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작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작자리는 네덜란드 천문학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가 1595년부터 1597년까지의 동인도 항해에서 얻은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만든 별자리이다.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88개의 현대 별자리 중 하나로 공식 인정되었으며, 약칭은 'Pav'이다. 공작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 여신의 상징인 공작과 관련되어 있으며, 알파 공작자리, 델타 공작자리 등 밝은 별들과 구상성단 NGC 6752, 나선은하 NGC 6744 등의 심원 천체를 포함한다. 또한 델타 공작자리 유성우와 8월 공작자리 유성우의 복사점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작자리 - SCR 1845-6357
    SCR 1845-6357 항성계는 초저온 적색 왜성 SCR 1845-6357A와 갈색 왜성 동반성 SCR 1845-6357B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반성은 주성으로부터 약 4.1 천문 단위 떨어져 있고 목성 질량의 40~50배, 유효 온도는 950 켈빈으로 추정된다.
  • 공작자리 - 공작자리 감마
    공작자리 감마는 공작자리에 위치한 이중성 별로, 18세기 중반 라카유에 의해 처음 확인되었으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천문학 연구의 중요한 대상이었고, 21세기에는 외계 행성 탐사 연구의 대상이 되면서 우주 이해에 기여하고 있다.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공작자리
기본 정보
공작자리 별자리 지도
공작자리 별자리 지도
심볼공작새
약자Pav
소유격Pavonis
영어 발음, ,
소유격
일본어 이름くじゃく座 (Kujakuz座)
로마자 표기Kujakukuza
위치남반구
속하는 별자리 그룹바이어 별자리
관측
적경18h 10.4m ~ 21h 32.4m
적위-56° 35.4′ ~ −74° 58.8′
면적378 평방도
순위44위
밝은 별의 수1개
행성을 가진 별의 수6개
주요 별의 수7개
바이어/플램스티드 지정 별의 수24개
가장 밝은 별α Pav (피콕)
별의 밝기1.91 등급
근처 별의 수4개
남중일8월 25일 21시
관측 가능 위도북위 30도 ~ 남위 90도
최적 관측 시기8월
인접 별자리
인접 별자리팔분의자리, 극락조자리, 제단자리, 망원경자리, 인디언자리
유성우
유성우공작자리 델타 유성우

2. 역사와 신화

공작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항해가들이 남반구를 관측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1598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가 항해사 페테르 케이세르와 프레데릭 데 하우트만이 1595년부터 1597년까지 동인도 항해에서 남긴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천구의에 공작의 모습을 그리고, 네덜란드어와 라틴어로 각각 "Pau"와 "Pavo"라는 이름을 붙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케이세르와 데 하우트만이 고안한 별자리로 여겨진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창립 총회에서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Pavo", 약칭은 "Pav"로 결정되었다. 공작자리는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별자리이기 때문에, 이 별자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화나 전승은 없다.[10]

2. 1. 별자리 역사

페트루스 플란키우스는 Pieter Dirkszoon Keyser와 Frederick de Houtman가 제1차 인도네시아 탐사를 하던 중 관측한 남반구 하늘 자료를 바탕으로 공작자리를 포함한 12개 별자리를 도입했다. 공작자리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1598년 플란키우스와 요도쿠스 혼디우스가 암스테르담에서 제작한 직경 35 센티미터 크기의 천구의이다.

요한 바이어가 1603년 제작한 《우라노메트리아》는 공작자리가 별지도책에 기록된 최초의 사례이다.[57] 같은 해 프레데리크 더 호우트만도 자신의 남반구 항성목록에 "공작"(De Pauwwnl)이라는 이름으로 등재했다.[58]

봉황자리, 두루미자리, 큰부리새자리를 함께 묶어 "남반구의 새들"(Southern Bird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59]

2. 2. 그리스 신화의 공작

헤라 여신은 자신의 충실한 하인인 아르고스를 기리기 위해 그의 눈을 자신이 아끼는 새인 공작의 꼬리에 장식했다고 한다.[65][66] 제우스는 아름다운 아르고스 공주 이오와 관계를 맺기 위해 그녀를 암소로 변신시켰다. 아내 헤라에게 이를 들키자 암소를 선물로 요구받았고, 헤라는 이오를 추방한 뒤 아르고스에게 이오를 감시하게 했다. 제우스는 헤르메스를 시켜 아르고스를 잠재우고 살해하여 이오를 구출했다.[9][10]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는 아르고스의 죽음에 대한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아르고스는 죽어 누워 있었고, 그렇게 많은 눈들이, 그렇게 밝게 꺼졌고, 100개 모두가 하룻밤에 덮였다. 사투르니아 [헤라]는 그 눈들을 되찾아 그녀의 새 [공작, 파보]의 깃털 사이에 넣었고 그의 꼬리를 별 보석으로 채웠다."[11]

요한 가브리엘 도펠마이어의 아틀라스 쾨레스티스에 실린 남천구 차트에 (반전된) 파보와 인두스 별자리가 등장한다.
요한 가브리엘 도펠마이어의 아틀라스 쾨레스티스에 실린 남천구 차트에 등장하는 (반전된) 파보와 인두스 별자리, 1742년경

2. 3. 그리스 이외의 문화권

호주 노던 준주의 와다만족은 공작자리와 그 옆의 제단자리를 날아다니는 여우로 보았다.[69]

3. 특징

공작자리는 남위 50도 이하 지역에서 주극성으로 관측되며, 한국에서는 여름철 남쪽 지평선 부근에서 일부 관측 가능하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된 별자리 중 하나이며, 약칭은 "Pav"이다.[71][15]

공작자리는 북쪽으로 망원경자리, 서쪽으로 극락조자리제단자리, 남쪽으로 팔분의자리, 동쪽과 북동쪽으로 인디언자리와 맞닿아 있다. 면적은 378 평방도로, 88개 현대 별자리 중 44번째로 넓으며 전천의 0.916%를 차지한다.[70][14] 1930년 외젠 조지프 델포르트가 정한 공식적인 별자리 경계는 십각형 모양이다.[72][16]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 범위의 적경은 18시 10.4분 ~ 21시 32.4분, 적위는 −56.59° ~ −74.98°이다.[72]

공작자리는 남쪽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북위 30도 이상에서는 항상 지평선 아래에 있어 볼 수 없다.[73][17] 남위 50도 이하에서는 항상 볼 수 있는 주극성좌이다.[73] 호주에서는 공작자리의 일부 별들이 천구 남극을 가리키는 지표로 사용되는 "냄비"(the Saucepan)라는 성군을 형성한다.[74]

공작자리에는 공작자리 델타 유성우와 공작자리 8월 유성우의 복사점이 있다. 공작자리 델타 유성우는 3월 21일부터 관측되어 4월 5일 내지 6일에 정점을 찍으며, 그리그-멜리쉬 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0] 공작자리 8월 유성우는 8월 31일을 전후로 정점을 찍으며, 핼리형 혜성인 레비 (P/1991 L3) 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3]

3. 1. 별

공작자리는 바이어가 도표에 묘사했지만, 별에 바이어 명명법을 부여하지 않았다. 프랑스 탐험가이자 천문학자인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6년에 별들에 알파부터 오메가까지 이름을 붙였지만, 프시와 크시를 생략하고, 가까이 있는 두 쌍의 별에는 뮤와 파이 파보니스를 붙였다. 1879년,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굴드는 밝기가 이름을 붙일 가치가 있다고 여겨 크시 파보니스를 지정했지만, 희미함 때문에 카이 파보니스는 제외했다.[18]

알파 공작자리는 망원경자리와의 북쪽 경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공작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17] 그 고유 이름인 'Peacock'(공작)은 별자리의 이름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14] 이 이름은 1930년대 후반 영국 HM 항해력 사무소에 의해 부여되었다. 영국 공군은 모든 밝은 별에 이름을 붙여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전까지 이 별에는 고유한 이름이 없었다.[19] 알파는 겉보기 등급 1.91과 분광형 B2IV를 가진 분광 쌍성계로, 두 별 사이의 거리는 0.21 천문 단위(AU)로 추정된다. 이는 수성과 태양 사이 거리의 절반에 해당한다.[21] 두 별은 단 11일 18시간 만에 서로를 공전하며,[17] 이 별계는 지구로부터 약 180광년 떨어져 있다.[21]

베타 공작자리는 겉보기 등급 3.43으로, 공작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다. 분광형 A7III의 흰색 거성으로,[22] 핵에서 수소 연료를 소진하고 주 계열에서 벗어나 팽창하고 냉각된 노후화된 별이다. 이 별은 태양계에서 135광년 떨어져 있다.[23]

베타의 서쪽 몇 도에 위치한 델타 공작자리는 태양과 비슷하지만 더 진화된 별이다.[17] 이 별은 분광형 G8IV이고 겉보기 등급 3.56인 노란색 준거성이며, 지구에서 단 19.9광년 거리에 있다.[24] 베타의 동쪽, 그리고 물고기자리의 동쪽 경계에 위치한 감마 공작자리는 겉보기 등급 4.22와 분광형 F9V인, 지구에서 30광년 떨어진 더 희미한 태양형 별이다.[25] 공작자리의 다른 가까운 별들은 훨씬 더 희미하다. SCR 1845-6357 (공작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약 12.6광년 떨어져 있으며 적색 왜성과 갈색 왜성 동반성으로 구성된 겉보기 등급 17.4의 쌍성계인 반면, Gliese 693은 19광년 떨어진 등급 10.78의 적색 왜성이다.[26]

공작자리에는 주목할 만한 여러 개의 변광성이 있다. 람다 공작자리는 겉보기 등급 3.4에서 4.4 사이로 변하는 밝은 불규칙 변광성으로, 이 변화는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다. 감마 카시오페이아 변광성 또는 셸 별로 분류되며,[27] 분광형 B2II-IIIe이며, 지구에서 약 1430광년 떨어져 있다.[28] 카파 공작자리는 W 처녀자리 변광성으로, 제2형 세페이드 변광성의 하위 부류이다.[27] 9일 동안 3.91에서 4.78까지 변하며, 분광형 F5I-II와 G5I-II 사이에서 진동하는 황백색 초거성이다.[29] 누와 V 공작자리는 맥동하는 준규칙 변광성 적색 거성이다. 누는 분광형 M6III이며 4.9에서 5.3 사이로 변하며,[30] V 공작자리는 225.4일과 3735일의 두 주기에 걸쳐 6.3에서 8.2 사이로 변한다.[27] V는 탄소별[31] 이고, 분광형 C6,4(Nb)[32]이며, 두드러진 붉은색을 띤다.[27]

별자리의 서쪽에 위치해 공작의 꼬리를 묘사하는 별은 에타와 크시 공작자리이다.[33] 겉보기 등급 3.6인 에타는 분광형 K2II의 밝은 주황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약 350광년 떨어져 있다.[34] 크시 파보니스는 작은 망원경으로 밝은 주황색 별과 더 희미한 흰색 동반성으로 보이는 다중성계이다.[27] 지구에서 약 470광년 떨어져 있으며, 이 계는 겉보기 등급 4.38을 가진다.[35] AR 공작자리는 적색 거성과 더 작고 뜨거운 별로 구성된 희미하지만 잘 연구된 식변광성으로, 지구에서 약 18000광년 떨어져 있다. 이 별은 격변 변광성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으며, 작은 구성 요소는 강착 원반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36] 시각 등급은 605일 동안 7.4에서 13.6까지 변한다.[37]

2018년 11월, 등급 8의 별 HD 186302가 태양과 같은 성질을 가진 두 번째 별로 확인되었는데, 스펙트럼이 G2로 같고, 질량도 거의 같으며, 쌍둥이 스펙트럼으로 동일한 금속성을 나타냈다.[38]

공작자리에는 행성계를 가진 별이 여섯 개 발견되었다. HD 181433라는 오렌지색 별의 행성계에서 세 개의 행성이 발견되었는데, 9.4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 내부 슈퍼-지구와 각각 2.6년 및 6년의 공전 주기를 가진 두 개의 외부 가스 행성이 그것이다.[39] HD 196050과 HD 175167는 노란색 G형 태양과 같은 별이며, HD 190984는 태양보다 약간 크고 뜨거운 F형 주계열성이다. 이 세 별 모두 가스 행성 동반자를 가지고 있다.[40][41][42] HD 172555는 젊은 백색 A형 주계열성으로, 과거 수천 년 동안 두 개의 행성이 대규모 충돌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대량의 이산화 규소 가스의 분광법적 증거는 두 행성 중 더 작은 행성(지구 달 크기 이상)이 파괴되었고, 더 큰 행성(수성 크기 이상)은 심하게 손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이 충돌의 증거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에 의해 감지되었다.[43] 별자리 남쪽에 있는 공작자리 엡실론은 지구로부터 약 105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분광형 A0Va의 3.95등급 백색 주계열성이다.[44] 이 별은 107AU 떨어진 곳에 좁은 먼지 고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45]

국제천문연맹(IAU)에서 2022년 4월 현재, 고유 명칭이 인증된 항성은 1개이다.

항성 이름설명
α별겉보기 등급 1.918등급으로 공작자리에서 가장 밝은 항성이자 유일한 2등성이며, 분광 쌍성이다. 주성인 Aa별에는 "피콕(Peacock)"이라는 고유 명칭이 붙어 있다.



그 외, 다음과 같은 항성들이 알려져 있다.

항성 이름겉보기 등급설명
β별3.48등급공작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δ별3.96등급G형 주계열성으로 4등성이며, 태양과 특징이 유사한 "태양 유사체" 중 하나이다. 태양계로부터의 거리가 약 20 광년이며, 쌍성계가 아닌 태양 유사체로서는 태양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다.
SCR 1845-6357M8.5의 적색 왜성과 T6의 갈색 왜성의 쌍성계이다. 태양계에서 약 13 광년의 가까운 거리에 있다.


3. 2. 심원천체

구상성단 NGC 6752는 약 100,000개의 항성을 포함하고 있다.


공작자리의 심원천체로는 구상성단 NGC 6752가 있다. NGC 6752는 전천의 구상성단큰부리새자리 47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에 이어 세 번째로 밝다. 지구에서 약 100ly 떨어져 있으며, 약 100,000개의 항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2] 겉보기 밝기가 5.4등으로 밝아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다. 패트릭 무어가 아마추어 천문학자의 관측 대상에 적합한 성단·성운·은하를 선택한 콜드웰 목록에서 93번으로 선정되었다.

NGC 6752에서 남쪽으로 3도 이동하면 NGC 6744가 있다.[73] NGC 6744는 지구에서 약 3천만 광년 떨어진 나선은하로, 우리 은하와 비슷하지만 지름이 두 배 더 크다.[83] 2005년에는 이 은하에서 Ic형 초신성인 SN 2005at가 발견되었으며, 16.8등급까지 밝아졌다.[84][85] 콜드웰 목록의 101번으로 선정되었다.

공작자리 에타 북동쪽으로 10arcmin 이동하면 왜소은하 IC 4662가 있다.[86] IC 4662는 11.62등급이고,[87] 지구에서 약 8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이 은하에는 다수의 폭발적 항성생성 구역이 존재한다.[88]

공작자리 알파에서 서쪽으로 1.7도 이동하면 밝기 14등급의 은하 IC 4965가 있는데, 이 은하는 섀플리 초은하단의 중심 구성원이다.[89]

NGC 6810을 품고 있는 은하 초풍과 상호작용하는 NGC 6872/IC 4970 은하는 각각 지구에서 8천 7백만 광년, 2억 1천 2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3. 3. 유성우

공작자리는 유성우 두 개, 즉 공작자리 델타 유성우와 공작자리 8월 유성우의 복사점이 있는 곳이다. 공작자리 델타 유성우는 3월 21일부터 보이기 시작해 보통 4월 5일 내지 6일에 정점을 찍는다. 이 유성우는 그리그-멜리쉬 혜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0] 호주 퍼스 출신의 마이클 부하기어(Michael Buhagiar)가 공작자리 델타 유성우를 발견했으며,[91] 1969년에서 1980년 사이 11년 동안 6번의 유성우를 관측했다.[92] 공작자리 8월 유성우는 8월 31일을 전후해서 정점을 찍으며, 핼리형 혜성인 레비 (P/1991 L3) 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3]

참조

[1] 웹사이트 Delta Pavonids https://web.archive.[...] 2013-08-23
[2] 웹사이트 Bayer's Southern Star Chart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23
[3] 웹사이트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23
[4] 서적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 간행물 Skyguide: A Field Guide for Amateur Astronomers 1983
[6] 간행물 Greco-Roman Mythology 1998
[7] 서적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Thames & Hudson 1987
[8] 서적 Star Tales James Clark & Co. 1988
[9] 서적 The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Greece and Rome: A Handbook of Mythology https://books.google[...] Europaeischer Hochschulverlag GmbH & Co 2010
[10] 웹사이트 Io http://www.greekmyth[...] 2013-11-19
[11] 문서 Ovid, Metamorphoses 1.720
[12] 웹사이트 Pavo – the Peacock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23
[13] 서적 Dark Sparklers Hugh C. Cairns 2004
[14] 서적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15] 논문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16] 웹사이트 Pavo, constellation boundary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3-08-23
[17] 서적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Aurum Press 1991
[18]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19] 간행물 A Personal History of H.M. Nautical Almanac Office http://astro.ukho.go[...] Edited and privately published by Wilkins, G.A. 2013-08-27
[20] 웹사이트 Peacock – Spectroscopic Binary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3
[21] 웹사이트 Peacock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08-23
[22] 웹사이트 Beta Pavon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3
[23] 웹사이트 Beta Pavoni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0-09-24
[24] 웹사이트 Delta Pavonis – Variabl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3
[25] 논문 HD 203608, a Quiet Asteroseismic Target in the Old Galactic Disk
[26] 웹사이트 GJ 693 – Variabl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4
[27] 서적 Astronomy of the Milky Way: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28] 웹사이트 Lambda Pavonis – B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4
[29] 웹사이트 Kappa Pavonis http://www.aavso.org[...] AAVSO 2011-01-07
[30] 웹사이트 NU Pavonis http://www.aavso.org[...] AAVSO 2011-01-07
[31] 서적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32] 웹사이트 V Pavonis http://www.aavso.org[...] AAVSO 2011-01-07
[33] 웹사이트 Pavo A Fanciful Bird http://assa.saao.ac.[...]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2010-10
[34] 웹사이트 Eta Pavon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6
[35] 웹사이트 Xi Pavon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5
[36] 논문 A Photometric Study of the Eclipsing Symbiotic Binary AR Pavonis 2000
[37] 웹사이트 AR Pavonis http://www.aavso.org[...] AAVSO 2013-08-25
[38] 뉴스 Did Astronomers Just Find The Sun’s Sister? http://astrobob.area[...] Bob P. King 2018-11-24
[39]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Super-Earth and Neptune-mass Planets in Multiple Planet Systems HD 47186 and HD 181433 http://www.aanda.org[...]
[40] 논문 Extrasolar Planets around HD 196050, HD 216437 and HD 160691 2002
[41] 논문 Five Long-period Extrasolar Planets in Eccentric Orbits from the Magellan Planet Search Program 2010
[42]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I. Three New Giant Planets Orbiting the Metal-poor Stars HD 5388, HD 181720, and HD 190984 http://www.aanda.org[...] 2010
[43] 논문 Abundant Circumstellar Silica Dust And Sio Gas Created By A Giant Hypervelocity Collision In The ~12 Myr HD172555 System 2009-06-16
[44] 웹사이트 Epsilon Pavon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9
[45] 논문 Resolved Debris Discs Around A Stars in the Herschel DEBRIS Survey
[46] 웹사이트 Messier 22 https://www.nasa.gov[...] 2023-07-21
[47] 웹사이트 Caldwell 93 https://www.nasa.gov[...] 2023-07-21
[48] 웹사이트 Globular Star Cluster NGC 6752 2013-08-23
[49] 웹사이트 Hubble fortuitously discovers a new galaxy in the cosmic neighbourhood https://phys.org/new[...] 2019-01-31
[50] 웹사이트 A Postcard from Extragalactic Space? A spiral galaxy that resembles our Milky Way http://www.eso.org/p[...] ESO Images and Downloads 2013-08-23
[51] 서적 The Caldwell Objects And How to Observe Them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
[52] 웹사이트 Bright Supernovae – 2005 http://www.rochester[...] Rochester Academy of Science 2013-09-22
[53] 웹사이트 IC 4662 – Blue compact Galaxy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4
[54] 웹사이트 Hubble ACS image of IC 4662 http://www.spacetele[...] European Space Agency (ESA) 2013-08-24
[55] 서적 Meteor Showers and Their Parent Come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6] 웹사이트 Delta Pavonids http://meteorshowers[...] self-published 2013-08-26
[57] 웹인용 Bayer's Southern Star Chart http://www.ianridpat[...] Star Tales 2013-08-23
[58] 웹인용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http://www.ianridpat[...] Star Tales 2013-08-23
[59] 서적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서적 A New Treatise on the Use of the Globes, and Practical Astronomy; or, A Comprehensive View of the System of the World http://books.google.[...] Smith & Forman
[61] 서적 Skyguide: A Field Guide for Amateur Astronomers
[62] 서적 Greco-Roman Mythology
[63] 서적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Paperback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64] 서적 Star Tales https://archive.org/[...] James Clark & Co.
[65] 서적 The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Greece and Rome: A Handbook of Mythology Europaeischer Hochschulverlag GmbH & Co.
[66] 웹인용 Io http://www.greekmyth[...]
[67] 서적 Metamorphoses
[68] 서적 "Pavo – the Peacock". Star Tales self-published
[69] 서적 Dark Sparklers Hugh C. Cairns
[70] 서적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http://books.google.[...] Springer
[71] 저널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72] 저널 Pavo, constellation boundary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3-08-23
[73] 서적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https://archive.org/[...] Aurum Press
[74] 웹인용 Pavo https://web.archive.[...] 2013-11-19
[75] 저널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Super-Earth and Neptune-mass Planets in Multiple Planet Systems HD 47186 and HD 181433 http://www.aanda.org[...]
[76] 저널 Extrasolar Planets around HD 196050, HD 216437 and HD 160691 https://archive.toda[...] 2014-08-14
[77] 저널 Five Long-period Extrasolar Planets in Eccentric Orbits from the Magellan Planet Search Program
[78] 저널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I. Three New Giant Planets Orbiting the Metal-poor Stars HD 5388, HD 181720, and HD 190984 http://www.aanda.org[...]
[79] 저널 Abundant Circumstellar Silica Dust And Sio Gas Created By A Giant Hypervelocity Collision In The ~12 Myr HD172555 System http://www.iop.org/E[...] 2009-06-16
[80] 웹인용 Epsilon Pavon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9
[81] 저널 Resolved Debris Discs Around A Stars in the Herschel DEBRIS Survey
[82] 웹인용 Globular Star Cluster NGC 6752 http://apod.nasa.gov[...] NASA 2013-08-23
[83] 웹인용 A Postcard from Extragalactic Space? A spiral galaxy that resembles our Milky Way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3-08-23
[84] 서적 The Caldwell Objects And How to Observe Them http://books.google.[...] Springer
[85] 웹인용 Bright Supernovae - 2005 http://www.rochester[...] Rochester Academy of Science Astronomy Section 2013-09-22
[86] 서적 Astronomy of the Milky Way: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87] 웹인용 IC 4662 – Blue compact Galaxy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13-08-24
[88] 웹인용 Hubble ACS image of IC 4662 http://www.spacetele[...] European Space Agency (ESA) 2013-08-24
[89] 웹인용 Pavo—A Fanciful Bird http://assa.saao.ac.[...]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2013-08-26
[90] 문서 Levy 2008, p. 109.
[91] 서적 Meteor Showers and Their Parent Comet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웹인용 Delta Pavonids https://web.archive.[...] self-published 2013-08-26
[93] 문서 Levy 2008, p. 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