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ㅓ는 한글 자모 중 하나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하늘을 상징하는 'ㆍ'와 사람을 상징하는 'ㅣ'로 구성되어 땅에서 시작하는 음모음의 첫 자로 분류되었다. 1527년 훈몽자회에서 '어'로 명칭되었으며, 현대 한국어 표준 발음은 비원순 후설 반개모음 [ʌ]이다. 문화어에서는 원순 후설 반개 모음 [ɔ]로 발음되며,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새로운 모음을 생성한다. 유니코드에서는 U+3153으로 표현되며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eo' 또는 'ŏ'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낱자 -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기본 정보
문화어oir
종류홀소리
획수2
음성 정보
표준 발음 (어두)[[파일:Open-mid back unrounded vowel.ogg|150px]]
표준 발음 (어중)표준 발음 (어두)와 동일
중세 국어/방언 발음[[파일:Mid-central_vowel.ogg|150px]]
방언 발음[[파일:Open-mid back rounded vowel.ogg|150px]]
설명
자원(이) 왼쪽에 (아래아)를 추가
훈몽자회
발음 (표준어){IPA|[ ʌ ]}
발음 (방언, 중세 국어){IPA|[ ə ]}
발음 (방언){IPA|[ ɔ ]}

2. 역사

'ㅓ'는 훈민정음의 중성자 중 하나로, 하늘을 상징하는 ''와 사람을 상징하는 ''가 결합된 글자이다. ''가 안쪽에 있어 땅에서 시작하는 음모음의 첫 글자로 분류된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서문에서 "如業字中聲"으로 규정하였다.

1527년에 편찬된 훈몽자회에서는 '어'(於)라고 불렀다.

2. 1. 훈민정음과 ㅓ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하늘을 상징하는 와 사람을 상징하는 로 구성되며, 하늘을 나타내는 가 내부에 위치하여 땅에서 시작하는 음모음의 첫 자로 분류된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서문에서 "如業字中聲"으로 규정하였다.[1]

그 명칭은 『훈몽자회』(1527년)에서 '어'(어, 於)로 불렸다.[1]

2. 2. 훈몽자회와 명칭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하늘을 상징하는 와 사람을 상징하는 로 구성되며, 하늘을 나타내는 가 내부에 위치하여 땅에서 시작하는 음모음의 첫 자로 분류된다. 세종 서문에서는 "如業字中聲"으로 규정되어 있다.[1]

1527년에 편찬된 훈몽자회에서는 '어'(於)로 불렸다.[1]

3. 소리값

'ㅓ'의 음소는 (문화어에서는 )이며, 비원순의 후설 모음으로 반개 모음과 개모음의 중간 정도의 소리로 발음된다. 북한에서의 "ㅓ" 발음은 한국인에게 ""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다[6]

외래어 음역에는 나 가 사용된다. 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가 사용된다.

3. 1. 표준 발음

현대 한국어 표준어에서 'ㅓ'는 비원순 후설 반개모음로 소리 난다. 이는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지 않고 혀의 뒤쪽을 들어 올려 발음하는 모음이다. 장모음에서는 비원순 중설 반폐모음의 약간 후설에 가깝게 발음된다.[6]

3. 2. 방언과 문화어 발음

중기 한국어나 일부 방언에서는 ㅓ가 중성 중설 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문화어에서는 ㅓ를 원순 후설 반개 모음(--|]])으로 발음한다. 이 때문에 남한 사람들에게는 와 유사하게 들릴 수 있다[6].

3. 3. 장모음 발음

장모음에서는 비원순 중설 반폐모음()에 가까운 소리가 난다.

4. 글자 형태

'ㅓ'는 한글모음 중 하나로, 21개의 단모음 중 15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입을 조금 벌리고 혀를 뒤로 당겨서 내는 소리이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엄밀 전사로는 [ʌ], 간략 전사로는 [ɔ]로 표기한다.

4. 1. 획순

ㅓ의 필순


위에서 아래로 세로획을 먼저 긋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짧은 가로획을 긋는 순서로 쓴다. (총 2획)

4. 2. 합자

와 합쳐져서 (ㅓ|eo한국어 + ㅣ|i한국어)를 만든다.

와 합쳐져서 (ㅜ|u한국어 + ㅓ|eo한국어)를 만든다.

, ㅓ, 가 합쳐져서 ㅞ(ㅜ|u한국어 + ㅓ|eo한국어 + ㅣ|i한국어)를 만든다.

5. 컴퓨터 처리

'ㅓ'는 유니코드를 통해 컴퓨터에서 처리된다. 유니코드는 'ㅓ'에 대해 단독 사용과 중성 사용에 따라 다른 코드를 부여한다.

5. 1.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의 문자 코드
이름종류코드HTML 실체 참조 코드표시
HANGUL LETTER EO단독U+3153
HANGUL JUNGSEONG EO중성용U+1165


6. 로마자 표기법

문화관광부 2000년식에서는 '''eo'''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ŏ'''로 표기된다.

삼성(Samsung), 이병헌(Lee Byung-hun) 등과 같이 기업명, 인명, 단체명 등에서는 '''u'''로 표기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Korean https://www.omniglot[...] Omniglot 2021-10-20
[3] 웹사이트 Script and pronunciation https://wiki.ucl.a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10-20
[4] 서적 The Sounds of Kor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ㅓ https://encykorea.ak[...] 2024-02-26
[6] 웹사이트 남녘말 북녘말 {{!}}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https://www.gyeorema[...] 2022-07-09
[7] 서적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 - 조선어 어음 전사법 https://upload.wikim[...]
[8] 서적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