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구려 오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구려 오부는 고구려를 구성했던 다섯 개의 부족 집단을 의미한다. 순노부, 소노부, 관노부, 절노부, 계루부로 구성되었으며, 고구려 건국 초기에는 부족 연맹의 형태를 이루었다. 고국천왕 때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어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로 불렸다. 이후 고구려 오부의 후예들은 일본으로 건너가 부민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의 씨족으로 정착하기도 했다.

2. 오부의 명칭과 특징

고구려의 오부(五部)는 초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다섯 개의 부족 집단을 의미한다. 각 부는 고유한 명칭과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국천왕 대에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기 전까지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신당서 「동이전」 고구려전에는 다음과 같은 5개의 부가 기록되어 있다.

2. 1. 순노부 (順奴部)

순노부는 환나부(桓那部)로도 표기되었다.[1]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동부(東部), 좌부(左部) 또는 청부(靑部)로 불렸다.[1]

2. 2. 소노부 (消奴部)

소노부(消奴部)는 연노부(涓奴部), 비류나부(沸流那部)로도 표기되었다.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서부(西部), 우부(右部) 또는 백부(白部)로 불렸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따르면 고구려의 왕은 원래 연노부에서 배출되었기 때문에 연노부는 종묘를 따로 가지고 영성사직을 모셨으며 연노부의 대가(大加)는 고추가(古雛加)라 불렸다고 한다. 그러나 고구려의 건국 시조인 동명성왕 대에 계루부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게 된다.

197년 고국천왕이 죽고 동생인 고연우가 10대 산상왕으로 즉위하자 산상왕의 형 고발기가 불복하고 난을 일으켰다. 연노부는 고발기를 지원하다가 그가 패하고 죽자, 연노부의 하호 3만여 명이 고구려에서 이탈하여 요동의 공손강에게 신속하였다.

2. 3. 관노부 (灌奴部)

관노부(灌奴部)는 관나부(貫那部)로도 표기되었다.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남부(南部), 전부(前部) 또는 적부(赤部)로 불렸다.

2. 4. 절노부 (絶奴部)

절노부는 제나부(提那部), 연나부(椽那部)로도 표기되었다.[1]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북부(北部), 후부(後部) 또는 흑부(黑部)로 불렸다.[1]

대대로 왕비를 배출한 왕비족으로 왕족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았다. 따라서 절노부의 대가(大加)는 고추가(古雛加)라 불렸다.[1]

2. 5. 계루부 (桂婁部)

계루부는 5부의 중심이 되었던 부족으로 고구려의 건국 시조 동명성왕대에 계루부의 고씨(高氏)가 고구려의 왕족을 이루게 된다.[1]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중부(中部), 내부(內部) 또는 황부(黃部)로 불렸다.[1]

계루부의 대가(大加) 중 왕족들은 모두 고추가(古雛加)라 불렸다.[1]

3. 행정 구역으로의 개편

기존 명칭개편 후 명칭
순노부동부(東部), 좌부(左部), 청부(靑部)
소노부서부(西部), 우부(右部), 백부(白部)
관노부남부(南部), 전부(前部), 적부(赤部)
절노부북부(北部), 후부(後部), 흑부(黑部)
계루부중부(中部), 내부(內部), 황부(黃部)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되면서 각 부의 명칭이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4. 오부의 후예와 일본

고구려의 오부는 도래인으로서 일본으로 건너갔을 때도 일본의 부민제에 있어서의 부(部)와 마찬가지로 부명을 로 칭했다. 오부는 상부·하부·전부·후부·동부로 나뉘며, 음독과 훈독 양쪽의 읽기가 보인다.


  • 전부(前部), 후부(後部), 상부(上部), 하부(下部), 동부(東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조.
  • 서부(西部): 세나 씨는 서부의 후예로 여겨지며, 『신찬성씨록』에서는 광개토대왕의 후예를 칭하고 있다[2]

4. 1. 전부 (前部)

전부(前部일본어)는 덴표 호지 5년 3월 기사에 "고려인 전부 백군 등 6인(사성) 어사카 연, 전부 선리 등 3인杮정조, 전부 안인 어사카 조"라고 기록되어 있고, 진고 케이운 원년 기사에는 "사경인 종7위 상 상부 백마로 사성 광서 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1]

4. 2. 후부 (後部)

덴무 천황기 5년 조에 "후부 주전하우"가 기록되어 있고, 호키 7년 5월 기에는 정6위 상 후부 석도 등 6인에게 출수 연이라는 성씨가 주어졌다.[1] 엔랴쿠 8년 5월 기에는 시나노국지쿠마군의 외소초위하 후부 우양, 무위 종수 풍인 등에게 다카와 성씨가 주어졌고(아에 기록), 엔랴쿠 18년 12월 기에는 시나노국인 외종6위하 봉로 진노, 후부 흑족, 운 흑족 등에게 도요오카 성씨가 주어졌다.[1] 일본으로 귀화한 고구려 약광은 별명을 "현무 약광"이라고 했는데, 현무는 "흑·북"으로 통하기 때문에 북부의 후예로 여겨진다.[1]

4. 3. 상부 (上部)

덴표 18년 1월 기에 "우경인 상부 을마로", 도다이지 노비장·덴표 쇼호 3년 3월 3일의 노비 견래장에 "가와치국시키군 임향 호주 상부 고리, 호구 상부 백마로", 덴표 호지 5년 기에 "상부 군족 등 2인(사성) 웅사카 조", 엔랴쿠 18년 12월 기에 "시나노국인 오아게군인 무위 상부 풍인, 상부 색포지 등 언, 기등 선조 고려인야, 운, 문대 등(사)성 세이오카, 색포지(사)성 타마이"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1]

4. 4. 하부 (下部)

엔랴쿠 18년 12월 기에 "시나노국인 하부 문대 등은, 자신들의 선조가 고려인이라고 말하며, 문대 등에게 세이오카(清岡)라는 성을 내렸다"라는 기록이 있다.[1] 이 "시모"는 "자모", "신무", "정무", "지모" 등으로도 표기되었다. 야마토국우치군이나 요시노군의 자모향, 가와치국야스카베군 자모향, 이세국카와베군 자모향을 비롯하여 탄바, 하리마, 미카와, 가이 등에서 지명이 보인다. 이들 지명을 딴 "시모" 씨의 대부분은 귀화인이며, 그중에서도 가와치의 대족이 최대 세력이었다.

4. 5. 동부 (東部)

고국천왕 때 5부가 행정 구역으로 개편되면서, 동부(東部)는 좌부(左部) 또는 청부(靑部)라고도 불렸다.[1]

고닌 2년(811년) 8월 기사에는 야마시로국(지금의 교토 지역)의 정6품 관직에 있던 동부 흑마로(東部 黒麻呂)에게 광종련(広宗連)이라는 성(姓)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2]

4. 6. 서부 (西部)

소노부(消奴部)는 연노부(涓奴部), 비류나부(沸流那部)로도 표기되었다. 9대 고국천왕에 의해 5부가 행정적 5부(동·서·남·북·중)로 개편된 뒤에는 서부(西部), 우부(右部) 또는 백부(白部)로 불렸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따르면 고구려의 왕은 원래 연노부에서 배출되었으나, 고구려의 건국 시조인 동명성왕 대에 계루부에게 주도권을 빼앗기게 되었다.

197년 고국천왕이 죽고 동생인 고연우가 10대 산상왕으로 즉위하자 산상왕의 형 고발기가 불복하고 난을 일으켰다. 연노부는 고발기를 지원하다가 그가 패하고 죽자, 연노부의 하호 3만여 명이 고구려에서 이탈하여 요동의 공손강에게 신속하였다.

세나 씨는 서부의 후예로 여겨지며, 『신찬성씨록』에서는 광개토대왕의 후예를 칭하고 있다.[2]

참조

[1] 서적 古代日本と渡来系移民-百済郡と高麗郡の成立- 高志書院 2021
[2] 서적 古代日本と渡来系移民-百済郡と高麗郡の成立- 高志書院 2021
[3] 서적 백제금동대향로 도서출판 학고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