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담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담돔은 농어목 황줄돔과의 물고기로, 최대 90cm까지 성장한다. 몸은 회백색 바탕에 검은 갈색 반점이 있으며, 성장하면서 반점이 사라지기도 한다. 얕은 바다의 암초나 산호초에 서식하며, 갑각류, 조개류 등을 먹고 산다.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으며, 회, 구이, 조림 등으로 요리해 먹는다. 하지만 대형 개체는 시가테라 중독의 위험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돌돔과 - 돌돔속
돌돔속은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도미형 몸매와 특이한 형태의 이빨을 가진 어류 속으로, 대한민국 연안에는 돌돔과 강담돔 2종이 서식하고 낚시와 양식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강담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plegnathus punctatus |
학명 명명자 | Temminck et Schlegel, 1844 |
영명 | Spotted Knifejaw |
한국어명 | 강담돔 (돌담돔)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아문 | 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
강 | 조기어류강 Actinopterygii |
목 | 검정우럭목 Perciformes |
아목 | 살벤자리아목 Percoidei |
과 | 돌돔과 Oplegnathidae |
속 | 돌돔속 Oplegnathus |
종 | 강담돔 O. punctatus |
추가 이미지 | |
![]() | |
![]() | |
![]() |
2. 특징
다 자란 성어는 보통 몸길이 50cm 정도이지만, 90cm를 넘는 개체도 발견된다. 몸은 좌우로 납작한 원반 모양이고, 턱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돌돔과 비교하면 입이 더 뾰족하고 체고가 더 높다. 등지느러미 연조 수는 15~16개로, 17~18개인 돌돔보다 적다. 입의 이빨은 서로 합쳐져 새의 부리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는 돌돔과 비슷하다.
몸 전체는 회백색 바탕에 크고 작은 검은 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는 독특한 무늬를 가진다. 일본에서는 이 무늬가 돌담을 닮았다고 하여 石垣鯛|이시가키다이일본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반점 무늬는 자라면서 점차 희미해진다. 특히 다 자란 수컷은 반점이 거의 사라지고 몸 전체가 회갈색으로 변한다. 이때 입 주변이 흰색을 띠게 되는데, 이런 수컷을 가리켜 口白|구치지로일본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암컷은 늙어도 반점이 비교적 선명하게 남아 있으며 입 주변이 하얗게 변하지 않는다.
자연 상태에서 돌돔과의 교잡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렇게 태어난 교잡종은 돌돔의 가로줄 무늬와 강담돔의 반점을 모두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지느러미 줄기 수는 어미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적인 교잡은 1970년 킨키 대학 수산연구소에서 처음 성공하였으며, 이 잡종 물고기는 '강담돔돌돔' 또는 연구를 진행한 대학의 이름을 따 キンダイ|킨다이일본어라고 불린다.
2. 1. 생태
태평양 연안에서는 보소 반도, 동해에서는 야마구치현 이남, 한반도 남부에서 남중국해까지 분포한다. 난류의 영향이 강한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일본 최남단 오키노토리시마와 하와이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 돌돔보다 남쪽 해역에 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얕은 바다의 암초나 산호초 지역에 서식한다. 다 자란 성어는 해저의 바위 그늘이나 동굴 속에 숨어 지내거나, 바닥 가까이를 헤엄쳐 다닌다. 먹이는 주로 동물성이며, 갑각류, 조개류, 성게와 같은 저서생물을 잡아먹는다. 단단한 부리 모양의 턱을 이용해 이들 동물의 튼튼한 껍질을 부수고 속살을 먹는다.
봄에 알을 낳으며, 알은 서로 분리되어 물에 떠다니는 부성란 형태이다. 알에서 깨어난 어린 치어는 부유물이나 떠다니는 나무 등에 붙어서 먼 바다를 표류한다. 이 시기에는 표착물에 붙어 사는 작은 동물이나 플랑크톤을 먹으며 성장한다. 몸길이가 수 cm 정도 자라면 얕은 바다의 암초 지역에 정착하는데, 때로는 해안가의 타이드 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돌돔과 비교했을 때 성장 속도가 더 빠르고 몸집도 더 크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명칭
표준명은 강담돔이며, 학명은 Oplegnathus punctatuslat이다.
일본에서는 イシガキダイ|이시가키다이일본어라고 부르는데, 이는 몸 전체를 덮고 있는 크고 작은 검은 갈색 반점 무늬가 돌담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했다. 다만 이 무늬는 성장하면서 점차 작아지며, 특히 늙은 수컷은 반점이 사라지고 몸 전체가 회갈색으로 변한다. 이때 입 주변이 흰색을 띠게 되므로, 이 시기의 수컷을 특별히 クチジロ|구치지로일본어라고 부른다. 반면 암컷은 늙어도 반점이 비교적 잘 남아있고 입 주변이 하얗게 되지 않는다.
영어명은 Spotted Knifejaw영어인데, 이는 "반점이 있는(Spotted) 칼(Knife) 같은 턱(Jaw)"이라는 의미이다.
일본 각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방명으로 불린다.[3][7][8]
명칭 | 지역 | 비고 |
---|---|---|
구치지로 (クチジロ일본어) | 각지 | 수컷 노성 개체 |
사사라다이 (ササラダイ일본어) | 가나가와 | |
와사라비 (ワサラビ일본어) | 가나가와현 | |
몬바스 (モンバス일본어) | 와카야마 | |
코몬바스 (コモンバス일본어) | 와카야마현 | |
몬와사나베 (モンワサナベ일본어) | 와카야마현 | "와사나베"는 돌돔을 의미 |
코메카미 (コメカミ일본어) | 미에 | |
몬코우로우 (モンコウロウ일본어) | 고치 | "코우로우"는 돌돔을 의미 |
후사 (フサ일본어) | 나가사키 | |
코메비샤 (コメビシャ일본어) | 미야자키 | |
쿠사 (クサ일본어) | 가고시마 | |
고마쿠샤 (ゴマクシャ일본어) | 가고시마현 | "쿠샤", "시차", "히사" 등은 돌돔을 의미 |
고마시차 (ゴマシチャ일본어) | 가고시마현 | "쿠샤", "시차", "히사" 등은 돌돔을 의미 |
고마히사 (ゴマヒサ일본어) | 가고시마현 | "쿠샤", "시차", "히사" 등은 돌돔을 의미 |
타네구사 (タネグサ일본어) | 가고시마현 고시키지마 열도 | |
가라사 (ガラサー일본어) | 오키나와 |
와카야마의 "하스", "와사나베", 고치의 "코우로우", 가고시마의 "히사" 등은 모두 돌돔을 가리키는 말인데, 강담돔의 지방명에 이러한 단어가 포함된 것은 "무늬가 있는 돌돔", "깨 무늬 돌돔"과 같은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이다.[3][7][8]
4. 이용
강담돔은 생존 환경의 열악함, 개체 수 부족, 성어의 크기, 강한 손맛 때문에 돌돔과 함께 갯바위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특히 입이 큰 개체는 낚시꾼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된다. 돌돔보다 입이 작아 낚시 미끼도 작게 쓰는 것이 좋으며, 돌돔 낚시의 덤으로 잡히기도 한다. 미끼로는 말똥성게, 소라, 새우 등이 사용된다.
살은 흰 살 생선으로, 회, 세꼬시, 초밥 재료로 쓰이며 소금구이, 조림, 튀김 등으로도 요리된다. 일반적으로 전체 길이 40cm 정도까지가 맛이 좋다고 여겨진다. 대형 개체는 맛이 떨어지고 시가테라 중독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3]
식용 외에도 치어나 어린 물고기는 수족관 등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4. 1. 시가테라 중독
대형 강담돔 개체는 시가테라 중독의 위험이 있어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먹이 사슬을 통해 독소가 몸 안에 쌓이는 생물 농축 현상 때문이며, 특히 무게 2.7kg(6파운드) 이상인 개체는 위험하다. 대형 개체는 맛도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죽은 후 시간이 지나면 비린내가 강해지므로 신선도 관리에도 주의가 필요하다.[3]참조
[1]
간행물
長崎県長崎半島沿岸で捕獲したイシダイとイシガキダイの天然交雑種
長崎県生物学会誌
2009
[2]
서적
山渓カラー名鑑 日本の海水魚
山と渓谷社
1997
[3]
서적
釣った魚が必ずわかるカラー図鑑
永岡書店
2004
[4]
웹사이트
ハーフのイシガキイシダイ
http://www.muse-toka[...]
東海大学社会教育センター
2010-11-17
[5]
뉴스
イシガキイシダイ知ってる?北海道沖で網に
https://web.archive.[...]
2010-11-17
[6]
FishBase
Oplegnathus punctatus
http://www.fishbase.[...]
FishBase
2009-10
[7]
서적
野外観察図鑑4 魚
旺文社
1985
[8]
서적
鹿児島の定置網の魚たち
いおワールドかごしま水族館
2008
[9]
FishBase
201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