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감각인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 감각 인지(HSP, Highly Sensitive Person)는 엘레인 아론이 1996년 저서 《고도로 예민한 사람》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감각 처리 민감성(SPS,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이라는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한다. SPS는 중추 신경계의 민감도 증가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자극에 대한 더 깊은 인지적 처리를 특징으로 하며, 통증, 카페인, 소리에 대한 반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015년에는 고감도 또는 감각 처리 민감성에 관한 국제 과학 회의가 개최되었고,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HSP는 자극에 쉽게 과도하게 자극받을 수 있지만, 긍정적인 환경에 대한 반응성 또한 높으며, 내향성과 외향성 모두에 나타날 수 있다. 환경 감수성 이론에 따라 유전적 요인과 초기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긍정적 및 부정적 환경 자극에 대한 개인차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격유형론 - 성실성
성실성은 책임감, 조직성, 근면성, 자기 훈련을 포함하는 성격 심리학의 주요 차원으로,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지만 지나치면 융통성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 성격유형론 - 성격 유형
성격 유형은 인간의 기질과 성격을 분류하고 이해하려는 심리학적 접근 방식으로, 고전적인 이론부터 현대적인 모델까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인간 성격의 다양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함께 최근에는 5요인 모델이 더 선호되고 있다. - 성격 이론 - 인성 교육
인성 교육은 개인과 사회에 긍정적인 가치 함양을 목표로 하는 다학제적 노력으로, 학교 프로그램, 역사, 인성 이해, 과학적 접근 등 다양한 측면을 가지나, 효과성 논란, 획일적 가치 주입, 이념적 편향성 등의 문제점도 내포한다. - 성격 이론 - 본성 대 양육
본성 대 양육 논쟁은 인간의 행동과 발달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무엇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는 오랜 논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이 두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인간의 특성을 형성한다는 인식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 신경심리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신경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고등감각인지 |
|---|
2. 용어의 기원 및 발전
엘레인 아론의 저서 《고도로 예민한 사람》(The Highly Sensitive Person)은 1996년에 출판되었다.[18] 1997년 엘레인과 아서 아론 부부는 고도로 예민한 사람(HSP)의 특징을 정의하는 특성으로 '감각 처리 민감성'(SPS)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1] [4] '과민성'(의학 용어인 과민성과 혼동해서는 안 됨) 또는 '고도로 예민함'은 SPS라는 과학적 개념의 대중적인 동의어이다.[2] 아론 부부는 이 특성이 장애가 아니라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타고난 생존 전략이라고 주장한다.[20][38]
엘레인 아론의 학술지 논문과 일반 독자를 위한 자가 도움 출판물은 높은 SPS를 사회적으로 소극적인 행동[35] 및 높은 SPS와 혼동될 수 있는 장애[38][19] 와 구별하고,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불용성을 극복하며,[22] 다른 사람들이 강조하는 단점을 균형 있게 하기 위해 높은 SPS의 장점을 강조했다.[23][3][22][11]
2015년, 언론인 엘리자베스 번스타인은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에 HSP가 "주목받고 있다"고 썼으며, HSP의 높은 민감성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수백 건의 연구가 수행되었다고 언급했다. 고감도 또는 감각 처리 민감성에 관한 제1회 국제 과학 회의가 브뤼셀 자유 대학교에서 열렸다.[36] 2015년까지 《고도로 예민한 사람》은 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37]
2. 1. 초기 연구
아론 부부가 "고등 감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이전의 연구에는 독일 의학 교수인 볼프강 클라게스의 연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는 1970년대에 민감하고 고도로 민감한 사람들의 현상이 "생물학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의 "자극 역치"가 훨씬 낮다고 주장했다.[39] 클라게스는 그 결과, 들어오는 신호가 구심성 신경 섬유로부터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대뇌 피질로 전달되도록 하는 더 높은 투과성을 갖는다고 말했다.[39]아론 부부(1997)는 심리학자 알버트 메라비안 (1976, 1980, 1991)의 "관련 없는 것"을 걸러내는 개념을 인정했지만, 이 개념은 HSP(메라비안의 "낮은 스크리너")가 관련 없는 것을 걸러낼 수 없다는 것이 관련 있는 것은 비-HSP("높은 스크리너")의 관점에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했다.[21]
3. 속성, 특징 및 유병률
고도로 예민한 사람(HSP)은 통증, 카페인, 배고픔, 큰 소리와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3] 이들은 낮은 지각 역치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자극을 인지적으로 더 깊게 처리하기 때문에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과도하게 자극받는 경향이 있다.[2] 이러한 깊은 처리는 환경의 단서에 반응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하여, 반응 시간을 증가시키고 신중한 행동과 낮은 위험 감수를 유도할 수 있다.[2]
HSP 척도는 원래 감각 처리 민감성(SPS)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단일 차원 설문지였으나, 이후 여러 하위 척도로 세분화되었다.[2]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높은 스트레스 수준, 쉽게 압도됨, 우울증, 불안, 수면 문제, 자폐적 특성 등 부정적인 심리적 결과와 관련이 있다.[2] 그러나 차등 민감성 이론(DST),[12] 맥락 이론에 대한 생물학적 민감도(BSCT),[13] 감각 처리 민감도(SPS)[14]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모두에 대한 반응성 측면에서 증가된 신경가소성을 시사한다. 이점 민감성 (VS) 개념은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반응성 증가를 강조한다.[24] 긍정적인 결과는 미학적 민감도가 높은 개인, 즉 보상 자극에 반응하여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경험하고 빅 5 요인 모델에서 "개방성" 점수가 높은 경향이 있는 개인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17]
진화 생물학적 관점에서, SPS 특성은 100종 이상의 비인간 종에서도 관찰되며,[2][31] 이는 SPS가 생존 전략의 하나임을 시사한다. 유전 연구에 따르면, SPS는 세로토닌 수송체 5-HTTLPR 단/단 유전자형,[25] 도파민 신경 전달 물질 유전자,[26] ADRA2b 노르에피네프린 관련 유전자 변이와 관련이 있다.[27] 낮은 안정 시 심박수와 범죄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SPS와 위험 감수 행동 간의 관련성을 시사한다.[1]
HSP 척도 점수는 이분법적 또는 정규 분포로 나타나며,[19] 세 가지 감도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5]
4. 환경 감수성과 그 결정 요인
환경 민감성은 긍정적 및 부정적 환경 자극에 대한 처리 및 등록의 개인차를 나타내는 개념이다.[42][43] 환경 민감성이 높은 사람(HSP)은 긍정적인 환경으로부터 좋은 영향을 받기 쉽고, 부정적인 환경으로부터 나쁜 영향을 받기 쉽다. 환경 민감성은 누구나 갖는 보편적인 특성이며, 그 정도는 정규 분포를 이룬다는 것이 시사되었다.[44]
지금까지 환경에 대한 피영향성의 개인차를 설명하는 틀이 여러 개 제창되었다. 예를 들어, 제이 벨스키에 의해 제창된 Differential_susceptibility_hypothesis|차별적 민감성 이론영어[47][48], 토마스 보이스와 브루스 엘리스에 의해 제창된 '''생물학적 민감성 이론'''[49][50], 그리고 엘레인 아론과 아서 아론에 의해 제창된 개념인 Sensory_processing_sensitivity|감각 처리 민감성영어[40][41]이 있다. 이들 이론과 개념은 자연 선택의 원리에 따라 긍정적 및 부정적인 환경 자극에 대한 민감성에 개인차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48][50][41]
2015년, 마이클 플루스는 이러한 민감성 이론을 통합한 새로운 틀로서 환경 민감성 이론을 제안했다.[42][43] 환경 민감성은 긍정적 및 부정적인 환경과 경험에 대한 처리 및 등록의 개인차를 나타내는 심리학적 구성 개념이다.[42][43] 신경 민감성 가설에 따르면, 환경 민감성은 민감성과 관련된 유전자와, 초기 환경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 중추 신경계의 민감성을 반영한다고 한다.[42][43]
환경 민감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3가지 마커를 바탕으로 환경 민감성의 개인차를 측정하고 있다. 3가지 지표는 다음과 같다.
5. 감각 처리 민감성 (기질·성격적 측면의 환경 감수성)
엘레인 아론의 저서 《고도로 예민한 사람》(The Highly Sensitive Person)은 1996년에 출판되었고,[18] 1997년 엘레인과 아서 아론은 고도로 예민한 사람(HSP)의 특징을 정의하는 특성으로 '감각 처리 민감성'(SPS)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1] [4] '과민성'(의학 용어인 과민성과 혼동해서는 안 됨) 또는 '고도로 예민함'은 SPS라는 과학적 개념의 대중적인 동의어이다.[2]
아론과 아론(1997)은 여기서 '감각 처리'가 감각 기관 자체가 아니라 감각 정보가 뇌로 전달되거나 뇌에서 처리될 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썼다.[21] 그들은 이 특성이 장애가 아니라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진 타고난 생존 전략이라고 주장한다.[20][38] 높은 SPS를 가진 사람들은 통증 자극, 카페인, 배고픔, 큰 소리와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증가한다고 보고한다.[3]
엘레인 아론의 학술지 논문과 일반 독자를 위한 자가 도움 출판물은 높은 SPS와, 사회적으로 소극적인 행동[35] 및 높은 SPS와 혼동될 수 있는 장애[38][19]를 구별하고, 낮은 자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불용성을 극복하며,[22] 다른 사람들이 강조하는 단점을 균형 있게 하기 위해 높은 SPS의 장점을 강조했다.[23][3][22][11]
2015년, 언론인 엘리자베스 번스타인은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에 HSP가 "주목받고 있다"고 썼으며, HSP의 높은 민감성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수백 건의 연구가 수행되었다고 언급했다. 고감도 또는 감각 처리 민감성에 관한 제1회 국제 과학 회의가 브뤼셀 자유 대학교에서 열렸다.[36] 2015년까지 《고도로 예민한 사람》은 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37]
Boterberg 외.(2016)는 고도의 SPS를 "일부 개인에게 나타나며 성격 특성으로, 중추 신경계의 민감도 증가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자극에 대한 더 깊은 인지적 처리를 반영하는 기질 또는 성격 특성"으로 묘사한다.[2]
진화 생물학 연구는 SPS 특성이 다양한 용어로 100종 이상의 비인간 종에서 관찰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하며,[2][31] Aron은 SPS 특성이 성격 심리학자들이 다양한 다른 이름으로 설명해 온 것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28]
인간과 다른 종에서 반응하는 개인과 반응하지 않는 개인은 공존하며 환경 자극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반응성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며, 서로 다른 수준의 반응성은 상응하는 진화적 비용과 이점을 갖는다.[31] 이러한 관찰은 고도 SPS가 장애가 아니라 관련 장점과 단점을 가진 성격 특성이라는 Aron의 주장에 부합한다.[20][38]
HSP는 DSM에 지정되어 있지 않으며, 심리학상의 개념이고 정신 의학상의 개념은 아니다.[45]
5. 1. 감각 처리 민감성의 정의
감각 처리 민감성(SPS)은 심리 사회적 및 물리적 환경 자극에 대한 중추 신경계의 민감성 증가와 관련된 기질 또는 성격을 나타낸다.[42] 이는 엘레인 아론과 아서 아론 부부가 1997년에 고도로 예민한 사람(HSP)의 특징을 정의하는 특성으로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1] [4]HSP, 즉 감각 처리 민감성이 높은 사람들은 흔히 '''DOES'''라고 불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54]
- D: 인지적 처리의 깊이 (links=no|grater '''d'''epth of information processing영어)
- O: 자극에 쉽게 압도됨 (links=no|greater ease of '''o'''verstimulation영어)
- E: 높은 정서적 반응성 및 공감성 (links=no|increased '''e'''motional reactivity and '''e'''mpathy영어)
- S: 사소한 자극에 대한 높은 인지 (links=no|greater awareness of environmental '''s'''ubtleties영어)
5. 2. 감각 처리 민감성의 측정
감각 처리 민감성(SPS)은 엘레인 아론과 아서 아론이 1997년에 정의한 특성으로, HSP 척도와 같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된다.[21] [4] HSP 척도는 원래 단일 차원 척도로 설계되었으나,[2] 이후 연구를 통해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구조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55] 세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요인 | 설명 |
|---|---|
| 과민성[56] | 외부 또는 내부 자극에 쉽게 압도되는 경향 |
| 낮은 감각 역치[57] | 사소한 외부 자극에 대한 높은 감수성 |
| 미적 감수성[58] | 음악이나 예술 등 미적 자극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경향 |
과민성과 낮은 감각 역치는 부정적인 환경 자극에 대한 감수성을, 미적 감수성은 긍정적인 환경 자극에 대한 감수성을 나타낸다.[59]
최근 연구에서는 위 세 가지 요인 외에 모든 항목에 관여하는 일반 감수성 요인을 포함한 2요인 구조가 지지받고 있다.[59][60]
5. 3. 감각 처리 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 척도
감각 처리 민감성(SPS)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심리 척도가 개발되었다. 그중 하나는 엘레인 아론이 제시한 27개 항목 버전의 HSP 척도이다.[41] 일본어판 HSP 척도는 대학생 연령대 이후를 대상으로 하며, 19개 항목 버전[61]과 10개 항목 버전[62]이 있다. 어린이를 위한 척도로는 Highly Sensitive Child영어(HSC) 척도가 있으며, 12개 항목 버전[63]과 21개 항목 버전[44]이 있다. 청소년을 위한 일본어판 HSC 척도는 11개 항목(청소년기 전반용)[64]과 12개 항목(아동기용)[65]으로 구성되어 있다.다음은 일본어 10개 항목 척도의 예시이다. 각 항목에 대해 '전혀 해당하지 않음'(1점)부터 '매우 해당함'(7점)까지 7단계로 자신을 평가한다.
- 강한 자극에 쉽게 압도되는가? (쉽게 흥분함)
- 큰 소리나 어수선한 환경과 같은 강한 자극이 불편한가? (낮은 감각 역치)
- 미세하고 섬세한 향기, 맛, 소리, 예술 작품 등을 즐기는가? (미적 감수성)
6. HSP를 소재로 한 주요 저서
엘레인 아론은 1996년에 《고도로 예민한 사람》(The Highly Sensitive Person)을 출판했으며,[18] 이 책은 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37] 엘레인 아론, 테드 제프, 배리 예거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작가 | 저서 |
|---|---|
| 엘레인 아론 | |
| 테드 제프(Ted Zeff) | |
| 배리 예거(Barrie Jaeger) |
7. 관련 학술 논문
다음은 고등감각인지 관련 학술 논문 목록이다.
| 저자 | 발표 연도 | 제목 | 학술지 | 권(호) | 페이지 | 비고 |
|---|---|---|---|---|---|---|
| Elaine Aron|일레인 아론영어, Arthur Aron|아서 아론영어 | 1997 |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Its Relation to Introversion and Emotionality|감각 처리 민감성과 내향성 및 감정성과의 관계영어 | 성격 및 사회 심리학 저널 | 73 (2) | 345-368 | |
| M. Bruch|M. 브루흐영어, J. Gorsky|J. 고르스키영어, T. Cullins|T. 컬린스영어, P. Berger|P. 버거영어 | 1989 | Shyness and Sociability Reexamined: A Multicomponent Analysis|수줍음과 사회성 재검토: 다중 구성 요소 분석영어 | 성격 및 사회 심리학 저널 | 57 (5) | 904-915 | |
| P. Deo|P. 데오영어, A. Singh|A. 싱영어 | 1973 | Some Personality Correlates without Awareness|인식 없는 일부 성격 상관관계영어 | Behaviorometric|행동측정학영어 | 3 | 11-21 | |
| H. Gough|H. 고프영어, A. Thorne|A. 손영어 | 1989 | Positive, negative, and balanced shyness: Self-definitions and the reactions of others|긍정적, 부정적, 균형 잡힌 수줍음: 자기 정의와 타인의 반응영어 | Shyness: Perspectives on Research and Treatment|수줍음: 연구 및 치료에 대한 관점영어 | - | - | ISBN 0-306-42033-3 |
| J. Higley|J. 히글리영어, S. Suomi|S. 수오미영어 | 1989 | Temperamental Reactivity in Non-Human Primates|비인간 영장류의 기질적 반응성영어 | Temperament in Childhood|아동기 기질영어 | - | 153-167 | |
| J. Kagan|J. 케이건영어, J. Reznick|J. 레즈닉영어, N. Snidman|N. 스니드먼영어 | 1988 | Biological Bases of Childhood Shyness|아동기 수줍음의 생물학적 기초영어 | Science|사이언스영어 | 240 (4849) | 167-171 | |
| A. Thorne|A. 손영어 | 1989 | The Press of Personality: A Study of Conversations Between Introverts and Extraverts|성격의 압박: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간의 대화 연구영어 | 성격 및 사회 심리학 저널 | 53 | 713-726 | |
| M. Raleigh|M. 롤리영어, M. McGuire|M. 맥과이어영어, G.L. Brammer|G.L. 브래머영어, A. Yuwiler|A. 유윌러영어 | 1984 | Soci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Blood Serotonin and Concentrations in Monkeys|원숭이의 혈액 세로토닌 농도에 대한 사회적 및 환경적 영향영어 |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일반 정신의학 기록보관소영어 | 41 (4) | 181-90 | |
| W. Revelle|W. 레벨영어, M. Humphreys|M. 험프리스영어, L. Simon|L. 사이먼영어, K. Gilliland|K. 길리랜드영어 | 1980 | Interactive Effect of Personality, Time of Day, and Caffeine: A Test of the Arousal Model|성격, 시간 및 카페인의 상호 작용 효과: 각성 모델 테스트영어 | 실험 심리학 저널: 일반영어 | 109 (1) | 1-13 | |
| B. Zumbo|B. 줌보영어, S. Taylor|S. 테일러영어 | 1993 |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Extraversion Subscales of the Meyers-Briggs Type Indicator|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외향성 하위 척도의 구성 타당도영어 | 캐나다 행동 과학 저널영어 | 25 (4) | 590-604 | |
| J. Belsky|J. 벨스키영어, M. Pluess|M. 플루스영어 | 2009 | Beyond Diathesis-Stress: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취약성-스트레스 너머: 환경 영향에 대한 차등 민감성영어 | 심리학 회보영어 | 135 (6) | 885-908 |
참조
[1]
논문
A Longitudinal Study of Resting Heart Rate and Violent Criminality in More Than 700 000 Men
https://jamanetwork.[...]
2015
[2]
간행물
Making sense of it all: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on daily functioning of children
https://www.research[...]
[3]
간행물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lexithymia, autism, depression, and anxiety
http://isiarticles.c[...]
[4]
간행물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life satisfaction
2015-12-01
[5]
학술지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 crit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research agenda (Review article)
Elsevier
2019-03
[6]
학술지
Temperamental sensitivity: Two constructs or one?
http://www.bowdoin.e[...]
2016-02-07
[7]
문서
Boterberg et al. (2016): overreaction to stimuli (OS) and depth of processing (DP).
[8]
문서
Smolewska et al. (2006): Aesthetic Sensitivity (AES, having greater awareness of beauty), Low Sensory Threshold (LST, easily unpleasantly aroused by external stimuli), and Ease of Excitation (EOE, easily overwhelmed by stimuli); results showing the (unidimensional) HSP Scale w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the construct of SPS"). Liss et al. (2008).
[9]
문서
Per Boterberg et al. (2016), a "theoretical redefinition" by E. Aron, Psychotherapy and the Highly Sensitive Person (2010): "DOES" acronym: Depth of processing, Overstimulation, Emotional intensity, Sensory sensitivity.
[10]
학술지
Vantage Sensitivity: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Positive Experiences
http://www.philosoni[...]
[11]
학술지
Vulnerability genes or plasticity genes?
http://hsperson.com/[...]
2016-01-28
[12]
학술지
Beyond Diathesis Stress: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http://hsperson.com/[...]
2016-01-28
[13]
학술지
Biological sensitivity to context: I. An evolutionary–developmental theory of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stress reactivity
https://www.research[...]
2005
[14]
학술지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the environment: An evolutionary–neurodevelopmental theory
https://www.research[...]
2011
[15]
학술지
Individua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http://qmro.qmul.ac.[...]
2015-09
[16]
학술지
Differential Susceptibility of the Developing Brain to Contextual Adversity and Stress
2016
[17]
학술지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The components of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their relation to the BIS/BAS and "Big Five"
[18]
잡지
Shades of Sensitivity
http://blogs.scienti[...]
2015-05-04
[19]
학술지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vity
http://scottbarrykau[...]
[20]
학술지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Jung's Concept of Sensitiveness
[21]
학술지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its Relation to Introversion and Emotionality
http://www.hsperson.[...]
[22]
학술지
Adult shyness: The interaction of temperamental sensitivity and an adverse childhood environment
https://www.psycholo[...]
[23]
학술지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Interactions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adolescent alcohol use
2016
[24]
학술지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ories in personalized prevention for youth substance abuse: a transdisciplinary translational perspective
2016
[25]
웹사이트
Associ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nd the 5-HTTLPR Short/Short Genotype
http://hsperson.com/[...]
Center for integrated molecular brain imaging
2011
[26]
학술지
Contributions of dopamine-related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Highly Sensitive Personality: A multi-step neuronal system-level approach
[27]
학술지
Neurogenetic Variations in Norepinephrine Availability Enhance Perceptual Vividness
2015
[27]
뉴스
The Highly Sensitive Person: Emotional Sensitivity May Stem From A Person's Genes, Enhancing The Way They See The World
http://www.medicalda[...]
Medical Daily (IBT Media)
2015-05-08
[28]
문서
Paraphrasing Aron and citing Wolf re different names for same or equivalent concepts:
[29]
문서
Paraphrasing Aron re what SPS is not:
[30]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Highly Sensitivity Person: Sensitive, Introverted, or Both? | Extraverted HSPs face unique challenges
http://www.psycholog[...]
2011-07-21
[31]
학술지
Evolutionary emergence of responsive and unresponsive personalities
[32]
웹사이트
Time Magazine: 'The Power of (Shyness)' and High Sensitivity
http://www.psycholog[...]
2012-02-02
[33]
웹사이트
The Highly Sensitive Person In Love with Elaine Aron
http://www.medicinen[...]
WebMD Live Events Transcript
[34]
서적
The Highly Sensitive Person
Broadway Books
1996
[35]
학술지
Social Repu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Chinese and Canadian Children: A Cross-cultural Study
https://www.research[...]
1992
[36]
뉴스
Do You Cry Easily? You May Be a 'Highly Sensitive Person'
https://www.wsj.com/[...]
2015-05-18
[37]
뉴스
Highly sensitive people: a condition rarely understood
https://www.telegrap[...]
2015-10-12
[38]
논문
The functional highly sensitive brain: a review of the brain circuits underlying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nd seemingly related disorders
2018-04
[39]
서적
Der sensible Mensch : Psychologie, Psychopathologie, Therapie (The Sensitive Human: Psychology, Psychopathology, Therapy)
Enke
1978
[40]
논문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A Review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Biological Responsivity
https://doi.org/10.1[...]
2012-08-01
[41]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doi.apa.org/[...]
2021-04-20
[42]
논문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 crit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research agenda
https://www.scienced[...]
2019-03-01
[43]
논문
Individua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Sensitivity
https://srcd.onlinel[...]
2015
[44]
논문
Improving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Highly Sensitive Child Scale–21 Item Version
https://doi.org/10.1[...]
2021-01-10
[45]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Highly Sensitive Person
https://elemental.me[...]
2019-09-01
[46]
논문
Dandelions, tulips and orchids: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low-sensitive, medium-sensitive and high-sensitive individuals
https://www.nature.c[...]
2018-01-22
[47]
논문
Variation in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 An Evolutionary Argument
https://doi.org/10.1[...]
1997-07-01
[48]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doi.apa.org/[...]
2021-04-23
[49]
문서
Biological Sensitivity to Context Theory
[50]
논문
Biological sensitivity to context: I. An evolutionary–developmental theory of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stress reactivity
http://www.journals.[...]
2005-06-XX
[51]
논문
A Genome-Wide Test of the Differential Susceptibility Hypothesis Reveals a Genetic Predictor of Differential Response to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Child Anxiety Disorders
https://www.karger.c[...]
2016
[52]
논문
Biological sensitivity to context: A test of the hypothesized U-shaped relation between early adversity and stress responsivity
https://www.cambridg[...]
2020/05
[53]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doi.apa.org/[...]
2021-04-23
[54]
문서
環境感受性の気質・性格的マーカー
[55]
논문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The components of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and their relation to the BIS/BAS and “Big Five”
https://www.scienced[...]
2006-04-01
[56]
문서
ease of excitation
[57]
문서
low sensory threshold
[58]
문서
aesthetic sensitivity
[59]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doi.apa.org/[...]
2021-04-27
[60]
논문
Dandelions, tulips and orchids: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low-sensitive, medium-sensitive and high-sensitive individuals
https://www.nature.c[...]
2018-01-22
[61]
논문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日本版(HSPS-J19)の作成
https://doi.org/10.4[...]
日本感情心理学会
[62]
논문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Adult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Japanese Version of the Highly Sensitive Person Scale 10-Item Version
https://osf.io/2h8jt
2021-03-17
[63]
웹사이트
APA PsycNet
https://doi.apa.org/[...]
2021-05-04
[64]
논문
日本語版青年前期用敏感性尺度(HSCS-A)の作成
https://doi.org/10.2[...]
日本パーソナリティ心理学会
[65]
논문
日本語版児童期用敏感性尺度(HSCS-C)の作成
https://doi.org/10.2[...]
日本パーソナリティ心理学会
[66]
간행물
Making sense of it all: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sensitivity on daily functioning of children
https://www.research[...]
[67]
간행물
Sensory-processing sensitivity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experiences and adult life satisfaction
2015-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