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니아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니아 그리스어는 기원전 11세기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에게해로 이주한 사람들이 이오니아 지방에 정착하면서 나타난 고대 그리스 방언이다. 이 방언은 초기 이오니아 방언과 후기 이오니아 방언으로 구분되며,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헤로도토스의 역사 등 문학 작품에서 사용되어 널리 알려졌다. 아티카 방언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기원전 403년 아테네에서 이오니아 알파벳이 채택되면서 표준 그리스 알파벳으로 자리 잡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오니아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이오니아 - 에페소스
에페소스는 튀르키예 서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테미스 숭배와 동지중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잦은 침략과 항구 매몰로 쇠퇴하여 15세기 이후 버려졌다. - 그리스어 - 에토스
에토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개인, 집단 등의 고유한 성향이나 가치를 의미하며, 수사학에서는 화자의 신뢰성을, 사회학에서는 사회 인식의 기준을, 예술에서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도덕적 선택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된다. - 그리스어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이오니아 그리스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이오니아 그리스어 |
고유 이름 | Ἰωνικὴ διάλεκτος |
로마자 표기 | Iōnikḗ |
사용 지역 | 에게해 주변, 마그나 그라이키아 |
사용 시기 | 기원전 1000년경 – 기원전 300년경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하위 언어 | 헬라스어군 |
하위 언어 2 | 고대 그리스어 방언 |
하위 언어 3 | 동부 |
언어 코드 | grc-ion |
문자 체계 | 그리스 문자 |
조상 언어 | 원시 그리스어 |
글롯코드 | ioni1244 |
글롯코드 참고 | 이오니아어 |
언어학적 정보 | |
특징 | 아티케 방언과 함께 고대 그리스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 |
영향 | 호메로스의 서사시 헤로도토스의 역사서 이오니아 철학자들의 작품 |
역사 | |
발달 | 미케네 문명 붕괴 이후 그리스 암흑 시대를 거치면서 발달 |
지역 확장 | 에게해 동부 해안, 여러 섬 및 흑해 연안 식민지 도시들로 확장 |
관련 정보 | |
참고 문헌 | Encyclopedia of Ancient Greek Language and Linguistics |
참고 웹사이트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2. 역사
이오니아 방언은 호메로스와 헤로도토스가 사용한 언어와의 연관성, 그리고 아테네에서 사용된 아티카 방언과의 밀접한 언어적 관계로 인해 그리스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2] 기원전 403년 아테네에서 시행된 문자 개혁으로 기존의 아티카 알파벳이 밀레토스에서 사용된 이오니아 알파벳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결국 표준 그리스 알파벳이 되었다. 이 알파벳은 코이네 시대에 사용이 통일되었으며, 기독교 복음서와 사도행전에도 사용되었다.
비문을 기반으로 이오니아 방언의 세 가지 아방언을 구분할 수 있다.[3]
구분 | 지역 | 특징 |
---|---|---|
서부 이오니아 방언 | 에우보이아섬과 아티카의 일부 지역(예: 오로포스) | -tt-와 -rr- 사용 (τέτταρες vs. τέσσαρες, 넷; θάρρος vs. θάρσος, 용기). ξένος(xenos, 외국인, 손님) 형태 사용.[4] |
중부 또는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 키클라데스 제도 | 케아섬, 낙소스섬, 아모르고스섬은 원래의 /æ/(Ε로 표기)와 /ā/에서 유래한 /æ/(Η로 표기)의 두 가지 /æ/ 음 사이의 차이를 유지했다. 다른 키클라데스 제도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었고, Η와 Ε가 서로 바꿔 사용되었다.[5] |
동부 이오니아 방언 | 사모스섬, 키오스섬, 그리고 소아시아 서해안 이오니아 지역 | /h/ 음(무성 후치 마찰음, 탈음(psilosis))을 상실했다. /w/ 음(디감마(digamma)) 또한 완전히 사라졌다. /hop-/로 시작하는 대명사(ὅπου 어디에, ὅπως 어떻게)는 ok-(관습적으로 hok-로 표기)로 시작했다 (ὅκου/ὄκου, ὅκως/ὄκως).[6] |
동부 이오니아 방언 내에서 헤로도토스는 네 개의 하위 집단을 인식했는데 (『역사』, I.142), 그중 세 개는 이웃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a. 밀레투스, 미우스, 프리에네 그리고 그 식민지의 방언은 카리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b. 에페소스, 콜로폰, 레베도스, 테오스, 클라조메나이, 포카이아 그리고 그 식민지의 이오니아 방언은 리디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c. 키오스와 에리트라이 그리고 그 식민지의 방언은 아이올리아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d. 사모스와 그 식민지의 방언.
이 네 집단의 차이는 비문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데, 아마도 비문이 모든 곳에서 같은 종류의 "교양 있는 이오니아어"를 사용하는 높은 사회 계층에 의해 주문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의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였을 것이다. 이것을 엿볼 수 있는 것은 에페소스의 "거지 시인" 힙포낙스(Hipponax)의 언어에서 볼 수 있는데, 그는 종종 지역 속어(νικύρτας, σάβαυνις: 욕설; χλούνης, '도둑'; κασωρικός, '창녀 같은')와 리디아어 차용어(πάλμυς, '왕')를 사용했다.[6]
2. 1. 초기 이오니아 방언의 등장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9세기)
기원전 11세기, 그리스 본토에서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에게해를 건넌 피난민들이 이오니아 지방에 도착하여 정착했을 때 이오니아 방언이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2] 전승에 따르면 이오니아인의 조상들은 일련의 이주를 통해 아테네에서 출발하여 기원전 1075/1050년경 원형기하 시대 초기에 소아시아 해안과 키클라데스 제도에 식민지를 건설했다.[2] 기원전 11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이오니아인들은 그 지역 주변으로 계속 퍼져 나갔다.[2] 아티카 방언과 이오니아 방언의 언어적 유사성은 /w/의 초기 소실이나 /ā/와 /ē/의 합병과 같이 두 방언 모두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독특한 특징에서 분명히 드러난다.[2]2. 2. 이오니아 방언의 확산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5세기)
이오니아 방언은 기원전 11세기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그리스 본토에서 에게해를 건넌 피난민들이 이오니아 지방에 정착하면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기원전 5세기 그리스 암흑기가 끝날 무렵, 소아시아 서해안 중심부와 키오스 섬, 사모스 섬이 이오니아의 핵심 지역을 형성하였다. 이후에는 에게 해 중심의 다른 섬들과 아테네 북쪽에 위치한 에우보이아 섬에서도 사용되었다. 곧이어 이오니아인들의 식민 활동으로 에게 해 북부, 흑해, 지중해 서부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2]
2. 3. 고대 이오니아 방언과 신 이오니아 방언 (기원전 6세기)
이오니아 방언은 일반적으로 초기 이오니아 방언(또는 고대 이오니아 방언)과 후기 이오니아 방언(또는 신 이오니아 방언)의 두 시기로 나뉜다. 두 시기 사이의 전환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기원전 600년경이 적절한 근사치이다.호메로스의 작품(''일리아드'', ''오디세이'', 그리고 호메로스 찬가)와 헤시오도스의 작품은 호메로스식 그리스어 또는 서사시 그리스어라고 하는 문학적 방언으로 쓰여졌는데, 이는 대부분 초기 이오니아 방언으로 구성되지만, 북쪽의 인접한 아이올리아 방언과의 혼합뿐만 아니라 오랜 호메로스 이전의 서사시 전통의 결과로 일부 미케네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2] 이 서사시 이오니아 방언은 이오니아인뿐만 아니라 보이오티아 출신의 헤시오도스와 같은 외국인들에 의해서도 후대의 모든 육행시와 엘레지 시에 사용되었다.[2] 이오니아 방언은 특정 시적 및 문학 장르에 사용되는 관례적인 방언이 되었다. 이는 출신에 관계없이 많은 저자들이 사용했는데, 도리아인인 튀르타이오스처럼 이오니아 방언의 형태로 엘레지를 작곡한 경우도 있다. 시인 아르킬로코스는 후기 초기 이오니아 방언으로 글을 썼다.
가장 유명한 후기 이오니아 방언 저술가로는 아낙레온, 테오그니스, 헤로도토스, 히포크라테스 그리고 로마 시대의 아레타이오스, 아리아누스, 그리고 루키아누스식 또는 의사 루키아누스의 ''시리아 여신''이 있다.
2. 4. 이오니아 방언의 영향력
이오니아 방언은 기원전 11세기경, 도리아인의 침입으로 그리스 본토에서 에게해를 건넌 피난민들이 이오니아 지방에 정착하면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2] 그리스 암흑기가 끝날 무렵, 소아시아 서해안 중심부와 키오스 섬, 사모스 섬이 이오니아의 핵심 지역을 형성하였다. 이후 에게 해 중심의 다른 섬들과 아테네 북쪽에 위치한 에우보이아 섬에서도 사용되었다. 이오니아인들의 식민 활동으로 에게 해 북부, 흑해, 지중해 서부 지역으로 널리 퍼져나갔다.이오니아 방언은 크게 초기 이오니아 방언(또는 고대 이오니아 방언)과 후기 이오니아 방언(또는 신 이오니아 방언)으로 나뉜다. 두 시기 사이의 전환점은 명확하지 않지만, 기원전 600년경으로 추정된다.
호메로스의 작품(''일리아드'', ''오디세이'')과 헤시오도스의 작품은 호메로스식 그리스어 또는 서사시 그리스어라고 하는 문학적 방언으로 쓰여졌는데, 이는 대부분 초기 이오니아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2] 이 서사시 이오니아 방언은 후대의 모든 육행시와 엘레지 시에 사용되었다. 시인 아르킬로코스는 후기 초기 이오니아 방언으로 글을 썼다.
가장 유명한 후기 이오니아 방언 저술가로는 아낙레온, 테오그니스, 헤로도토스, 히포크라테스 등이 있다.
이오니아 방언은 호메로스와 헤로도토스가 사용한 언어와의 연관성, 그리고 아테네에서 사용된 아티카 방언과의 밀접한 언어적 관계로 인해 그리스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었다. 기원전 403년 아테네에서 시행된 문자 개혁으로 기존의 아티카 알파벳이 밀레토스에서 사용된 이오니아 알파벳으로 대체되었고, 이는 결국 표준 그리스 알파벳이 되었다.
3. 이오니아 방언의 하위 방언
비문을 기반으로 이오니아 방언은 크게 서부, 중부(키클라데스), 동부의 세 가지 아방언으로 구분된다.[3]
헤로도토스는 동부 이오니아 방언 내에 네 개의 하위 집단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중 세 개는 이웃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구분 | 지역 | 영향 |
---|---|---|
a. | 밀레투스, 미우스, 프리에네 및 그 식민지 | 카리아어 |
b. | 에페소스, 콜로폰, 레베도스, 테오스, 클라조메나이, 포카이아 및 그 식민지 | 리디아어 |
c. | 키오스와 에리트라이 및 그 식민지 | 아이올리아 그리스어 |
d. | 사모스 및 그 식민지 | 해당사항 없음 |
이러한 네 집단 간의 차이는 비문에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는 비문이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교양 있는 이오니아어"를 사용하는 상류층에 의해 제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에페소스의 "거지 시인" 힙포낙스(Hipponax)의 언어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그는 종종 지역 속어와 리디아어 차용어를 사용했다.[6]
3. 1. 서부 이오니아 방언
비문을 기반으로 이오니아 방언은 세 가지 아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3]
구분 | 지역 | 특징 |
---|---|---|
서부 이오니아 방언 | 에우보이아섬과 아티카의 일부 지역(예: 오로포스) | 다른 두 방언이 -ss-와 -rs-를 사용하는 곳에서 -tt-와 -rr-를 사용한다 (τέτταρες vs. τέσσαρες, 네; θάρρος vs. θάρσος, 용기). ξεῖνος(xeinos) 대신 ξένος(xenos, 외국인, 손님) 형태를 사용한다.[4] |
중부 또는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 키클라데스 제도 | 케아섬, 낙소스섬, 아모르고스섬은 원래의 /æ/(Ε로 표기)와 /ā/에서 유래한 /æ/(Η로 표기)의 두 가지 /æ/ 음 사이의 차이를 유지했다. (예: ΜΗΤΕΡ = μήτηρ < μάτηρ, 어머니). 다른 키클라데스 제도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었고, Η와 Ε가 서로 바꿔 사용되었다.[5] |
동부 이오니아 방언 | 사모스섬, 키오스섬, 그리고 소아시아 서해안 이오니아 지역 | 다른 두 방언과는 매우 이른 시기에 /h/ 음(무성 후치 마찰음, 탈음(psilosis))을 상실했다. /w/ 음(디감마(digamma)) 또한 완전히 사라졌다. /hop-/로 시작하는 대명사(ὅπου 어디에, ὅπως 어떻게)는 ok-(관습적으로 hok-로 표기)로 시작한다 (ὅκου/ὄκου, ὅκως/ὄκως). |
헤로도토스(Herodotus)|헤로도토스grc는 동부 이오니아 방언 사용자를 에로도토스(Erodotos)라고 불러야 옳다고 하였다.
3. 2. 중부 또는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비문을 기반으로 이오니아 방언은 세 가지 아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3]- 서부 이오니아 방언: 에우보이아섬과 아티카의 일부 지역(예: 오로포스)의 방언
- 중부 또는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키클라데스 제도의 방언
- 동부 이오니아 방언: 사모스섬, 키오스섬, 그리고 소아시아 서해안 이오니아 지역의 방언
동부 이오니아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 달리 매우 이른 시기에 /h/ 음(무성 후치 마찰음, 탈음(psilosis))을 상실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헤로도토스는 따라서 에로도토스(Erodotos)라고 불러야 옳다). /w/ 음(디감마(digamma)) 또한 동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완전히 사라졌지만, 서부 이오니아 방언과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때때로 유지되었다. 또한 서부 이오니아 방언과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에서 /hop-/로 시작하는 대명사(ὅπου '어디에', ὅπως '어떻게')는 동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ok-(관습적으로 hok-로 표기)로 시작한다 (ὅκου/ὄκου, ὅκως/ὄκως).
서부 이오니아 방언은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및 동부 이오니아 방언과 구별되는데, 다른 두 방언이 -ss-와 -rs-를 사용하는 곳에서 -tt-와 -rr-를 사용한다(τέτταρες vs. τέσσαρες, '네'; θάρρος vs. θάρσος, '용기'). 또한, 서부 이오니아 방언은 다른 두 방언이 ξεῖνος(xeinos)를 사용하는 곳에서 ξένος(xenos, '외국인, 손님') 형태를 사용한다.[4]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은 더 세분될 수 있다. 케아섬, 낙소스섬, 아모르고스섬은 원래의 /æ/(Ε로 표기)와 /ā/에서 유래한 /æ/(Η로 표기)의 두 가지 /æ/ 음 사이의 차이를 유지했다. 예를 들어 ΜΗΤΕΡ = μήτηρ < μάτηρ, '어머니'와 같다. 다른 키클라데스 제도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었고, Η와 Ε가 서로 바꿔 사용되었다.[5]
3. 3. 동부 이오니아 방언
비문을 기반으로 이오니아 방언은 세 가지 아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3]- 서부 이오니아 방언: 에우보이아섬과 아티카 일부 지역(예: 오로포스)의 방언
- 중부 또는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 키클라데스 제도의 방언
- 동부 이오니아 방언: 사모스섬, 키오스섬, 그리고 소아시아 서해안 이오니아 지역의 방언
동부 이오니아 방언은 다른 두 방언과는 매우 이른 시기에 /h/ 음(무성 후치 마찰음, 탈음(psilosis))을 상실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따라서 헤로도토스(Herodotus)는 에로도토스(Erodotos)라고 불러야 옳다.) /w/ 음(디감마(digamma)) 또한 동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완전히 사라졌지만, 서부 이오니아 방언과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때때로 유지되었다. 또한 서부 이오니아 방언과 키클라데스 이오니아 방언에서 /hop-/로 시작하는 대명사(ὅπου '어디에', ὅπως '어떻게')는 동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ok-(관습적으로 hok-로 표기)로 시작한다 (ὅκου/ὄκου, ὅκως/ὄκως).
헤로도토스는 동부 이오니아 방언 내에서 네 개의 하위 집단을 인식했는데 (『역사』, I.142), 그중 세 개는 이웃 언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구분 | 지역 | 영향 |
---|---|---|
a. | 밀레투스, 미우스, 프리에네 및 그 식민지 | 카리아어 |
b. | 에페소스, 콜로폰, 레베도스, 테오스, 클라조메나이, 포카이아 및 그 식민지 | 리디아어 |
c. | 키오스와 에리트라이 및 그 식민지 | 아이올리아 그리스어 |
d. | 사모스 및 그 식민지 | 해당사항 없음 |
이 네 집단의 차이는 비문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데, 아마도 비문이 모든 곳에서 같은 종류의 "교양 있는 이오니아어"를 사용하는 높은 사회 계층에 의해 주문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의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였을 것이다. 에페소스의 "거지 시인" 힙포낙스(Hipponax)의 언어에서 이를 엿볼 수 있는데, 그는 종종 지역 속어(νικύρτας, σάβαυνις: 욕설; χλούνης, '도둑'; κασωρικός, '창녀 같은')와 리디아어 차용어(πάλμυς, '왕')를 사용했다.[6]
4. 음운론
이오니아 그리스어는 프로토그리스어에서 변화를 겪으며 음운론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크게 모음과 자음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모음의 경우, 프로토그리스어의 장모음 ''ā''가 이오니아 방언에서 ''ē''로 변화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자음의 경우, 특정 환경에서 ''kʷ''가 ''p'' 또는 ''k''로 변화하거나, ''*ťť''가 ''ss'' 또는 ''tt''로 변화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음운 변화는 이오니아 방언을 다른 그리스어 방언들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
4. 1. 모음
프로토그리스어의 ''ā''는 이오니아 방언에서 ''ē''로 변화하였으나, 도리스어, 아이올리아어에서는 ''ā''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아티카어에서는 ''e, i, r'' 뒤에 오는 ''ā''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다른 경우에는 ''ē''로 변화하였다.[7]- 아티카어 νε'''ᾱ'''νί'''ᾱ'''ς ''ne'''ā'''ní'''ā'''s'', 이오니아어 νε'''η'''νί'''η'''ς ''ne'''ē'''ní'''ē'''s'' "젊은 남자"
- 원래 형태와 도리스어 '''ἁ''' (ᾱ) ''h'''ā'''''는 아티카-이오니아어 '''ἡ''' ''h'''ē''''' "the" (여성 명사 단수 주격)로 변화
- 원래 형태와 도리스어 μ'''ᾱ́'''τηρ ''m'''ā'''tēr''는 아티카-이오니아어 μ'''ή'''τηρ ''m'''ḗ'''tēr'' "어머니"로 변화
프로토그리스어 ''e, o''는 동부/중부 이오니아어에서 ei, ou로 변화하였다.[8] ''enw-, erw-, onw-, orw-'' 순서에서 ''w'' 소실 후 보상적 장음화가 발생하였다. 아티카어와 서부 이오니아어에서는 ''e, o''가 장음화되지 않았다.[9]
- 프로토그리스어 ''*k'''órw'''ā''[10]는 아티카어 κ'''όρ'''η ''k'''ór'''ē'', 동부 이오니아어 κ'''ούρ'''η ''k'''oúr'''ē'' "소녀"로 변화
- ''*'''órw'''os''는 '''ὄρ'''ος '''''ór'''os'', '''οὖρ'''ος '''''oúr'''os'' "산"으로 변화
- ''*ks'''énw'''os''는 ξ'''έν'''ος ''x'''én'''os'', ξ'''εῖν'''ος ''x'''eĩn'''os'' "손님, 낯선 사람"으로 변화
동부 이오니아어는 일반적으로 초기 유성음을 제거한다 (프로토그리스어 hV- > 이오니아어 V-).[11]
- 프로토그리스어 ''*'''h'''āwélios''는 아티카어 '''''h'''ēlios'', 호메로스어(초기 동부 이오니아어) ''ēélios'' "태양"으로 변화
이오니아어는 아티카어보다 축약이 덜 빈번하다.[12]
- 이오니아어 γέν'''εα''' ''gén'''ea''''', 아티카어 γέν'''η''' ''gén'''ē''''' "가족" (중성 복수 주격)
4. 2. 자음
원시 그리스어의 '*kʷ'가 'o' 앞에 위치할 경우 아티카 방언과 서/중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p'로, 일부 동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k'로 변화한다.- 원시 그리스어 '*hó'''kʷ'''ōs' > 동부 이오니아 방언 ὅ'''κ'''ως hókōs|호코스grc, 아티카 방언 ὅ'''π'''ως hópōs|호포스grc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방식으로")
원시 그리스어의 '*ťť'는 동/중부 이오니아 방언에서는 'ss'로, 서부 이오니아 방언과 아티카 방언에서는 'tt'로 변화한다.[13] 이 동부 및 중부 이오니아 방언의 특징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이어졌다.
- 원시 그리스어 '*táťťō' > 이오니아 방언 τά'''σσ'''ω tássō|타소grc, 아티카 방언 τά'''ττ'''ω táttō|타토grc ("내가 정돈하다")
5. 용어
- ἄβδης|ábdês|아브데스grc 채찍 (히포낙스 98)[1]
- ἄεθλον|áethlon|아에틀론grc (아티카 방언 ἆθλον|athlon|아틀론grc 상금)
- ἀειναῦται|aeinaûtai|아에이나우타이grc 아르콘(밀레토스와 칼키스의) (aeí|아에이grc 항상 + naûtai|나우타이grc 선원들)
- ἀλγείη|algeíē|알게이에grc 질병 (아티카 방언 ἀλγηδών|algēdṓn|알게돈grc 고통 참조) 알고포비아
- ἄμπωτις|ámpōtis|암포티스grc 썰물, 빨려 들어감, 즉 바다의 (아티카 방언 anápōtis|아나포티스grc, 동사 anapínō|아나피노grc) (코이네, 현대 그리스어 ampotis|암포티스grc)
- ἄνου|anou|아누grc (아티카 방언 ἄνω|ánō|아노grc, 위)
- Απατούρια|아파투리아grc 아파투리아 전이오니아 축제 (파니오니움 참조)
- ἀππαλλάζειν|appallázein|아팔라제인grc (아티카 방언 ἐκκλησιάζειν|ekklesiázein|에클레시아제인grc 모이다, 결정하다) (도리아 방언 아펠라zein|아펠라제인grc)
- ἀχάντιον|achántion|아칸티온grc (아티카 방언 ἀκάνθιον|akánthion|아칸티온grc 작은 가시 아칸투스)
- βάθρακοι|báthrakoi|바트라코이grc (아티카 방언 βάτραχοι|bátrachoi|바트라코이grc, 개구리) 폰투스에서 babakoi|바바코이grc[2]
- βροῦκος|broûkos|브루코스grc 메뚜기의 일종 (아티카 방언 akrís|아크리스grc) (키프로스인들은 녹색 메뚜기를 βρούκα|broúka|브루카grc라고 부름)
- βυσσός|byssós|비소스grc (아티카 방언 βυθός|bythós|비토스grc 깊이, 바닥, 혼돈)
- γάννος|gánnos|간노스grc 에페소스의 (아티카 방언 하이에나 (glanos|글라노스grc 아리스토텔레스.HA594a31.)) (프리기아어와 차코니아어 ganos|가노스grc)
- εἴδη|eídē|에이데grc (아티카 방언 ὕλη|hýle|힐레grc 숲) (아이올리아 그리스어 eide|에이데grc도) (그리스어 Eidos|에이도스grc)
- ἐνθαῦτα|enthaûta|엔타우타grc 여기 (entoutha|엔투타grc도) (아티카 방언 ἐνταῦθα|entaûtha|엔타우타grc) (엘레아 ἐνταῦτα|entaûta|엔타우타grc)
- ἐργύλος|ergýlos|에르길로스grc (아티카 방언 ἐργάτης|ergátēs|에르가테스grc 노동자)
- ἑστιᾶχος|hestiâchos|헤스티아코스grc 이오니아식 제우스의 칭호, 헤스티아와 관련됨 (oikourós|오이쿠로스grc, 가정부, οἰκῶναξ|oikônax|오이코낙스grc)
- ἠγός|ēgós|에고스grc (아티카 방언 εὐδαίμων|eudaímon|에우다이몬grc 행복한) (Hesychius s.v. εὐηγεσίη|에우에게시에grc) (τ 114)
- ἠέλιος|êélios|에엘리오스grc (아티카 방언 hḗlios 태양) (크레타 abelios|아벨리오스grc)
- Ἰαστί|Iastí|이아스티grc "이오니아식 길" (Ἰάονες|Iáones|이아오네스grc, 이오니아인; Ἰάς|Iás|이아스grc, 아티카의 옛 이름, 스트라보 IX, 1.5)
- ἴδη|ídē|이데grc 숲이 우거진 산 (아티카 방언 δρυμῶν ὄρος|drymôn óros|드리몬 오로스grc) (헤로도토스 4,109,2) (이다 산)
- ἰητρός|iētrós, iētēr|이에트로스, 이에테르grc (아티카 방언 iatrós, iatēr|이트로스, 이아테르grc 의사)
- ἴκκος|íkkos|이코스grc (아티카 방언 ἵππος|híppos|히포스grc, 말) (미케네 i-qo|이코grc)
- κάρη|kárē|카레grc 머리 (일반 kara|카라grc) (시적 kras|크라스grc)
- κιθών|kithṓn|키톤grc (아티카 방언 χιτών|키톤grc 키톤)
- κοεῖν|koeîn|코에인grc (아티카 방언 νοεῖν|noeîn|노에인grc 생각하다) noesis
- κοῖος|koîos|코이오스grc (아티카 방언 ποῖος|poîos|포이오스grc 누구?)
- κύθρη|kýthrē|키트레grc (아티카 방언 χύτρα|chýtra|키트라grc 요리용 냄비)
- μύτταξ|mýttax|미탁스grc (아티카 방언 πώγων|pṓgōn|포곤grc 수염)
- Ξουθίδαι|Xouthidai|크수티다이grc 크수토스 출신 이오니아인
- ὀδμή|odmḗ|오드메grc (아티카 방언 ὀσμή|osmḗ|오스메grc 향기, 냄새)
- πηλός|pēlós|펠로스grc 진한 와인, 술찌꺼기 (아티카 방언 pelós|펠로스grc 진흙, 실트) (속담 mê dein ton Oinea Pêlea poiein|메 데인 톤 오이네아 펠레아 포이에인grc, 와인을 찌꺼기로 만들지 마라, Ath.9.383c, cf. Demetr.Eloc.171)
- ῥηχίη|rhêchíê|레키에grc 밀물, 아티카 방언 ῥαχία|rhachía|라키아grc로 차용됨 (호메로스, 코이네, 현대 그리스어 πλημμυρίς|plêmmurís -ída|플렘미리스-이다grc)
- σαβακός|sabakís|사바키스grc (아티카 방언 σαθρός|sathrís|사트리스grc 부패한) 키오스의
- σάρμοι|sármoi|사르모이grc 루핀 (아티카 방언 θέρμοι|thermoi|테르모이grc 카리스토스의)
- σκορπίζω|skorpízô|스코르피조grc 흩뿌리다, 흩어지다 (아마도 skorpios|스코르피오스grc 전갈과 구어 skerpô|스케르포grc, 관통하다에서 유래)
- ταῦροι|taûroi|타우로이grc[14] (아티카 방언 tauroi|타우로이grc 황소) (에페소스 용어, 현지 포세이돈 축제에서 술 따르는 역할을 했던 젊은이들)
- φοινικήια|phoinikḗia grámmata|포이니케아 그람마타grc 리디아인과 이오니아인들이 문자라고 불렀던 것
- χλοσσός|chlossós|클로소스grc (아티카 방언 ἰχθύς|ichthús|익티스grc 물고기)
- ὦ οἰοῖ|ô oioî|오 오이오이grc 불만의 감탄사 ἐπιφώνημα σχετλιαστικὸν παρ' Ἴωσι|에피포네마 스케틀리아스티콘 파르 이오시grc
참조
[1]
논문
Ionic
https://referencewor[...]
Brill
2023-11-29
[2]
웹사이트
Ionic dialec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29
[3]
서적
Handbuch der griechischen Dialekte
Carl Winter
1959
[4]
서적
Handbuch der griechischen Dialekte
1959
[5]
서적
Handbuch der griechischen Dialekte
1959
[6]
서적
Geschichte der griechischen Sprache
Walter de Gruyter & Co.
1969
[7]
문서
Smyth, par. 30 and note, 31: long a in Attic and other dialects
[8]
문서
Among Greek dialects, Ionic was the fondest of long vowels and was thus considered especially suited to solo singing; the more austere, broad-sounding Doric was preferred in choral singing.
[9]
문서
Smyth, par. 37 note: Ionic compensatory lengthening after loss of w
[10]
사전
κόρη
[11]
문서
Smyth, par. 9 note: early loss of rough breathing in Ionic of Asia Minor
[12]
문서
Smyth, par. 59 note: contraction in dialects
[13]
문서
Smyth, par. 112, 78: ky, khy > tt; = ss in non-Attic dialects
[14]
웹사이트
Athenaeus Deipnosophists 10 425c
http://www.attalus.o[...]
[15]
서적
歴史言語学の方法 ギリシア語史とその周辺
三省堂
2014
[16]
문서
대중에서 이오니아 방언으로 부르는 경우는 많이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