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절곶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절곶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곶으로,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명은 먼 바다에서 보면 간짓대처럼 보인다는 데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에는 이길곶, 간절갑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해맞이 명소로 유명하며, 등대, 소망우체통, 드라마 세트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1일까지 간절곶 해맞이 축제가 열리며, 2016년에는 포켓몬 GO 게임의 서비스 지역으로 지정되어 관광객이 증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곶 - 호미곶
    한반도 최동단 곶인 호미곶은 남사고가 한반도를 호랑이 형상으로 보아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 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새해 일출 명소이자 상생의 손 조형물이 있고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가 깃든 곳으로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 울산광역시의 축제 - 울산 서머페스티벌
    울산 서머페스티벌은 2003년부터 울산에서 개최되는 음악 축제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지역 명소를 활용한 무대를 선보이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 울산광역시의 축제 - 미스코리아 울산
    미스코리아 울산은 대한민국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에 참가할 울산광역시 대표를 선발하는 지역 예선으로, 1998년부터 시작되어 미스 경남 또는 미스 부산과 통합 선발되기도 하며, 매년 진, 선, 미를 선발하여 본선 참가 후보를 배출한다.
간절곶 - [공원]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위치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일반 정보
이름 (한국어)간절곶
로마자 표기Ganjeolgot
개장공원
추가 정보
특징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 중 하나이다.
관련 정보새천년 해맞이 축제 개최지

2. 명칭 유래

간절곶은 먼바다에서 바라보면 과일을 따기 위해 대나무로 만든 뾰족하고 긴 장대(간짓대)처럼 보인다는 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곶은 육지가 바다로 돌출해 있는 부분을 의미하므로 간절곶으로 부르게 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넓고 길다는 의미를 가진 이길곶으로 불리기도 하였고,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절포로 기록되어 있다.

이길(爾吉)은 지금의 간절곶 일대에 설치되었던 이길봉대(爾吉烽臺)라는 봉수대의 명칭에서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간절갑(艮絶岬)으로 바꾸어 불렀으며, 이는 1918년에 제작된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万分一地形圖)』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간절갑으로 불리다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지 조성계획에 따라 간절곶으로 불리고 있다. 멀리서 보면 뾰족한 긴 대나무 장대처럼 보여 간절곶이라는 이름이 붙었다.[6] 또한, “간(艮)”이 “장대(간)”이고, “절(絶)”이 “길다”의 방언인 “질”의 차음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7]

별칭으로는 간질끝, 간절압(竿切―)이 있으며, 일본식으로 “곶” 자를 사용하여 간절갑(艮絶岬)이라고도 불렀다.[7]

조선 초창기에는 이길곶이라고 불렸다. 이는 고유어에 대한 차용 표기로, “이(爾)”는 “넓”을, “길(吉)”은 “길(긴)”을 의미한다.[7]

3. 지리적 특징

간절곶은 국립천문대와 새천년준비위원회가 한반도에서 새천년의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발표되었다. 간절곶은 육지에서 정동진이나 포항 호미곶, 부산 해운대 등지보다 1m 이상 일출이 빠른데, 2000년 1월 1일에는 오전 7시 31분 26초에 해가 떴다.[7]

동경 129도 21분 50초, 북위 35도 21분 20초 지점에 위치한 간절곶은[7] 부산의 남항에서 동북 방향으로 약 39km 지점에 있으며 육지에서 바다로 돌출된 지역이다. 곶의 서쪽에서 봉화산 산줄기가 동쪽으로 완경사를 이루다가 간절곶에 이르면 매우 평탄한 지형을 형성한다. 주변 평지에서는 밭농사가 주로 이루어진다.

북쪽의 진하에서 남쪽의 기장에 이르기까지 지형의 기복이 거의 없고 해발고도가 200m 이하인 구릉성 산지와 해안단구의 평탄면이 연속적으로 분포한다. 해안가는 바위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석으로 이루어진 해안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절벽이 나타나는데 반해, 간절곶에서는 해안절벽을 보기 어렵다. 간절곶 주변은 난류와 한류가 혼합되는 구역으로, 수온은 4월이 가장 낮고 8월에 가장 높다.[7]

4. 역사

간절곶은 먼바다에서 바라보면 과일을 따기 위해 대나무로 만든 뾰족하고 긴 장대(간짓대)처럼 보인다는 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곶은 육지가 바다로 돌출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조선 초기에는 넓고 길다는 의미를 가진 이길곶으로 불리기도 하였고, 『조선지지자료』에는 간절포로 기록되어 있다.

이길(爾吉)은 지금의 간절곶 일대에 설치되었던 이길봉대라는 봉수대의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간절갑(艮絶岬)으로 바뀌었다. 이는 1918년에 제작된 『조선오만분일지형도(朝鮮五万分一地形圖)』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간절갑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지 조성계획에 따라 간절곶으로 불리고 있다.

5. 시설

간절곶은 해맞이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간절곶 등대, 간절곶 소망우체통, 풍차, 드라마 세트장 등이 있다.

등대 주변에는 여러 조형물이 있어 사진 촬영 장소로 인기가 많다. 특히 '사랑의 등대'는 연인들을 위한 조형물로, 여자가 등대 위 작은 하트 위에 서고, 남자가 등대 아래 큰 하트 위에 서면 3초 후 프러포즈 노래가 나온다. 남녀가 함께 큰 하트 위에 올라서면 축하 노래가 나오는 방식으로 작동된다.[13]

5. 1. 해맞이 공원

간절곶이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으면서 등대 홍보관이 건립되어 전망대와 자료실이 설치되었다.[8]

새천년 기념비와 함께 조각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몇몇 기념물과 산책로가 있다. 특히 거대한 「간절곶 소망우체통」이 있는데, 이는 엽서를 써서 우편물로 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진짜 우체통이다.[8][9][6]

이전 등대의 상부를 이전하여 관광 시설로 활용하고 있으며, 밀레니엄 전시실에는 등대와 관련된 자료 및 울산항을 소개하고 있다.[6] 2011년에는 울산해양박물관이 곶 입구에 개관했다.[9]

5. 2. 간절곶 등대

간절곶이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으면서 등대 홍보관이 건립되어 전망대와 자료실이 설치되었다.[8]

새천년 기념비와 함께 조각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몇몇 기념물과 산책로, 더 나아가 엽서를 써서 우편물로 보낼 수 있는 간절곶 소망우체통이 있다.[8][9][6]

이전 등대의 상부를 이전하여 관광 시설로 활용하고 있으며, 밀레니엄 전시실에는 등대와 관련된 자료 및 울산항 소개가 있다.[6] 2011년에는 울산해양박물관이 곶 입구에 개관했다.[9]

5. 3. 소망 우체통

간절곶이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으면서, 기념물, 산책로와 함께 거대한 「간절곶 소망우체통」이 설치되어 있다.[8][9][6] 이 우체통은 실제로 엽서를 써서 우편물로 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8]

5. 4. 드라마 세트장

간절곶에는 드라마 세트장이 있다. 이곳은 울주군이 2010년 원전지원금 40억을 들여 세운 건물로,[12] 영화 《한반도》, 드라마 《욕망의 불꽃》, 《메이퀸》 등의 촬영 세트장으로 사용되었다.[13] 2016년 현재 1층은 갤러리, 2층은 카페로 개조해 이용되고 있다.[12]

드라마 세트장은 지중해식 별장처럼 꾸며져 있으며, 안으로 들어가면 간절곶에서 촬영된 작품들의 포스터가 걸려 있다. 바다가 보이는 정원에는 드라마 속 주인공의 전신 사진이 세워져 포토존 역할을 하고 있다. 포스터 외에도 드라마 장면들과 등장인물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13] 2021년 말 서생관광단지 조성에 따라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임차인의 명도소송으로 인해 철거가 중단되었다.

5. 5. 기타 시설

간절곶은 해돋이 명소로 각광받으면서 등대 홍보관이 건립되어 전망대와 자료실이 설치되었다.[8]

새천년 기념비와 함께 조각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몇몇 기념물과 산책로, 그리고 엽서를 써서 우편물로 보낼 수 있는 간절곶 소망우체통이 있다.[8][9][6]

이전 등대의 상부를 이전하여 관광 시설로 활용하고 있으며, 밀레니엄 전시실에는 등대 관련 자료 및 울산항 소개가 있다.[6] 2011년에는 울산해양박물관이 곶 입구에 개관했다.[9]

6. 관광

간절곶은 국립천문대와 새천년준비위원회가 한반도에서 새천년의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발표하였다. 간절곶은 육지에서 정동진이나 포항 호미곶, 부산 해운대 등지보다 1분 이상 일출이 빠른데, 2000년 1월 1일에는 오전 7시 31분 26초에 해가 떴다.

매년 12월 31일부터 다음날 1월 1일 일출 시까지 간절곶 해맞이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는 해맞이 축제 중 가장 큰 규모로, 전국에서 관광객이 몰려와 매년 10만 명 이상의 관람 기록을 세운다.[10]

진하 해수욕장, 서생포왜성과 함께 울산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으며, 2011년에는 총 152만 4700명이 방문하여 울산 12경 중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4][5][11]

6. 1. 포켓몬 GO 열풍

2016년 7월 22일 닌텐도의 모바일용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Go》가 일본에서 출시되면서, 간절곶을 중심으로 한 울산 지역이 일본 서비스 권역과 우연히 겹쳐 플레이 가능 지역이 되었다. 정식 출시 이전에 플레이가 가능해지면서, 속초시 주변 강원도 최동단 지역과 함께 포켓몬 고를 미리 플레이하려는 게이머들이 상당수 방문하며 특수를 누렸다. 간절곶 등대에 있는 소망 우체통은 게임상에서 체육관으로 인식되어 표시되기도 했다.[14]

7. 사회적 의의 및 과제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8. 현황

국립천문대와 새천년준비위원회는 간절곶을 한반도에서 새천년의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으로 발표하였다. 간절곶은 육지에서 정동진이나 포항 호미곶, 부산 해운대 등지보다 '''1분 이상 일출이 빠른데''', 2000년 1월 1일에는 오전 7시 31분 26초에 해가 떴다.[1]

한반도에서 해가 제일 먼저 뜨는 곳으로 알려지면서 매년 간절곶을 찾는 인파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일출 여행지가 되었다. 독도가 우리나라에서 해가 가장 일찍 뜨는 곳이지만, 간절곶에 해가 떠야 한반도에 아침이 온다는 의미를 지닌 ‘간절욱조조반도(艮絶旭肇早半島)’라는 말도 전해진다.[1]

2000년에 세워진 간절곶 표지석에는 “이곳을 찾은 분과 그 후손은 새천년에 영원히 번성할 것입니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매년 12월 31일부터 그 다음날인 1월 1일까지 간절곶 해맞이 축제가 개최된다.[1]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우체통인 소망우체통은 높이가 5m, 너비가 2.4m이다. 신라시대의 충신인 박제상 부인과 그의 딸을 추념하는 모녀상과 새천년을 기념하여 건립한 새천년 기념비 등이 있다.[1]

이곳에는 1920년 3월 26일에 등대가 설치된 이후, 2001년에 높이 17m의 등대가 새롭게 설치되었다. 간절곶등대는 백색 팔각형의 본체에 10각형으로 된 전통 한옥 형태인데, 동으로 만든 기와지붕을 얹어 전망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등대 옆으로는 간절곶항로표지관리소가 자리한다.[1]

간절곶으로 연결되는 해안길의 명칭은 한반도의 새해를 여는 간절곶의 명칭과 해맞이를 통해 소망을 기원하는 사람들의 바람을 포함하는 '''‘간절곶 소망길’'''로 정해졌다. 간절곶의 서쪽을 통과하는 국도 제31호선의 도로명은 ‘해맞이로’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Popular sunrise spot Ulsan-ganjeolgot Cape http://english.kbs.c[...] 2013-06-17
[2] 웹사이트 Japan sets new world record for largest mailbox, now ready for your puny mail http://en.rocketnews[...] 2013-07-24
[3] 웹사이트 A Place Where Dawn Breaks Earliest on the Korean Peninsula http://www.skynews.c[...] Sky News 2013-06-17
[4] 웹사이트 エリア検索 : 韓国観光公社公式サイト http://japanese.visi[...] 한국관광공사 2012-09-13
[5] 웹사이트 doopedia http://doopedia.co.k[...] 2012-09-21
[6] 웹사이트 상세보기 - : 울산12경 http://www.korea.go.[...] 2012-09-21
[7] 서적 땅이름 울산사랑(울주군편) http://uljukang.org/[...] 정도
[8] 서적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http://terms.naver.c[...] 마로니에북스
[9] 웹사이트 울산 진하해변과 간절곶에서 새해소망을 기원하다 : 네이트판 http://pann.news.nat[...] SK Communications 2012-09-24
[10] 웹사이트 간절곶 오전 7시31분30초 일출..10만 인파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2012-09-13
[11] 웹사이트 Invest Ulsan - KOREA http://ulsan.investk[...] 2012-09-22
[12] 뉴스 간절곶 드라마 세트장 갤러리 변신…관광객 '환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7-22
[13] 뉴스 오늘의 문을 가장 먼저 여는 곳, 포항과 울산의 해맞이 명소 http://boomup.chosun[...] 조선닷컴 2016-07-22
[14] 뉴스 울산 간절곶서 피카츄 잡았다…'포켓몬 고' 열풍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