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는 스웨덴의 로마 가톨릭 교구로, 1953년 스웨덴 지목구가 교구로 승격되면서 설립되었다. 1521년부터 1550년 사이에 스웨덴과 핀란드의 가톨릭 주교들이 모두 사라진 후, 루터교가 널리 퍼지면서 가톨릭 신자들은 쾰른 주재 교황 대사의 관할을 받게 되었다. 이후 북유럽 전교 대목구와 스웨덴 지목구를 거쳐 스톡홀름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스웨덴 전역을 관할한다. 2019년 기준 122,000명의 신자를 관할하며, 44개의 본당과 13개의 선교 구역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로마 가톨릭교회 - 스톡홀름 피바다
    스톡홀름 피바다는 1520년 크리스티안 2세가 스웨덴 독립 운동가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으로, 스웨덴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스웨덴과 덴마크의 관계를 악화시킨 스웨덴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이다.
  • 195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한국기독교장로회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립된 개신교 장로교 교단으로, 신학적 견해 차이로 분립되어 진보적인 신학 노선을 따르며 사회 참여에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 195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사이언톨로지교
    사이언톨로지교는 1950년대 초 L. 론 허버드가 창시한 종교로, 인간의 정신과 영혼을 다루는 독자적인 교리와 실천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사이비 종교 논란과 불법 행위 등으로 비판받고 있다.
  • 북유럽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레이캬비크 교구
    아이슬란드의 로마 가톨릭 교구인 가톨릭 레이캬비크 교구는 1923년 자치구로 설립되어 1929년 교황 대목구로 승격되었으며, 종교 개혁 이후 쇠퇴했으나 자치구 설립 후 발전하여 현재 교구장은 다비드 라르스 구들욘손 주교이다.
  • 북유럽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오슬로 교구
    가톨릭 오슬로 교구는 노르웨이 오슬로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교구로, 노르웨이 기독교화의 중심지였으나 종교 개혁으로 쇠퇴 후 교황청 대리구를 거쳐 독립 교구로 승격되었고, 정부 보조금 부당 수령 혐의로 기소된 적 있으며, 현재는 베른트 이바르 에이즈비그 주교가 관할하고 있다.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
일반 정보
라틴어 명칭Dioecesis Holmiensis
현지 명칭Stockholms katolska stift (스톡홀름스 카톨스카 스티프트)
관구교황청 직속
면적 (km2)450,000
인구 (2019년 기준)10,290,832
가톨릭 신자 수122,000 (1.2%)
설립일1953년 6월 29일
웹사이트Stockholms katolska stift 공식 웹사이트
교회 정보
교구 형태교구
종파로마 가톨릭교회
전례로마 전례
주교좌 성당성 에리크 대성당
본당 수44
지도자
교구장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추기경
사제 수158
기타
CaritasCaritas 스웨덴

2. 역사

스웨덴 종교 개혁 이후 16세기 중반까지 스웨덴과 당시 스웨덴령이었던 핀란드 지역의 가톨릭 주교직 계승이 중단되었고, 루터교가 확산되면서 가톨릭 교세는 크게 위축되었다.[2]

이후 스웨덴과 북유럽 지역에 남아 있던 소수의 가톨릭 신자들은 쾰른폴란드 주재 교황 대사의 사목 지도를 받다가, 1688년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 편입되었다. 1783년에는 스웨덴 지역을 관할하는 스웨덴 사도 대목구가 스톡홀름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이 대목구는 설립 초기 핀란드노르웨이 일부 지역도 관할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할 구역이 조정되어 해당 지역들은 분리되었다.

1953년 6월 29일,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정식 교구인 스톡홀름 교구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스톡홀름 교구는 스웨덴 전역을 관할하며 43곳의 본당을 두고 있다.

2. 1. 종교 개혁 이전

스웨덴 종교 개혁 이전 스웨덴에는 여러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다. 여기에는 링셰핑 교구, 룬 교구, 시그투나 교구, 스카라 교구, 스트렝네스 교구, 베스테로스 교구, 벡쇼 교구 등이 포함된다. 1550년까지 현재의 핀란드를 포함한 스웨덴 지역의 모든 가톨릭 주교들의 주교직은 종말을 맞이했다.[2] 종교 개혁 이후, 과거 가톨릭 교구였던 곳 대부분은 스웨덴 교회의 일부로 재편되었다.

2. 2. 종교 개혁과 가톨릭 박해

스웨덴 종교 개혁 이전 스웨덴에는 링셰핑 교구, 룬 교구, 시그투나 교구, 스카라 교구, 스트렝네스 교구, 베스테로스 교구, 벡쇼 교구 등 여러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다. 그러나 1521년부터 1550년 사이에 스웨덴과 당시 스웨덴 영토였던 핀란드에서 가톨릭 주교직의 계승이 완전히 중단되었다.[2] 이 기간 동안 루터교가 스웨덴과 핀란드에 널리 확산되었으며, 기존의 가톨릭 교구들은 대부분 스웨덴 교회의 일부로 재편되었다. 이는 스웨덴 내 가톨릭 교세의 급격한 위축을 의미했다.

종교 개혁 이후에도 스웨덴과 북유럽 지역에 남아 있던 소수의 가톨릭 신자들은 1582년부터 쾰른 주재 교황 대사의 사목 지도를 받게 되었다. 1622년 교황청에 광대한 선교 지역을 담당하는 신앙 전파 성성(과거 포교성성)이 설립되면서 북유럽 지역의 관할권이 재조정되었다. 브뤼셀 주재 교황 대사가 덴마크노르웨이를, 폴란드 주재 교황 대사가 스웨덴, 핀란드, 메클렌부르크 지역을 담당하였다.

1688년 스웨덴은 북부 선교 사도 대목구(Apostolic Vicariate of the Nordic Missions)에 편입되었고, 독일 파더보른 대교구의 주교들이 행정관으로 임명되어 사목을 담당했다. 1783년 9월 23일, 북부 선교 사도 대목구에서 스웨덴 지역(핀란드 포함)이 분리되어 스웨덴 사도 대목구(Apostolic Vicariate of Sweden)가 설립되었으며, 주교좌는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에 두었다. 이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1809년 핀란드가 러시아 제국의 모길레프 대교구 관할로 넘어가고, 1834년부터 관할하던 노르웨이 남부 지역이 1868년 노르웨이 사도청으로 분리될 때까지 해당 지역들을 담당했다.

1953년 6월 29일,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마침내 정식 교구인 스톡홀름 교구로 승격되었다. 같은 날 노르웨이의 오슬로 로마 가톨릭 교구도 교구 지위를 얻었다.

2. 3. 가톨릭 교회의 재건

스웨덴 종교 개혁 이전에는 링셰핑 교구, 룬 교구, 시그투나 교구, 스카라 교구, 스트렝네스 교구, 베스테로스 교구, 벡쇼 교구 등 여러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다. 그러나 1521년에서 1550년 사이에 스웨덴핀란드의 가톨릭 주교직은 모두 명맥이 끊겼고[2], 이후 루터교가 스웨덴과 핀란드에 널리 퍼져나갔다. 이 시기 옛 가톨릭 교구들은 대부분 스웨덴 교회의 일부로 재편되었다.

가톨릭 교회의 재건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1582년, 스웨덴과 북유럽에 남아있던 가톨릭 신자들은 쾰른교황 대사의 사목 관할 아래 놓였다. 1622년 교황청에 포교성성( 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la )이 설립되면서 광대한 선교 지역을 관리하게 되었는데, 북유럽 지역의 관할권은 브뤼셀 주재 교황 대사(덴마크노르웨이 담당)와 폴란드 주재 교황 대사(스웨덴, 핀란드, 메클렌부르크 담당)에게 나뉘어 맡겨졌다.

1688년, 스웨덴은 북부 선교 사도 대목구( Apostolic Vicariate of the Nordic Missionsla )의 일부가 되었으며, 독일 파더보른 대교구의 주교들이 대목구의 행정관 역할을 겸임했다. 1781년에는 북부 선교 대목구가 분할되면서 스웨덴과 핀란드를 관할하는 스웨덴 사도청( Apostolic Prefecture of Swedenla )이 설립되었다. 이후 1783년 9월 23일, 이 사도청은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을 주교좌로 하는 스웨덴 사도 대목구( Apostolic Vicariate of Swedenla )로 승격되었다. 새로 설립된 대목구는 명목 주교를 임명받을 자격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1862년까지 주교 자리가 비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설립 초기 스웨덴과 핀란드, 노르웨이 영토를 관할했다. 그러나 관할 구역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정되었다.

  • 핀란드: 1783년부터 1809년까지 관할했으나, 1809년 러시아 제국의 모길레프 대교구 관할로 넘어갔다.
  • 노르웨이: 1834년 대목구의 일부가 되었으나, 1855년 북부 지역이 북극 사도청( Apostolic Prefecture of the North Polela )으로 분리되었고, 1868년 8월 7일에는 남부 지역이 분리되어 노르웨이 사도청( Apostolic Prefecture of Norwayla )을 형성하게 되었다.


1953년 6월 29일,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마침내 정식 교구인 스톡홀름 교구로 격상되었다. 같은 날 노르웨이의 오슬로 로마 가톨릭 교구 역시 교구 지위를 얻었다. 오늘날 스톡홀름 교구는 스웨덴 전역을 관할하며 43개의 본당을 두고 있다.

교구 승격 이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1989년 6월에, 교황 프란치스코가 2016년 10월과 11월에 스톡홀름 교구를 방문하였다.

2. 4. 스톡홀름 교구 설립

1521년에서 1550년 사이, 스웨덴핀란드의 가톨릭 주교들은 모두 명맥이 끊겼고, 이후 루터교가 이 지역에 널리 확산되었다. 스웨덴 종교 개혁 이전에는 링셰핑 교구, 룬 교구, 시그투나 교구, 스카라 교구, 스트렝네스 교구, 베스테로스 교구, 벡쇼 교구 등 여러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으나, 1550년까지 현재의 핀란드를 포함한 스웨덴 가톨릭 주교들의 모든 주교직이 종말을 고했다.[2] 이 교구들 대부분은 이후 스웨덴 교회의 일부로 재설립되었다.

1582년, 스웨덴과 북유럽에 남아있던 가톨릭 신자들은 쾰른교황 대사 관할 아래 놓였다. 1622년 교황청에 신앙 전파 성성이 설립되면서 광대한 선교 지역을 담당하게 되었고, 북유럽 지역의 관할권이 나뉘었다. 브뤼셀의 교황 대사가 덴마크노르웨이를, 쾰른 교황 대사가 독일 북부 대부분을, 폴란드 교황 대사가 스웨덴, 핀란드, 메클렌부르크를 담당하게 되었다.

1688년 스웨덴은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 편입되었으며, 독일 파더보른 대교구의 주교들이 대목구장 역할을 맡았다. 1781년 북부 선교 대목구가 분할되어 스웨덴과 핀란드를 관할하는 스웨덴 사도청이 설립되었고, 1783년 9월 23일 이는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에 위치한 스웨덴 사도 대목구로 승격되었다.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설립 초기 핀란드(1809년 러시아 제국 모길레프 대교구로 이관될 때까지)와 노르웨이(1834년부터 편입) 영토를 관할했다. 노르웨이 북부 지역은 1855년 북극 사도청으로 분리되었고, 남부 지역은 1868년 8월 7일 분리되어 노르웨이 사도청 (이후 오슬로 로마 가톨릭 교구로 발전)을 형성했다.

1953년 6월 29일, 스웨덴 사도 대목구는 스톡홀름 교구로 격상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스톡홀름 교구는 스웨덴 전역을 담당하며 43곳의 본당을 두고 있다.

2. 5. 역대 교구장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의 역대 교구장은 교구의 전신인 스웨덴 지목구 시절의 지목구장과 교구 승격 이후의 스톡홀름 교구장으로 구분된다. 또한 교구를 보좌한 보좌 주교도 있었다. 자세한 목록은 각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5. 1. 스웨덴 지목구장

1688년 스웨덴 교회는 북유럽 전교 대목구에 편입되었으며, 대목구장은 파더보른 교구장 주교들이 겸임하였다. 1783년 북유럽 전교 대목구의 일부였던 스웨덴 교회가 스웨덴 지목구로 분할되었다. 이때 주교좌가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으로 지정되었다.

스웨덴 지목구는 1783년부터 1809년까지 핀란드를 담당하였으며(나중에 모길료프 관구에게 관할권을 이관하였음), 1834년부터 1868년까지는 노르웨이 남부 지방까지 담당하였다(이후 노르웨이 지목구로 분할되었음).

다음은 역대 스웨덴 지목구장 목록이다.

이름재임 기간
니콜라우스 오스터1783–1790
라파엘 도세리1790–1795
파올로 모레티1795–1804
장 밥티스트 그리데인1805–1833
야콥 라우렌티우스 슈투다흐1833–1873
요한 게오르크 후버1874–1886
알베르트 비터1886–1922
요하네스 에리크 뮐러, O.S.B.1922–1953



1953년 6월 29일 스웨덴 지목구는 스톡홀름 교구로 격상되었다.

2. 5. 2. 스톡홀름 교구장


  • 요하네스 에릭 뮐러, O.S.B. (1953–1957)
  • 크누트 안스카르 넬슨, O.S.B. (1957–1962)
  • 존 E. 테일러, O.M.I. (1962–1976)
  • 후베르투스 브란덴부르크 (1977–1998)
  • 추기경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1998–현재)

2. 5. 3. 보좌 주교


  • 윌리엄 케니 William Kenneyeng, C.P. (1987년–2006년): 이후 버밍엄 대교구 보좌 주교로 임명되었다.

3. 현황

2019년을 기준으로, 스톡홀름 교구는 122,000명의 가톨릭 신자를 관할하고 있다. 이는 스웨덴 전체 인구 10,290,832명 중 1.2%에 해당한다. 스웨덴에는 약 150,000명의 가톨릭 신자가 거주하며, 이들은 다양한 국적을 가지고 있다. 교구는 44개의 본당과 13개의 선교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된 인원은 사제 159명(교구 사제 78명, 수도회 소속 사제 81명), 부제 31명, 수도자 269명(남자 수도자 96명, 여자 수도자 173명), 신학생 9명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m nos https://www.caritas.[...] 2024-07-14
[2] 문서 One see after the other came to have no ordinary, with no new Catholic bishops invested or them living in captivity or exile as bishops merely by title, Skara since 1521, Uppsala since 1524/1526, Linköping since 1527, Växjö since 1530, Västerås since 1534, Lund since 1536, Strängnäs since 1536, and Åbo (Turku) since 15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