Σ | 200000 | ||||||
͵ | ,Γ | 3000 | ͵λ | ͵Λ | 30000 | ͵τ | ͵Τ | 300000 | ||||||
͵ | ͵Δ | 4000 | ͵μ | ͵Μ | 40000 | ͵υ | ͵Υ | 400000 | ||||||
͵ε | ͵Ε | 5000 | ͵ν | ͵Ν | 50000 | ͵φ | ͵Φ | 500000 | ||||||
͵ 및 ͵ ͵ 및 ͵ | ͵Ϛ ͵ΣΤ | 6000 | ͵ξ | ͵Ξ | 60000 | ͵χ | ͵Χ | 600000 | ||||||
͵ζ | ͵Ζ | 7000 | ͵ο | ͵Ο | 70000 | ͵ψ | ͵Ψ | 700000 | ||||||
͵η | ͵Η | 8000 | ͵π | ͵Π | 80000 | ͵ω | ͵Ω | 800000 | ||||||
͵θ | ͵Θ | 9000 | ͵ 및 ͵ ͵ 및 ͵ | ͵Ϟ | 90000 | ͵ 및 ͵ ͵ ͵ 및 ͵ ͵ 및 ͵ ͵ | ͵Ϡ | 900000 |
그리스 숫자는 10을 밑으로 하는 십진법 체계이다. 1부터 9까지의 숫자는 오래된 이오니아 알파벳의 처음 아홉 글자, 즉 알파부터 테타까지에 할당되었다. 10부터 90까지는 요타부터 코파까지, 100부터 900까지는 로부터 삼피까지 별도의 글자가 할당되었다.[8]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여러 변화가 있었다. 숫자 위에 윗줄을 긋는 대신, '''케라이아'''(κεραίαel, lit. "뿔 모양의 돌출부")를 숫자 오른쪽 위에 표시한다. 이는 이전에 단일 숫자와 분수에 사용되었던 짧은 표시가 발전한 것이다. 현대 케라이아는 악센트(´), 토노스(U+0384,΄) 및 프라임 기호(U+02B9, ʹ)와 유사한 기호이지만, U+0374로 자체 유니코드 문자가 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 2세는 현대 그리스어로 Φίλιππος Βʹel로 표기한다. 왼쪽 아래 케라이아(유니코드: U+0375, "그리스 소문자 숫자 기호")는 천 단위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19는 ͵ΒΙΘʹ (2 × 1,000 + 10 + 9)로 표현된다.[10]
3. 수 체계
각 문자의 숫자 값을 더하여 총합을 얻는 덧셈 원칙을 따랐다. 예를 들어 241은 ΣΜΑʹ (200 + 40 + 1)로 표현되었다. 고대 및 중세 사본에서는 이러한 숫자를 윗줄을 사용하여 문자와 구별하였다. (예: α, β, γ) 요한계시록 중세 사본에서 짐승의 수 666은 χξϛ (600 + 60 + 6)으로 적혀 있다. 분수는 분모 다음에 ''케라이아''(ʹ)를 붙여 표시했다. γʹ은 1/3을, δʹ은 1/4을 나타내는 식이었다. 예외적으로 특수 기호 ∠ʹ은 1/2를, γ°ʹ 또는 γoʹ는 2/3을 나타냈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전체 숫자 위에 윗줄을 긋는 대신, '''케라이아'''(κεραίαel)가 오른쪽 위에 표시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 2세는 현대 그리스어로 Φίλιππος Βʹel로 알려져 있다. 왼쪽 아래 케라이아(유니코드: U+0375)는 천 단위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19는 ͵ΒΙΘʹ (2 × 1,000 + 10 + 9)로 표현된다.숫자 문자 숫자 문자 숫자 문자 1 α'el 10 ι'el 100 ρ'el 2 β'el 20 κ'el 200 σ'el 3 γ'el 30 λ'el 300 τ'el 4 δ'el 40 μ'el 400 υ'el 5 ε'el 50 ν'el 500 φ'el 6 ϝ/ϛel[17] 60 ξ'el 600 χ'el 7 ζ'el 70 ο'el 700 ψ'el 8 η'el 80 π'el 800 ω'el 9 θ'el 90 ϙ/ϟel[18] 900 ͳ/ϡel[19]
4. 현대 그리스어에서의 변화
20세기에 들어 리게이처 사용이 감소하면서 스티그마(ϛ)는 ΣΤʹ와 같이 별도의 문자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숫자 그룹에는 단일 케라이아를 사용한다.[10]
이오니아식 표기법은 1부터 9까지 서로 다른 문자를 사용하고, 각 자릿수(10, 20, 30... 또는 100, 200, 300...)에도 같은 방식으로 서로 다른 문자를 조합하여 숫자를 나타낸다. 이는 아티카식보다 간결하며 현대 그리스에서도 사용된다. 이오니아식은 일반적인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지만, 숫자임을 나타내기 위해 아포스트로피(ʹ)를 끝에 붙인다.
예를 들어 325는 이오니아식으로 τκε'el로 표기한다.
이 방법으로는 세 자릿수까지만 표기할 수 있으므로, 1000~9999 (네 자릿수)는 앞에 콤마(,)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4321 = ,δτκα'el) 10000 이상 (다섯 자릿수 이상)은 αΜ을 앞에 붙여 2배, 3배가 되는 배수 표기와 네 자릿수 이하 부분의 조합으로 표기한다. (예: 88888 = αΜη', ,ηωπη'el) 단,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네 자릿수 이상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그리스 숫자에 사용되는 문자의 오른쪽 위나 왼쪽 아래에 붙는 기호의 유니코드 코드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keraia (κεραία)는 뿔이나 더듬이 모양을 가리키는 단어로, 그리스어에서 악센트 기호 등을 부르는 명칭이다.
이 그리스 숫자용 기호는 현대 그리스어 서적 등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키보드 입력에는 없어 아포스트로피나 콤마 등 비슷한 기호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인쇄 시에는 아포스트로피나 콤마 등으로 대체하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 이소프세피
단어, 이름, 구절의 그리스 문자에 대한 수치 값을 더하여 그 의미를 수치 합계가 같은 다른 것들과 연결하는 관행을 '''이소프세피'''라고 한다. 히브리어의 게마트리아와 영어 카발라는 이와 유사한 관행이다.
이오니아식 기수법은 히브리 문자와 아라비아 문자를 이용한 숫자 표기법(히브리 숫자, 아라비아 문자 기수법)에 영향을 미쳤다. 히브리 문자 표기법에서는 그리스 숫자에서 사용하지 않는 צ|차데he를 사용하기 때문에, 90 이상의 숫자 표기는 그리스 숫자와 달라진다. 또한, 400까지밖에 문자가 없기 때문에, 500 이상은 100+400, 200+400과 같이 표기한다. 아라비아 문자를 이용한 기수법에서는 일반적인 아라비아 문자의 순서와 다른 압자드 순서로 숫자를 배정한다. 그리스 문자에서 파생된 고트 문자와 키릴 문자에서도 유사한 기수법을 사용했다.
6. 헬레니즘 시대의 0
헬레니즘 시대의 천문학자들은 그리스 숫자를 60진법 자릿값 표기 체계로 확장하여 사용했다. 이들은 각 자릿수의 최댓값을 50 + 9로 제한하고, 0을 나타내는 특수 기호를 포함시켰다. 이 체계는 히파르쿠스(기원전 140년경)가 바빌로니아 숫자에서 채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기원전 140년경),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서기 380년경) 및 테온의 딸 알렉산드리아의 히파티아(415년 사망)가 이 체계를 사용했다.[12]
0을 나타내는 기호는 70을 나타내는 ο과는 명확하게 달랐다. 2세기 파피루스에 나타난 0 기호는 작은 원에 윗줄이 있는 형태였으며, 윗줄의 길이는 다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윗줄은 짧아지거나 생략되어 'ο'만 남는 형태로 변했다.[13]
프톨레마이오스는 일식표에서 달과 태양(또는 지구 그림자) 중심 사이의 각거리를 나타내기 위해 0을 사용했다. 이때 0은 'ο ο ο' 형태로 표기되었으며, 각 부분은 자릿수(5분의 1호)와 침수 분(60분의 1 및 3600분의 1 자릿수)을 나타냈다.[16]
참조
[1]
웹사이트
Systèmes numéraux en Grèce ancienne: Description et mise en perspective historique
http://www.dma.ens.f[...]
2011-03-02
[2]
서적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Dover Books
2013-11-01
[3]
서적
Handbook of Greek and Latin Palaeography
D. Appleton
[4]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University & Ohio State University
2013-11-01
[5]
서적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Clarendon Press
[6]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University & Ohio State University
2013-11-01
[7]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University & Ohio State University
2013-11-01
[8]
웹사이트
Classical Greek Numbers
http://gwydir.demon.[...]
2013-04-29
[9]
서적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13-11-01
[10]
웹사이트
Numerals: Stigma, Koppa, Sampi
http://www.tlg.uci.e[...]
2011-03-02
[11]
웹사이트
Greek number systems - MacTutor
http://www-history.m[...]
[12]
PDF
https://www.unicode.[...]
2024-08
[13]
PDF
https://raymondm.co.[...]
2024-08
[14]
서적
The Exact Sciences in Antiquity
Dover Publications
[15]
웹사이트
Consideration of the Greek symbol 'zero'
http://www.raymondm.[...]
[16]
서적
Ptolemy's Almage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문서
Ϝ(ディガンマ)
[18]
문서
Ϙ(コッパ)
[19]
문서
Ͳ(サンピ)
[20]
문서
ι'
[21]
웹인용
Systèmes numéraux en Grèce ancienne: description et mise en perspective historique
http://www.dma.ens.f[...]
2007-03-20
[22]
서적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http://books.google.[...]
Oxford Univ. Press
2013-11-01
[23]
서적
Handbook of Greek and Latin Palaeography
D. Appleton
[24]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 Ohio State Universities
2013-11-01
[25]
서적
The Local Scripts of Archaic Greece
Clarendon
[26]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 Ohio State Universities
2013-11-01
[27]
서적
Searchable Greek Inscriptions
Cornell & Ohio State Universities
201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