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장로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개신교 장로교 교단이다. 신정통주의 신학자 김재준 목사와 그를 따르는 신학자들이 성서비평학 수용과 축자영감설 비판 등 신학적 견해 차이로 인해 분립했다. 한신대학교를 중심으로 진보적인 신학 노선을 따르며, 민주화 운동, 인권 운동 등 사회 참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현재 CBS기독교방송, 한신대학교와 관련 있으며, 대한성공회, 대한예수교장로회 등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사이언톨로지교
사이언톨로지교는 1950년대 초 L. 론 허버드가 창시한 종교로, 인간의 정신과 영혼을 다루는 독자적인 교리와 실천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사이비 종교 논란과 불법 행위 등으로 비판받고 있다. - 195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
가톨릭 스톡홀름 교구는 스웨덴 전체를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 교구로, 1783년 스웨덴 지목구에서 1953년 교구로 승격되었으며 2021년 기준 46개 본당과 12개 선교 구역, 약 5만 8천 명의 신자를 두고 있고 스웨덴 최초 추기경인 안데르스 아르보렐리우스 등이 역대 주교를 지냈다. - 장로교 단체 - 총회
총회는 종교적, 사회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를 뜻하는 용어로, 교회나 종교 단체의 최고 의결 기관, 국제 기구의 주요 의사결정 기구, 국가 및 지방 의회의 명칭 등으로 사용되며, 신약성경에서는 신앙 공동체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 장로교 단체 -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
로버트 엘리엇 스피어는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선교 행정가, 저술가로서, 미국 장로교 선교회 비서로 해외 선교에 헌신하고 '예수의 네 가지 원칙'을 제시하여 도덕 재무장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 신앙과 관련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4년 매클레이 선교사의 내한으로 시작된 한국 개신교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탄압을 거쳐 1949년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존 웨슬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공교회주의를 지향하고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기독교장로회 | |
---|---|
교단 정보 | |
주요 분류 | 개신교 |
성향 | 칼뱅주의 |
신학 | 개혁교회 |
정치 체제 | 장로회 정치 |
지역 | 대한민국 |
창립일 | 1960년 |
창립 장소 | 서울 |
관련 단체 | 세계 교회 협의회 세계 개혁 교회 공동체 |
교인 수 | 335,000명 |
교회 수 | 998개 |
목사 수 | 830명 |
로마자 표기 | Hanguk Gidokgyo Jangnohoe |
한자 표기 | 韓國基督敎長老會 |
2. 역사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조선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신학, 방법론, 성경 연구에 대한 신학적 견해차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내 보수적인 분파는 이러한 가르침을 거부했고, 결국 대한예수교장로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와 분열되었다.[2]
2. 1. 교단 설립 배경 (1953년 이전)
대한예수교장로회는 1902년에 설립되었고, 1912년에 첫 총회를 개최하였다. 일제강점기 동안 교회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1938년에는 평양신학교가 문을 닫아야 했다. 일부 지도자들은 망명하기도 했다.[1]1939년, 평양신학교와는 대조적으로 진보적인 신학 노선을 채택한 조선신학교(현재 한신대학교)가 남쪽에 문을 열었고, 이곳이 한국기독교장로회의 핵심이 되었다. 1946년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조선신학교를 받아들였다. 김재준 박사가 조선신학교 학장으로 취임하여 발표한 논문은 보수와 진보 신학 입장 간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
1947년 박형룡 박사는 조선신학교의 신학적 입장에 반대하며 신학교를 떠났고, 51명의 학생들이 그를 따랐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는 이 새로운 신학교(장로회신학교, 현 총신대학교)를 인가하였다. 이로써 총회 권한 아래 두 개의 경쟁 신학교(조선신학교, 장로회신학교)가 있게 되었다. 총회는 두 신학교의 통합을 촉구했으나, 조선신학교의 신학적 입장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1]
2. 2. 교단 분립과 성장 (1953년 이후)
1953년 당시 조선신학교(현 한신대학교) 학장이었던 김재준 목사는 성서비평학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축자영감설을 주장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갈등을 빚었다.[8]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조선신학교에서 가르치는 신학, 방법론, 성경 연구에 대한 신학적 견해차를 보였다. 결국 대한예수교장로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와 분열되었고, 김재준 목사와 그를 따르는 신학자들은 한국기독교장로회 교단을 설립하였다.[2]3. 신학 노선
한국기독교장로회는 신학적으로 대부분 진보적인 입장을 취한다. 고 문익환 목사, 안병무 박사, 강정구 선생 등 진보적 지식인들이 활동한 교회로, 대한성공회와 함께 기독교계에서 비교적 진보적인 성향을 띤 교회로 평가받는다.[9] 세계 개혁 교회 친교회의 회원이기도 하다.[4]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을 신앙 고백으로 채택하고 있다.
4. 교세
2004년에는 10개 노회에 801개 교회, 631명의 안수받은 목사, 32만 6천 명의 교인이 있었다. 2006년에는 약 1,000개의 교회에 33만 5천 명의 교인과 830명의 목사가 있었다.[3]
5. 관련 기관 및 이웃 교단
관련 기관으로는 CBS기독교방송, 한신대학교가 있다. 이웃 교단으로는 대한성공회, 대한예수교장로회, 미국그리스도연합교회 등이 있다. 세계교회협의회(WCC),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와 협력하고 있다.[4]
5. 1. 협력 교단
한국기독교장로회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교단은 다음과 같다.5. 2. 협력 기구
세계교회협의회(WCC),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회원이다.[4]6. 관련 개념
자매 교회:
- 스코틀랜드 교회
- 프랑스 연합 개신교회
- 스위스 개혁 교회[5]
- 캐나다 연합 교회[6]
참조
[1]
웹사이트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oikoumen[...]
[2]
웹사이트
¢Æ¢Æ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Æ¢Æ
http://pck.or.kr/Eng[...]
[3]
웹사이트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oikoumene[...]
[4]
웹사이트
www.wcrc.ch/node/164
http://www.wcrc.ch/n[...]
[5]
웹사이트
Address data base of Reformed churches and institutions
http://www.reformier[...]
[6]
웹사이트
www.united-church.ca/partners/global/asia/south-korea#prok
http://www.united-ch[...]
[7]
문서
한신학원 재단인 수원의 영생고등학교. 전주의 영생고등학교는 신동아학원재단으로 별개다.
[8]
문서
장로회신학대학교 김명용 교수는 기독교장로회 설립자 김재준 목사를 신정통주의 신학자로 이해했으며, 한국기독교장로회도 자신들의 신학노선을 신정통주의로 이해한다.
[9]
웹사이트
http://veritas.kr/a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