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화인은 근대 이전 일본으로 건너와 정착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중국과 한반도 출신이 많았으며, 사회적 지위와 관계없이 다양한 계층을 포함했다. 고대에는 주로 중국과 한반도에서 건너온 이들이 많았으며, 일본의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귀화인의 용어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으며, 재일 한국·조선인과의 관계, 역사 인식 문제 등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2. 귀화인의 정의와 용어 논쟁

근대에는 외국인이 일본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법률상 귀화라고 하지만, 일본사에서 귀화인이라고 하면 주로 헤이안 시대 초두까지의 사람들을 가리킨다.[7] '귀화'라는 말은 원래 중화 사상에서 나온 말이지만, 일본에서는 중국의 관례에 따라 사용했을 뿐이며, 특히 왕화를 강조할 의도는 없었다.[7]

'귀화'라는 용어는 오랫동안 일본 국가에 조공·노예화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2] 우에다 마사아키는 '귀화'라는 용어에 얽힌 차별성이 근대의 산물임을 지적했고,[3] 김달수는 귀화인을 재일 조선인에 투영하는 사고방식을 비판했다.[4] 한편, '도래'는 단순히 '건너온 사람'이라는 의미가 강하고 일본에 정착하여 일본인의 일원이 되었다는 의미가 약하다는 비판도 있다.[6]

2. 1. 근대 이전의 귀화인

일본사에서 '귀화인'은 주로 헤이안 시대 초기까지 외국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정착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단순 이주자뿐 아니라, 전쟁 포로, 기술자, 학자 등 다양한 계층을 포함한다.[7]

귀화인의 대다수는 중국계였으며, 조선에서 온 귀화인 중에도 실제로는 중국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7] 관황은 "백제, 신라, 임나(가라) 등 조선 각지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그 중에는 전한 이래 조선의 낙랑군대방군에 와 있던 중국인의 후손으로 각지에 분산되어 있던 사람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들이 가져온 문화도 주로 ·를 근원으로 하는 대륙 문화였다고 보여진다"라고 말했다.[7] 팔번화랑은 "문명을 전한 귀화인은 백제에서 와도 거의 한족...낙랑군 등의 잔당인 한인들이 일본에 문화와 기술을 가져왔다...왕인 박사이라고 하면, 응신 천황 시대에 백제에서 파견되어 일본에 건너와 본격적인 문자의 전래의 계기가 된 사람입니다. 그래서 후손이 살았던 오사카부히라카타시에서는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삼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인입니다."라고 언급했다.[8]

다이카 이전조선에 귀화했던 일본인 귀화인도 있다.[9] 예를 들어 『일본서기』에는 물부용선, 구미보마로 등과 같은 조선 귀화 일계 씨족 출신 인물들이 등장한다.[9] 서문씨 아래에서 문필·기록을 담당했던 사부의 일족으로 추정되는 전변씨 등도 백제귀화일본인으로 여겨진다.[9]

하마다 경작은 한반도에서 온 '도래인'이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한 것처럼, 백제가야에도 왜인 '도래인'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양국 간 이주민의 상호 교류를 국가 형성사 안에서 고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망야선언는 "백제인은 많이 일본 열도에 와 있었고, 이쪽에서도 많이 갔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11]

2. 2. '귀화' 용어의 기원과 문제점

'귀화'라는 말은 원래 중화 사상에서 나온 말이지만, 일본에서는 중국의 관례에 따라 사용했을 뿐이며, 특히 왕화를 강조할 의도는 없었다.[7] '귀화'라는 용어는 오랫동안 일본 국가에 조공·노예화된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2]

우에다 마사아키는 "일본인의 일부에는 아직도 '귀화인'을 특수하게 여기거나, 혹은 극단적으로 차별받은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부당한 인식에 기초한 것이며, 민족적 차별을 정당화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생각은 고대의 지배자층이 품었던 번국(蕃國)의 관념이나 근대 일본의 위정자들이 만들어낸 민족적 편견에 의해 해를 입고 있다"라며 '귀화'라는 용어에 얽힌 차별성이 근대의 산물임을 지적했다.[3]

2. 3. '도래인' 용어와의 비교

우에다 마사아키는 "일본인의 일부는 아직도 '귀화인'을 특수시하거나, 혹은 극단적으로 차별받은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는 부당한 인식에 기초한 것이며, 민족적 차별을 합리화하는 결과가 된다. 이런 생각은 고대의 지배자층이 품었던 번국의 관념이나 근대 일본의 위정자들이 만들어낸 민족적 편견에 의해 해를 입고 있다"며 "귀화"라는 용어에 얽힌 차별성이 근대의 산물임을 지적했다.[3] 김달수는 귀화인을 재일 조선인의 이미지에 투영하는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비판했다.[4] 또한 김달수는 일본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과 이후에, 도래인과 "귀화인"의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5] 한편, 이러한 도래인관·귀화인관에 대해서는, "도래"는 단지 '건너온 사람'이라는 의미가 강하고, 일본에 정착하여 일본인의 일원이 되었다는 의미가 약하다는 비판이 있다.[6]

2. 4. 재일 한국·조선인과의 관계

김달수는 귀화인을 재일 조선인의 이미지에 투영하는 것을 비판하며, 고대 귀화인과 근현대 재일 조선인은 무관하다고 지적한다. 그는 고대 귀화인은 일본인의 조상일 가능성은 있어도 재일 조선인의 조상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귀화인을 재일 조선인에 투영하는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비판했다.[4] 김달수는 일본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과 이후에 도래인과 "귀화인"의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5]

3. 귀화인의 출신과 경로

귀화인의 출신은 다양했지만, 주로 중국한반도에서 온 사람들이 많았다. 이들은 사회적 지위가 있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이나 전쟁 포로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7]

다이카 개신 이전에는 조선에 귀화했던 일본인 귀화인도 있었다.[9] 아미노 요시히코는 백제와 일본 열도 사이에 많은 인적 교류가 있었다고 언급했다.[11]

미야와키 준코는 한반도의 강 이름이 모두 '강'으로 표기되는 점을 들어,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바다를 경유하여 중국 대륙 남쪽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2]

야하타 가즈오는 진시황의 자손이라고 하는 진씨나 한자를 전한 왕인 박사와 같이, 백제를 경유하여 도래했다고 하는 씨족을 포함하여, 귀화인의 많은 수가 ''을 출자라고 자칭했다고 지적했다.[13]

3. 1. 중국계 귀화인

귀화인의 상당수는 중국계였으며, 조선에서 온 귀화인 중에도 실제로는 중국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7] 관황은 "백제, 신라, 임나(가라) 등 조선 각지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그 중에는 전한 이래 조선의 낙랑군대방군에 와 있던 중국인의 후손으로 각지에 분산되어 있던 사람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들이 가져온 문화도 주로 ·를 근원으로 하는 대륙 문화였다고 보여진다"라고 말했다.[7] 팔번화랑은 "문명을 전한 귀화인은 백제에서 와도 거의 한족...낙랑군 등의 잔당인 한인들이 일본에 문화와 기술을 가져왔다...왕인 박사이라고 하면, 응신 천황 시대에 백제에서 파견되어 일본에 건너와 본격적인 문자의 전래의 계기가 된 사람입니다. 그래서 후손이 살았던 오사카부히라카타시에서는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삼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인입니다. 한나라 고조의 후손으로, 그 조부의 대부터 백제에 살았습니다. 한족의 왕인 박사가 한자를 일본에 전한 것이 한일 교류의 상징이라는 것은 재일 한국인 3세가 미국에서 김치를 가르쳤더니, 미일 우호의 상징이라고 하는 이야기와 같아 무리가 있습니다."라고 말했다.[8]

3. 2. 한반도계 귀화인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귀화인들은 주로 백제, 신라, 가야 등에서 왔으며, 일본 사회에 다양한 방면으로 기여했다.[7] 이들 중에는 사회적 지위가 높았던 사람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 전쟁 포로들도 포함되어 있었다.[7]

귀화인들 중 상당수는 중국계였다.[7] 관황은 백제, 신라, 임나(가라) 등에서 온 사람들 중에는 전한 시대부터 낙랑군대방군에 거주하던 중국인들의 후손이 많았으며, 이들이 가져온 문화도 주로 한나라나라를 기원으로 하는 대륙 문화였다고 언급했다.[7] 팔번화랑은 문명을 전파한 귀화인들 대부분이 한족 출신이며, 왕인 박사 역시 중국인으로서 한자를 일본에 전했다고 설명했다.[8]

다이카 시대 이전에는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인들도 있었다.[9]일본서기』에는 신귀 원년(741년)에 카바네 질서 편입을 위해 사성(賜姓)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사성된 물부용선, 구미보마로 등은 조선에서 귀화한 일본계 씨족 출신으로 추정된다.[9] 이들은 백제 멸망 시 망명자들과 함께 관직에 등용되어 공헌을 인정받았다.[9]

서문씨 아래에서 문필과 기록을 담당했던 사부 일족으로 추정되는 전변씨 등도 백제귀화했던 일본인(백제 귀화의 일계 씨족 귀국자)으로 여겨진다.[9] 『일본서기홍인사기』 서문에 실린 『제번잡성기』에는 전변씨, 상모야공 등이 제번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본서기홍인사기』는 이들의 조상이 일본인임을 근거로 제번으로 기록된 것은 잘못이라는 주석을 달았다.[9]

하마다 경작은 한반도에서 온 '도래인'이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한 것처럼, 백제가야에도 왜인 '도래인'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상호 이주민을 국가 형성 과정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10]

망야선언는 백제인들이 일본 열도에 많이 건너왔고, 일본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백제로 건너갔다고 언급했다.[11]

미야와키 준코는 한반도 이름 표기가 중국 대륙의 남북 지역에 따라 다른 점을 들어,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바다를 통해 남쪽에서 한반도에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또한, 일본 열도에도 동중국해를 통해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한반도에서 일본으로의 도래인은 제2차 유입이었을 것이라는 설을 제시했다.[12]

야하타 가즈오는 진시황의 자손이라 칭하는 진씨나 왕인 박사와 같이, 백제를 통해 도래했다고 알려진 씨족들을 포함하여 많은 귀화인들이 ''을 자신의 출신이라고 주장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야요이 시대 초기에 벼농사를 가져온 것이 북방 알타이어족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하며, 중국 전국시대의 혼란을 피해 강남 지역에서 벼농사 기술과 함께 동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이 일본인의 주된 조상이라고 주장했다.[13]

3. 3. 일본계 귀화인

다이카 개신 이전에 한반도에 귀화했던 일본인 귀화인도 존재했다.[9]일본서기』에는 신귀 원년(724년)에 관직을 가진 도래계 씨족에게 카바네(姓) 질서 편입을 목표로 사성(賜姓)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사성된 물부용선(物部麁淺), 구미보마로(久米步麻呂) 등은 조선 귀화 일계 씨족 귀국자로 여겨진다.[9] 서문씨(西文氏) 아래에서 문필·기록 직무를 맡았던 전부씨(田邊氏) 등도 백제에 귀화한 일본인(백제 귀화 일계 씨족 귀국자)으로 여겨진다.[9] 하마다 코사쿠(浜田耕作)는 백제나 가야에도 왜인(倭人) '도래인'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상호 이주민을 국가 형성사 안에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로 발전시켜 새롭게 고찰해야 할 과제라고 주장했다.[10]

3. 4. 귀화 경로

미야와키 준코(宮脇淳子)는 한반도의 강 이름 표기(江)를 근거로, 한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바다를 경유하여 남쪽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옌(燕)나라 동쪽은 개척이 늦었고, 기마 민족의 세력권이라 안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다를 이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2] 야하타 가즈오(八幡和郎)는 진시황의 자손이라고 하는 진씨(秦氏)나 한자를 전한 왕인 박사와 같이 백제를 경유하여 도래했다고 하는 씨족을 포함하여, 귀화인의 많은 수가 '한(漢)'을 출자라고 자칭했다고 지적한다.[13]

4. 귀화인의 지위와 역할

귀화인은 일본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 지위는 출신과 능력에 따라 달랐다.

4. 1. 사회적 지위

귀화인 중에는 사회적 지위가 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일반 서민이나 전쟁 포로도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7] 대화화웅는 귀화인이 존중받아 높은 지위에 오른 것은 확실하지만, 외척 취급을 받아 최고 수준의 지위에 오르지는 못했다고 지적한다.[14] 예를 들어, 백제 왕가의 당주라도 무쓰노카미 정도가 한계였고, 천황의 후궁에 들어가도 황후가 될 수는 없었다.[14]

5. 현대 한국의 관점에서 본 귀화인

귀화인 문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역사적, 사회적 쟁점이다.

참조

[1] 뉴스 帰化人と渡来人と「帰化した人」はどう違うか https://agora-web.jp[...] 2018-01-03
[2] 서적 四・五世紀の東アジアと日本 岩波書店 1967-05
[3] 서적 帰化人――古代国家の成立をめぐって 중앙공론사 1965-06
[4] 서적 日本の古代文化と「帰化人」 二月社 1973-09
[5] 서적 座談会 日本のなかの朝鮮 日本のなかの朝鮮文化社 1969-03
[6] 서적 帰化人 吉川弘文館
[7] 뉴스 帰化人 https://japanknowled[...]
[8] 서적 歴史の定説100の嘘と誤解 扶桑社 2020-03-01
[9] 간행물 『新撰姓氏録』における姓意識と渡来系氏族 京都女子大学史学研究室 2001-02
[10] 뉴스 共同研究を終えて https://www.jkcf.or.[...]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06
[11] 서적 歴史の話 朝日新聞社 2004-05-11
[12] 서적 朝鮮半島をめぐる歴史歪曲の舞台裏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20-04-30
[13] 서적 最終解答 日本古代史 神武東征から邪馬台国、日韓関係の起源まで PHP研究所 2015-02-04
[14] 서적 最終解答 日本古代史 神武東征から邪馬台国、日韓関係の起源まで PHP研究所 2015-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