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계 소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계 소득은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소득으로, 임금, 자영업 소득, 연금, 금융 투자 소득 등에서 세금, 사회 보험료 등을 제외한 금액을 의미하며, 현물 사회 이전도 포함한다. OECD는 1인당 가구 총처분가능소득(현물 사회 이전 포함) 및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 관련 통계를 발표하며, 구매력 평가(PPP)를 기준으로 국가 간 소득 수준을 비교한다. 2004년부터 2022년까지 OECD 회원국의 1인당 순조정 가처분 소득은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경제 위기 시기에는 소득 감소가 나타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시경제 지표 - 경제성장
    경제성장은 한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서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로 측정되며, 노동, 자본, 기술 발전, 특히 총요소생산성 향상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환경 문제, 자원 고갈, 소득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 포용적 성장, 녹색 GDP 등의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 거시경제 지표 - 국민총행복지수
    국민총행복지수(GNH)는 부탄에서 제안된 개념으로, 국민의 행복을 중시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 환경 보호, 문화 보존, 훌륭한 거버넌스 등을 포함한 9가지 영역을 측정하여 정책 결정에 활용하지만, 행복의 주관성과 국제 비교의 어려움 등의 한계도 지적받는다.
가계 소득
경제 지표
명칭가처분 가계 소득
정의가계가 자유롭게 소비나 저축을 할 수 있는 소득
계산 방법
계산식개인 소득 - 개인 소득세 - 사회 보험료
설명개인 소득에서 세금과 사회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을 의미함. 가계의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됨.
활용
활용 예시소비 지출 분석
저축률 분석
가계 재무 건전성 평가
경제 분석가계의 소비 여력을 측정하여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데 사용됨.
정책 결정정부의 경제 정책 효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됨.
관련 지표
관련 지표개인 소득
개인 소득세
사회 보험료
국민 총소득
국민 가처분 소득
중요성
경제적 중요성가계의 생활 수준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국가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임.

2. OECD 국가별 1인당 가구 총처분가능소득 (현물 사회 이전 포함)

OECD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구 총처분가능소득은 임금, 급여, 자영업 소득, 연금 및 기타 사회적 혜택, 금융 투자 소득 등을 모두 포함하며, 세금, 사회 보험료, 금융 부채 이자 지불 등은 제외한 금액이다. '총'은 감가상각비를 차감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현물 사회 이전은 정부 및 비영리 단체가 무상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는 건강, 교육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1]

아래 표는 OECD 국가별 1인당 가구 총처분가능소득(현물 사회 이전 포함)을 구매력 평가(PPP)로 표시한 것이다.

1인당 가구 처분 가능 소득 (현물 사회 이전 포함)
위치2022* (USD PPP)[1]
미국62,300 (2021)
룩셈부르크59,700
스위스52,000
독일51,600
오스트리아50,200
네덜란드48,800
노르웨이47,700 (2021)
벨기에47,400
오스트레일리아46,800 (2021)
프랑스46,400
스웨덴43,900
핀란드43,600
캐나다43,600
덴마크42,800
유럽 연합41,500
영국40,800
이탈리아40,400
아일랜드38,300
슬로베니아36,600
리투아니아36,300
체코35,600
스페인34,500
포르투갈34,500
일본33,900 (2021)
대한민국32,700
폴란드32,200
뉴질랜드31,900 (2019)
헝가리29,800
슬로바키아29,500
에스토니아29,200
라트비아28,600
그리스28,000
칠레23,100 (2021)
러시아20,600 (2019)
멕시코20,500
코스타리카17,900 (2021)



* 수치는 가장 가까운 백 단위로 반올림되었으며, 2022년 데이터가 없는 경우 2021, 2020 또는 2019년 수치가 표시된다.

2. 1. 현재 (2022년 기준)

OECD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또는 가장 최근 데이터를 기준으로 구매력 평가(PPP)를 적용한 1인당 가구 총처분가능소득(현물 사회 이전 포함)은 다음과 같다.[1]

1인당 가구 총처분가능소득 (현물 사회 이전 포함)
국가2022* (USD PPP)
United States|미국영어62,300 (2021)
Luxemburg|룩셈부르크de59,700
Schweiz|스위스de52,000
Deutschland|독일de51,600
Österreich|오스트리아de50,200
Nederland|네덜란드nl48,800
Norge|노르웨이no47,700 (2021)
België|벨기에nl47,400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46,800 (2021)
France|프랑스프랑스어46,400
Sverige|스웨덴sv43,900
Suomi|핀란드fi43,600
Canada|캐나다영어43,600
Danmark|덴마크da42,800
European Union|유럽 연합영어41,500
United Kingdom|영국영어40,800
Italia|이탈리아it40,400
Ireland|아일랜드영어38,300
Slovenija|슬로베니아sl36,600
Lietuva|리투아니아lt36,300
Česko|체코cs35,600
España|스페인es34,500
Portugal|포르투갈pt34,500
日本|일본일본어33,900 (2021)
대한민국한국어32,700
Polska|폴란드pl32,200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31,900 (2019)
Magyarország|헝가리hu29,800
Slovensko|슬로바키아sk29,500
Eesti|에스토니아et29,200
Latvija|라트비아lv28,600
Ελλάδα|그리스el28,000
Chile|칠레es23,100 (2021)
Россия|러시아ru20,600 (2019)
México|멕시코es20,500
Costa Rica|코스타리카es17,900 (2021)


  • 수치는 가장 가까운 백 단위로 반올림되었다. 2022년 데이터가 없는 경우 2021, 2020 또는 2019년 수치가 표시된다.


가구 처분 가능 소득은 임금, 급여, 자영업 및 비법인 기업 소득, 연금 및 기타 사회적 혜택, 금융 투자 소득(세금, 사회 보험료, 금융 부채 이자 지불 제외) 등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총'은 감가상각비를 빼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현물 사회 이전(정부 및 비영리 단체가 무상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는 건강 또는 교육 등)도 포함된다.[1]

2. 2. 과거 추이


3.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은 가처분 소득중앙값을 가구 규모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균등화한 값이다.[3][4] 이는 가구 구성원들이 주거를 공유하며 생활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반영한 것이다.[3][4]

3. 1. OECD 국가별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 (2021년 기준)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은 가처분 소득중앙값을 가구 규모의 제곱근으로 나누어 균등화한 값이다. 제곱근을 사용하는 이유는 주거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일부 생활비를 공유하여 혜택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3][4] 2021년 OECD 각국의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은 구매력 평가(PPP) 기준 미국 달러로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5]

2021년 OECD 국가별 중위 균등화 가처분 소득 (USD PPP 기준)
순위국가소득 (USD)
1Luxembourg|룩셈부르크영어49748USD
2United States|미국영어48625USD
3Norway|노르웨이영어41621USD
4Schweiz|스위스de39698USD
5Canada|캐나다영어39388USD
6Österreich|오스트리아de37715USD
7België|벨기에nl37110USD
8Ísland|아이슬란드is36853USD
9Australia|호주영어36835USD
10Nederland|네덜란드nl35891USD
11Deutschland|독일de35537USD
12Danmark|덴마크da34061USD
13Sverige|스웨덴sv33472USD
14New Zealand|뉴질랜드영어32158USD
15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31882USD
16Ireland|아일랜드영어31392USD
17Suomi|핀란드fi30727USD
18France|프랑스프랑스어30622USD
19Slovenija|슬로베니아sl28698USD
20Italia|이탈리아it27949USD
21United Kingdom|영국영어26884USD
22España|스페인es26630USD
23Eesti|에스토니아et26075USD
24Polska|폴란드pl24264USD
25Česko|체코cs23802USD
26ישראל|이스라엘he21366USD
27日本|일본일본어21282USD
28Lietuva|리투아니아lt20856USD
29Latvija|라트비아lv19908USD
30Hrvatska|크로아티아hr19680USD
31Portugal|포르투갈pt19147USD
32Ελλάδα|그리스el16774USD
33Slovensko|슬로바키아sk16410USD
34Magyarország|헝가리hu15361USD
35România|루마니아ro15898USD
36България|불가리아bg14990USD
37Türkiye|튀르키예tr10341USD
38Chile|칠레es10101USD
39Costa Rica|코스타리카es8915USD
40México|멕시코es6090USD
41South Africa|남아프리카 공화국영어6068USD


4. 대한민국 가처분 소득 분석 및 정책 제언

대한민국은 OECD 평균에 비해 가처분 소득 수준이 낮으며, 특히 중위 소득 또한 낮아 소득 불평등 문제가 심각함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ousehold accounts - Household disposable income - OECD Data https://data-explore[...]
[2] 웹사이트 Current well-being https://data-explore[...] 2024-03-01
[3] 웹사이트 Income Distribution Database https://stats.oecd.o[...]
[4] 웹사이트 OECD Data Explorer, Income distribution database, Median, Disposable Income https://data-explore[...]
[5] 서적 Society at a Glance 2024: OECD Social Indicators, Figure 4.1 Median income varies by a factor eight across OECD countries https://www.oecd.org[...] OECD 2024-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