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피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피산은 계피 기름, 스토락스, 시어 버터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이다. 벤즈알데하이드와 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한 퍼킨 반응, 클라이젠 축합 반응, 크뇌베나겔 축합 반응 등을 통해 합성될 수 있으며, 생합성적으로는 페닐알라닌에서 유래한다. 향료, 합성 인디고, 의약품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아스파탐의 전구체이기도 하다. 계피산의 유도체로는 신남산 메틸, 신남산 에틸, 신남산 벤질 등이 있으며, 계피산 n-부틸, 무수 계피산,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커피산) 등도 존재한다.

2. 발생과 생산

계피산은 계피 기름이나 스토락스와 같은 발삼에서 얻을 수 있으며, 시어 버터에서도 발견된다.[5] 계피산은 꿀과 같은 냄새가 난다.[6] 계피산 에틸은 계피의 에센셜 오일의 향료 성분인데, 신남알데히드가 주요 성분이다. 또한 다양한 나무 종의 목재에서도 발견된다.[7]

계피산은 벤즈알데하이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한 퍼킨 반응을 통해 최초로 합성되었다.[8] 라이너 루드비히 클라이젠은 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아세테이트를 나트륨 존재 하에 반응시켜 신남산 에틸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는데, 이 반응은 클라이젠 축합이라고 불린다.[9] 크뇌베나겔 축합 반응을 통해서도 벤즈알데하이드와 말론산으로부터 계피산을 제조할 수 있다.[10] 신남알데히드의 산화, 벤잘 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나트륨의 축합 반응(이어서 산 가수분해)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8]

450px


계피산은 리그놀,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아우론, 스틸벤, 카테킨,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 수많은 천연물의 생합성 과정에서 중심적인 중간체 역할을 한다.[4] 페닐알라닌에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분해 효소(PAL)가 작용하여 생합성된다.[4]

2. 1. 자연 발생

계피산은 계피 기름이나 스토락스와 같은 발삼에서 얻을 수 있다.[5] 시어 버터에서도 발견된다. 계피산은 꿀과 같은 냄새가 나며,[6] 계피산 에틸은 계피의 에센셜 오일의 향료 성분인데, 신남알데히드가 주요 성분이다. 또한 다양한 나무 종의 목재에서도 발견된다.[7]

2. 2. 생산

계피산은 벤즈알데하이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한 퍼킨 반응을 통해 최초로 합성되었다.[8] 라이너 루드비히 클라이젠은 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아세테이트를 나트륨 존재 하에 반응시켜 신남산 에틸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반응은 클라이젠 축합(Claisen condensation)이라고 불린다.[9] 크뇌베나겔 축합 반응을 통해 벤즈알데하이드와 말론산으로부터 계피산을 제조할 수 있다.[10] 신남알데하이드의 산화, 벤잘 클로라이드와 아세트산 나트륨의 축합 반응(이어서 산 가수분해)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8]

2. 2. 1. 생합성

계피산은 리그놀,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아우론, 스틸벤, 카테킨,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한 수많은 천연물의 생합성 과정에서 중심적인 중간체 역할을 한다.[4] 계피산은 페닐알라닌에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분해 효소(PAL)가 작용하여 생합성된다.[4]

3. 대사

계피산은 계피알데히드의 자동 산화로 얻어지며, 간에서 벤조산으로 대사된다.[12]

4. 용도

계피산은 향료, 합성 인디고, 특정 의약품 등에 사용된다.[5][18] 주요 용도로는 향수 산업에서 신남산 메틸, 신남산 에틸, 신남산 벤질 같은 에스테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5] 아스파탐을 만드는 데에도 쓰이는데, 페닐알라닌을 이용한 효소 촉매 반응을 통해 합성된다.[8][20]

또한 계피산은 진균 포자가 스스로 발아하는 것을 막는 억제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5. 주요 계피산 유도체

계피산 에스테르 중 일부는 향기를 가지고 있다.[1]

5. 1. 계피산 ''n''-부틸

''n''-butyl cinnamate영어은 분자식 C13H16O2, 끓는점 145 ℃/13 mmHg인 액체로, 순수한 것은 에테르 냄새가 난다. 물에는 녹지 않으며, 에탄올에 녹는다.

5. 2. 무수 계피산

Cinnamic anhydride영어은 분자식 C18H14O3, 융점 136 ℃의 결정이다. 물에는 녹지 않으며, 에탄올에 약간 녹는다. 벤젠 등에 열을 가하면 녹는다.

5. 3.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 (커피산)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E''-3,4-dihydroxycinnamic acid)은 분자식이 C9H8O4이고 분자량이 180.16인 유기 화합물이다. 커피산 또는 카페산(caffeic acid)이라고도 불린다. 키나산과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의 에스터는 클로로겐산이라고 불린다.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과 클로로겐산은 모두 식물의 생장 조절에 관여한다. 3,4-디히드록시케이피산은 에스터로서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그 일부는 탄닌으로 알려져 있다. 생합성적으로는 계피산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다.

참조

[1] EB1911 Cinnamic Acid
[2] 웹사이트 Cinnamic acid http://www.flavornet[...]
[3] GESTIS
[4] 논문 Phenylpropanoid Biosynthesis
[5] 서적 The Merck Index: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Merck
[6] 웹사이트 Cinnamic acid http://www.flavornet[...]
[7] 웹사이트 Forensic researchers use mass spectrometry to identify smuggled wood https://cen.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23-02-22
[8] Ullmann Cinnamic Acid
[9] 논문 Zur Darstellung der Zimmtsäure und ihrer Homologen https://babel.hathit[...] 1890
[10] 서적 Reactions and Synthesis in the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1988
[11] 논문 m-Nitrocinnamic Acid
[12] 논문 Up-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by cinnamon and its metabolite sodium benzoate: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June 2013
[13] 논문 Determination of Abraham model solute descriptors for the monomeric and dimeric forms of trans-cinnamic acid using measured solubilities from the Open Notebook Science Challenge
[14] EB1911 Cinnamic Acid
[15] 웹인용 Cinnamic acid http://www.flavornet[...]
[16] GESTIS
[17] 기타 ONSC: Solubility of trans-cinnamic acid. lxsrv7.oru.edu/~alan[...]
[18] 서적 The Merck Index: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Merck 1996
[19] 웹사이트 Cinnamic acid http://www.flavornet[...]
[20] 간행물 Cinnamic Acid Wiley-VCH, Weinheim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