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마가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마가쿠(高麗楽)는 일본 전통 음악의 한 형태로, 683년 일본서기에 처음 등장한 용어이다. 이는 한국, 백제, 신라의 음악을 지칭하며, 헤이안 시대에는 당악과 대비되는 우방의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 고마가쿠는 고려적, 삼고 등의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며, 당악보다 2율 높은 음계를 사용한다. 덴무 천황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악사 구성 및 악기 편성이 변화했으며, 부가쿠(舞楽)와 함께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고마가쿠는 한무제가 고구려에 악기를 하사한 것에서 기원하며,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래되어 율령제 하에서 정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의 음악 - 황조가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시로, 꾀꼬리의 의지하는 모습과 대비되는 화자의 고독한 심정을 노래하며, 작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하지만 고대 권력자의 고독과 고뇌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일본의 전통 음악 - 인간국보
    인간국보는 일본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 문화유산을 고도로 숙련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2021년 2월 기준 111명이 생존해 있다.
  • 일본의 전통 음악 - 조루리
    조루리는 사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본 전통 이야기 형식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정루리히메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여러 유파로 발전하여 고조루리와 신조루리로 나뉘었고,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며 일본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고마가쿠
개요
종류일본 전통 음악
기원한국 고려
연주 목적의례
역사
유래삼국시대 고구려의 음악
일본 전래 시기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특징당악과 함께 가가쿠의 두 주요 장르 중 하나
악기 구성
주요 악기비파
생황
피리
대금

장구
음악적 특징
음계요나누키 음계
특징신토 의식과 관련된 음악으로 사용
관련 용어
관련 음악사이바라

2. 역사

덴표(天平) 13년(741년) 7월, 쇼무 천황(聖武天皇)은 구니의 새 궁에서 연회를 열어 여악(女楽)과 고마가쿠(高麗楽)를 연주하게 하였다.[13] 이는 야마시로국(山背国)에 살고 있던 고구려도래인들에 의해 공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2. 1. 어원

"고마가쿠(고려악)"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일본서기』의 덴무 천황 12년(683년) 1월 기록이다[6]

是日|이 날|음독=코노히일본어 오와리다노마이〈小〉|(|작은|음독=치이사일본어오와리다의 춤〉|)|)일본어 및 고마〈小〉|(|고려|음독=코마일본어 백제·신라, 삼국〈小〉|(|세 나라|음독=미쿠니일본어의 악〈小〉|(|노래|음독=우타일본어을 정원〈小〉|(|뜰|음독=니와일본어 안에서 연주하게 했다}}

2. 2. 악사의 구성 변화

일본서기덴무 천황 12년(683년) 1월조에 "이 날, 오하리다노마히(小墾田儛) 및 고마(高麗, 고려), 구다라(百済, 백제), 시라기(新羅, 신라) 세 나라의 우타마히(楽)를 뜰에서 연주하였다."[10]는 기록에서 "고마가쿠"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다.

악사의 수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시기기록구성
직원령(職員令) 174명
영집해(令集解)》 인용 아악대속미상정족설(雅楽大属尾張浄足説)무사(儛師) ・ 산악사(散楽師) ・ 공후사(箜篌師) 각 1명 (총 3명)
다이토 4년(809년) 3월 격(格)횡적사(横笛師) ・ 공후사 ・ 막목사(莫目師) ・ 무사 (총 4명)
사이코 2년(855년) 8월 21일 태정관부(太政官符)오절무사(五節儛師)를 빼고 고려고사(高麗鼓師)를 둠[11]



속일본기》에 따르면 덴표(天平) 3년(731년) 6월에 아악료(雅楽寮)의 잡악생(雑楽生)의 인원을 정하여 악생(楽生)의 수가 결정되었다. 처음에는 고마가쿠 악생이 8명이었으나,[12] 요로령(養老令)에서는 20명으로 늘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는 횡적생(横笛生) 4명, 막모생(莫牟生) 2명, 공후생(箜篌生) 3명, 무생(儛生) 6명, 고생(鼓生) 4명, 농창생(弄槍生) 2명으로 구성되었고, 같은 해에 무생 2명을 줄여 정원이 18명이 되었다. 덴표 15년(743년) 7월 13일 고마가쿠닌 공문(高麗楽人貢文)에는 "고려악인 합 25명〈1인 관인, 2인 사〉"로 기록되어 있다.[11]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구다라가쿠(百済楽) ・ 시라기가쿠(新羅楽) 등을 통합하여 좌방(左方)의 도가쿠(唐楽)에 대비해 우방(右方)의 고마가쿠로 형성되었고,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 백제악 ・ 신라악의 악생이 대폭 감소되었던 것과는 달리 고려악의 악생은 감소되지 않았던 것은 좌우 양부제의 형성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2. 3. 악생의 변화

속일본기》에 따르면, 덴표(天平) 3년(731년) 6월에 「아악료(雅楽寮)의 잡악생(雑楽生)의 인원을 정하였다」고 되어 있고, 이로부터 악생(楽生)의 수가 결정되었다. 요로령(養老令)에서는 고마가쿠 악생이 20명으로 규정되었으나, 《속일본기》에는 8명으로 기록되어 있다.[12]

가쇼(嘉祥) 원년(848년) 9월의 격에 따른 악생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횡적생(横笛生)막모생(莫牟生)공후생(箜篌生)무생(儛生)고생(鼓生)농창생(弄槍生)
4명2명3명6명4명2명



같은 해에 무생(儛生) 2명을 줄여 정원이 18명이 되었다. 덴표(天平) 15년(743년) 7월 13일 고마가쿠닌 공문(高麗楽人貢文)에는 「고려악인(高麗楽人)은 합쳐서 25명(1명은 관인, 2명은 스승)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1]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구다라가쿠(百済楽) ・ 시라기가쿠(新羅楽) 등을 통합하여 좌방(左方)의 도가쿠(唐楽)에 대비해 우방(右方)의 고마가쿠(高麗楽)로 형성되었고,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 백제악 ・ 신라악의 악생이 대폭 감소되었던 것과는 달리 고려악의 악생은 감소되지 않았던 것은 좌우 양부제의 형성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2. 4. 초기 연주 기록

일본서기 덴무 천황 12년(683년) 1월조에 "이 날, 오하리다노마히(小墾田儛) 및 고마(高麗, 고려), 구다라(百済, 백제), 시라기(新羅, 신라) 세 나라의 우타마히(楽)를 뜰에서 연주하였다."[10]는 기록에서 "고마가쿠"(高麗楽)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다.

악사의 수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직원령(職員令)17에는 네 명, 영집해(令集解)에 인용된 아악대속미상정족설(雅楽大属尾張浄足説)에는 무사(儛師) ・ 산악사(散楽師) ・ 공후사(箜篌師) 각 한 명으로 모두 세 명, 다이토(大同) 4년(809년) 3월의 격(格)에는 횡적사(横笛師) ・ 공후사 ・ 막목사(莫目師) ・ 무사 이렇게 네 명이었다. 사이코 2년(855년) 8월 21일 태정관부(太政官符)에서는 오절무사(五節儛師)를 빼고 고려고사(高麗鼓師)를 두게 하였다.[11]

속일본기(続日本紀)에 따르면 덴표(天平) 3년(731년) 6월에 아악료(雅楽寮)의 잡악생(雑楽生)의 인원을 정하여 악생(楽生)의 수가 결정되었다. 고마가쿠는 8인이었으나[12] 요로령(養老令)에서는 20명이 되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는 횡적생(横笛生) 네 명, 막모생(莫牟生) 두 명, 공후생(箜篌生) 세 명, 무생(儛生) 여섯 명, 고생(鼓生) 네 명, 농창생(弄槍生) 두 명으로 구성되었고, 그 해에 무생 두 명을 빼고 정원이 열여덟 명이 되었다. 덴표 15년(743년) 7월 13일에 고마가쿠닌 공문(高麗楽人貢文)에는 「高麗楽人合廿五人〈一人官人、二人師〉」으로 기록되어 있다.[11]

덴표 13년(741년) 7월, 쇼무 천황(聖武天皇)은 구니(恭仁)의 새 궁에서 연회를 열어 여악(女楽)과 고마가쿠를 연주하게 하였다.[13] 이는 야마시로국(山背国)에 살고 있던 고구려계 도래인들에 의해 공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구다라가쿠(百済楽) ・ 시라기가쿠(新羅楽) 등을 통합하여 좌방(左方)의 도가쿠(唐楽)에 대비해 우방(右方)의 고마가쿠로 형성되었고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 백제악 ・ 신라악의 악생이 대폭 감소되었던 것과는 달리 고려악의 악생은 감소되지 않았던 것은 좌우 양부제의 형성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5. 헤이안 시대의 발전

헤이안 시대에는 구다라가쿠(百済楽) ・ 시라기가쿠(新羅楽) 등을 통합하여 좌방(左方)의 도가쿠(唐楽)에 대비되는 우방(右方)의 고마가쿠(高麗楽)로 형성되었으며,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가쇼 원년(848년) 9월의 격에서 백제악과 신라악의 악생이 대폭 감소되었던 것과는 달리 고려악의 악생은 감소되지 않았는데, 이는 좌우 양부제의 형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1]

3. 구성 및 특징

고마가쿠는 고마부에(고려적), 히치리키와 함께 산노쓰즈미(三鼓), 쇼우코(鉦鼓), 다이코(太鼓)를 사용한다. 고려일월조(高麗壹越調), 고려평조(高麗平調), 고려쌍조(高麗雙調)의 세 가지 조(調)를 사용하는데, 이 조들은 도오가쿠에 쓰이는 것보다 장 2도가 높다.[14] 고마가쿠의 고악보(古樂譜)는 《산고요오로쿠(三五要錄)》와 《진치요오로쿠(仁智要錄)》에 기록되어 있다.[14]

부가쿠(舞楽일본어)는 당악(우방)과 고마가쿠(좌방)가 한 곡씩 교차로 연주하는 관례가 있는데, 악기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당악에서는 횡적(橫笛), (笙), 필률(篳篥), 일고(一鼓) 또는 갈고(羯鼓)가 사용되는 반면, 고마가쿠는 고마부에(高麗笛), 산노쓰즈미(三鼓)를 사용하며 (笙)은 포함되지 않는다. 고마가쿠에서 (笙)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고마부에(高麗笛)가 당악의 횡적보다 2율(서양 음악의 1음)씩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명 또한 당악보다 2율 높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당악의 평조(平調)는 고려일월조(高麗壹越調)이며, 하무(下無)는 고려평조(高麗平調), 황종(黃鐘)은 고려쌍조(高麗雙調)에 대응된다.[14]

3. 1. 사용 악기

고마부에(고려적), 히치리키(피리), 산노쓰즈미(삼고), 쇼우코(징고), 다이코(대고)가 사용된다.[14] 과거에는 막목이라는 악기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폐절되어 유물도 전해지지 않는다.

3. 2. 음악적 특징

고마가쿠는 고마부에(高麗笛), 히치리키와 함께 산노쓰즈미(三鼓), 쇼우코(鉦鼓), 다이코(太鼓)를 사용한다. 고마 이치고쓰죠(高麗壹越調), 고마효오죠(高麗平調), 고마 소오죠의 세 가지 조(調)를 사용하는데, 고마 효오죠 등 고마가쿠에 쓰이는 조는 도오가쿠에 쓰이는 것보다 장 2도가 높다.[14] 고마가쿠의 박자에는 요효오시(四拍子-8박이 1마디를 이루고 4마디가 한 장단을 이룬다)와 아게효오시(揚拍子-4박이 1마디를 이루고, 2마디가 한 장단을 이룬다), 가라효오시(唐拍子-4박이 1마디를 이루고 2마디 첫박에 북을 친다)의 세 가지가 있다.[14] 도오가쿠처럼 라이(來-장고의 굴림채에 해당)를 쓰지 않고 부점(附點)의 리듬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14] 고마가쿠의 고악보(古樂譜)는 《산고요오로쿠》(三五要錄)와 《진치요오로쿠》(仁智要錄)에 기록되어 있다.[14]

부가쿠(舞楽일본어)는 당악(우방)과 고려악(좌방)이 한 곡씩 교차로 연주하는 관례가 있는데, 악기 사용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당악에서는 횡적(橫笛), (笙), 필률(篳篥), 일고(一鼓) 또는 갈고(羯鼓)가 사용되는 반면, 고려악에서는 고려적(高麗笛), 삼고(三鼓)가 사용되며 (笙)은 포함되지 않는다. 고려악에서 (笙)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고려적이 당악의 횡적보다 2율(서양 음악에서 말하는 1음)씩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명 또한 당악보다 2율 높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당악의 평조(平調)는 고려일월조(高麗壹越調)이며, 하무(下無)는 고려평조(高麗平調), 황종(黃鐘)은 고려쌍조(高麗雙調)에 대응된다.[14]

고려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로는 고려적, 피리, 삼고, 징고, 대고가 있다. 고려악에는 고려 일월조, 고려 평조, 고려 쌍조의 3가지 조가 사용되며, 이 조는 당악에 사용되는 일월조, 평조, 쌍조보다 장2도(온음) 높다. 고려악의 박자에는 고려 사박자, 양박자, 당박자의 3가지 종류가 있다. 고려악은 당악처럼 '래'를 사용하지 않고, 점 리듬을 갖는 것이 특이하다. 고려악의 곡은 모두 무악곡이다. 고려악의 고악보는 삼오요록과 인지요록에 기록되어 있다.[14]

과거에는 막목이라는 악기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이 악기는 폐절되었으며, 더 이상 유물도 현존하지 않는다.

3. 3. 부가쿠(舞楽)와의 관계

부가쿠(舞楽)는 당악(우방)과 고마가쿠(좌방)가 한 곡씩 교차로 연주되는 관례가 있으며, 당악과 고마가쿠의 차이는 악기 사용에서 두드러진다. 당악은 횡적(橫笛), (笙), 필률(篳篥), 일고(一鼓) 또는 갈고(羯鼓)를 사용하는 반면, 고마가쿠는 고마부에(高麗笛), 삼고(三鼓)를 사용하며 (笙)은 포함되지 않는다.[14] 고마가쿠에서 (笙)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고마부에(高麗笛)가 당악의 횡적보다 2율(서양 음악의 1음)씩 높기 때문이다.[14] 따라서 음명 또한 당악보다 2율 높게 설정된다.[14] 예를 들어 당악의 평조(平調)는 고마가쿠의 고려일월조(高麗壹越調)이며, 하무(下無)는 고려평조(高麗平調), 황종(黃鐘)은 고려쌍조(高麗雙調)에 대응된다.[14]

고마가쿠에 사용되는 악기는 고마부에(高麗笛), 피리, 삼고(三鼓), 징고(鉦鼓), 대고(太鼓)이다. 고마가쿠에는 고려일월조(高麗壹越調), 고려평조(高麗平調), 고려쌍조(高麗雙調)의 3가지 조가 사용되며, 이 조는 당악의 일월조(壹越調), 평조(平調), 쌍조(雙調)보다 장2도(온음) 높다. 고마가쿠의 박자에는 고려 사박자, 양박자, 당박자의 3가지 종류가 있다. 고마가쿠는 당악처럼 '래'를 사용하지 않고, 점 리듬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고마가쿠의 곡은 모두 무악곡이며, 고악보는 산고요오로쿠(三五要錄)과 진치요오로쿠(仁智要錄)에 기록되어 있다.

과거에는 막목이라는 악기도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폐절되어 유물이 현존하지 않는다.

3. 4. 고악보

고마가쿠의 고악보는 《산고요오로쿠(三五要錄)》와 《진치요오로쿠(仁智要錄)》에 기록되어 있다.[14] 고마가쿠의 박자에는 요효오시(8박이 1마디를 이루고 4마디가 한 장단을 이룬다), 아게효오시(4박이 1마디를 이루고, 2마디가 한 장단을 이룬다), 가라효오시(4박이 1마디를 이루고 2마디 첫박에 북을 친다)의 세 가지가 있다.

4. 한반도와의 관계

고마가쿠는 한반도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한나라 한 무제가 조선한사군을 설치했을 때 고구려에 악기와 악인을 하사한 것에서 고마가쿠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5]

4. 1. 기원

조선반도의 가무는 한나라 한 무제가 조선식민지한사군을 설치했을 때 고구려에 "··기인"을 하사한 것에서 시작한다.[5]

원봉 3년 (기원전 108년) 한 무제가 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했을 때, 고구려에 고·취 등의 악기와 악인을 하사한 것, 고구려인이 가무를 즐기는 모습, 남송 시대에는 고구려의 악이 백제악과 함께 세상에 알려졌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5] 이후 고려악은 중국 왕조의 사방악에도 도입되어 일본에도 전래되어 율령제 하에서 "고려악"으로 정착되었다.[5]

4. 2. 중국과의 관계

한 무제가 조선식민지한사군을 설치했을 때 고구려에 "··기인"을 하사한 것에서 조선반도의 가무가 시작된다.[5][5][5]

원봉 3년 (기원전 108년), 한 무제가 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했을 때, 고구려에 고·취 등의 악기와 악인을 하사한 것, 고구려인이 가무를 즐기는 모습, 남송 시대에는 고구려의 악이 백제악과 함께 세상에 알려졌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후 고려악은 중국 왕조의 사방악에도 도입되어 일본에도 전래되어 율령제 하에서 "고려악"으로 정착되었다.[5]

참조

[1] 문서 Daijirin
[2] 웹사이트 About Korea: Culture: Performing Arts: Music http://ailab.kyungpo[...]
[3] 웹사이트 Masks Of Japan http://www.yoshinoan[...]
[4] 웹사이트 gagaku - Britannica Concise http://concise.brita[...]
[5] 뉴스 5世紀の日韓関係 - 倭の五王と高句麗・百済 - http://www.jkcf.or.j[...] 日韓歴史共同研究 2005-06
[6] 문서 日本書紀』巻第二十九・天武天皇下・十二年正月十八日条
[7] 서적 続日本紀 2 岩波書店 1990
[8] 문서 『続日本紀』巻第十一・聖武天皇・天平三年六月二十九日条
[9] 문서 『続日本紀』巻第十四・聖武天皇・天平十三年七月十三日条
[10] 문서 『日本書紀』巻第二十九、天武天皇下、12年正月18日条
[11] 문서 岩波書店『続日本紀』2 p548補注11-9
[12] 문서 『続日本紀』巻第十一、聖武天皇、天平3年6月29日条
[13] 문서 『続日本紀』巻第十四、聖武天皇、天平13年7月13日条
[14] 간행물 高麗樂についての一二の臆說 https://toyo-bunko.r[...] 東洋文庫 1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