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변광속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변광속 이론(VSL)은 빛의 속도(c)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가설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 내에서 빛의 속도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로버트 딕은 1957년 중력 이론을 통해 VSL을 제안했다. 이후 여러 과학자들이 VSL 우주론적 모델을 제안하여 우주론의 지평선 문제를 해결하고 우주 급팽창의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편, VSL 개념은 차원 물리량의 변화가 단위 선택의 문제일 뿐이라는 비판과, 현대 물리학의 많은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 - 효율적 시장 가설
효율적 시장 가설은 자산 가격이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반영하며, 시장 참여자들이 초과 수익을 얻기 어렵다는 이론으로, 시장 효율성은 정보 반영 정도에 따라 약형, 준강형, 강형으로 분류된다. - 가설 - 왕조교체설
왕조교체설은 일본 역사학자들이 《고사기》와 《일본서기》 분석을 통해 일본 왕실 계보에 왕조 교체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학설로, 미즈노 유의 주장을 기반으로 여러 학자들의 논쟁을 거치며 일본 고대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나 증거 부족 비판도 있다. - 특수 상대성이론 - 상대론적 양자화학
상대론적 양자화학은 상대성이론을 적용하여 원자와 분자의 구조 및 성질을 연구하는 화학 분야로, 특히 무거운 원소에서 전자의 속도가 빨라 상대론적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원자 크기, 결합 에너지, 스펙트럼 등에 영향을 미치며, 금의 색, 수은의 낮은 녹는점 등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요하다. - 특수 상대성이론 - 동시성의 상대성
동시성의 상대성은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기준계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사건의 시간 판단이 달라지는 현상으로,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절대적인 동시성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핵심 개념이다.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가변광속 이론 | |
---|---|
개요 | |
다른 이름 | |
영어 | Variable Speed of Light (VSL) |
일본어 | 光速変動理論 (Kōsoku hendō riron) |
주요 내용 | |
핵심 개념 | 빛의 속도가 변할 수 있다는 가설 |
기존 이론과의 충돌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모순될 수 있음 |
대안적 설명 | 우주의 초기 상태, 블랙홀 내부 등 극단적인 조건 하에서 빛의 속도 변화 가능성 제시 |
지지 및 비판 | |
지지 의견 | 일부 우주론 연구자들이 초기 우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 |
비판 의견 | 실험적 증거 부족, 기존 물리학 이론과의 불일치 |
관련 인물 | |
주요 제안자 | 주앙 마게이주 존 모펫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kotobank의 광속도 불변의 원리 설명 (일본어) livedoor news의 광속 가변 이론 관련 기사 (일본어) |
2. 역사적 제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빛의 속도가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39] 막스 보른은 중력장에서 빛의 속도가 변한다고 주장했고,[40] 피터 버그만은 평평한 공간에서 멀리 있는 관찰자는 속도의 명백한 변화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1921년 아인슈타인은 가변 광속이라는 주제를 도입하고, 빛의 속도 변화가 벡터 방향이 아니라 스칼라 크기임을 보여주었다.[42]
1957년 로버트 딕은 빛의 속도가 변할 수 있는 가변 광속(VSL) 중력 이론을 제시했다.[43] 딕은 빛의 주파수와 파장이 모두 변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굴절률을 통해 빛의 편향 관측값과 일치하는 이론을 만들었다. 그는 또한 ''c''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우주론을 고려하여 우주론적 적색편이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했다.[43]
이후 딕의 모델을 포함하여 일반 상대성 이론의 시험과 일치하는 여러 가변광속(VSL) 모델이 개발되었다.[44] 장 피에르 프티,[52] 존 모팻,[53] 안드레아스 알브레히트와 조앙 마게이조 팀[54]은 가변광속을 이용한 우주론적 모델을 제안하여 우주론의 지평선 문제를 해결하고 우주 급팽창 이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51]
2. 1.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해석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되는 아인슈타인의 등가 원리는 임의의 국부적으로 자유롭게 떨어지는 기준 좌표계에서 빛의 속도는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34][35] 그러나 이것은 관성 관찰자가 먼 지역에서 빛의 겉보기 속력을 추론하여 다른 값을 계산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멀리 있는 관찰자의 시간 기준에 대해 측정된 중력 포텐셜에서 빛의 속도의 공간적 변화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암시적으로 존재한다.[36] 겉보기 광속은 중력장에서 변할 것이고, 특히 멀리 있는 관찰자가 볼 때 사건의 지평선에서 0이 된다.[37]리처드 톨만은 중력장에서 빛의 반경 방향 속도를 ''dr'' / ''dt'' 로 표현했다.[38]
:
여기서 ''m'' 은 ''MG'' / ''c'' 2 이고 자연 단위는 ''c'' 0 이 1과 같도록 사용된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광선의 곡률은 빛의 전파 속도가 위치에 따라 변할 때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39] 막스 보른은 중력장에서 빛의 속도가 변한다고 주장했고,[40] 피터 버그만은 사용된 계산과 동일한 중력에서 측정할 때 방향만 변할 뿐 속도는 변하지 않는 반면 평평한 공간에서 멀리 있는 관찰자는 속도의 명백한 변화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1921년 아인슈타인의 프린스턴 강의에서 가변 광속이라는 주제가 도입되고 개발되었으며, 그는 빛의 속도 변화가 벡터 방향이 아니라 스칼라 크기임을 보여주었다.[42] 그는 수성의 근일점 이동을 예시로 제시했다.
2. 2. 딕(Dicke)의 제안(1957)
로버트 딕은 1957년 빛의 속도가 변할 수 있는 가변 광속(VSL) 중력 이론을 개발했다.[43] 딕은 빛의 주파수와 파장이 모두 변할 수 있다고 가정했는데, 이는 (는 주파수, 는 파장)이므로 빛의 속도 ''c''의 상대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딕은 굴절률 (식. 5)를 가정하였는데, 이는 빛의 편향에 대한 관측값과 일치함을 보였다. 마흐의 원리와 관련된 논평에서 딕은 식 5에서 우변은 작은 값이지만, 좌변의 1은 "우주의 나머지 물질에서 그 기원"을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지평선이 커지는 우주에서 점점 더 많은 질량이 위의 굴절률에 기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딕은 ''c''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우주론을 고려하여 우주 론적 적색편이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했다.[43]
2. 3. 후속 제안
딕의 모델을 포함하여 일반 상대성 이론의 알려진 모든 시험과 일치하는 여러 가지 가변광속(VSL) 모델이 개발되었다.[44] 다른 모델에서는 등가 원리를 명확하게 하거나,[45] 디랙의 큰 숫자 가설과 연결 고리를 만든다고 주장한다.[46]장 피에르 프티,[52] 존 모팻,[53] 안드레아스 알브레히트와 조앙 마게이조 팀[54]은 각각 1988년, 1992년, 1998년에 독립적으로 가변광속을 이용한 여러 우주론적 모델[51]을 제안했다. 이들은 우주론의 지평선 문제를 해결하고 우주 급팽창 이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3. 다른 상수 및 그 변형과의 관계
폴 디랙은 1937년에 자연 상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결과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55] 그는 중력 상수 ''G''가 1년에 1011분의 5만큼 변한다는 디랙 큰 숫자 가설을 제안했다. 그러나 리처드 파인만은 지질학적 및 태양계 관측을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 가능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56]
미세 구조 상수[19]의 변화에 대해서는, 멀리 떨어진 퀘이사를 연구한 결과 105분의 1 수준의 변화가 감지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다른 퀘이사 연구에서는 이를 반박하는 결과가 나왔다.[20][21][22] 오클로의 자연 원자로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과거 20억 년 동안 미세 구조 상수 ''α'' 값이 오늘날과 거의 동일했다는 결론을 내렸다.[23][24]
폴 데이비스 등은 미세 구조 상수를 구성하는 차원 상수(기본 전하, 플랑크 상수, 빛의 속도) 중 어떤 것이 변동의 원인인지 구별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나, 이에 대한 반론도 제기되었다.[25][26][27]
3. 1. 중력 상수 ''G''
폴 디랙은 1937년에 자연 상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결과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55] 디랙은 다른 기본적인 힘에 비해 중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중력 상수 ''G''가 1년에 1011분의 5만큼 변한다고 제안했다. 이것은 디랙 큰 숫자 가설로 알려지게 되었다.그러나 리처드 파인만은[56] 지질학적 및 태양계 관측을 바탕으로 중력 상수가 지난 40억 년 동안 이만큼 많이 변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G''가 독립적으로 변한다는 가정에 달려 있을 수 있다. (강한 등가원리 참조)
3. 2. 미세 구조 상수 ''α''
한 연구팀은 멀리 떨어진 퀘이사를 연구하여 미세 구조 상수[19]가 105분의 1 수준으로 변화했음을 감지했다고 주장했다. 다른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에 이의를 제기한다. 퀘이사를 연구하는 다른 그룹들은 훨씬 더 높은 민감도에서도 감지 가능한 변화가 없다고 주장한다.[20][21][22]오클로의 자연 원자로는 지난 20억 년 동안 원자 미세 구조 상수 ''α''가 변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 이유는 ''α''가 다양한 핵 반응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49사마륨은 중성자를 포획하여 150사마륨가 되며, 중성자 포획 속도는 ''α''의 값에 따라 달라지므로, 오클로의 샘플에서 두 사마륨 동위원소의 비율을 사용하여 20억 년 전의 ''α''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 오클로에 남겨진 방사성 동위원소의 상대적 농도를 분석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당시의 핵 반응이 오늘날과 거의 동일했으며, 이는 ''α''도 동일했음을 의미한다고 결론지었다.[23][24]
폴 데이비스와 동료들은 미세 구조 상수를 구성하는 차원 상수(기본 전하, 플랑크 상수, 빛의 속도) 중 어떤 것이 변동의 원인인지 원칙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제안했다.[25] 그러나 이에 대해 다른 사람들은 이의를 제기했으며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6][27]
4. 다양한 VSL 개념에 대한 비판
존 배로는 미세 구조 상수(α)와 같이 차원이 없는 수량이 세계를 정의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빛의 속도가 느려진 세상을 가정하는 것은 실수라고 지적했다. `c`(빛의 속력), `h`(플랑크 상수), `e`(기본 전하)가 모두 변하여 미터법 단위의 값이 달라지더라도 `α`의 값이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이 새로운 세상은 우리 세상과 관측상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것은 자연의 무차원 상수의 값이라고 강조한다.[66][28]
모든 물리 법칙 방정식은 모든 차원량을 같은 차원의 양에 대해 정규화(무차원화)하여 무차원 양만 남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물리학자들은 물리 상수인 빛의 속력(`c`), 중력 상수(`G`), 플랑크 상수(`ħ= h /(2π)`), 4π ε0 및 볼츠만 상수(`k` B)의 값이 1이 되도록 단위를 선택하여 모든 물리량을 대응하는 플랑크 단위에 대해 정규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원량의 변화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67][29]
플랑크 단위를 사용하고 물리 법칙 방정식을 무차원화된 형태로 표현하면 `c`, `G`, `ħ`, `ε`0, `k`B와 같은 차원 물리 상수는 사라지고 무차원 양만 남게 된다. 인체 측정 단위의 종속성이 없어지면, 빛의 속도, 중력 상수, 플랑크 상수와 같이 가변적인 물리량은 수학적 표현에 남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중력 상수 `G`가 변한다고 가정할 때, 잠재적으로 변하는 관련 무차원 양은 기본 입자의 질량에 대한 플랑크 질량의 비율이 된다. 빛의 속도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무차원 양(특히 미세 구조 상수 또는 양성자 대 전자 질량 비율)은 유의미한 변동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68][29]
조지 엘리스는 가변 `c`가 상수 `c`에 의존하는 현재 시스템을 대체하려면 현대 물리학의 많은 부분을 다시 작성해야 한다고 우려했다.[69] 엘리스는 모든 가변 `c` 이론에서 (1) 거리 측정을 재정의, (2)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미터법 텐서에 대한 대체 표현 제공, (3) 로렌츠 불변성과 모순, (4) 맥스웰의 방정식 수정, (5) 다른 모든 물리학 이론과 일관성 유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VSL 우주론은 주류 물리학의 외부에 있다.
4. 1. 무차원 및 차원 수량
존 배로는 미세 구조 상수(''α'')와 같이 차원이 없는 수량이 세계를 정의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α''는 기본 전하(''e''), 빛의 속력(''c''), 플랑크 상수(''h'')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순수한 숫자이다. 그는 빛의 속도가 느려진 세상을 가정하는 것은 실수라고 지적했다. ''c'', ''h'', ''e''가 모두 변하여 미터법 단위의 값이 달라지더라도 ''α''의 값이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이 새로운 세상은 우리 세상과 관측상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것은 자연의 무차원 상수의 값이라고 강조한다.[66][28]모든 물리 법칙 방정식은 모든 차원량을 같은 차원의 양에 대해 정규화(무차원화)하여 무차원 양만 남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물리학자들은 물리 상수인 빛의 속력(''c''), 중력 상수(''G''), 플랑크 상수(''ħ= h /(2π)''), 4π ε0 및 볼츠만 상수(''k'' B)의 값이 1이 되도록 단위를 선택하여 모든 물리량을 대응하는 플랑크 단위에 대해 정규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원량의 변화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67][29]
플랑크 단위를 사용하고 물리 법칙 방정식을 무차원화된 형태로 표현하면 ''c'', ''G'', ''ħ'', ''ε'' 0, ''k'' B와 같은 차원 물리 상수는 사라지고 무차원 양만 남게 된다. 인체 측정 단위의 종속성이 없어지면, 빛의 속도, 중력 상수, 플랑크 상수와 같이 가변적인 물리량은 수학적 표현에 남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중력 상수 ''G''가 변한다고 가정할 때, 잠재적으로 변하는 관련 무차원 양은 기본 입자의 질량에 대한 플랑크 질량의 비율이 된다. 빛의 속도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무차원 양(특히 미세 구조 상수 또는 양성자 대 전자 질량 비율)은 유의미한 변동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68][29]
4. 2. 가변 ''C'' 우주론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
일반적인 관점에서 조지 엘리스는 가변 ''c''가 상수 ''c''에 의존하는 현재 시스템을 대체하려면 현대 물리학의 많은 부분을 다시 작성해야 한다고 우려했다.[69] 엘리스는 모든 가변 ''c'' 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했다. (1) 거리 측정을 재정의해야 한다. (2)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미터법 텐서에 대한 대체 표현을 제공해야 한다. (3) 로렌츠 불변성과 모순될 수 있다. (4) 맥스웰의 방정식을 수정해야 한다. (5) 다른 모든 물리학 이론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VSL 우주론은 주류 물리학의 외부에 있다.참조
[1]
서적
Theory and Experiment in Gravitational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9-30
[2]
서적
Gravit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10-03
[3]
서적
Gravitation and Cosmology
https://archive.org/[...]
Wiley
[4]
서적
The Riddle of Gravitation
https://archive.org/[...]
Dover
1992
[5]
서적
Relativity Cosmology and Thermodynamics
Oxford
1958
[6]
서적
Curvature of Space and Time, with an Introduction to Geometric Analysi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0
[7]
간행물
Gravitation without a Principle of Equivalence
[8]
간행물
A Spatially-VSL Gravity Model with 1-PN Limit of GRT
[9]
간행물
A look at the abandoned contributions to cosmology of Dirac, Sciama, and Dicke
[10]
간행물
A Derivation of Hubble
https://www.airitili[...]
[11]
간행물
Empirical evidences in favor of a varying-speed-of-light
[12]
간행물
New varying speed of light theories
[13]
간행물
Cosmologies with varying light-speed
[14]
간행물
An interpretation of cosmological model with variable light velocity
http://www.januscosm[...]
[15]
간행물
Superluminary Universe: A Possible Solution to the Initial Value Problem in Cosmology
[16]
간행물
A time varying speed of light as a solution to cosmological puzzles
[17]
간행물
A New Basis for Cosmology
[18]
서적
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Addison Wesley Longman
[19]
간행물
Further Evidence for Cosmological Evolution of the Fine Structure Constant
[20]
간행물
Probing the cosmological variation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results based on VLT-UVES sample
[21]
간행물
Limits on the time variation of the electromagnetic ne-structure constant in the low energy limit from absorption lines in the spectra of distant quasars
[22]
간행물
VLT/UVES constraints on the cosmological variability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23]
간행물
Natural nuclear reactor at Oklo and 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Computation of neutronics of a fresh core
[24]
간행물
Reappraisal of the limit on the variation in α implied by the Oklo natural fission reactors
2015
[25]
간행물
Cosmology: Black holes constrain varying constants
[26]
ArXiv
Comment on time-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27]
간행물
Black holes may not constrain varying constants
[28]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From Alpha to Omega – The Numbers that Encode the Deepest Secrets of the Universe
Pantheon Books, New York
[29]
간행물
The fundamental constants and their variation: Observational status and theoretical motivations
[30]
간행물
Note on Varying Speed of Light Cosmologies
2007-04
[31]
간행물
c is the speed of light, isn't it?
http://aapt.scitatio[...]
2005-03
[32]
웹사이트
光速度不変の原理 こうそくどふへんのげんり principle of constancy of light velocity
https://kotobank.jp/[...]
2022-09-03
[33]
웹사이트
かつて光は光速よりも速かった説を証明するかもしれない数値「0.96478」。光速変動理論の先駆者が発見
https://news.livedoo[...]
2022-09-03
[34]
서적
Theory and Experiment in Gravitational Physics
https://books.google[...]
[35]
서적
Gravitation
https://books.google[...]
[36]
서적
Gravitation and Cosmology
https://archive.org/[...]
Wiley
1972
[37]
서적
The Riddle of Gravitation
https://archive.org/[...]
Dover
1992
[38]
서적
Relativity Cosmology and Thermodynamics
Oxford
1958
[39]
서적
Relativity The Special And The General Theory
https://archive.org/[...]
Bonanza
1961
[40]
서적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https://archive.org/[...]
Dover
1965
[41]
서적
The Riddle Of Gravitation
https://archive.org/[...]
Dover
1992
[42]
서적
The Meaning of Relativity
Barnes & Noble - MJF
1997
[43]
저널
Gravitation without a Principle of Equivalence
1957
[44]
저널
A Spatially-VSL Gravity Model with 1-PN Limit of GRT
2008
[45]
저널
Space Isotropy and Weak Equivalence Principle in a Scalar Theory of Gravity
2006
[46]
저널
A look at the abandoned contributions to cosmology of Dirac, Sciama, and Dicke
2009
[47]
저널
A Derivation of Hubble.
https://www.airitili[...]
1986
[48]
ArXiv
A simple varying-speed-of-light hypothesis is enough for explaining high-redshift supernovae data
[49]
저널
Empirical evidences in favor of a varying-speed-of-light
2009
[50]
저널
New varying speed of light theories
2003
[51]
저널
Cosmologies with varying light-speed
1998
[52]
저널
An interpretation of cosmological model with variable light velocity
http://www.januscosm[...]
1988
[53]
저널
Superluminary Universe: A Possible Solution to the Initial Value Problem in Cosmology
1993
[54]
저널
A time varying speed of light as a solution to cosmological puzzles
1999
[55]
저널
A New Basis for Cosmology
1938
[56]
서적
Lectures on Physics
Addison Wesley Longman
1970
[57]
저널
Further Evidence for Cosmological Evolution of the Fine Structure Constant
2001
[58]
저널
Probing the cosmological variation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results based on VLT-UVES sample
2004
[59]
저널
Limits on the time variation of the electromagnetic ne-structure constant in the low energy limit from absorption lines in the spectra of distant quasars
2004
[60]
저널
VLT/UVES constraints on the cosmological variability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2005
[61]
저널
Natural nuclear reactor at Oklo and 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Computation of neutronics of a fresh core
2006
[62]
저널
Reappraisal of the limit on the variation in ''α'' implied by the Oklo natural fission reactors
2015-01-01
[63]
저널
Cosmology: Black holes constrain varying constants
2002
[64]
ArXiv
Comment on time-variation of fundamental constants
[65]
저널
Black holes may not constrain varying constants
[66]
서적
The Constants of Nature; From Alpha to Omega – The Numbers that Encode the Deepest Secrets of the Universe
Pantheon Books, New York
2002
[67]
저널
The fundamental constants and their variation: Observational status and theoretical motivations
2003
[68]
문서
ibid
[69]
저널
Note on Varying Speed of Light Cosmologies
https://archive.org/[...]
2007-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