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성 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성 고씨는 제주 고씨 양경공파에서 분파된 한국의 성씨로, 고려 시대의 문신 고령신을 시조로 한다. 고령신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지냈으며, 청렴한 삶을 살았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고사경, 조선 시대의 고약해, 고상안, 고시언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고병익, 고종진 등이 있다. 개성 고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18,247명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 고씨 - 고병익
    고병익은 경상북도 문경 출신의 한국 역사학자로, 독일 역사학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사를 연구했으며, 역사학회 창설 참여, 연세대학교 및 서울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 한림대학교 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및 연구에 기여했고, 학술 저서 및 수상 경력이 있다.
  • 개성 고씨 -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문경 개성 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는 조선 시대 사회, 문화, 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 문화재로, 지정된 전적과 고문서는 당시 생활상, 가족 윤리, 재산 분배, 행정 제도를 보여주며 특히 문경 지역 역사와 유교 문화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개성 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개성 고씨 정보
성씨개성 고씨
한자 표기開城 高氏
관향개성특별시
시조고령신(高令臣)
중시조알려진 정보 없음
집성촌경상북도 문경시
주요 인물고사경
고약해
고상안
고시언
고유
고병익
고윤환
2015년 인구18,247명
순위알려진 정보 없음
국가대한민국

2. 시조

개주 고씨(開州高氏)의 시조 '''고령신'''(1045년 ~ 1116년)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찬선대부(右贊善大夫), 이부낭중(吏部郎中), 추밀원우승선(樞密院右承宣) 등을 역임하였다. 1106년 경상도에 홍수가 나자 안무사(按撫使)로 파견되어 공전세(公田稅)를 감면하는 등 백성을 구제하였고, 1113년 검교사공(檢校司空) 참지정사(參知政事)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청렴하고 검소하여 죽었을 때 집에 남은 재물이 없었다고 한다. 시호는 양경(良敬)이다.[1] 개성 고씨는 제주 고씨 양경공파(良敬公派)라고도 한다.

2. 1. 시조에 대한 논란

고려사에 따르면 고령신(1045년 ~ 1116년)은 어렸을 때 고아가 되었고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예종 11년에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고 한다.[1]

『개성고씨양경공파보(開城高氏良慶公派譜)』에 의하면 제주 고씨 중시조 고말로가 태조 21년(938년)에 고려에 귀부하였고, 고유(高維), 고강(高綱), 고소(高紹) 세 아들을 두었으며, 개성 고씨 시조인 고령신은 고소(高紹)의 손자라고 주장한다. 고소는 고열(高烈)이라고도 하였으며 고령신의 조부로 관직이 우복야(右僕射)에 이르렀다. 고소의 아들은 대장군 고문익(高文益)으로 고문개(高文盖)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고려사』에서 고열과 고문개의 기록을 보면 고열은 주로 정종(靖宗)대에 활동하다 문종 10년(1056년)에 죽었고 고문개는 대장군으로 숙종 초에 모반을 꾀하다 유배된 인물이다. 고말로와 고열의 나이 차를 부자사이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말로의 장남 고유(高維)는 정종 11년(1045년)에 과거에 합격하였으므로 고유, 고소를 고말로의 아들이라고 하기에는 연대가 맞지 않는다. 만약 고문개가 고령신의 아버지라면 《고려사 열전》에 어려서 고아가 되었다는 기록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고말로로부터 고소, 고문개, 고령신까지 이어지는 세계는 후대에 족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제주 고씨와 합본하기 위해 만들어진 계보로 보아야 하며, 고령신을 개성 고씨의 실질적인 시조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3. 주요 인물


  • 고사경(高士褧) : 고려 우왕 때 지인상서를 지냈고, 조선 개국 후 보문각직학사를 역임했다. 『대명률직해』 편술에 참여했고,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고약해(高若海, 1377년 ~ 1443년) :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 고만해 (1380~1447년) : 고약해의 동생으로 1398년(태조 7) 역과에 합격하였고, 명고유람기를 저술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 고상안(高尙顔, 1553년 ~ 1623년) :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장.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웠다. 「농가월령가」를 저술하였다.
  • 고시언(高時彦, 1671년 ~ 1734년) : 조선 후기 역관. 『소대풍요』를 편찬하였다.
  • 고유(高裕, 1722년 ~ 1779년) : 조선 후기의 문신. 1796년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 고병익(高柄翊, 1924년 ~ 2004년) : 前 서울대학교 총장
  • 고흥환(高興煥, 1934년 ~ 2024년) : 연세대학교 체육대학 명예교수
  • 고종진(高宗鎭, 1937년 ~ ) : 前 두산 대표이사 회장
  • 고윤환(高潤煥, 1957년 ~ ) : 경상북도 문경시
  • 고철우(高喆宇, 1957년 ~ ) : 경북대학교 의대 교수
  • 고종욱(高宗郁, 1989년 ~ ) : 기아타이거즈 외야수

3. 1. 고려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한 고령신(高令臣)은 1113년 검교사공(檢校司空)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어 종2품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은퇴하였다. 청렴하고 검소하여 죽었을 때 집에 남은 재물이 없었다고 한다. 시호는 양경(良敬)이다.[1]

고령신의 9세손 고사경(高士褧)은 고려 우왕 때 지인상서(知印尙書)를 지내고, 1392년 조선이 개국한 뒤 보문각직학사(寶文閣直學士)를 역임하였다. 조선 개국초에 김지(金祗) 등과 함께 이두(吏讀)로 자구를 직해한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를 편술하였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3. 2. 조선


  • 고약해(1377년 ~ 1443년): 1393년(태조 2) 성균시에 합격하였고, 효행으로 천거받아 공안부주부에 제수되었다. 1418년(태종 18) 형조정랑을 지내고, 장령·경창부소윤을 거쳐 예조참의·이조참의·충청도관찰사·한성부윤·형조참판·대사헌을 지냈다. 1442년 개성부유수로 나갔다가 임지에서 사망했다. 시호는 정혜(貞惠)이다.[1]
  • 고만해 (1380~1447년): 고약해의 동생으로 1398년(태조 7) 역과에 합격하였고, 당시 명나라를 유람한 경험을 바탕으로 명고유람기를 저술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1]
  • 고상안(1553년 ~ 1623년): 1573년(선조 6) 진사가 되고, 1576년(선조 9)에 문과에 급제해 함창현감·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상주 함창에서 의병 대장으로 추대되어 큰 공을 세웠다. 1601년(선조 34) 지례현감·함양군수를 거쳐 울산판관을 지냈다. 「농가월령가」를 저술하였다.[1]
  • 고시언(1671년 ~ 1734년): 1687년(숙종 13) 역과에 급제하여 역관으로 2품에 올랐다. 한시에 뛰어나 당풍을 본받은 4대 시인으로 일컬어졌다. 세조 때부터 영조 때까지의 서민시를 수집하여 『소대풍요』를 편찬하였다.[1]
  • 고유(1722년 ~ 1779년): 1741년(영조 17) 생원이 되었고, 1743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창녕현감·경상도사·정언·지평·필선·장령을 거쳐 1777년 승지에 올랐다. 1796년 청백리에 녹선되었다.[1]

3. 3. 현대

4. 문화재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5. 과거 급제자

문과
고대혁고득용고몽필고상안고선경
고언겸고유고익형고인계고종필
고한정고흥운



무과
고금동고득준고명규고문혁고완
고처명고처항고천립고필무고학신
고현고희태



생원시
고두연고맹손고몽필고봉환고사성
고석우고식고약해고언상고언홍
고유고윤상고윤제고윤주고응성
고일원고종진고한보고한정고흥운



진사시
고계서고계포고대혁고몽수고상안
고세장고언홍고응성고익형고인계
고진덕



역과
고대관고명언고서운고세관고시면
고시범고시봉고시언고징후고필관



의과
고명호고세창고준영고진원고형원



개성 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2명을 배출하였다.

6. 인구

연도인구
2000년11,833명
2015년18,247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