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종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종은 고려의 제6대 왕으로, 광종의 뒤를 이어 975년에 즉위했다. 초기에는 왕선이 대리청정을 맡았으나, 그의 권력 남용으로 인해 최승로가 대리청정을 수행했다. 977년부터 사촌 동생인 개령군 왕치에게 선위할 때까지 친정을 했다. 정치범 석방과 억울한 자들의 죄를 씻어주는 등 광종의 정책을 계승하면서도, 보복법 제정으로 효성태자와 원녕태자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오락에 빠져 지냈으며, 981년 개령군 왕치에게 양위하고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전시과 제정을 통해 토지 제도의 기틀을 마련했고, 송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다졌다. 헌숙왕후, 헌의왕후, 헌애왕후, 헌정왕후, 대명궁부인 등 다섯 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헌애왕후와의 사이에서 목종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55년 출생 - 오토 2세
오토 2세는 오토 1세의 아들로 973년부터 983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제국 권력 강화와 이탈리아 확장을 추진했으나, 국내 반란과 남부 이탈리아 원정 실패, 서슬라브족의 봉기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955년 출생 - 아르두이노 디브레아
아르두이노 디브레아는 1002년 오토 3세 사후 롬바르드 귀족들의 지지로 이탈리아 왕이 되었으나, 하인리히 2세와 왕위를 다투며 이탈리아 독립을 지키려 노력했고, 자신의 이름을 딴 교회들을 건립했으며, 사후 이브레아 후작령 분할을 초래했다. - 981년 사망 - 설거정
설거정은 오대십국 시대에서 북송 초기의 관료이자 역사가로, 후당에서 진사로 급제한 후 후주에서 형부시랑을 지냈으며, 송나라 건국 후에는 여러 요직을 거쳐 사공에 이르렀고, 특히 《오대사》 편찬을 주도하여 송나라가 천명을 받았음을 강조했다. - 981년 사망 - 올라프 크바란
올라프 크바란은 10세기 바이킹 지도자로서 노섬브리아 왕위를 차지하고 더블린을 통치했으며, 브루난부르 전투에 참여하는 등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고려 광종의 자녀 - 문덕왕후
고려 광종과 대목왕후의 딸인 문덕왕후는 홍덕원군 왕규와 혼인 후 사별하고 성종과 재혼하여 고려 최초로 재혼한 왕후가 되었으며, 사후 효공순성영용숙절원헌선위문덕왕후로 추존되었다. - 고려 광종의 자녀 - 천추전부인
천추전부인은 고려 광종과 대목왕후의 딸이자 경종의 어머니로, 천추전군과 혼인 후 왕욱과 재혼했으며, 역사적으로 천추태후와 동일 인물로 여겨져 권력 투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경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고려 국왕 |
재위 기간 | 975년 - 981년 |
즉위 | 975년, 개경, 고려 |
전임 | 광종 |
후임 | 성종 |
휘 | 왕주 (王伷) |
자 | 장민 (長民) |
출생 | 955년 11월 9일 |
출생지 | 개경, 고려 |
사망 | 981년 8월 13일 (26세) |
사망지 | 개경, 고려 |
묘소 | 영릉 (榮陵) |
시호 (원래) | 지인성목명혜헌화대왕 (至仁成穆明惠獻和大王) |
시호 (최종) | 공의정효순희명혜성목헌화대왕 (恭懿靖孝順熙明惠成穆獻和大王) |
묘호 | 경종 (景宗) |
연호 | 태평 (太平) |
연호 기간 | 976년 - 981년 |
가계 | |
왕조 | 왕씨 |
부왕 | 광종 |
모후 | 대목왕후 |
배우자 | 헌숙왕후 김씨 헌의왕후 유씨 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 대명궁부인 |
자녀 | 목종 |
자녀 구분 | 아들 |
이름 | |
한국어 | 경종 (景宗) |
로마자 표기 | Gyeongjong |
한자 | 景宗 |
한국어 (사후) | 헌화대왕 (獻和大王) |
로마자 표기 (사후) | Heonhwa Daewang |
한자 (사후) | 獻和大王 |
휘 (한국어) | 왕주 (王伷) |
휘 (로마자 표기) | Wang Ju |
휘 (한자) | 王伷 |
자 (한국어) | 장민 (長民) |
자 (로마자 표기) | Jangmin |
자 (한자) | 長民 |
2. 생애
975년 광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재위 초기에는 976년까지 1년간 호족 출신 정치가 왕선이 대리청정을 맡았으나, 권력을 남용하여 축출되었다. 이후 최승로에게 976년부터 977년까지 1년간 대리청정을 임명하였고, 977년부터 981년 사촌 아우 개령군 왕치에게 선위할 때까지 친정하였다.[1]
광종 당시 수감되었던 정치범을 석방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는 자들의 죄를 씻어주었으나, 광종의 치적을 부정하는 주장에는 단호하게 대응하였다. 보복법을 제정하여 모함을 당한 사람들이 무고자를 고발하거나 처벌하게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태조의 서자 효성태자와 원녕태자가 살해되었다. 이후 경종은 보복법을 취소하였다.[1]
경순왕의 딸 헌숙왕후 김씨와 결혼하였고, 975년 장인 경순왕을 상보로 책봉하고 작위를 정승공(政丞公)에서 낙랑왕(樂浪王)으로 높였다. 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 자매와 결혼하였고 헌애왕후에게서 아들 목종을 얻었다.[1]
말년에는 정사를 멀리 하고 오락과 음탕한 생활에 빠졌다. 980년 최지몽이 왕승의 모반을 예언하여 왕승 등을 처형하였다. 981년 7월 병세가 위독해지자 아들 개령군 왕송에게 양위하려 했으나, 어린 아들을 세우면 왕위가 찬탈당할 것을 우려하여 사촌동생이자 매제, 처남인 개령군 왕치에게 양위하였으며, 같은 해 8월 27세로 병사하였다. 능은 경기도 개풍군에 위치한 영릉(榮陵)이다.[1]
2. 1. 치세
975년 광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재위 초기에는 975년부터 976년까지 1년간 호족 출신 정치가 왕선이 대리청정을 맡았다. 그러나 왕선이 권력을 남용하고 횡포를 자행하자 왕선의 대리청정 실권을 박탈시키고 축출 처분, 원로대신이었던 최승로에게 976년부터 977년까지 1년간 대리청정을 임명하였고 이후 977년부터 981년 사촌 아우 개령군 왕치에게 선위할 때까지 친정하였다.2. 2. 등극 이후와 말년
광종 당시 수감되었던 정치범을 석방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는 자들의 죄를 씻어주었으면서도 광종의 치적을 부정하는 주장에는 단호하게 대응하였다. 또한 보복법이라는 것을 제정하여 모함을 당한 사람들이 무고자를 찾아 고발하거나 처벌하는 제도를 신설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태조의 서자이자 유력 왕위 계승자였던 효성태자와 원녕태자가 살해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후 경종은 보복법을 취소하였다.[1]광종 생존 당시 광종의 명으로 경순왕의 딸 헌숙왕후 김씨와 결혼하였다. 975년, 장인인 경순왕을 상보로 책봉하면서 작위를 정승공(政丞公)에서 낙랑왕(樂浪王)으로 높이고 식읍을 하사하였다. 이어 광종의 명에 의해 헌애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황보씨 자매와 결혼하였고 헌애왕후로부터는 아들 목종을 얻었다.[1]
나중에는 정사를 멀리 하고 오락과 음탕한 생활에 빠져 지냈다. 980년 최지몽이 왕승의 모반을 예언하여 이를 믿고, 모반을 막고자 왕승 등을 처형하였다. 981년 7월 병세가 위독해지자 장남인 개령군 왕송(王訟, 목종)에게 양위하려 했으나 어린 아들을 세우면 왕위가 찬탈당할 것을 우려하여 사촌동생이며 매제이자 처남인 개령군 왕치(王治, 성종)에게 양위하였으며 같은 해 8월에 향년 27세를 일기로 병사하였다. 능은 경기도 개풍군에 위치한 영릉(榮陵)이다.[1]
3. 업적
전시과를 제정하여 고려 토지 제도의 시초를 마련하였다. 송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돈독히 하여 사신의 왕래가 잦았다.
4. 가족 관계
부모 |
---|
배우자 | 자녀 |
---|---|
5. 기타
경종은 고려 초기의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정책을 펼쳤으나, 정치적 혼란을 겪기도 했다.
5. 1. 등장 작품
참조
[1]
뉴스
천추태후, 고려를 제후국으로 만든 유학 세력과 싸우다
https://h21.hani.co.[...]
The Hankyoreh
2024-01-21
[2]
뉴스
경종의 네 왕비는 고종사촌, 친사촌, 외사촌 자매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2024-01-21
[3]
서적
고려사
[4]
서적
현화사비
[5]
서적
고려사
[6]
서적
현화사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