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바운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인 바운더리는 물리적, 정신적, 정서적, 때로는 영적, 진실, 시간과 관련된 경계로, 개인의 공간, 생각, 감정 등을 보호한다. 바운더리는 부드러운 경계, 스폰지 경계, 엄격한 경계, 유연한 경계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타인을 통제하려 하거나 자기 삶을 책임지지 않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개인 바운더리는 분노, 정신 증상, 공의존, 역기능 가정, 공동 경험, 불평등한 권력 관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강박장애, 경계선 인격장애 등 여러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인 커뮤니케이션 - 사회교환이론
사회교환이론은 사회적 행동을 경제적 교환으로 간주하며, 개인들이 보상과 비용을 평가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회학 및 심리학 이론으로, 호혜성, 사회 침투, 형평성 등의 개념을 통해 대인 관계, 경영, 직장, 온라인 네트워킹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대인 커뮤니케이션 - 귀인 이론
귀인 이론은 개인이 타인이나 사건의 원인을 내적 또는 외적 요인으로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며, 귀인 편향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의미한다. - 대중심리학 -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와 목적 상실에서 비롯되는 내적 갈등으로, 개인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상 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며, 심리 치료뿐 아니라 조직의 존립 위협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해결 방안이 모색된다. - 대중심리학 - 필 맥그로
필 맥그로는 미국의 텔레비전 인물, 작가, 심리학자이며, 법정 자문 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오프라 윈프리의 쇼에 출연하며 방송 경력을 시작하여 자신의 쇼 《닥터 필》을 진행하며 베스트셀러를 저술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24년에는 새로운 미디어 회사를 출범할 예정이다.
개인 바운더리 | |
---|---|
개인 바운더리 | |
개인 바운더리 |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는 물리적, 정서적, 정신적 경계 |
목적 | |
목적 | 안전 확보 자존감 유지 건강한 관계 유지 |
유형 | |
물리적 경계 | 개인의 공간, 신체, 소유물에 대한 경계 |
정서적 경계 | 감정적 책임, 타인의 감정에 대한 영향력 제한 |
정신적 경계 | 신념, 가치관, 의견에 대한 독립성 유지 |
성적 경계 | 성적 활동에 대한 동의, 편안함 수준 설정 |
물질적 경계 | 돈, 소유물에 대한 책임 및 공유 범위 설정 |
시간적 경계 | 시간 관리, 약속, 우선순위 설정 |
건강한 경계의 특징 | |
특징 | 자기 인식 자기 존중 책임감 명확한 의사소통 일관성 |
건강하지 않은 경계의 특징 | |
특징 | 의존성 죄책감 수동 공격성 과도한 책임감 희생 |
경계 설정 방법 | |
방법 | 자기 인식 의사소통 일관성 자기 연민 |
경계 침해의 예시 | |
예시 | 원치 않는 신체적 접촉 개인적인 질문 비판적인 발언 무시 조종 |
경계 설정의 이점 | |
이점 | 자존감 향상 스트레스 감소 관계 개선 자기 통제감 향상 |
2. 범위
개인 바운더리의 가치관과 관련하여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세 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15][16][17][47][48][49]
- 물리적: 개인 공간, 신체 접촉, 터치 고려사항, 신체적 친밀함 등을 포함한다.[15][16][17][47][48][49]
- 정신적: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과 관련된다.[15][16][17][47][48][49]
- 정서적: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적 친밀함과 관련된다.[15][16][17]
일부 전문가나 저자들은 이 목록을 확장하여 영성[15][17][47][49], 진솔함(truth)[17][49], 그리고 시간관념이나 정시성[18][46]과 같은 추가적이거나 특수한 범주를 포함하기도 한다.
3. 유형
니나 브라운(Nina Brown)은 개인의 바운더리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했다.[19][50]
; 부드러운 바운더리 (Soft boundaries)
: 다른 사람의 바운더리와 쉽게 합쳐지는 경향이 있다. 이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타인에게 쉽게 영향을 받고, 심리조종(psychological manipulation)에 취약할 수 있다.
; 스폰지 바운더리 (Spongy boundaries)
: 부드러운 바운더리와 엄격한 바운더리의 중간적 성격을 띤다. 부드러운 유형보다는 덜하지만, 엄격한 유형보다는 정서전염(emotional contagion)에 더 쉽게 노출된다. 무엇을 받아들이고 무엇을 차단해야 할지에 대한 판단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 엄격한 바운더리 (Rigid boundaries)
: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마치 벽을 세운 것처럼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다른 사람이 물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계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심리적 학대, 성적 학대 등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 특히 학대를 경험한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특정 시간, 장소,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과거의 상처와 유사한 상황에 부딪혔을 때 방어기제로 작동하는 '''선택적''' 엄격함이다.
; 유연한 바운더리 (Flexible boundaries)
: 스폰지나 엄격한 바운더리와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개인이 상황에 따라 경계를 조절할 수 있는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무엇을 받아들이고 무엇을 거부할지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서전염이나 심리조종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쉽게 이용당하지 않는 건강한 경계 유형으로 볼 수 있다.
4. 적용
개인 바운더리는 타인을 통제하려 하거나 자기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이 있는 상황에서 특히 유용한 개념이자 생활 기술이다.[5][49]
공동의존 익명회(Co-Dependents Anonymous, CoDA)는 회원들이 타인의 생각, 감정, 문제에 통제당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개인의 자율성(autonomy)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해주고 또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무엇을 하도록 허용할지에 대한 한계(바운더리)를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6][51]
미국 정신 질환 연합회(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NAMI)는 회원들에게 가치관과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족 구성원 중 일부가 반대하더라도 가족 내에서 안전감, 안정감, 예측 가능성, 질서감을 높여준다고 조언한다.[7] NAMI는 경계 설정이 편안하고 비판단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며, 경계의 존재가 반드시 상호 이해하는 분위기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과 상충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7]
경계 설정은 개인적인 가치관이 침해받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이를 공개적으로 소통하고 주장하는 행위이다.[2] 개인적인 경계를 관리하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은 다음과 같다.[2]
: '''가치관 정의:''' 건강한 관계는 두 "독립적인" 사람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이다. 건강한 개인은 관계의 성격(''핵심'' 또는 ''독립적인'' 가치관)에 관계없이 존중하고 옹호하는 가치관을 확립해야 한다. 또한 건강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협력하기 위해 협상하고 적응하는 가치관(''상호 의존적인 가치관'')을 가져야 한다.[2]
: '''경계 주장:''' 이 모델에서 개인은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의도와 선호도를 주장하고 자신의 ''핵심'' 또는 ''독립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무엇이 ''허용''되고 ''허용되지 않는지''를 정의한다.[8] 가치관과 경계를 주장할 때 의사소통은 현재 상황에 맞고, 적절하며, 명확하고, 확고해야 한다. 또한 자신을 보호하면서도 유연하고, 상대방을 수용하며 협력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9]
: '''존중하고 옹호하기:''' 인생의 선택에 직면하거나 통제적인 사람 또는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과 대면하거나 도전을 받을 때 개인적인 가치관에 일치하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2] 기능 부전적인 관계에서 경계선을 넘는 사람에게 자신의 경계를 존중하고 옹호하는 것은 종종 원치 않고 불편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1] 상대방은 비난, 수치심 유발, 분노 표출, 관계를 바꾸지 않도록 압박하는 등 익숙한 과거의 행동 패턴을 복원하려는 행동으로 반응할 수 있다.[1]
건강한 가치관과 경계를 갖는 것은 관계 갈등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책이 아닌 생활 방식이다.[2]
가치관은 결론, 신념, 의견, 태도, 과거 경험 및 관찰 학습의 혼합으로 구성된다.[10][11] 자크 라캉은 가치관을 가장 원시적인 것부터 가장 진보된 것까지, ''"개인의 생물학적 및 사회적 지위의 모든 연속적인 외피"''를 반영하는 계층 구조로 간주한다.[12]
개인적인 가치관과 경계는 두 가지 방향으로 작동하여 사람들 간의 들어오고 나가는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13] 이것은 때때로 '보호' 및 '억제' 기능이라고 한다.[14]
5. 바운더리 재구축에서의 위기
의학박사 로빈 스키너(eng)는 자신의 저서 『Families and How to Survive Them』에서 가족치료사가 가족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바운더리 형성을 돕는 방식을 설명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녀 사이에 선을 그어주거나 각자 따로 치료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밀착(enmeshmenteng)과 같이 건강하지 못한 관계가 개인의 정상적인 가치관 형성을 방해하는 가족 환경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병적인 수준으로 심각한 밀착 관계가 가족 내 주요 상호작용 방식이 되어버린 경우, 개인의 가치관과 바운더리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특히 이전에는 없던 경계를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갑자기 일방적으로 설정하려 할 때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방적인 경계 설정과 상호 협조적인 문제 해결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6. 분노
분노는 화를 유발하는 자극을 느꼈을 때 나타나는 강하고 불편한 정서 반응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감정이다. 특히 개인의 경계가 침범당했을 때 나타나기도 한다. 분노는 자신의 경계를 설정하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38]
7. 복합 요인
개인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특정 정신 증상은 타인의 경계를 침범하거나 자신의 경계를 지키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공의존적인 관계 패턴이나 역기능 가정 환경에서 성장한 경험은 건강한 바운더리 형성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때로는 군중 속에서의 공동 경험과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 개인의 경계가 일시적으로 희미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개인의 바운더리 문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각 요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살펴볼 수 있다.
7. 1. 정신 증상
강박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31] 경계선 인격 장애,[32] 자기애성 인격 장애,[33] 주의력 결핍 장애,[34] 조울증의 조증 상태[34] 등 특정 정신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을 통제하는 강압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경계선 인격 장애 (BPD):''' 경계선 인격 장애를 겪는 사람의 주변인, 특히 배우자나 연인은 보호자(caretaker) 역할을 자처하며 자신의 삶의 문제보다는 환자의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고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35]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이들은 공의존자(codependent)로서 자신이 ‘정상적인 사람’ 혹은 ‘책임지는 사람’이라는 역할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려 할 수 있다.[35] 일부 문화권, 특히 아시아 문화권의 가정에서는 문화적 통념의 영향으로 이러한 경향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한다.[36]
- '''자기애성 인격 장애 (NPD):''' 자기애성 인격 장애 환자들은 자아 감각이 부족하며, 타인을 자신과 분리된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37] 이 때문에 환자와 관계를 맺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가치관이나 바운더리는 자주 침해받거나 무시당할 수 있다. 환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만족감을 주는 사람들은 마치 환자 자신의 일부처럼 취급되며, 환자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37]
7. 2. 공의존(Codependency)
공의존 Codependency영어은 자신의 욕구보다 타인의 욕구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상태를 말한다.[5][27][53] 이는 가족, 직장 동료, 친구, 연인, 또래, 동네 사람 등 거의 모든 유형의 인간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5][27][53]공의존 관계에서 공의존자는 파트너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극단적인 희생을 하는 경향이 있다.[30][56] 이러한 관계는 종종 불건전한 집착 clinginess영어으로 나타나며, 개인은 자기효능감이나 자율성을 갖기 어렵다.[30][56] 관계 속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만족을 위해 상대방에게 의존하게 된다.[30][56] 타인의 삶을 우선시하는 배경에는 자신의 존재 가치가 타인으로부터 온다는 무의식적이고 잘못된 믿음이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30][56] 이러한 행동 방식은 통제적인 사람이 있거나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이 있는 환경에서 생존 기술로 학습되었을 수 있다.[5][52]
건강한 관계는 개인 바운더리를 통해 형성되는 정서적 공간 emotional space영어을 필요로 하지만,[28][54] 공의존적인 사람들은 이러한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9][55] 따라서 효과적으로 경계를 정의하고 보호하는 것은 공의존 상태에서 벗어나 정신 건강을 회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29][55]
공의존은 특정 관계 맥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부전 가족에서는 아이가 부모의 필요와 감정에 맞춰지도록 학습될 수 있으며,[25] 부모가 자녀에게 과도한 보살핌이나 희생을 제공하며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26] 또한 경계성 인격 장애(BPD)[32]나 자기애성 인격 장애(NPD)[33] 등 특정 정신 질환을 가진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주변 사람들이 돌봄 역할에 과도하게 몰입하며 공의존적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31][34][35][37]
공동의존 익명회는 회원들이 타인에게 과도하게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확립하도록 돕기 위해, 타인과의 관계에서 명확한 제한(바운더리)을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6] 미국 정신질환 연합회(NAMI) 역시 개인의 가치관과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설령 일부 가족 구성원의 반대가 있더라도, 가족 내 안정감, 안정성, 예측 가능성 및 질서를 향상시킨다고 강조한다.[7] NAMI는 경계 설정이 비판적이지 않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상호 이해를 위한 노력과 반드시 상충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7]
7. 3. 역기능 가정
역기능 가정(Dysfunctional family)에서는 부모가 아이의 욕구와 감정을 충족시켜 주기보다, 아이가 부모의 욕구와 감정을 살피고 이에 맞추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25] 이러한 환경에서는 통제적인 사람이 있거나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경우가 있어, 개인 경계를 설정하는 기술이 특히 유용하다.[5]양육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자기 희생과 아이를 우선시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부모의 보살핌이나 희생이 과도하여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저해하거나 파괴적인 수준에 이르면, 부모가 오히려 아이에게 공의존하는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26]
공의존은 자신의 필요보다 다른 사람의 필요에 지나치게 몰두하며 자신의 필요를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을 보인다.[27] [53] 이러한 관계는 가족, 직장, 우정, 연애, 동료 관계 등 모든 유형의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27] [53] 건강한 관계는 개인적인 경계가 제공하는 정서적 공간에 기반하지만,[28] [54] 공의존적인 사람은 이러한 경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9] [55] 공의존 관계에서 공의존자의 목적 의식은 파트너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극단적인 희생을 하는 것에 기반을 두며,[30] [56] 이는 한쪽 또는 양쪽 당사자가 자립심이나 자율성을 갖지 못하고 만족을 위해 상대방에게 의존하는 불건전한 상태를 의미한다.[30] [56] 타인의 삶을 우선시하는 배경에는 종종 자신의 가치가 다른 사람에게서 비롯된다는 무의식적이고 잘못된 믿음이 자리 잡고 있다.[56] 따라서 경계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고 보호하는 것은 공의존적인 사람이 정신 건강을 회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29] [55]
공동의존 익명회는 회원들이 타인의 생각, 감정, 문제에 의해 통제받는 것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립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해주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무엇을 하도록 허용할지에 대한 제한을 설정하도록 권장한다.[6] 미국 정신 질환 연합회(NAMI) 역시 회원들에게 가치관과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가족 구성원 중 일부가 반대하더라도 가족 내에서 안정감, 안정성, 예측 가능성, 질서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NAMI는 경계가 더 편안하고 비판적이지 않은 분위기를 조성하며, 경계의 존재가 서로를 이해하는 분위기를 해칠 필요는 없다고 설명한다.[7]
가족 내에 특정 정신 질환을 가진 구성원이 있는 경우 경계 설정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강박 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31] 경계성 인격 장애,[32] 자기애성 인격 장애,[33] 주의력 결핍 장애,[34] 및 양극성 장애의 조증 상태[34] 등 특정 정신 상태를 가진 사람들은 강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경계성 인격 장애(BPD)를 겪는 사람의 가족 구성원은 돌보는 역할에 몰입하여 자신의 삶보다 환자의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과정에서 '정상적인' 또는 '책임감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가치감을 얻으려는 공의존적 패턴이 나타나기도 한다.[35] 특히 가족주의적 문화가 강한 일부 사회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 두드러질 수 있다.[36] 자기애성 인격 장애(NPD)를 가진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NPD 성향의 사람이 타인을 자신과 분리된 개별적 존재로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의 가치와 경계가 자주 침해될 수 있다.[37] 이들은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사람을 자신의 일부처럼 여기고, 자신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37]
7. 4. 공동 경험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개인이 획일적이고 빠르게 움직이는 군중 속에 있을 때 의식상의 바운더리가 상실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57][20]거의 한 세기 후, 스티븐 핑커는 공동 경험(communal experience)에서 개인 바운더리가 상실되는 현상을 다루었다. 그는 기근, 공포, 고통과 같은 극심한 고통(ordeal)을 공유하는 것이 이러한 현상을 촉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이 신고식(initiation rites)과 같은 전환 상태(liminal condition)를 형성하는 데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지적했다.[58][21] 칼 융은 이를 정체성이 집단 무의식으로 흡수되는 것(the absorption of identity into the collective unconscious)으로 묘사했다.[59][22]
레이브 문화(rave culture)에서도 '개인 바운더리의 소멸(a dissolution of personal boundaries)’과 ‘연대감으로의 통합(a merger into a binding sense of communality)’이라는 요소가 나타난다고 한다.[60][23]
8. 불평등한 권력 관계
정치적, 사회적 권력의 불평등한 관계는 문화적 경계를 설정하는 가능성과 더불어 개인의 삶의 질 전반에도 영향을 미친다.[24] 학대적인 관계를 포함한 개인 관계에서의 불평등한 권력은 개인이 자신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5][24]
개인의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능력은 통제적인 사람이 있거나,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이 있는 환경에서 특히 유용한 생활 기술로 여겨진다.[5]
공동의존 익명회는 회원들이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문제에 의해 통제받는 것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해주고,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무엇을 하도록 허용할지에 대한 제한을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6] 미국 정신 질환 연합회(NAMI)는 회원들에게 가치관과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족 구성원 중 일부가 반대하더라도 가족 내에서 안정감, 안정성, 예측 가능성 및 질서를 향상시킨다고 말한다. NAMI는 경계가 더 편안하고 비판적이지 않은 분위기를 조성하며, 경계의 존재가 이해하는 분위기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과 상충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7]
9. 개념
경계 설정은 개인적인 가치관을 침해받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이를 공개적으로 소통하고 주장하는 행위이다.[2] 개인적인 경계를 관리하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은 다음과 같다.[2]
- '''가치관 정의:''' 건강한 관계는 두 "독립적인" 사람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이다. 건강한 개인은 관계의 성격('''핵심''' 또는 '''독립적인''' 가치관)에 관계없이 존중하고 옹호하는 가치관을 확립해야 한다. 또한 건강한 개인은 다른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협력하기 위해 협상하고 적응하는 가치관('''상호 의존적인 가치관''')을 가져야 한다.[2]
- '''경계 주장:''' 이 모델에서 개인은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하여 의도와 선호도를 주장하고 자신의 '''핵심''' 또는 '''독립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무엇이 '''허용'''되고 '''허용되지 않는지'''를 정의한다.[8] 가치관과 경계를 주장할 때 의사소통은 현재, 적절하고, 명확하고, 확고하며, 보호적이고, 유연하고, 수용적이며, 협력적이어야 한다.[9]
- '''존중하고 옹호하기:''' 인생의 선택에 직면하거나 통제적인 사람 또는 자신의 삶에 책임을 지지 않는 사람과 대면하거나 도전을 받을 때 개인적인 가치관에 일치하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2] 기능 부전적인 관계에서 경계선을 넘는 사람으로부터 자신의 경계를 존중하고 옹호하는 것은 종종 원치 않고 불편한 반응을 유발한다.[1] 그들은 비난, 수치심, 분노, 관계를 바꾸지 않도록 압박하는 등의 친숙한 오래된 행동 패턴을 복원하기 위한 행동으로 반응할 수 있다.[1]
건강한 가치관과 경계를 갖는 것은 관계 갈등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책이 아닌 생활 방식이다.[2]
가치관은 결론, 신념, 의견, 태도, 과거 경험 및 관찰 학습의 혼합으로 구성된다.[10][11] 자크 라캉은 가치관을 가장 원시적인 것부터 가장 진보된 것까지, ''"개인의 생물학적 및 사회적 지위의 모든 연속적인 외피"''를 반영하는 계층 구조로 간주한다.[12]
개인적인 가치관과 경계는 두 가지 방향으로 작동하여 사람들 간의 들어오고 나가는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13] 이것은 때때로 '보호' 및 '억제' 기능이라고 한다.[14]
경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구성된다.[14]
- '''일방적 경계''' –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이 이를 지지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관계에 대한 기준을 정하기로 결정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원치 않는 주제를 절대 언급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다른 사람이 해당 주제를 언급하면 방을 나가거나, 전화를 끊거나, 답장 없이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을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14]
- '''협력적 경계''' – 관계 집단의 모든 구성원이 특정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는 데에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동의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집단은 원치 않는 주제에 대해 논의하지 않기로 결정한 다음 모든 구성원이 개별적으로 이를 언급하는 것을 피하고, 누군가 언급할 경우 주제를 변경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다.[14]
경계를 설정할 때 반드시 경계가 무엇인지 또는 이를 위반했을 때의 결과가 무엇인지 누군가에게 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14]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대화를 떠나기로 결정하는 경우, 그 사람은 주제를 언급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대신, 다른 일을 할 시간이라고 주장하는 등 관련 없는 변명을 할 수 있다.
10. 인물
11. 증상
강박장애, 편집성 인격장애, 경계선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주의력결핍장애, 조울증의 조증 상태 등 특정 정신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을 통제하려는 행동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개인 바운더리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의 배우자나 연인은 스스로 보호자 역할을 맡으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이들은 자신의 삶의 문제보다는 환자의 삶의 문제에 집중하고 우선순위를 두게 된다. 이러한 관계 패턴이 반복되면 공의존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스스로를 '정상적인 사람' 혹은 '책임감 있는 사람'으로 여기며 자신의 가치를 찾으려 할 수 있다. 일부 문화적 통념의 영향으로 아시아 문화권의 가정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한다.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들은 자아감이 부족하여 타인이 자신과 분리된 독립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인의 가치관이나 바운더리는 자신의 욕구와 상충하는 개념으로 여겨질 수 있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거나 만족감을 주는 사람들을 마치 자신의 연장선에 있는 존재처럼 여기고, 자신의 기대에 맞춰 살아가도록 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음은 개인 바운더리 문제와 관련될 수 있는 정신 질환 및 행동 문제의 예시이다.
참조
[1]
뉴스
How to Set Boundaries With a Difficult Family Member
https://www.nytimes.[...]
2023-03-12
[2]
웹사이트
Setting Boundaries and Setting Limits
http://bpdfamily.com[...]
BPDFamily.com
2014-06-10
[3]
서적
I Don't Have to Make Everything All Better
2000
[4]
뉴스
Boundaries are suddenly everywhere. What does the squishy term actually mean?
https://www.theguard[...]
2023-07-14
[5]
서적
Boundaries: When to Say Yes, How to Say No to Take Control of Your Life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
1992-11-01
[6]
서적
Setting Boundaries: Meditations for Codependents (Moment to Reflect)
Harpercollins
1995-08
[7]
웹사이트
Setting Boundaries In A Marriage Complicated By Mental Illness
http://www2.nami.org[...]
[8]
웹사이트
Boundaries
http://www.guidetops[...]
2015-05-06
[9]
서적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Knowing, Protecting and Enjoying the Self
HCI Books
2010
[10]
서적
Facts of Life: ten issues of contentment
Outskirts Press
2014
[11]
서적
Working with Young Men
2010
[12]
서적
Ecrits
1997
[13]
문서
Where to Draw the Line: How to Set Healthy Boundaries Every Day
2000
[14]
서적
Facts of Life: ten issues of contentment
Outskirts Press
2014
[15]
서적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Knowing, Protecting and Enjoying the Self
https://archive.org/[...]
HCI Books
2010
[16]
서적
Boundaries: Where You End and I Begin
Hazelden
1994
[17]
서적
Boundaries: When to Say Yes, How to Say No to Take Control of Your Life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
1992-11-01
[18]
서적
Where to Draw the Line: How to Set Healthy Boundaries Every Da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2000
[19]
서적
Coping With Infuriating, Mean, Critical People – The Destructive Narcissistic Pattern
Bloomsbury Academic
2006
[20]
논문
Le Bon's Description of the Group Mind
[21]
서적
The Stuff of Thought
https://archive.org/[...]
Penguin
2007
[22]
서적
Man and His Symbols
Dell
1968-08-15
[23]
서적
Disappearing Men: Gender Disorientation in Scottish Fiction 1979–1999 (Scroll: Scottish Cultural Review of Language and Literature) (Book 12)
Rodopi
2009-09-10
[24]
논문
Power Relations and its Influence in the Sphere of Globalization since World War II
http://ir.lib.uwo.ca[...]
2016-03-31
[25]
서적
Conquering Shame and Codependency: 8 Steps to Freeing the True You
Hazelden
2014
[26]
웹사이트
Codependents Anonymou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http://www.coda.org/[...]
[27]
웹사이트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odependence
http://coda.org/inde[...]
Co-Dependents Anonymous
2011-06-25
[28]
서적
Further Learning from the Patient
1990
[29]
서적
Breaking Free of the Co-Dependency Trap
New World Library
2008-01-28
[30]
웹사이트
Psychology division chief at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http://www.webmd.com[...]
WebMD
2014-12-05
[31]
뉴스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http://webmd.com/men[...]
2014-10-20
[32]
서적
Who's Pulling Your Strings? How to Break The Cycle of Manipulation
2006
[33]
서적
Children of the Self-Absorbed: A Grown-Up's Guide to Getting Over Narcissistic Parents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08-04-01
[34]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Codependency
1986
[35]
웹사이트
Codependency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ow to Spot It
http://www.borderlin[...]
Clearview Women's Center
2012-06-07
[36]
논문
Gendered Cultural Identities: The Influences of Family and Privacy Boundaries, Subjective Norms, and Stigma Beliefs on Family Health History Communication
[37]
서적
Why Is It Always About You? (Chapter 7)
https://archive.org/[...]
Free Press
2003-08-07
[38]
서적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9]
웹사이트
http://www.guidetops[...]
[40]
서적
Facts of Life: ten issues of contentment
Outskirts Press
2014
[41]
서적
Working with Young Men
2010
[42]
웹사이트
Setting Boundaries and Setting Limits
http://bpdfamily.com[...]
BPDFamily.com
2014-06-10
[43]
서적
I Don't Have to Make Everything All Better
2000
[44]
서적
Quantum Leadership
2003
[45]
서적
Ecrits
1997
[46]
서적
Where to Draw the Line: How to Set Healthy Boundaries Every Day
2000
[47]
서적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Knowing, Protecting and Enjoying the Self
https://archive.org/[...]
HCI Books
2010
[48]
서적
Boundaries: Where You End and I Begin
Hazelden
1994
[49]
서적
Boundaries: When to Say Yes, How to Say No to Take Control of Your Life
HarperCollins Christian Publishing
1992-11-01
[50]
서적
Coping With Infuriating, Mean, Critical People – The Destructive Narcissistic Pattern
2006
[51]
서적
Setting Boundaries: Meditations for Codependents (Moment to Reflect)
Harpercollins
1995-08
[52]
문서
Finding a Purpose in the Pain
2012
[53]
웹사이트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odependence
http://coda.org/inde[...]
Co-Dependents Anonymous
2011-06-25
[54]
서적
Further Learning from the Patient
1990
[55]
서적
Breaking Free of the Co-Dependency Trap
New World Library
2008-01-28
[56]
웹사이트
Psychology division chief at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http://www.webmd.com[...]
WebMD
2014-12-05
[57]
문서
"Le Bon's Description of the Group Mind". Civilization, Society and Religion (PFL 12)
[58]
서적
The Stuff of Thought
2007
[59]
서적
Man and His Symbols
Dell
1968-08-15
[60]
서적
Disappearing Men: Gender Disorientation in Scottish Fiction 1979–1999 (Scroll: Scottish Cultural Review of Language and Literature) (Book 12)
Rodopi
2009-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