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달라하라 (스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달라하라는 스페인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이베리아인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카라카'로 불렸으며, 아랍 시대에는 '와디 알-히자라'로 불리며 요새와 다리가 건설되었다. 1085년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된 후 15세기에는 멘도사 가문의 통치를 받으며 번영을 누렸으나, 17세기 대위기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세기에는 반도 전쟁과 철도 개통을 겪었으며, 20세기에는 스페인 내전의 피해를 입었다. 1959년 이후 마드리드의 산업 분산 계획에 따라 급성장했으며, 주변 도시를 흡수하며 도시 지역을 형성했다. 현재는 마드리드 광역권의 경제적 중심지이며, 다양한 건축 유산과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로마 유적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로마 유적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과달라하라 (스페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과달라하라
공식 명칭(공식 명칭 없음)
지리적 위치스페인
위치과달라하라 주, 카스티야라만차 지방, 스페인
별칭(별칭 없음)
표어(표어 없음)
과달라하라 항공 사진
항공 사진
과달라하라 시기
시기
과달라하라 문장
문장
행정 구역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카스티야라만차 지방
과달라하라 주
면적235.49 km²
고도708 m
최소 고도620 m
최대 고도972 m
인구 통계
전체 인구85,871 명 (2019년 기준)
도시 인구161,683 명
인구 밀도auto
주민과달라하레뇨/과달라하레냐
정치 및 행정
시장알베르토 로호 블라스
소속 정당PSOE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CEST
UTC 오프셋 (하계)+2
우편 번호19001–5
지역 번호949
웹사이트과달라하라 공식 웹사이트
언어 정보
공용어스페인어

2. 역사

이베리아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이 접촉했을 때에는 아리아카라고 불렸다. 카라카라는 이름으로 로마 속주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에 편입되었다.[28] 이슬람 지배 시기에는 와디 알 히자라(아랍어:وادي الح자라ar, "돌의 계곡"의 의미)라고 불렸다.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직후, 반란군이 과달라하라를 점령했다.[28] 1937년 과달라하라 전투에서 이탈리아 자원군단(CTV)이 공화군을 공격했으나, 공화군 항공기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퇴각했다. 이 전투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에 의해 "과달라하라에서 이탈리아의 몰락"이라고 불렸다.

2. 1. 고대와 중세

로마 제국 이전, 이베리아인들은 현재 과달라하라 지역에 '아리아카(Arriaca)'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로마인들은 이 도시를 '카라카(Caraca)'라고 불렀으며,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속주에 편입시켰다.[2][3]

이슬람 지배 시기에는 '와디 알-히자라(وادي الحجارة)'로 불렸는데, 이는 "돌의 계곡"을 의미한다. 9세기 중반에는 알카사르(요새)가 건설되었고, 에나레스 강 위에 다리가 놓였다.

1085년, 카스티야의 레온-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가 톨레도 타이파를 정복하면서 과달라하라는 카스티야 왕국에 병합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알폰소 6세의 부관인 알바르 파네스 데 미나야가 도시를 점령했다고 한다. 이후 북부 출신 기독교인들이 이 지역에 재정착했다.

1133년, 알폰소 7세는 과달라하라에 첫 번째 푸에로(특권)를 부여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수정 및 확인되었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 치세(1253-1284) 동안, 왕의 보호는 상인을 보호하고 시장을 허용함으로써 도시가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게 했다.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멘도사 가문이 과달라하라를 통치했다. 이 시기에 엘 인판타도 궁전이 건설되는 등 도시가 크게 번영했다. 멘도사 가문은 1460년 과달라하라를 '도시'로 승격시켰다.[7]

2. 2. 근대

16세기 초, 코무네로스 반란 당시 과달라하라는 반란군에 가담했다. 1520년 6월 5일, 과달라하라의 코무네로 반군은 엘 인판타도 공작 디에고 우르타도 데 멘도사에게 반란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시위대는 황제 스페인의 카를로스 1세가 부과한 세금에 찬성 투표를 한 코르테스 의원의 집을 불태웠다.[8] 엘 인판타도 공작은 어느 쪽이 승리할지 지켜보다가 1521년에 황제를 지지하기로 결정하고, 반란 지도자들을 참수하고 자신의 아들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를 추방했다.[8]

17세기 대위기는 과달라하라에 큰 피해를 입혔다. 1610년 모리스코 추방으로 인해 과달라하라는 인구의 10%를 잃었을 뿐만 아니라, 장인과 무역 등 지역 경제 핵심 부문에서 모리스코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18세기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동안 과달라하라는 약탈당했다. 당시 과달라하라는 약 2,200명의 주민으로 인구 감소의 최저점을 기록했다.[10] 펠리페 5세는 과달라하라의 경제 회복을 위해 1719년에 왕립 직물 공장을 설립했다.[11]

2. 3. 현대

1872년경 과달라하라, 로랑의 작품


19세기반도 전쟁(1808-1814)으로 인한 피해와 1822년 Real Fábrica de Paños의 폐쇄라는 두 가지 큰 어려움으로 시작되었다. 1808년 과달라하라는 위고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어 도시가 파괴되었다. 전쟁 동안 도시의 14개 수도원은 버려져 병영으로 사용되었고, 이는 1833년에서 1843년 사이에 ''데사모르티사시온'' 과정을 위한 길을 열었다.

''데사모르티사시온''은 종교 건물을 병원, 고등학교, 군사 시설 등으로 용도를 변경하고, 거리 공간을 넓히고 새로운 주거 지역을 건설하기 위해 일부 수도원을 철거했으며, 부동산 구조에서 교회의 재산 비율을 감소시켰다.

1833년 과달라하라가 주도로 선언됨과 동시에 육군 공병학교가 설치되면서 완만한 성장이 이루어졌다.

1859년 5월 3일, 마드리드-사라고사 노선의 마드리드-과달라하라 구간(MZA에서 건설)이 개통되면서 과달라하라에 철도가 들어왔다.[9] 반면, 북동쪽으로 향하는 과달라하라-하드라케 구간은 1860년 10월 5일에 개통되었다.[9]

1900년 이 지역의 인구는 12,662명으로, 시구엔사(10,581명)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었다.[10] 20세기에는 소르베의 물을 도시로 끌어오는 현재의 급수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1936년 7월 21일, 스페인 내전(1936-1939)을 일으킨 1936년 7월 스페인 쿠데타 이후, 도시의 공모자 장교들(공공 질서 유지군과 일부 민간인을 포함하여 약 800명)이 도시를 장악했다. 다음 날, 마드리드의 공화국 정부는 이데폰소 푸이그덴돌라스를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고 도시를 확보했다. 반군은 ''쿠아르텔 데 에어로스타시온''으로 후퇴하여 항복했고, 민병대는 그 중 약 100명을 처형했다.

이 도시는 프랑코 군대의 여러 공습의 표적이 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1936년 12월에 일어난 인판타도 궁전 공격이었다.

과달라하라 전투(1937)의 반군 병사들


1937년 3월 8일, 이탈리아 자원군단(CTV)의 4개 사단은 2월 초에 시작된 국민주의자 하라마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과달라하라 외곽의 공화군 진지를 공격했다.약 16.09km 4일간의 비가 오는 날씨 속에서 느리고 신중한 진격을 거친 후, 탱크는 포장 도로를 따라 공격하기 시작했고 공중 및 대공포 지원을 앞질렀다. 그 직후, 맑아진 하늘에서 공화군 비행기는 탱크와 보병이 과달라하라로 가는 주요 도로에서 교통 체증을 겪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11] 공화군 항공기는 기계화된 선두 부대의 모든 차량을 공격하여 파괴했다. CTV는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내고 후퇴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이 공격을 "과달라하라에서 이탈리아의 몰락"이라고 칭했다. 그 결과 승리로 공화군 병력은 징집이 증가했다.

과달라하라에서의 패배는 두 가지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첫째, 무솔리니 독재 시대의 이탈리아군은 1943년 휴전까지 지속된 무능함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둘째, 일부 관찰 국가들은 탱크를 독립적인 부대로 운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대규모 보병 부대에 긴밀하게 연결하는 것을 강조하는 교리를 채택했다.[12]

내전과 도시 주변의 격렬한 전투는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20년 동안 천천히 재건된 후, 과달라하라는 1959년 마드리드 산업 단지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개발 계획(''카스티야-라만차의 마드리드 산업 혼잡 완화 계획'')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계획은 과달라하라를 포함하여 산업 및 관련 주거 성장을 주변 지역으로 이전하려고 시도했다. 그 이후로 과달라하라는 빠르게 성장하는 스페인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과달라하라는 1969년 타라세나, 발데노체스 및 이리에팔, 1972년 마르차말로, 1973년 우사노스를 흡수했다.[13][14] 그 후 1999년 마르차말로는 과달라하라에서 분리되어 다시 독립된 지자체가 되었다.[15]

현재 과달라하라는 도시 인구를 빠르게 증가시키는 도시 개발 계획에 참여하고 있다. 아구아스 비바스(살아있는 물)와 같은 새로운 지역이 개통되었다.

Ciudad Valdeluz는 과달라하라의 인구를 30,000명 증가시키고 AVE 역(스페인 고속 열차) 주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Ciudad Valdeluz 건설에 투자한 회사는 파산했다. 500명 미만의 주민이 아파트를 점유하기로 결정했고 나머지 기반 시설은 천천히 악화되고 있다. AVE 열차는 하루에 60명의 승객만 이용한다.[16]

3. 지리

과달라하라는 해발 700m 내륙에 위치하여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k'')를 보이며,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와 인접해 있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여름은 덥고 밤에는 비교적 서늘하며, 겨울은 춥고 밤에는 춥다. 과달라하라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2009년 1월 12일 -12.5°C이고, 최고 기온은 2012년 8월 10일 43.5°C이다.[18]

과달라하라 (1981-2010) 기후 데이터[3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0.7°C13°C17°C18.4°C23.5°C29.9°C33.5°C32.4°C27.4°C20.9°C14.7°C11°C21°C
평균 기온 (℃)4.9°C6.3°C9.5°C11.1°C15.5°C20.8°C23.7°C23°C18.7°C13.9°C8.3°C5.5°C13.4°C
평균 최저 기온 (℃)-1°C-0.4°C1.9°C3.8°C7.5°C11.7°C13.7°C13.6°C10°C6.8°C1.9°C-0.1°C5.8°C
강수량 (mm)35mm32mm25mm50mm53mm25mm12mm16mm28mm68mm42mm46mm
평균 강수일수6.15.94.78.07.33.81.82.14.08.15.76.3
평균 적설일수0.91.10.30.20.00.00.00.00.00.00.10.7


3. 1. 위치

과달라하라는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 타호 강의 지류인 에나레스 강 계곡에 위치한다. 마드리드 광역 도시권(수도권)의 동부에 위치하며, 마드리드에서 해당 자치체까지의 Corredor del Henares|에나레스 회랑es으로 불리는 공업 지대의 경제적 중심지이다.[29]

방어 목적으로 선택된 이 도시의 역사적인 도심은 에나레스 강의 왼쪽 강둑 근처의 작은 고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과 서쪽으로는 각각 두 개의 작은 수로, Barranco del Alamín|알라민es과 산 안토니오로 둘러싸여 있다. 이 수로들은 에나레스 강과 합류하여 좁고 방어하기 쉬운 공간을 형성한다.

3. 2. 기후

과달라하라는 해발 700m 내륙에 위치하여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k'')를 보이며, 지중해성 기후(쾨펜: ''Csa'')와 인접해 있고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여름은 덥고 밤에는 비교적 서늘하며, 겨울은 춥고 밤에는 춥다. 과달라하라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2009년 1월 12일 -12.5°C이고, 최고 기온은 2012년 8월 10일 43.5°C이다.[18]

과달라하라 (1981-2010) 기후 데이터[3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0.7°C13°C17°C18.4°C23.5°C29.9°C33.5°C32.4°C27.4°C20.9°C14.7°C11°C21°C
평균 기온 (℃)4.9°C6.3°C9.5°C11.1°C15.5°C20.8°C23.7°C23°C18.7°C13.9°C8.3°C5.5°C13.4°C
평균 최저 기온 (℃)-1°C-0.4°C1.9°C3.8°C7.5°C11.7°C13.7°C13.6°C10°C6.8°C1.9°C-0.1°C5.8°C
강수량 (mm)35mm32mm25mm50mm53mm25mm12mm16mm28mm68mm42mm46mm
평균 강수일수6.15.94.78.07.33.81.82.14.08.15.76.3
평균 적설일수0.91.10.30.20.00.00.00.00.00.00.10.7



과달라하라, 엘 세라니요, 639 m (1991-2015) 기후 데이터[1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20.7°C22.4°C28.2°C30.9°C37.2°C40.4°C41°C43.5°C39.8°C31.6°C25.4°C20°C
평균 최고 기온 (℃)10.8°C12.6°C16.9°C19°C23.8°C30.3°C33.9°C33.1°C27.3°C21.1°C14.8°C11.1°C
평균 기온 (℃)4.9°C5.9°C9.4°C11.5°C15.7°C21.1°C24°C23.3°C18.7°C14.1°C8.7°C5.4°C
평균 최저 기온 (℃)-1°C-0.8°C1.8°C4°C7.6°C11.7°C14°C13.5°C10°C7°C2.5°C-0.4°C
최저 기온 기록 (℃)-12.5°C-12°C-7.9°C-5°C-2.6°C1.2°C5.5°C5°C-1°C-4.4°C-10.5°C-11.7°C
강수량 (mm)33mm28mm26mm45mm52mm23mm7mm7mm26mm69mm46mm42mm
평균 강수일수 (≥ 1mm)6.15.14.77.27.03.51.31.14.07.96.25.7
평균 적설일수0.80.90.30.20.00.00.00.00.00.00.10.6


4. 행정

과달라하라 시청


과달라하라는 지방 자치체이며,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의 기본 단위이다. 시 정부는 시 정부와 행정을 담당하는 기구이다. 시 정부의 본회의는 25명의 선출된 시의원으로 구성되며,[20] 이들은 다시 시장을 선출한다. 마지막 시 의원 선거는 2019년 5월 26일에 치러졌다. 2019년 6월부터 현 시장은 스페인 사회노동당의 알베르토 로호 블라스이다.[21]

5. 인구

2020년 교통, 이동성 및 도시 의제부에서 발표한 스페인 도시 지역 보고서에 따르면, 과달라하라 시와 아수케카 데 에나레스, 알로베라, 카바니야스 델 캄포, 마르차말로, 비야누에바 데 라 토레, 칠로에체스 시를 포함하는 도시 지역의 2019년 기준 인구는 161,683명이다.[22]

6. 경제

상업 및 금융의 중심지인 마요르 거리


스페인에서 가장 산업화가 진전된 에나레스 회랑에 위치해 있다. 예로부터 상업 도시였지만, 1970년대 이후 마드리드의 인구가 확대되고, 마드리드 광역권(수도권)이 교외로 팽창하면서 과달라하라의 공업 도시화와 마드리드의 베드타운화가 진행되었다. 두 도시 간의 교통 상황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고, 이로 인해 더욱 산업화가 진전되었다. 그 이후 과달라하라의 경제는 마드리드에 종속되게 되었다.[30]

경제 성장은 중공업 중심의 에나레스 공업 단지와 경공업 주체의 엘 발콘시요 공업 단지라는 두 개의 공업 단지 건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두 곳에 새롭게 운송·물류, 오피스 빌딩을 집적한 비즈니스 파크, 하이테크 산업 등을 집적하는 루이세뇨르 공업 단지가 더해질 예정이다.[30]

7. 건축

세비야노 공작부인의 묘역


에나레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로마 시대에 건설되었지만, 아랍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5세기 후반 멘도사 가문에 의해 건설된 르네상스 양식의 인판타도 궁전과 산 히네스 교회 등 많은 역사적인 건물이 있다.[1] 과달라하라에는 무데하르 양식의 "공동성당", 성 마리아 교회가 있다.[2]

알카사르

8. 교통


  • 과달라하라 기차역은 도심에 있으며, 차마르틴 역에서 포르부/세르베르로 연결되는 기존 철도 노선이 지난다.
  • 과달라하라-예베스 기차역은 도시 남동쪽 5.6km 지점에 있으며, 마드리드-바르셀로나 고속철도 노선이 지난다.

9. 자매 도시

과달라하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4][25]

도시국가체결 연도
리보르노Livorno|리보르노it (이탈리아)1979년
로안Roanne|로안프랑스어 (프랑스)1980년
파르마Parma|파르마it (이탈리아)1982년
과달라하라Guadalajara|과달라하라es (멕시코)1982년
니트라Nitra|니트라sk (슬로바키아)1988년
너니턴Nuneaton|너니턴영어 (영국)1990년
부가Buga|부가es (콜롬비아)1996년



노비송치 (Nowy Sącz|노비송치pl)와 기타 도시 협력을 맺고 있다.[26]

참조

[1] 웹사이트 Guadalajara http://www.collinsdi[...] Collins Dictionary null
[2] 문서 Antonine Itinerary
[3] 문서 Κάραιεκα Friedrich August Ukert
[4] 서적 Identidad y onomástica de los Beréberes de Al-Andalus https://books.google[...]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5] 간행물 Una muestra de la presencia de etnónimos beréberes en la toponimia histórica de la región de Castilla-la Mancha (España) https://cvc.cervante[...]
[6] 서적 Power and rural communities in Al-Andalus: Ideological and material representations Brepols
[7] 웹사이트 Título de ciudad a favor de Guadalajara https://www.guadalaj[...] Ayuntamiento de Guadalajara
[8] 웹사이트 Los comuneros de Guadalajara https://nuevaalcarri[...] 2019-11-10
[9] 간행물 El despoblado de Santas Gracias (Espinosa de Henares, Guadalajara) y las obras del ferrocarril de 1859-1860 http://amigosmuseode[...]
[10] 서적 La población de Guadalajara https://www.fbbva.es[...] Fundación BBVA
[11] 서적 Airpower: Theory and Practice Psychology Press
[12] 서적 Forging the Thunderbolt: History of the U.S. Army's Armored Force, 1917–45
[13] 서적 Textos para la historia del español. Vol. II. Archivo Municipal de Guadalajara 2021-05-16
[14] 웹사이트 Variaciones de los municipios de España desde 1842 https://www.hacienda[...] Ministerio de Administraciones Públicas 2021-05-16
[15] 웹사이트 El PSOE, único partido que ha gobernado Marchamalo desde su independencia https://www.guadalaj[...] 2019-01-22
[16] 뉴스 Spain's €44m Niemeyer centre is shut in galleries glut https://www.theguard[...] 2011-10-03
[17] 웹사이트 Datos del Registro de Entidades Locales https://ssweb.seap.m[...] Ministerio de Asuntos Económicos y Transformación Digital 2021-05-16
[18]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Guadalajara, El Serranillo http://www.aemet.es/[...] Gobierno de España 2019-05-22
[19] 웹사이트 AEMET Op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0-06-07
[20] 웹사이트 En Guadalajara, vence el PSOE de Alberto Rojo pero queda en el aire la Alcaldía a expensas de los pactos https://www.20minuto[...] 2019-05-27
[21] 웹사이트 El socialista Alberto Rojo, alcalde de Guadalajara con el apoyo de Cs https://www.lavangua[...] 2019-06-15
[22] 웹사이트 Áreas urbanas en España https://apps.fomento[...] Ministerio de Transportes, Movilidad y Agenda Urbana 2021-06-01
[23] 웹사이트 España en los mundiales de balonmano masculino https://www.cope.es/[...] Cadena COPE 2019-01-07
[24] 웹사이트 Ciudades hermanadas https://www.guadalaj[...] Ayuntamiento de Guadalajara 2020-02-27
[25] 웹사이트 Sister Cities, Public Relations http://www.guadalaja[...] Guadalajara municipal government 2013-03-12
[26] 웹사이트 Miasta partnerskie i zaprzyjaźnione Nowego Sącza http://www.nowysacz.[...] 2013-08-01
[27]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5-01-01
[28] 문서 首都マドリッドも包囲される『東京朝日新聞』昭和11年8月15日(『昭和ニュース事典第5巻 昭和10年-昭和11年』本編p307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29] 간행물 El sistema metropolitano de la macro-región de Madrid http://upcommons.upc[...] 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30] 웹사이트 Lo más leído en 2014 en LA CRÓNICA DE GUADALAJARA, para que lo puedas recordar http://www.lacronica[...] La Crónica de Guadalajara 2009-02-25
[31] 문서 http://www.guadalaja[...]
[32]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Guadalajara - Guadalajara, El Serranillo -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 AEMET. Gobierno de España http://www.aemet.es/[...] Aemet.es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