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의 주모자 중 한 명이다. 그는 퀘스토르, 프로퀘스토르 등을 역임하며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고,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했다. 카이사르 암살 이후 브루투스와 함께 공화정을 수호하려 했으나, 필리피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그는 "마지막 로마인"으로 칭송받기도 했지만, 단테의 《신곡》에서는 배신자로 묘사되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하며,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카시우스는 기원전 53년 재무관으로서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다. 카르헤 전투에서 로마군이 대패했지만, 카시우스는 잔병을 수습하여 시리아 속주를 방어하고 파르티아의 침공을 막았다.[8] 기원전 52년부터는 프로퀘스토르(재무관 대리)로서 시리아 속주를 지키며 유대인의 반란을 진압했고, 기원전 51년에는 안티오키아 근처에서 파르티아 군을 격파했다.[12]
카시우스는 젊은 시절 아카데미에 속해 있었으나, 기원전 48년에서 45년 사이 에피쿠로스가 창시한 에피쿠로스 학파로 전향했다.[23][24] 그는 쾌락과 평온함이 미덕, 정의, 선을 통해 얻어진다고 믿었으며, 폭정은 이러한 에피쿠로스주의적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31]
2. 생애
기원전 49년 로마 내전에서 카시우스는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의 원로원파에 가담하여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대항했다.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가 패배한 후 카이사르는 항복 후 용서를 받았다. 기원전 44년 외국인 담당 프라에토르(법무관)에 임명되었으며, 동료 수도 법무관은 브루투스였다.
카시우스는 브루투스와 함께 카이사르 암살을 계획하고 주도했다. 실무는 카시우스가, 암살의 정당성 확보와 지지 확보는 브루투스가 맡았다. 카시우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도 함께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브루투스는 반대했다.
기원전 44년 카이사르 암살 후, 로마 정세는 암살자들의 의도와는 다르게 흘러갔다. 카시우스는 시리아 속주로 떠나 카이사르파였던 돌라벨라를 제거하고 군대를 정비했다. 이후 브루투스와 합류하여 카이사르파에 대항하여 세금을 거두는 등 반격을 준비했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옥타비아누스의 제2차 삼두정치는 로마의 권력을 장악하고 공화파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는 필리피 전투에서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군과 맞섰다. 카시우스는 안토니우스에게, 브루투스는 옥타비아누스에게 각각 맞섰는데, 브루투스는 옥타비아누스 군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카시우스는 안토니우스 군에게 밀렸다. 카시우스는 자신의 군대가 완전히 패배했다고 오해하고 자결했다. 이후 벌어진 전투에서 공화파는 완패했고, 브루투스도 자살했다.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는 "참주 카이사르" 암살 주모자로 오랫동안 명성을 떨쳤다. 제정 시대에는 카시우스를 "마지막 로마인"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카이사르를 영웅으로 생각했던 단테 알리기에리는 《신곡》에서 카시우스와 브루투스, 유다 이스카리옷을 함께 지옥의 가장 아래층에 배치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카시우스는 기원전 6세기부터 로마에서 명성을 떨친 카시아 씨족 출신이다. 어릴 적부터 독재자를 싫어하는 성향을 보였는데, 독재자 술라의 아들과 싸운 일화가 전해진다.[8] 로도스에서 아르켈라오스에게 철학을 배워 그리스어에 능통했다.[9] 그는 세르빌리아의 딸이자 브루투스의 이복 누이인 유니아 테르티아와 결혼했고, 기원전 60년경에 아들을 얻었다.[10]
기원전 53년, 카시우스는 제1차 삼두 정치의 일원인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파르티아 원정에 재무관으로 참전했다. 카르하이 전투에서 로마군이 대패하자, 남은 병력을 이끌고 시리아로 퇴각하여 방어에 성공했다.[11]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크라수스가 카시우스의 조언을 따랐다면 패배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기원전 52년부터 카시우스는 프로퀘스토르로서 시리아 속주를 방어하며 유대인의 반란을 진압했고, 기원전 51년에는 안티오키아 근교에서 파르티아 군을 격파했다.[12]
2. 2. 카이사르 내전
기원전 49년, 카이사르 내전이 발발하자 카시우스는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원로원파에 가담했다.[13] 기원전 48년 시칠리아에서 카이사르 해군을 공격하여 상당 부분을 불태우는 등 함대를 지휘하며 활약했으나,[13] 이탈리아 해안에서 선박들을 괴롭히다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가 패배하자[14] 폰토스 왕국의 왕 파르나케스 2세와 동맹을 맺기 위해 헬레스폰트 해협으로 향하던 중 카이사르에게 따라잡혀 무조건 항복해야 했다.[14]
카이사르는 카시우스를 군단장으로 임명하여 알렉산드리아 전쟁에서 파르나케스를 상대로 싸우게 했다.[14] 그러나 카시우스는 아프리카에서 카토와 시피오를 상대로 싸우는 것을 거부하고 로마로 돌아왔다.[15]
2. 3. 카이사르 암살
기원전 44년, 카시우스는 내전이 끝난 후 자신의 처남인 브루투스와 함께 카이사르 암살을 계획하고 주도했다.[38] 카시우스는 크라수스를 배신한 전력 때문에 카이사르가 자신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는 암살 계획에 브루투스를 끌어들였는데, 브루투스는 사람들의 신임을 받는 인물이었다.[16]
카시우스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도 함께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브루투스는 카이사르 이외의 로마 시민의 피를 흘리는 것을 원치 않아 이를 반대했다.[18]
3월 15일, 카시우스는 다른 암살자들과 함께 원로원 회의장에 들어오는 카이사르를 암살했다. 카시우스는 직접 카이사르의 가슴을 찔렀다고 전해진다.[17]
2. 4. 암살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 암살 이후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하고 암살자들과 타협했지만, 카시우스는 성난 민중을 피해 시리아 속주 총독 자격으로 로마를 떠나 망명 생활을 했다.[19]
로마에서는 옥타비아누스가 카이사르의 후계자로 부상하고, 안토니우스, 레피두스와 함께 제2차 삼두정치를 결성하여 카이사르 암살파에 대한 복수를 시작했다. 카시우스는 시리아에서 군사를 모아 트라키아로 진격하여 브루투스와 합류, 그리스에서 안토니우스-옥타비아누스 군과 맞서 싸울 준비를 했다.[19]
기원전 42년 10월, 마케도니아 동부 필리피 전투에서 카시우스는 안토니우스에게 패배했다. 브루투스가 옥타비아누스를 상대로 승리했지만, 카시우스는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절망하여 자결했다.[19] 그는 브루투스에 의해 "마지막 로마인"으로 애도되었고 타소스에 묻혔다.[20]
3. 철학
3. 1. 에피쿠로스 학파
카시우스는 젊은 시절 아카데미에 속해 있었으나, 기원전 48년에서 45년 사이 에피쿠로스가 창시한 에피쿠로스 학파로 전향했다.[23][24] 아르날도 모밀리아노는 카시우스의 전향을 로마 에피쿠로스주의 역사에서 "두드러지는 사건"으로 평가하며, 이는 단순한 쾌락 추구가 아니라 폭군을 암살할 철학적 정당성을 제공하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보았다.[25]
카시우스는 쾌락과 평온함이 미덕, 정의, 선을 통해 얻어진다고 믿었으며, 폭정은 이러한 에피쿠로스주의적 가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31] 그는 에피쿠로스주의적 가치인 '파르헤시아'(parrhesia, 진실을 말함)를 중시했고, 카이사르 신격화는 에피쿠로스주의적 신념에 어긋난다고 여겼다.[31] 그는 키케로에게 보낸 편지에서 "쾌락과 평온함은 미덕, 정의, 선을 통해 얻어진다는 것은 사실이며 칭찬할 만합니다."라고 썼다.[34] 그는 "영웅적 에피쿠로스주의"로 이동하여, 미덕을 적극적인 것으로 보았다.[32]
그러나 전통적인 에피쿠로스주의는 정치에서 물러나 쾌락을 추구하는 입장이었기에, 카시우스의 적극적인 공화정 수호 행동은 모순적인 면이 있었다.[24] 제국 시대에는 정치적 반대의 철학이 스토아주의로 기우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후대 역사가들이 카시우스를 브루투스보다 덜 존경하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32]
4. 평가 및 영향
카시우스는 브루투스와 함께 "참주 살해자"이자 공화정의 수호자로 칭송받았으며, 제정 시대에는 "마지막 로마인"으로 불리기도 했다.[20] 그러나 카이사르를 영웅시했던 단테는 《신곡》에서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를 이스카리옷 유다와 함께 지옥의 가장 깊은 곳에 배치하여 배신자로 묘사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에서 카시우스는 카이사르 암살 음모의 주동자로 등장하며, 그의 복잡한 성격과 정치적 야망이 묘사된다.[21]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 "새벽의 로마"와 드라마 "로마" 등 다양한 작품에서 카시우스의 생애와 카이사르 암살 사건이 다루어지고 있다.
4.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카시우스는 브루투스와 함께 "참주 살해자"이자 공화정의 수호자로 칭송받았으며, 제정 시대에는 "마지막 로마인"으로 불리기도 했다.[20] 그러나 카이사르를 영웅시했던 단테는 《신곡》에서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를 이스카리옷 유다와 함께 지옥의 가장 깊은 곳에 배치하여 배신자로 묘사했다.4. 2. 대중문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에서 카시우스는 카이사르 암살 음모의 주동자로 등장하며, 그의 복잡한 성격과 정치적 야망이 묘사된다.[21]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 "새벽의 로마"와 드라마 "로마" 등 다양한 작품에서 카시우스의 생애와 카이사르 암살 사건이 다루어지고 있다.참조
[1]
서적
The Quaestorship in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
문서
Life of Brutus
https://penelope.uch[...]
[3]
서적
The Rom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Life of Caesar
https://penelope.uch[...]
[5]
웹사이트
De Vita Caesarum
https://penelope.uch[...]
0121
[6]
문서
Inferno: Canto XXXIV
http://www.italianst[...]
[7]
간행물
"Inferno XXXIII: The Past and the Present in Dante's Imagery of Betrayal"
1979
[8]
문서
Brutus
https://penelope.uch[...]
[9]
문서
Civil Wars
https://penelope.uch[...]
[10]
문서
Brutus
https://penelope.uch[...]
[11]
서적
Pompey, Cato, and the Governance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2]
문서
The defeat of Rome, Crassus' Carrhae & the invasion of the East
[13]
문서
Civil War
https://www.perseus.[...]
[14]
웹사이트
Caesar
https://penelope.uch[...]
[15]
문서
Ad Fam.
http://www.attalus.o[...]
0045 BC
[16]
서적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7]
문서
Ad Fam.
http://www.attalus.o[...]
[18]
문서
Brutus
https://penelope.uch[...]
[19]
문서
Life of Brutus
[20]
문서
Life of Brutus
https://penelope.uch[...]
[21]
간행물
"The Ethics of Brutus and Cassius"
1997
[22]
문서
Ad familiares
http://www.attalus.o[...]
[23]
문서
Philosophy, Politics, and Politicians at Rome
Oxford: Clarendon Press
[24]
간행물
review of Science and Politics in the Ancient World by Benjamin Farrington
1941
[25]
간행물
Journal of Roman Studies
1941
[26]
서적
"The Intellectual Developments of the Ciceronian 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문서
Ad fam
http://www.attalus.o[...]
Oxford: Clarendon Press
[28]
문서
Catius#Sources
[29]
서적
Cicero Epistulae ad familiar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문서
Philosophy, Politics, and Politicians at Rome
https://penelope.uch[...]
Oxford: Clarendon Press
[31]
간행물
Journal of Roman Studies
1941
[32]
간행물
Journal of Roman Studies
1941
[33]
문서
prose
[34]
문서
Ad familiares
http://www.attalus.o[...]
[35]
문서
De republica
http://attalus.org/t[...]
[36]
논문
The Ethics of Brutus and Cassius
1997
[37]
논문
The Ethics of Brutus and Cassius
https://www.cambridg[...]
1997-11
[38]
서적
로마인 이야기 제5권:율리우스 카이사르 하
한길사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