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웨덴 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 교회는 9세기 기독교를 수용하여 시작되었으며, 1536년 구스타브 1세 바사에 의해 루터교를 받아들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 결별했다. 2000년 국교 제도가 폐지되었으나, 스웨덴의 13개 교구와 해외 교회를 통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동성 결혼을 인정하는 등 자유주의 기독교를 지향하며, 스웨덴 사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미족에 대한 과거의 만행에 대해 사과하며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터교 - 노르웨이 교회
    노르웨이 교회는 9세기 기독교 전파 이후 루터교를 국교로 삼아 운영되다가 2017년 독립 법인이 되었으며, 동성 결혼을 허용하는 등 사회 변화에 발맞춰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루터교 - 요하네스 부겐하겐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16세기 독일의 종교 개혁가이다.
스웨덴 교회
개요
스웨덴 교회의 문장
스웨덴 교회의 문장.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승리와 스웨덴의 수호 성인인 에리크 성왕의 왕관을 나타내는 중앙의 왕관을 포함한다.
기본 정보
공식 명칭스웨덴 교회 (Svenska kyrkan)
모국어 명칭Svenska kyrkan
유형친교
분류기독교
방향프로테스탄트
성경기독교 성경
신학고교회 루터교
정치 체제감독제
통치총회
수석 주교마르틴 모데우스
교류루터교 세계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유럽 교회 협의회
포르보 공동체
완전한 친교필리핀 독립 교회
위트레흐트 연합 (구 가톨릭 교회)
미국 성공회https://international.la-croix.com/news/religion/the-american-cathedral-in-paris-celebrates-100-years/17515
국가스웨덴
본부웁살라, 스웨덴
설립1014년, 최초의 스웨덴 교구인 스카라 교구 설립
1164년, 웁살라 대교구 설립
1536년,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분리 (교회법 폐지)
1593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채택
설립자안스가르 (전통에 따름)
알바스트라의 스테판 (최초의 웁살라 대주교, 로마 가톨릭 교회 관할 하에 있었음)
구스타브 1세 (교황청으로부터 분리, 스웨덴 종교 개혁 기간)
라우렌티우스 페트리 네리키우스 (1531년 최초의 루터교 웁살라 대주교로 임명. 1571년 스웨덴 교회 법령 저술)
분리 대상로마 가톨릭 교회 (1536년)
분리핀란드 복음 루터교회 (1809년)
선교 지방 (2003년)
교구 수스웨덴 내 1,288개, 해외 31개 (2023년)
신자 수5,484,319명 (세례 교인, 2023년)
웹사이트스웨덴 교회 공식 웹사이트
스웨덴 교회 로고
스웨덴 교회 로고

2. 역사

스웨덴은 9세기경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여, 1000년경 울프 왕이 세례를 받으면서 공식적인 기독교 국가가 되었다. 초기에는 베네딕투스 수도회 소속 (성 안스가르)를 비롯한 영국 및 독일 선교사들이 활동했으나, 12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기독교 국가로 자리 잡았다. 1164년에는 웁살라에 대주교구가 설치되어 최초의 스웨덴인 대주교가 임명되었다.

16세기에는 구스타브 1세 바사종교 개혁의 일환으로 스웨덴 교회 창설 운동을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올라프 페테르손, 라르스 페테르손 형제 등 종교 개혁가들의 활동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스웨덴은 루터교를 받아들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 결별하게 되었다. 1593년 웁살라 종교 회의에서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채택하고, 사도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니케아 신경 등 세 가지 교회 신조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1781년에는 종교관용령이 공포되어 다른 종교 단체도 허용되었으며, 1952년에는 국민들이 국교회를 탈퇴하고 다른 교단에 가입하거나 무교인이 될 수 있는 권리가 법적으로 보장되었다. 2000년부터는 국교 제도가 폐지되어 스웨덴 교회는 정부와의 관계를 정리하게 되었다.

최근 스웨덴 교회는 동성 결혼을 인정하고 동성애 성직자 임명을 허용하는 등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에바 브루네가 스톡홀름 교구 감독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러한 행보는 세계 루터파 교회 중에서도 가장 급진적인 것으로 평가받으며, 아프리카 등 보수적인 루터파 교회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10]

2. 1. 초기 기독교 전래와 발전 (9세기 ~ 15세기)

9세기경부터 스웨덴기독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1000년경 스웨덴 국왕이던 올로프가 세례를 받으면서, 공식적인 기독교 국가가 되었다. 스웨덴에 기독교 선교사로 온 최초의 사람은 베네딕투스 수도회 수사이자 함부르크의 초대 대주교인 (성 안스가르)(801~865)였다. 이어서 영국 선교사들과 독일 선교사들이 스웨덴에서 선교활동을 했으나, 스웨덴은 12세기에 처음으로 기독교 국가가 되었다. 1164년 웁살라에 대주교구가 만들어졌으며 최초의 스웨덴인 대주교가 임명되었다.[10]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 교회는 원래 브레멘 대교구의 관할을 받았다. 1104년, 스칸디나비아 전체를 위한 대주교가 룬에 임명되었다. 웁살라는 1164년에 스웨덴의 대교구가 되었고, 오늘날까지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교황 외교관 모데나의 윌리엄은 1248년 3월 스케닝에에서 열린 교회 회의에 참석하여 가톨릭 교회와의 유대를 강화했다.

가장 존경받는 국가적인 가톨릭 성인들은 12세기의 국왕 에릭 성인과 14세기의 몽상가 브리짓이었지만, 다른 지역 영웅들도 지역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보트비드 성인과 소데르만란드의 에스킬 성인, 스쾨브데의 헬레나 성녀,[20] 그리고 스모란드의 시그프리드 성인이 있다. 그들의 이름으로 기적이 행해졌고 교회 이름이 붙여졌다.

2. 2. 종교개혁과 루터교 수용 (16세기 ~ 18세기)

구스타브 1세 바사는 1536년 종교 개혁의 일환으로 스웨덴 교회 창설 운동을 일으켰다. 이에 스웨덴은 루터교를 받아들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 결별하게 되었다.[21]

구스타브 바사는 교황에게 요하네스 마그누스를 스웨덴 대주교로 임명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에 국왕은 올라우스 페트리와 로렌티우스 페트리 형제, 로렌티우스 안드레와 같은 스웨덴 종교 개혁가들을 지원했다. 1526년에는 모든 가톨릭 인쇄소가 폐쇄되었고, 교회의 십일조의 3분의 2가 국가 부채 상환에 충당되었다. 1544년 국왕이 베스테로스에서 소집한 의회에서 옛 종교의 전통과 최종적으로 결별했다.[21]

종교 개혁으로 일부 가톨릭 의식이 폐지되었으나, 변화는 독일만큼 급진적이지 않았다. 독일과 마찬가지로 스웨덴 교회는 십자가와 성상, 전통적인 전례 의복도 유지했다.[21] 많은 성인의 날에 기반한 공휴일은 인구의 강한 반대로 인해 18세기 후반까지 달력에서 제거되지 않았다.

구스타브 바사 사후 스웨덴은 가톨릭 성향을 가진 요한 3세가 통치했으며, 그 다음에는 가톨릭 폴란드 통치자이자 그의 아들인 지그문트 3세 바사가 통치했다. 지그문트 3세는 삼촌에 의해 스웨덴 왕위에서 폐위되었고, 삼촌은 칼 9세로 왕위에 올라 루터교 교회를 조카에 대한 권력 투쟁의 도구로 사용했다. 칼 9세는 칼뱅주의 성향을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약성경은 1526년에 스웨덴어로 번역되었고, 성경 전체는 1541년에 번역되었다. 개정된 번역본은 1618년과 1703년에 출판되었다. 새로운 공식 번역본은 1917년과 2000년에 채택되었다. 많은 찬송가가 스웨덴 교회 개혁가들에 의해 쓰여졌고, 여러 곡은 마르틴 루터에 의해 번역되었다. 준 공식 찬송가는 1640년대에 등장했다. 스웨덴 교회의 공식 찬송가(Den svenska psalmbokensv)는 1695년, 1819년, 1937년, 1986년에 채택되었다.

1593년, 웁살라 종교 회의에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채택했을 때, 루터파 신자 대부분은 루터파 신조에 참여했다. 이 종교 회의에서 교회는 사도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니케아 신경 등 세 가지 교회 신조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2. 3. 종교의 자유와 국교 폐지 (19세기 ~ 현재)

1781년 종교관용령(Edict of Toleration)이 공포된 후, 다른 종교단체도 허용되었다. 1952년 스웨덴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국교회를 탈퇴할 수 있고 어떤 교단에도 가입하지 않을 수 있는 권리를 허용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2000년부터는 국교 제도가 폐지되면서, 스웨덴 정부와의 관계가 깨졌다.

최근 스웨덴 교회는 동성 결혼을 인정하고 있다. 동성애자 목사의 임명을 인정했으며, 여성 동성애자 Eva Brunne|에바 브루네영어를 스톡홀름 교구 감독으로 선출했다. 세계 루터파 교회 중에서도 스웨덴 국교회는 가장 진보적인 교회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러한 급진성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수적인 루터파 교회로부터 비판받고 있다.

3. 교리

스웨덴 교회는 다음의 신조를 받들고 있다.



1536년, 국왕 구스타브 1세는 종교 개혁의 일환으로 스웨덴 국교회 창설 운동을 일으켰다. 이 배경에는 올라프 페테르손, 라르스 페테르손 형제 등의 종교 개혁 운동이 있었다. 이 운동은 가톨릭교회에서 확산되어 기본법을 포기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1572년, 스웨덴 교회 의례는 종교 개혁에 이은 최초의 스웨덴 교회가 된다.

1593년, 웁살라 종교 회의에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채택했을 때, 대부분의 루터파 신자들은 교회가 루터파 신조에 참여하는 것에 동의했다. 이 종교 회의에서 교회는 세 가지 교회 신조(사도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니케아 신경)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1868년, 스웨덴 국회는 일치 신조를 채택했다. 표지에는 Confessio fidei라고 명확히 표기되어 있었지만, 다른 텍스트는 전혀 설명이 없었다.

스웨덴 국교회는 동성애자 목사의 임명을 인정했으며, 여성 동성애자 Eva Brunne|에바 브루네영어를 스톡홀름 교구 감독으로 선출했다. 스웨덴 국교회는 세계 루터파 교회 중에서도 가장 진보적인 교회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성향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수적인 루터파 교회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4. 신학

스웨덴 교회는 다음의 신조를 받들고 있다.



웁살라는 거대한 웁살라 대성당과 함께 스웨덴 교회의 중심지이다.


구스타브 1세 바사(Gustav I of Sweden)는 스웨덴 국왕으로 재위하던 1536년에 스웨덴 교회를 설립했다. 이 행위는 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그 교회법에서 분리시켰다.[14] 1571년에는 스웨덴 교회령이 종교개혁 이후 최초의 스웨덴 교회 규정이 되었다.

스웨덴 교회는 1593년 웁살라 시노드에서 대부분의 루터교도가 따르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을 채택하면서 루터교가 되었다. 이 시노드에서는 교회가 세 개의 기독교 신조사도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니케아 신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1686년, 신분 의회는 화해 신조집을 채택했지만, Confessio fideila라고 명명된 특정 부분만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나머지 텍스트는 단지 설명적인 내용이었다. Confessio fideila에는 앞서 언급한 세 개의 신조,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 및 1572년과 1593년의 두 가지 웁살라 시노드 결정이 포함되었다.

스펭네스 대성당에서 미사 축제를 준비하는 스웨덴 교회


19세기와 20세기 동안 다양한 가르침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대부분 에큐메니즘을 지향했다.

  • 교리 문답서의 1878년 개발
  • 성찬 친교를 준비하는 1909년의 웁살라 신조 ( 성공회와 함께)
  • 세계 교회 협의회(WCC)의 헌법
  • 루터교 세계 연맹(LWF)의 헌법
  • "리마 문서"에 대한 스웨덴 교회의 공식 답변
  • ''주요 신학적 질문에 대한 주교 회의 서신''
  • 필리핀 독립 교회와의 1995년 친교 조약


그러나 실제로는 루터교 신조 텍스트는 중요성이 적으며, 대신 교구는 로우 처치, 하이 처치, 경건주의 ("옛 교회") 및 라에스타디우스파와 같은 다른 기독교 교파와 다양한 교회 운동의 영향을 받아 루터교 전통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적으로는 강력하게 확립될 수 있지만 전국적인 영향력은 거의 없다.

20세기 동안 스웨덴 교회는 자유주의 기독교와 인권을 강력하게 지향했다. 1957년, 총회는 여성 안수에 대한 제안을 거부했지만, 1958년 봄 의회의 개정된 교회 조례 법안 제안과 당시 스웨덴 교회 성직자가 법적으로 정부 직원으로 간주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총회와 주교단에 해당 제안을 수용하도록 압력을 가했고, 1958년 가을 시노드 투표에서 69대 29, 단체 투표에서 6대 5로 통과되었다.[14] 1960년부터 여성은 사제로 안수되었으며, 1982년에는 국회의원들이 성직자들이 여성 동료와의 협력을 거부할 수 있는 "양심 조항"을 삭제했다.[15] 동성 결혼을 시행하자는 제안은 2009년 10월 22일 스웨덴 교회 시노드 투표 회원 249명 중 176명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16]

5. 조직 구조

스웨덴 교회는 13개의 교구(stift|스웨덴어 발음sv)로 나뉘며, 각 교구에는 주교와 주교좌 성당 참사회(스웨덴어: ''domkapitel'')가 있다. 주교는 교구 내 사제, 부제, 일부 평신도에 의해 선출되며 주교좌 성당 참사회의 의장을 맡는다.[30] 각 교구는 지도자 역할을 하는 ''kontrakt'' (교무구)로 나뉘며, 주교좌 성당이 있는 교무구는 domprosteri|sv라고 불린다. 또한 ''prost'' 또는 titulärprost|sv라고 불리는 명예 교구장도 임명될 수 있다. 주교좌 성당의 교구장과 수석 목사는 ''domprost''("주교좌 성당 교구장" 또는 "주교좌 성당 교무구장")이며 주교좌 성당 참사회의 부의장으로 활동한다.[30] 교구 수준에서 교구는 ''församling''이라고 불린다.[30]

스웨덴 교회는 국교였던 시절의 행정 구조를 채택하여, 총회(Kyrkomötetsv, 교회 회의), 교구 및 본당(Församlingsv) 회의(경우에 따라서는 교구 연합(kyrklig samfällighetsv, '교회 협회') 회의 및 직접 선출된 교구 평의회)에 대한 직접 선거가 실시된다. 선거 제도는 스웨덴 국회의원 선거 또는 지방 선거와 동일하다(스웨덴의 선거 참조). 교회 총선거에 투표하려면 스웨덴 교회 회원이며, 최소 16세 이상이고 스웨덴의 인구 등록에 따라 스웨덴에 거주하는 것으로 전국적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선거에 참여하는 단체를 지명 단체(nomineringsgruppersv)라고 한다. 사회 민주당, 중앙당과 같은 전국적인 정당이 선거에 참여하기도 한다. 스웨덴 교회가 스웨덴 국가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된 후, 자유 국민당 당원들이 설립한 스웨덴 교회의 자유주의자들과 같은 정치적 신념에 기반하거나, 정치적 무소속 단체인 스웨덴 교회의 정당 정치 무소속(POSK) 및 프리모디그 교회와 같은 순수 교회 정당 후보를 위한 독립 정당 결성이 나타나고 있다.

5. 1. 교구와 주교

스웨덴 교구 지도


웁살라 대교구의 전 대주교 안테 예켈렌(가운데), 스트렝네스 교구의 주교 요한 달만(왼쪽), 베스테로스 교구의 주교 미카엘 모그렌(오른쪽)


스웨덴 교회는 13개의 교구(stift|스웨덴어 발음sv)로 나뉘며, 각 교구에는 주교와 주교좌 성당 참사회(스웨덴어: ''domkapitel'')가 있다. 주교는 교구 내 사제, 부제, 일부 평신도에 의해 선출되며 주교좌 성당 참사회의 의장을 맡는다.[30]

교구는 각각 지도자 역할을 하는 ''kontrakt'' (교무구)로 나뉜다. 주교좌 성당이 있는 교무구는 domprosteri|sv라고 불린다. 또한 스웨덴어로 ''prost'' 또는 titulärprost|sv라고 불리는 명예 교구장도 임명될 수 있다. 주교좌 성당의 교구장과 수석 목사는 ''domprost'', "주교좌 성당 교구장" 또는 "주교좌 성당 교무구장"이라고 불리며 주교좌 성당 참사회의 부의장으로 활동한다.[30]

교구 수준에서 교구는 ''församling''이라고 불린다.[30]

스웨덴 교회는 13개 교구 외에도 국외 스웨덴 교회 (Svenska kyrkan i utlandet|sv – SKUT)를 통해 40개 이상의 해외 교회를 운영하고 있다. SKUT는 자체 주교를 두지 않으며, 비스비 교구 주교의 감독을 받는다.

교구교구 문장소재지주교좌 성당설립 연도현 주교주교 문장
웁살라 대교구
182x182px
웁살라웁살라 대성당
150x150px
1123마틴 모데우스 (대주교)
200x200px

카린 요한손 (주교)
226x226px
151x151px
스카라 교구
179x179px
스카라스카라 대성당
168x168px
1014오케 보니어
225x225px
226x226px
룬 교구
182x182px
룬 대성당
160x160px
1048요한 티르베르그
225x225px
190x190px
린셰핑 교구
179x179px
린셰핑린셰핑 대성당
194x194px
1100마리카 마르코비츠
200x200px
스트렝네스 교구
182x182px
스트렝네스스트렝네스 대성당
250x250px
1129요한 달만
195x195px
188x188px
벡셰 교구
182x182px
벡셰벡셰 대성당
250x250px
1165프레드릭 모데우스
234x234px
베스테로스 교구
182x182px
베스테로스베스테로스 대성당
226x226px
12세기미카엘 모그렌
254x254px
226x226px
비스비 교구
182x182px
비스비비스비 대성당
250x250px
1572
200x200px
226x226px
칼스타드 교구
182x182px
칼스타드칼스타드 대성당
250x250px
1581쇠렌 달레비
210x210px
226x226px
예테보리 교구
182x182px
예테보리예테보리 대성당
272x272px
1620수잔네 랍만
271x271px
226x226px
헤르뇌산드 교구
182x182px
헤르뇌산드헤르뇌산드 대성당
250x250px
1647에바 노르둥 비스트룀
249x249px
226x226px
룰레오 교구
182x182px
룰레오룰레오 대성당
250x250px
1904오사 니스스트룀
150x150px
226x226px
스톡홀름 교구
182x182px
스톡홀름스톡홀름 대성당
250x250px
1942안드레아스 홀름베르그
150x150px



칼마르 교구는 1603년부터 1678년까지 ''감독령''으로 존재했으며 1678년부터 1915년까지 교구로 존재하다가 벡셰 교구에 통합되었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교구는 1580년부터 1646년까지 감독령|sv으로 존재하다가 칼스타드 교구로 대체된 마리에스타드 교구이다.

웁살라, 스트렝네스, 베스테로스, 스카라, 린셰핑, 벡셰, 그리고 현재 핀란드에 있는 투르쿠 교구는 중세 시대부터 시작된 원래의 7개 스웨덴 교구이다. 나머지는 그 이후와 16세기의 스웨덴 종교 개혁 이후에 생겨났다. 룬 교구는 1060년에 설립되었고 1104년에 대교구가 되었으며 덴마크에 있었다. 룬 교구는 중세 시대 동안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로 구성되었지만 (원래는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도 포함) 웁살라는 1164년부터 자체적인 하위 교회 관구와 대주교를 두고 있었다.

2009년 에바 브룬네가 스톡홀름 주교로 서임되면서 그녀는 세계 최초의 공개 레즈비언 주교가 되었다.[33]

5. 2. 총회 (Synodical structure)

2021년 스웨덴 교회 총회 선거도 참조

스웨덴 교회는 국교였던 시절에 국가를 본뜬 행정 구조를 채택했다. 총회(Kyrkomötetsv, 교회 회의), 교구 및 본당(Församlingsv) 회의(경우에 따라서는 교구 연합(kyrklig samfällighetsv, '교회 협회') 회의 및 직접 선출된 교구 평의회)에 대한 직접 선거가 실시된다. 선거 제도는 스웨덴 국회의원 선거 또는 지방 선거와 동일하다(스웨덴의 선거 참조). 교회 총선거에 투표하려면 스웨덴 교회 회원이어야 하며, 최소 16세 이상이고 스웨덴의 인구 등록에 따라 스웨덴에 거주하는 것으로 전국적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선거에 참여하는 단체를 지명 단체(nomineringsgruppersv)라고 한다. 일부 경우 전국적인 정당인 사회 민주당 및 중앙당과 같은 정당이 선거에 참여한다. 스웨덴 교회가 스웨덴 국가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된 후 선거에서 나타나는 경향은 자유 국민당 당원들이 설립한 스웨덴 교회의 자유주의자들과 같은 정치적 신념에 기반하거나, 정치적 무소속 단체인 스웨덴 교회의 정당 정치 무소속(POSK) 및 프리모디그 교회와 같은 순수 교회 정당의 후보를 위한 독립 정당의 결성으로 나아가고 있다.

6. 성직

스톡홀름 주교가 성 니콜라스 대성당(스토르키르칸)에서 두 명의 부제와 일곱 명의 사제를 서품하는 성찬 미사


스웨덴 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역사적인 삼중 직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총 5,000명 정도의 서품된 성직자를 두고 있다.[25]

스웨덴 교회는 직접 서품, 즉 per saltumla 서품(문자 그대로 건너뛰어 서품)을 시행하는데, 이는 훈련을 받은 특정 직분에 후보자를 직접 서품하는 방식이다. 이는 부제, 사제, 주교의 엄격한 순서로 서품을 받아야 하는 성공회, 정교회, 가톨릭 교회와 같은 다른 역사적인 교회의 순차적 서품과는 다른 방식이다. 스웨덴 교회 사제는 부제로 서품받지 않고 바로 사제 직분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웨덴 교회의 모든 부제는 종신 부제이다. 하지만 주교 서품은 직접 서품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으며, 스웨덴 교회 주교는 서품 전에 유효하게 서품된 사제여야 한다. 만약 부제나 평신도가 주교로 선택된다면, 그들은 먼저 사제로 서품될 것이다.[26]

종교 개혁 이후 스웨덴 교회는 직접 서품과 순차적 서품을 모두 시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직접 서품이 더 널리 퍼져 표준이 되었지만, 순차적 서품은 17세기 스웨덴 교회에서 증명되었다. 주교 요하네스 루드베키우스(1619–1646)는 습관적으로 사제로 서품하기 전에 부제로 서품했고,[27] 이는 웁살라 대주교 요하네스 레나에우스에 의해 (1653년) 스웨덴 교회의 일반적인 관행이라고 언급되었다.[28]

스웨덴 교회를 포함한 복음주의 루터교회에서는 직무 수행이 스톨라로 표시되는데, 주교는 이를 똑바로 착용하고, 사제는 교차하여 착용하며(사제가 스톨라를 똑바로 착용하는 것은 성가대 복장, 즉 알바가 아닌 수플리스를 입을 때만 허용되며, 이때 스톨라를 교차할 수 있는 띠를 사용하지 않음), 부제는 왼쪽 어깨에 비스듬히 착용한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이나 성공회 서품에서 사제 후보가 이미 부제의 대각선 스톨라를 착용하고 있는 반면, 스웨덴 교회에서는 부제와 사제 후보 모두 예식 시작 시 서품받지 않은 상태이다. 웁살라 대학교의 티트 패담과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 교회의 스웨덴 기반 사제는 "[복음주의 루터교] 서품 예식 시작 시 후보자들은 흰색 알바를 입고 아무도 예식 시작 시 스톨라를 착용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교회들은 서품에 대한 그들의 이해의 중요한 측면을 표현한다. 부제와 사제 서품을 받는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는 흰색 알바는 서품이 모든 세례받은 사람들의 제사장직에 뿌리를 둔 새로운 시작임을 나타내는 표시다."라고 적고 있다.[29]

스웨덴 교회는 광범위한 사회 봉사 ''디아코니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전임 부제를 고용한다. 부제는 스웨덴 교회에서 전통적인 전례 역할을 수행하지만(그리고 예복을 착용하지만), 그들의 주요 업무는 교구 공동체 외부에서 복지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제는 교회 공동체 및 교구 사제와 연결되기 위해 지역 교구에 배속된다.

7. 수도원

스웨덴 교회는 여러 수도 공동체를 가지고 있다.


  • 성령 수녀회(Helgeandssystrarnasv)는 알시케 수녀원에 거주한다.[34]
  • 성 십자가 형제회(Heliga korsets brödraskapsv)는 베네딕토회 수도사로, 살라의 외스탄백 수도원에 거주한다.[35]
  • 성 프란치스코 수녀회(Helige Franciskus systraskapsv)는 프란치스코회 수녀로 쇼비크의 클라라달 수도원에 거주한다.
  • 부활한 구세주 수녀회(Uppståndne frälsarens systraskapsv)는 외베르셀뢰 클로스테르고르드에 거주한다.
  • 마리아의 딸들(Mariadöttrarna av Den Evangeliska Mariavägensv)은 발비에 있다.
  • 린셰핑 수도원은 린셰핑에 있으며, 2006년 린셰핑 주교의 승인을 받아 2014년에 봉헌되었다. 이곳은 기후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작은 묵상 공동체이자 채식주의 수녀원으로,[36] 성공회 성 마가렛 협회와 연계되어 있다.

개혁 이후 스웨덴 교회 최초의 수녀인 마리안느 노르룬드 수녀의 장례식과 일요일 미사를 위해 들어갈 준비를 하는 행렬. 끝에는 알시케 수도원의 수녀들이 있다.

8. 협력 교회

스웨덴 교회는 1947년 스웨덴 룬드에서 결성된 루터교 세계 연맹의 창립 회원이다. 이후 룬드 주교가 된 안데르스 뉘그렌이 루터교 세계 연맹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37]

1994년부터 스웨덴 교회는 포르보 커뮤니언의 일원으로서 영국 제도와 이베리아 반도의 성공회와 북유럽 국가 및 발트해 연안 국가의 다른 루터교회와 완전한 교류를 맺고 있다. 1995년에는 필리핀 독립 교회와도 완전한 교류를 이루었다. 2015년부터는 미국의 미국 성공회와도 완전한 교류를 맺고 있다.[38]

2016년, 스웨덴 교회는 위트레흐트 연합 내의 구 가톨릭 교회와도 완전한 교류를 맺었다.[39]

9. 소수 민족과의 관계

스웨덴 교회는 소수 민족, 특히 사미족과의 관계에서 역사적으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9. 1. 사미족 관계

2021년, 스웨덴 교회는 사미인을 대상으로 수 세기 동안 자행한 만행에 대해 사과했다. 여기에는 강제적인 사미족의 기독교화, 사미 학교에서 아동 학대, 과학적 인종차별 및 우생학 연구를 위한 사미인 유해 수집 등이 포함되었다.[40] 스웨덴 교회는 사미인에 대한 이러한 "암울한 행위"를 "식민주의적"이고 "정당화된 억압"으로 묘사했다.[40] 스웨덴 교회는 사과에 앞서 2019년에 사미인 억압과 사미 문화 말살에 대한 교회의 역사를 1,100페이지 분량의 문서로 엮어 발표했다.[41]

10. 주요 인물

레나 마리아

참조

[1] 웹사이트 Svenska kyrkans heraldiska vapen https://www.svenskak[...] 2021-06-01
[2] 웹사이트 Mordet löst - efter 850 år - Upsala Nya Tidning https://unt.se/nyhet[...] 1916-03-16
[3] 서적 Together in Mission and Ministry: The Porvoo Common Statement, With, Essays on Church and Ministry in Northern Europe : Conversations Between the British and Irish Anglican Churches and the Nordic and Baltic Lutheran Churches https://books.google[...] Church House Publishing 2021-06-01
[4] 웹사이트 The American Cathedral in Paris celebrates 100 years https://internationa[...] 2023-03-27
[5] 웹사이트 Medlemskap i Svenska kyrkan - vad innebär det? - Lova Begravningsbyrå https://web.archive.[...] 2021-06-01
[6] 간행물 Church and State in Sweden: A contemporary Report https://www.jstor.or[...] 2012
[7] Webarchive Member churches https://www.lutheran[...]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2020-12-14
[8] Webarchive SFS 1998:1591 http://riksdagen.se/[...] Riksdagen 2011-09-29
[9] 서적 Kyrkoordning för Svenska kyrkan: med kommentarer och angränsande lagstiftning Verbum
[10] 웹사이트 Svenska kyrkan i siffror https://www.svenskak[...] 2024-03-14
[11] 뉴스 Sweden Snaps Strong Ties Between Church and State http://www.csmonitor[...] 1995-10-04
[12] Webarchive Liturgy and Worship http://www.svenskaky[...] 2010-04-22
[13] 뉴스 BBC: Extreme World: God https://www.bbc.com/[...]
[14] 웹사이트 Häggblom, Johanna – "Därför att vi inte gärna kan begära något mindre"-kvinnors röster i debatten om kvinnliga präster 1957–1959. pp 17 http://www.diva-port[...] 2016
[15] 뉴스 Church of Sweden's female priests outnumber men – but are paid less https://www.theguard[...] 2020-07-23
[16] 웹사이트 Church of Sweden says yes to gay marriage https://web.archive.[...] The Local: Sweden's News in English 2009-10-22
[17] 웹사이트 Confirmation in Church of Sweden https://web.archive.[...]
[18] Webarchive PDFMedlemmar i Svenska kyrkan i förhållande till folkmängd 31 december 2020 per församling, kommun och län samt riket https://www.svenskak[...] Svenska kyrkan 2021-04-21
[19] 웹사이트 Medlemsutveckling 2020–2021, per församling, pastorat och stift samt riket https://www.svenskak[...]
[20] Webarchive Saint Helen of Skofde http://saints.sqpn.c[...] Patron Saints Index 2008-10-14
[21]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22] 웹사이트 Sweden elects its first female archbishop, the German-born bishop of Lund – Fox News https://www.foxnews.[...] Fox News Channel 2013-10-15
[23] 문서 Vår svenska stam på utländsk mark; Svenska öden och insatser i främmande land; I västerled, Amerikas förenta stater och Kanada
[24] 문서 Gold is represented as yellow in non-metallic representations of coats of arms.
[25] Webarchive Structure and numbers of clergy listed on the official website http://www.svenskaky[...] 2013-12-07
[26] 웹사이트 Vem kan bli biskop? https://www.svenskak[...]
[27]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 Appointed by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In Pursuance of Resolution 74 of the Lambeth Conference of 1908 on the Relation of the Anglican Communion to the Church of Sweden http://anglicanhisto[...] The Young Churchman (1911), reproduced by Project Canterbury
[28] 서적 A Journal of the Swedish ambassy in the years MDCLIII and MDCLIV from the Commonwealth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 with an appendix of original papers, written by the ambassador, the Lord Commissioner Whitelocke
[29] 서적 Ordination of Deacons in the Churches of the Porvoo Communion: A Comparative Investigation in Ecclesiology Kirjastus TP (Uppsala)
[30] Webarchive Kyrkoordningen (in Swedish) http://www.svenskaky[...] 2011-11-03
[31] 문서 A pastorat is a subdivision within the Church of Sweden. A pastorat includes one or several parishes. Similar to a Norwegian Prestegjeld.
[32] 서적 2011 Review and financial summary for the Church of Sweden, national level Trossamfundet Svenska kyrkan
[33] 웹사이트 Lesbian bishop consecrated in Sweden http://www.qx.se/eng[...] QX Förlag AB 2014-07-20
[34] 웹사이트 HelgeandssystrarnaDen Helige Andes klosterfamilj är stiftad till Guds ära i tillbedjan inför hans väldiga gärningar i den Helige https://web.archive.[...]
[35] 웹사이트 Välkommen tillÖstanbäcks klosters hemsida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Background https://www.linkopin[...] Linköpings kloster 2020-02-29
[3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WF https://www.lutheran[...] 1947-07-06
[38] 웹사이트 The General Convention of the Episcopal Church http://www.generalco[...] 2015-06-01
[39] 웹사이트 Agreement https://www.utrechte[...] 2018-07-11
[40] 웹사이트 Church of Sweden to apologize for 'dark', 'colonial' Sámi mistreatment https://www.arcticto[...] Arctic Today 2021-06-10
[41] 웹사이트 Church of Sweden apologizes, embarks on reconciliation with Indigenous Sámi people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