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카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카사르는 '요새, 성, 궁전'을 뜻하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과 기독교 통치자들이 권력과 부를 과시하기 위해 건설한 건축물을 지칭한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알카사르는 이슬람, 기독교, 유대 문화의 융합을 보여주는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다. 주요 알카사르로는 코르도바의 알카사르 데 로스 레예스 크리스티아노스, 세비야 알카사르, 그라나다의 알함브라 등이 있으며, 정원, 상수도, 명문, 개선문 등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카사르 - 알카사르 (톨레도)
    스페인 톨레도에 있는 알카사르는 로마 시대 궁전을 기원으로 여러 번 재건축되었으며, 스페인 내전 포위전으로 국민주의의 상징이 되었고 현재는 도서관 및 육군 박물관으로 사용된다.
  • 알카사르 - 알카사르 (세비야)
    알카사르 (세비야)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의 스페인 세비야 궁전으로, 이슬람 및 기독교 문화 영향을 받아 확장과 재건축을 거듭했으며 무데하르 양식 건축물과 정원으로 유명하여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 여러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되었다.
  • 알안달루스의 역사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7월 16일 스페인에서 벌어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는 기독교 연합군이 무와히드 왕조를 격파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 쇠퇴를 가속화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알안달루스의 역사 - 코르도바 칼리파국
    코르도바 칼리파국은 756년 우마이야 왕조의 후예가 건국하여 929년 칼리파국으로 발전, 10세기 서유럽 최대 도시 코르도바를 중심으로 번영을 누리다 1031년 멸망한 이슬람 왕국이다.
알카사르
개요
알카사르 전경
알카사르 전경
위치스페인 세비야
종류궁전
건축 양식이슬람 건축
무데하르 양식
고딕 건축
기공913년
완공14세기
의뢰인압드 알 라흐만 3세
페드로 1세
문화유산 지정1987년
세계유산 등재1987년
명칭
스페인어Alcázar
카탈루냐어Alcàsser
포르투갈어Alcácer
아랍어القصر (al-qaṣr)
의미성, 궁전
상세 정보
주요 특징정원
파티오 데 라스 돈셀라스 (Patio de las Doncellas)
대사의 방 (Salón de Embajadores)
건축적 영향코르도바 대 모스크
알함브라 궁전
현재 용도관광 명소, 스페인 왕실의 공식 거주지
역사
초기 역사913년 후우마이야 왕조의 압드 알 라흐만 3세에 의해 요새로 건설됨.
이후 알무라비트 왕조, 알모하드 왕조 시대에 확장됨.
기독교 재정복 이후13세기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3세에 의해 점령됨.
페드로 1세는 기존 요새 위에 무데하르 양식의 궁전을 건설함 (14세기).
현대현재까지 스페인 왕실의 공식 거주지로 사용됨.
건축
무데하르 양식이슬람 건축 양식과 기독교 건축 양식이 융합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줌.
주요 공간파티오 데 라스 돈셀라스: 궁전의 중심 안뜰.
대사의 방: 화려한 돔 천장과 장식으로 유명함.
다양한 정원: 다양한 식물과 분수, 연못 등으로 조성됨.

2. 용어

'알카사르'라는 스페인어 단어는 '요새, 성, 궁전'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 القصر|알 카스르ar에서 유래했으며, 이 아랍어 단어는 다시 라틴어 '카스트룸'(요새, 군영)에서 전래되었다.[21]

갈리시아어 (alcázar|알카사르gl), 포르투갈어 (alcácer|알카세르pt), 카탈루냐어 (alcàsser|알카세르ca)에도 비슷한 단어들이 있다.

스페인에는 알카사바(القصبة|알카스바ar)라고 알려진 무슬림 요새도 있다. 그러나 스페인의 모든 성을 알카사르라고 부르지는 않으며, 대부분은 스페인어로 '카스티요'(castillo) 또는 카탈루냐어로 '카스텔'이라고 부른다.[21]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모든 알카사르나 알카사바가 무슬림에 의해 지어진 것은 아니며, 이슬람 칼리프 왕조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축출된 이후에 건설된 성들도 많다. 스페인의 레콩키스타 이후, 기독교 후원자들은 무데하르라고 알려진 이슬람 양식을 본떠 궁전을 짓거나 재단장하였다.[22]

보통 알카사르는 유럽인들이 이슬람교 신자들을 일컫는 용어인 '무어'를 사용하여 묘사된다. "무어인"은 스페인의 이슬람 교도들을 일컫는 데 수 세기간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무어의 성질"에 대한 논의가 종종 신중하게 이루어진다. 이 용어는 역사적으로 스페인에서 '타자'를 의미하고 무슬림 인구를 이국화하기 위해 급진화되었다.[23] 오늘날에는 무어 대신에 이슬람, 무슬림, 안달루스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역사적 맥락을 분명하게 해서 쓸 필요가 있다.

3. 역사

알카사르는 이슬람 통치자들과 그 후 알안달루스의 기독교 통치자들이 차지했으며, 이 건축물들은 지배자들의 권력과 부를 상징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건축물의 다른 문화적 영향들이 합쳐져, 알카사르는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24]

스페인어 단어 alcázar|알카사르es아랍어 단어 القصر|알 카스르ar('요새/성/궁전')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단어 castrum|카스트룸la('요새', '군사 기지')에서 파생되었다.

8세기 중엽 아바스 칼리파국이 발흥하면서 아라비아의 우마이야 왕조 정권은 막을 내렸다. 우마이야의 칼리프 아브드 알라흐만 1세는 중동에서 달아나 서쪽으로 이동하여, 711년 이슬람의 이베리아 정복 이후 알안달루스로 알려진 곳에 정착하였다. 그와 그의 후손들은 통치자들과 안달루스 엘리트들의 거처가 된, 장대한 도시들에 맞먹는 궁전들을 지었다.[26] 메디나 아자하라는 우마이야 칼리프 아브드 알라흐만 3세가 설계하고 그의 아들 알하캄 2세의 감독 하에 건설되었으며, 서기 936년에 세워진 이 왕국 도시는 바그다드의 왕궁들과 필적했다.[28]

이슬람 제국이 8세기에 피레네산맥에 도달한 지 얼마 안 되어, 기독교 측 군대는 스페인에서 탈환 작전(레콩키스타)을 시작했다. 801년에 바르셀로나 점령으로 시작하여 1492년 그라나다 함락으로 끝난, 기독교도 통치자들은 이슬람 스페인에서 기독교 스페인으로의 700년 동안의 전환을 시작했다.[29] 아랍 통치자들이 지은 여러 이슬람풍의 건축물은 기독교 통치 동안에 변형되었다.[30]

나스르 왕조는 1492년 레콩키스타로 멸망하기까지 이베리아 반도의 마지막 이슬람 왕조였다. 이들은 북쪽의 스페인 군주들의 위협 속에서도 긴 시간 스페인 남부에서 이슬람 근거지를 지켜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이들의 가장 위대한 건축적 성과는 그라나다에 위치한 알함브라이다.

레콩키스타 이후 이슬람 인구 대다수는 스페인에서 이주해야 했고, 일부 무데하르들은 남아 16세기 동안 기독교인 후원자들을 위해 혼합된 기념물들을 계속해서 지었다.[29] 기독교인들의 스페인 탈환 이후 몇 년 동안, 알함브라는 유럽풍 양식으로 많은 변화를 거쳤고 방치되기도 했다.[30] 1828년 이래로, 스페인의 알함브라 같은 건축물들을 복원하고 보전하려는 지속적인 노력들이 있었다.[30]

3. 1. 기원

우마이야 왕조 시기에 알카사르가 처음으로 건설되었다. 서고트 왕국을 정복한 후 우마이야 왕조는 세련된 이슬람 제국을 만들기 위해 그들의 건축물을 발전시키기 시작했다.[24] 717년에 정복을 마친 뒤, 우마이야의 칼리프들은 스페인 코르도바에 수도를 건설하고, 옛 서고트 왕국의 궁전을 칼리프들의 알카사르로 전환시켰다.[25]

스페인어 단어 alcázar|알카사르es아랍어 단어 القصر|알 카스르ar('요새/성/궁전')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단어 castrum|카스트룸la('요새', '군사 기지')에서 파생되었다.

알카사르는 이슬람, 이후에는 기독교 통치자들이 소유했는데, 이 건물들은 지역에 대한 통치자의 권력과 부를 상징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물들의 다양한 문화적 영향이 융합되었고, 이는 알카사르가 이슬람, 기독교, 유대 문화 간의 전달체임을 나타냈다.[5]

3. 2. 우마이야 왕조 (711년–1010년)

아바스 칼리파국의 발흥으로 8세기 중엽 아라비아의 우마이야 왕조 정권은 막을 내렸다. 우마이야의 칼리프 아브드 알라흐만 1세는 중동에서 달아나 5년간 서쪽으로 이동하여, 711년 이슬람의 이베리아 정복 이후 알안달루스로 알려진 곳에 정착하였다. 그와 그의 후손들은 통치자들과 안달루스 엘리트들의 거처가 된, 장대한 도시들에 맞먹는 궁전들을 지었다.[26]

  • 메디나 아자하라는 우마이야 칼리프 아브드 알라흐만 3세가 설계하고 그의 아들 알하캄 2세의 감독 하에 건설되었다.[27] 이곳은 이라크의 아바스 왕조에게서 달아난 후 스페인에 세워진 최초의 우마이야 왕궁 도시였다. 서기 936년에 세워진 이 왕국 도시는 바그다드의 왕궁들과 필적했다.[28]

3. 3. 레콩키스타 (897년–1492년)

이슬람 제국이 8세기에 피레네산맥에 도달한 지 얼마 안 되어, 기독교 측 군대는 스페인에서 탈환 작전을 시작했다. 801년에 바르셀로나 점령으로 시작하여 1492년 그라나다 함락으로 끝난, 기독교도 통치자들은 이슬람 스페인에서 기독교 스페인으로의 700년 동안의 전환을 시작했다.[29] 아랍 통치자들이 지은 여러 이슬람풍의 건축물은 기독교 통치 동안에 변형되었다.[30]

  • 1236년 코르도바 점령 이후, 페르난도 3세는 황폐화 작전을 계속하였고, 몇 년 뒤에는 세비야에 도달했다. 세비야 공방전은 16달간 계속됐고 기독교 군대가 육상과 해상 모두 이슬람 측을 고립시키면서 이들을 항복하게 만들어 종료되었다. 이슬람 세비야는 1248년 11월 23일에 항복했고, 카스티야 군대는 즉시 세비야 알카사르를 점령했다.
  • 카스티야와 레온의 기독교 왕, 페드로 1세는 무데하르 기술자들에게 안달루시아 전역에 알카사르를 지으라고 의뢰를 하였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가 건축물은 세비야 알카사르에서 볼 수 있는데, 이곳에서 장식적인 이슬람 양식이 계속되었고, 국왕이자 '술탄' 돈 페드로와 알라를 칭송하는 아랍어 비문이 있다.[29]

3. 4. 나스르 왕조 (1184년–1492년)

나스르 왕조는 1492년 레콩키스타로 멸망하기까지 이베리아 반도의 마지막 이슬람 왕조였다. 이들은 북쪽의 스페인 군주들의 위협 속에서도 긴 시간 스페인 남부에서 이슬람 근거지를 지켜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이들의 가장 위대한 건축적 성과는 그라나다에 위치한 알함브라라고 할 수 있다.

  • '붉은 것'을 뜻하는 알함브라는 왕족의 거주지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나스르 왕조가 건설한, 넓고 요새화된 왕궁 도시이다. 건축물에 종교적 비문과 더불어 이슬람적 미학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21] 알함브라에는 나스르의 술탄들이 국정을 다루고 일상생활을 보냈던 여러 궁전과 정원이 있다.


알함브라 궁전의 중심지인 사자의 중정.

3. 5. 레콩키스타 이후 (1492년–현재)

레콩키스타 이후 이슬람 인구 대다수는 스페인에서 이주해야 했고, 일부 무데하르들은 남아 16세기 동안 기독교인 후원자들을 위해 혼합된 기념물들을 계속해서 지었다.[29]

기독교인들의 스페인 탈환 이후 몇 년 동안, 알함브라는 유럽풍 양식으로 많은 변화를 거쳤고 방치되기도 했다.[30] 1828년 이래로, 스페인의 알함브라 같은 건축물들을 복원하고 보전하려는 지속적인 노력들이 있었다.[30]

8세기에 이슬람 제국이 피레네 산맥에 도달한 직후, 기독교 세력은 스페인 재정복을 시작했다. 801년 바르셀로나 점령을 시작으로 1492년 그라나다 함락으로 끝난 이 과정은 기독교 통치자들이 이슬람 스페인에서 기독교 스페인으로의 700년에 걸친 전환을 이룩한 시기였다.[10] 아랍 통치자들이 건설한 이슬람 양식의 건축물 중 다수는 기독교 통치 하에서 변질되었다.[11]

1236년 코르도바 점령 이후, 페르난도 3세는 파괴 작전을 확대하여 몇 년 후 세비야에 도달했다. 세비야 포위전은 16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기독교 세력이 육지와 바다로 무슬림을 고립시켜 항복을 강요하면서 끝났다. 이슬람 세비야는 1248년 11월 23일에 항복했고, 카스티야 군대는 즉시 세비야 알카사르를 점령했다.

카스티야와 레온의 기독교 왕인 페드로 1세는 무데하르 장인들에게 안달루시아 전역의 알카사르 위에 건축을 의뢰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가 건축은 세비야 알카사르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에는 "술탄" 돈 페드로 왕과 알라를 찬양하는 아랍어 비문이 새겨진 장식적인 이슬람 양식이 지속되었다.[10]

세비야 알카사르의 아술레호에 새겨진 유럽과 기독교 도상학


레콩키스타 이후 무슬림 인구 대다수가 스페인에서 강제로 추방되었지만, 일부 무데하르는 남아 16세기 내내 기독교 후원자를 위해 혼합 양식의 기념물을 계속 건설했다.[10] 스페인에 대한 기독교의 재정복 이후 몇 년 동안 알람브라는 유럽 양식에 맞춰 많은 변화를 겪었고 일부는 방치되었다.[11] 1828년 이후로 스페인의 알람브라와 같은 이슬람 구조물을 복원하고 보존하려는 꾸준한 노력이 있었다.[11]

4. 일반적 특성

알카사르는 건축 설계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이베리아 관행으로 지어졌다.[13] 이 기술은 무데하르 양식으로 불리는데, 이는 무슬림과 기독교 통치 시기 모두 모리스코와 무데하르 장인들이 건축에 크게 기여하며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14]

알카사르는 기하학적 설계와 거주자를 위한 은둔과 사생활을 강조하는 내향적인 스타일 등 이슬람의 영향을 받았다.[11] 이베리아 반도의 알카사르는 일반적으로 여러 궁전, 홀, 안뜰로 구성된 복합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특정 기능을 수행했다.[15]

마드리드 왕립 알카사르의 1층 평면도

4. 1. 정원

정원은 이슬람 스페인 취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소유자들에게 안정된 공간, 경제적 이득, 낙원에 대한 환상을 제공했다.[35] 알카사르의 안뜰은 통치자의 부를 반영하는, 지역 내 가장 거대한 정원이었다. 정원의 영향력은 무슬림 통치 이후 기독교 통치자들이 보존하고 흠모하여 일부 정원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등 오늘날까지 찾아볼 수 있다.[32]

안쪽 안뜰 정원은 알카사르에서 원예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었다. 정원은 건물이 정원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상호 연결된 정원에 배치되었다.[35] 화려하고 사적인 공간을 숨긴, 내부의 소박한 인테리어로 된 이슬람의 건축 양식을 따라 정원은 외부 시야에서 가려져 있었고, 운이 좋은 사람들만이 안뜰을 볼 수 있었다.[32]

알카사르 궁전의 기본적인 구성에는 솟아 있는 격자형 구성, 용수 배급소로 쓰인 물탱크를 갖춘 관계 체계, 포장된 산책길 및 도로 등이 있었다. 이슬람 기법의 계속된 영향은 차르바그라고 알려진 기하학적이고, 체계적이며 보통 네 부분으로 구성된 구조를 갖춘 정원에서 볼 수 있다.[35] 다양한 관목, 수목, 채소, 화초 등이 이 정원에서 자랐다. 과실도 경작되고 판매되었을 것이고 또한 정원에 쾌적한 향기와 미적 아름다움을 제공했을 것이다. 세비야의 알카사르 정원에 있는 과수는 유럽에 레몬, 오렌지, 살구, 복숭아 등 새롭고 '이국적'인 과일들을 소개해주었다고 한다.[35]

코르도바코르도바 알카사르 정원.


코르도바의 왕의 정원


세고비아의 알카사르 정원


코르도바 알카사르의 상수도 (아래못과 용수로)


4. 1. 1. 상수도

일정한 상수도 시설은 정원의 우거진 식물군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복잡한 아랍의 상수도 설계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알카사르의 안뜰에 포함되었다. 이 수계는 정원에 지속적으로 신선한 물을 공급했고, 미적으로도 정원 공간에 생기를 돋게 했으며, 안뜰과 주변 건축물에 열을 식혀주기도 했다.[30] 알카사르의 각 상수도는 독특한 요소였고, 각 지점의 특성을 정의해주었다. 이 기술은 못, 흐르는 수로, 분수 등에 걸쳐 있고, 외부에서 내부로 시각 및 건축적 관계를 이루게 하였다.[35] 물은 정원에 평화감과 영적 안정감을 형성했다.[30]

  • 알함브라의 코마레스 궁전은 관계 시설이자 미적 요소로서 모두 기능하는, 안뜰 중심부의 넓은 못을 사용하였다.[35] 관목숲이 못의 측면에 배치되었고 따라서 못의 물과 접할 수 있었고, 이 못은 주변 건축물의 포르티코 두 개를 비추어 보는 사람에게 흥미로운 환영을 제공하였다.
  • 세비야 알카사르에 있는 안뜰은 수중 화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송수로와 함께, 양쪽으로 화단을 갖춘 관개 저수지를 갖췄다.[35] 화단들은 중심부의 웅덩이에서 물을 공급하는 수로와 함께 기하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알함브라의 상수도. 정원에 쓰인 용수의 수원

4. 2. 명문

우마이야 왕조 이래로, 종교 및 공공 목적을 지닌 명문 기념물들은 이베리아 건축물에서 입구와 파사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36] 스페인에서 무슬림들이 짓거나 기독교도인들이 지은 무데하르식 궁전들에 있어, 명문들은 궁전의 설계면에서 흔한 것이었다. 한 가지 예시는 그라나다의 알함브라에 있는 것으로 아랍어 명문이 궁전의 벽면들 곳곳에 있다. 이 명문 중 일부는 꾸란에서 인용한 것과 이븐 알카팁 그리고 이븐 잠라크가 쓴 시, 나스르 왕조의 모토 등을 포함한다. "신 외에는 승자란 없다"(ولا غالب إلا الله)라는 격언을 반복하여 있는 명문도 존재한다.[37]

세비야의 알카사르에 있는 아랍어와 스페인어가 섞여 있는 명문은 무데하르 양식의 스페인 건축물에 있어 혼합적 분위기를 나타낸다. 이 궁전의 후원자인 카스티야의 페드로는 아랍어로 된 알카사르 명문들을 포함해 이슬람풍 장식 형태의 미적 감각에 감명을 받은 기독교인이었다.[22]

4. 3. 개선문

고대 로마의 개선문 형태인 단일 혹은 삼중 구조로 이뤄진, 알안달루스 지역의 알카사르의 아치는 건축물에 격식과 상징적 특징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시설들은 이슬람 풍의 영향을 받은 장식에서 흔하고 전략상 중요 지점에 위치했는데, 주 광장이나 안뜰로 향하는 입구에 흔히 있었다.[38]

  • 알함브라는 푸에르타 델 비노(Puerta del Vino, 포도주의 문)과 푸에르타 데 라 유스티시아(Puerta de la Justicia, 정의의 문) 사이에 있는 개선문을 모방하였다. 이곳의 아치는 술탄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5세 (1354년–1359년 그리고 1362년–1391년)의 군대 문장을 새긴 스투코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깔과 장식문들로 장식되었다.[38] 알함브라의 아치는 다양한 목적을 지녔는데 하나는 궁전의 주 안뜰로 향하는 입구이고 또 다른 하나는 통치자가 자신이 소유한 영토를 바라볼 수 있게 그라나다를 향한 외부 경관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 세비야 알카사르는 궁정의 핵심적인 파사드로 이어지는, 사냥의 중정(Patio de la Montería)으로 향하는 입구에 개선문이 있다. 이 삼중 아치로 된 구조물은 반다 기사단의 휘장을 포함하여 문장학적 디자인으로 장식되어 있다.[38]


알함브라의 아치에서 본 모습


세비야 알카사르에 있는 삼중 아치


코르도바의 메디나 아자하라에 있는 포르티코식 아치 잔해

5. 주요 알카사르

스페인과 그 외 지역에는 여러 알카사르가 존재한다. 주요 알카사르는 다음과 같다:

이름위치설명
코르도바 알카사르코르도바13세기 레콩키스타 이후 기독교 궁전으로 사용된 이슬람풍 궁전.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의 여름 궁전이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 항해 전 만남을 가졌던 곳이다.
칼리프의 알카사르 (코르도바)코르도바8세기부터 알안달루스 정권의 중심지였으며, 코르도바의 에미르와 칼리프의 거주지였다. 한때 39000m2 규모였으나 일부만 남아있다.
헤레스데라프론테라의 알카사르헤레스데라프론테라스페인 남부에 위치한 요새화된 왕궁 도시. 1931년 스페인 국가 유적지로 지정되었으며,[39] 현재는 헤레스데라프론테라 주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쓰이고 있다.
세고비아 알카사르세고비아12세기에 처음으로 언급되었지만, 이곳의 토대는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슬람 요새가 있던 자리에 기독교 군주들이 세운 성이다. 카스티야 왕국 시절 카스티야 군주들이 가장 선호하던 거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왕들은 이 성에 새로운 시설들을 설치하며 본래의 요새 시설을 왕가의 거처로 전환시키고 성의 구조물을 16세기까지 늘렸는데, 이때 펠리페 2세는 원뿔 모양의 첨탑과 석판 지붕을 더했다. 1862년의 화재가 지붕의 일부를 파괴했으나, 300년 전에 지어진 것과 아주 유사한 양식으로 복원되었다. 이 성에서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의 전초인 이사벨 1세의 카스티야 여왕으로의 즉위 선포가 있었다.
세비야 알카사르세비야무와히드 칼리파국의 왕궁터에 있었고 알무와락이라 불린 세비야 알카사르는 1360년대에 무데하르 양식으로 기독교도 카스티야인 기술자들이 지었고, 잦은 리모델링을 거쳤다. 처음에는 카스티야의 페드로와 그의 정부 마리아 데 파디야가 사용했었다. 구조물과 정원 등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톨레도 알카사르톨레도3세기에 로마 궁전으로 사용되었고 그 뒤에 카를로스 1세 때 복원되었다.[40] 근대에는 군사 대학으로 쓰였다. 스페인 내전의 알카사르 공방전 때 이 성이 언급되는데, 이 당시 이곳은 공화국 군대에 맞서던 국민파 소속 대령 호세 모스카르도 이투아르테가 점령하고 있었다. 공화국 군대는 모스카르도의 24살 아들 루이스를 생포하고, 1936년 7월 23일에 모스카르도에게 10분 안에 알카사르를 넘기지 않는다면 아들이 죽을 것이라 알렸다. 모스카르도가 항복하지 않자, 루이스는 한 달 뒤인 8월 23일에 사망했다.
알람브라그라나다그라나다알람브라는 왕궁이자 복합 요새이다. 레콩키스타 이후 기독교 군주의 왕궁으로 기능하기 이전에는 알안달루스에 위치한 무슬림들의 마지막 근거지였다.[21] 오늘날 이곳은 스페인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중 한 곳이다.
부르고스성부르고스본래 스페인의 이슬람인들이 세운 것이지만 카스티야의 국왕들이 흔히 사용한 왕궁으로 알려져 있다. 합스부르크 가문이 이 왕궁을 획득하고 1813년에 프랑스 군대에 의해 부분적으로 손상된 이후로는 가치를 상실했다. 시민들이 20세기 말에 부분적으로 왕궁 복원을 시도하기도 했었고, 현재는 박물관으로서 역할을 하여 방문객들이 지상에 남아있는 성의 일부 부분을 볼 수 있다.
마드리드의 왕립 알카사르마드리드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지은 왕궁 (그의 아들 펠리페 2세가 복원)으로, 17세기에 부엔 레티로 궁전이 이곳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때까지 마드리드의 주 왕궁이었다. 1734년 화재로 파괴되었고, 현재의 마드리드 왕궁이 이 터에 지어졌다.
세고르베의 알카사르세고르베천 년 이상 영주, 공작, 왕들의 거주지였던 거대한 단지였다.



이 외에도 시칠리아 팔레르모의 카사로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들 디에고 콜룸부스가 1509년에 산토도밍고에 지은 식민지 궁정인 알카사르 데 콜론 등도 알카사르로 불린다.

5. 1. 현존하는 알카사르


  • 코르도바의 알카사르는 레콩키스타 이후 기독교도의 궁전이 된 이슬람풍 궁전이다. 무슬림들은 서고트족의 요새를 정원과 넓은 도서관을 갖춘 복합 시설물로 확장했다. 이 알카사르는 페르난도 2세와 이사벨 1세의 여름 궁전이었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 항해 전 만남을 가졌던 곳이다.[21]
  • 칼리프의 알카사르 (코르도바)는 8세기에 무슬림들이 도착하여 1236년에 기독교인들에 의해 함락될 때까지 알안달루스 정권의 중심지였다. 한때 규모가 39000m2였다. 구조의 일부만이 남아 있다.
  • 헤레스데라프론테라의 알카사르는 스페인 남부에 위치한 요새화 된 왕궁 도시이다. 1931년에 스페인 국가 유적지로 지정되었다.[39] 오늘날 헤레스데라프론테라에서 주민들을 위한 공원으로 쓰이고 있다.
  • 세고비아 알카사르는 12세기에 처음으로 언급되었지만, 이곳의 토대는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슬람 요새가 있던 자리에 기독교 군주들이 세운 성이다. 카스티야 왕국 시절, 카스티야 군주들이 가장 선호하던 거처였으며, 거의 대부분의 왕들은 이 성에 새로운 시설들을 설치하며 본래의 요새 시설을 왕가의 거처로 전환시키고 성의 구조물을 16세기까지 늘렸는데, 이때 펠리페 2세는 원뿔 모양의 첨탑과 석판 지붕을 더했다. 1862년의 화재가 지붕의 일부를 파괴했으나, 300년 전에 지어진 것과 아주 유사한 양식으로 복원되었다. 이 성에서 카스티야 왕위 계승 전쟁의 전초인 이사벨 1세의 카스티야 여왕으로의 즉위 선포가 있었다.
    세고비아 알카사르
  • 무와히드 칼리파국의 왕궁터에 있었고 '알무와락'이라 불린 세비야 알카사르는 1360년대에 무데하르 양식으로 기독교도 카스티야인 기술자들이 지었고, 잦은 리모델링을 거쳤다. 처음에는 카스티야의 페드로와 그의 정부 마리아 데 파디야가 사용했었다. 구조물과 정원 등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 톨레도의 알카사르는 3세기에 로마 궁전으로 사용되었고 그 뒤에 카를로스 1세 때 복원되었다.[40] 근대에는 군사 대학으로 쓰였다. 스페인 내전의 알카사르 공방전 때 이 성이 언급되는데, 이 당시 이곳은 공화국 군대에 맞서던 국민파 소속 대령 호세 모스카르도 이투아르테가 점령하고 있었다. 공화국 군대는 모스카르도의 24살 아들 루이스를 생포하고, 1936년 7월 23일에 모스카르도에게 10분 안에 알카사르를 넘기지 않는다면 아들이 죽을 것이라 알렸다. 모스카르도가 항복하지 않자, 루이스는 한 달 뒤인 8월 23일에 사망했다.
    톨레도 알카사르
  • 그라나다알람브라는 왕궁이자 복합 요새이다. 레콩키스타 이후 기독교 군주의 왕궁으로 기능하기 이전에는 알안달루스에 위치한 무슬림들의 마지막 근거지였다.[21] 오늘날 이곳은 스페인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중 한 곳이다.

5. 2. 사라진 알카사르


  • 부르고스성은 본래 스페인의 이슬람인들이 세운 것이지만 카스티야의 국왕들이 흔히 사용한 왕궁으로 알려져 있다. 합스부르크 가문이 이 왕궁을 획득하고 1813년에 프랑스 군대에 의해 부분적으로 손상된 이후로는 가치를 상실했다. 시민들이 20세기 말에 부분적으로 왕궁 복원을 시도하기도 했었고, 현재는 박물관으로서 역할을 하여 방문객들이 지상에 남아있는 성의 일부 부분을 볼 수 있다.
  • 마드리드의 왕립 알카사르는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가 지은 왕궁 (그의 아들 펠리페 2세가 복원)으로, 17세기에 부엔 레티로 궁전이 이곳을 부분적으로 대체할 때까지 마드리드의 주 왕궁이었다. 1734년 화재로 파괴되었고, 현재의 마드리드 왕궁이 이 터에 지어졌다.
  • 세고르베의 알카사르는 천 년 이상 영주, 공작, 왕들의 거주지였던 거대한 단지였다.

5. 3. 스페인 외부

시칠리아 팔레르모의 카사로는 포에니인들의 취락 지스(Zis)를 아랍인들이 재요새화하면서 '알카스르'(al-qaṣr)로 불렀고, 이후 노르만 궁정으로 확장되었다.[1]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들 디에고 콜룸부스가 1509년에 산토도밍고에 지은 식민지 궁정은 알카사르 데 콜론이라 불리며, 안달루시아 양식으로 지어졌다.[1]
콜론의 알카사르,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 도밍고

참조

[1] 웹사이트 صحن الوصيفات في قصر المورق بغرناطة https://www.alyaum.c[...] 2015-01-09
[2] 서적 Islamic Architecture: Form, Function and Meaning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4
[3] 저널 The Alcazar of Seville and Mudejar Architecture 2004
[4] 서적 Exotic Nation: Maurophilia and the Construction of Early Modern Spai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 서적 Caliphs and kings : the art and influence of Islamic Spain : selections from the Hispanic Society of America, New York http://worldcat.org/[...]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2004
[6] 저널 Islamic Palace Architectur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http://dx.doi.org/10[...] 2017-08-24
[7] 서적 A Sea of Languages: Rethinking the Arabic Role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 서적 The Literature of Al-Andal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저널 The Reuse of Classical Antiquity in the Palace of Madinat al-Zahra and its Role in the Construction of Caliphal Legitimacy 2014
[10] 저널 From Azulejos to Zaguanes: The Islamic Legacy in the Built Environment of Hispano-America
[11] 서적 Islamic Architecture : Form, Function and Meaning http://worldcat.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12] 저널 Nasrid Granada: The Case for Spain's Cross-Cultural Identity 2022-03-04
[13] 서적 Exotic nation : Maurophilia and the construction of early modern Spain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14] 서적 Kingdoms of faith : a new history of Islamic Spain http://worldcat.org/[...] Basic Books
[15] 서적 From Muslim fortress to Christian castle : social and cultural change in medieval Spain http://worldcat.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5
[16] 저널 Garens https://www.oxfordar[...]
[17] 서적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ruler's image in the Mediterranean world (11th-15th centuries) http://worldcat.org/[...] Brill
[18] 저널 The Writing on the Wall: Reading the Decoration of the Alhambra 2009
[19] 웹사이트 Consulta a la base de datos de bienes inmuebles https://www.culturay[...] 2019-11-24
[20] 문서 Philip of Spain Yale University Press 1999
[21] 서적 Islamic Architecture: Form, Function and Meaning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4
[22] 저널 The Alcazar of Seville and Mudejar Architecture 2004
[23] 서적 Exotic Nation: Maurophilia and the Construction of Early Modern Spai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4] 서적 Caliphs and kings : the art and influence of Islamic Spain : selections from the Hispanic Society of America, New York http://worldcat.org/[...]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itution 2004
[25] 저널 Islamic Palace Architectur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http://dx.doi.org/10[...] 2017-08-24
[26] 서적 A Sea of Languages: Rethinking the Arabic Role in Medieval Literary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7] 서적 The Literature of Al-Andalu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저널 The Reuse of Classical Antiquity in the Palace of Madinat al-Zahra and its Role in the Construction of Caliphal Legitimacy 2014
[29] 저널 From Azulejos to Zaguanes: The Islamic Legacy in the Built Environment of Hispano-America
[30] 서적 Islamic Architecture : Form, Function and Meaning http://worldcat.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31] 저널 Nasrid Granada: The Case for Spain's Cross-Cultural Identity 2022-03-04
[32] 서적 Exotic nation : Maurophilia and the construction of early modern Spain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33] 서적 Kingdoms of faith : a new history of Islamic Spain http://worldcat.org/[...] Basic Books
[34] 서적 From Muslim fortress to Christian castle : social and cultural change in medieval Spain http://worldcat.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5
[35] 저널 Garens https://www.oxfordar[...]
[36] 서적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ruler's image in the Mediterranean world (11th-15th centuries) http://worldcat.org/[...]
[37] 논문 The Writing on the Wall: Reading the Decoration of the Alhambra 2009
[38] 서적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ruler's image in the Mediterranean world (11th-15th centuries) http://worldcat.org/[...]
[39] 웹인용 Consulta a la base de datos de bienes inmuebles https://www.culturay[...] 2019-11-24
[40] 서적 Philip of Spain Yal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