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육총감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육총감부는 1898년 일본 육군 사관학교와 특수 기술 훈련 학교, 육군 예과 등을 통일적으로 지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육군 병참, 수송 및 지원 문제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가졌으며, 육군 고위 지도부에게 중요한 자리였다. 1941년 육군성 등과 함께 육군사관학교로 이전했고, 1945년 일본 제국 육군 해산과 함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폐지된 외국 - 참모본부 (일본)
    참모본부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령 기관으로, 군정에서 독립하여 군령권을 행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침략 전쟁을 주도하며 여러 사건과 논란의 중심에 섰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어 일본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일본의 폐지된 외국 - 군령부
    군령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작전 지휘 및 국방 전략을 담당한 천황 직속 기관이었으나, 군국주의적 색채를 띠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폐지되었다.
  • 일본 육군의 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 육군의 교육기관 -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사관 후보생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1937년 독립 후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운영되다 종전 후 폐지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는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
  • 일본 제국 육군 - 욱일기
    욱일기는 태양 문양 주위로 햇살을 그린 깃발로, 일본에서 경사스러운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나,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한국 등 피해 국가에서는 사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다.
  • 일본 제국 육군 - 고스톱 사건
    고스톱 사건은 1933년 오사카에서 발생한 군부와 경찰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군부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교육총감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교육총감부
영어 명칭Inspectorate General of Military Training
로마자 표기Gyoikusokanbu
상세 정보
관할군사교육훈련
설립일1898년 1월 22일
설립 근거교육총감조례 칙령 제7호
전신감군부
해산일1945년 10월 15일
상급 기관육군성
산하 기관육군 군학교
기관장교육총감
추가 정보
관련 인물교육총감

2. 역사

1898년 1월 22일, 교육총감조례 칙령 제7호에 따라 감군부가 교육총감부로 개편되었다.[10] 초기에는 도쿄시 고지마치구 하야부사정에 있는 감군부 청사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1901년 4월 28일에 다이간료정으로 이전하였다.[11][12]

교육총감부는 일본 육군 사관학교와 여러 특수 무기 및 기술 훈련 학교, 그리고 전국 각지에 위치한 육군 예과에 대한 통일된 지휘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또한 육군 병참, 수송 및 지원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정치적 권력으로 인해 이 자리는 육군 고위 지도부에게 매우 탐나는 자리였으며, 후계자를 둘러싼 파벌 갈등2·26 사건의 발단 중 하나가 되었다.

1941년 12월 8일, 이치가이다이의 육군사관학교육군성, 참모본부, 육군항공총감부와 함께 이전하여 12월 15일에 완료하였다. 육군 항공대에 대해서는 항공총감부, 참모 육성은 참모본부에서 관할하였다.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일본 제국 육군이 해산되면서 폐지되었다.

3. 조직

1890년 9월 30일, 야전포병감과 요새포병감이 신설되었다. 1900년 3월, 본부부장의 직위는 참모장으로 개명되었다. 1907년 10월, 요새포병감부가 중포병감부로 개명되었다. 1908년 12월, 참모장은 본부장으로 개명되고 본부장 관할 부서인 서무과, 제1,2,3과가 신설되었다. 1919년 4월, 야전포병감과 중포병감이 포병감으로 통합되었다. 1938년 7월, 본부장이 관할할 부서는 2개의 제1,2부와 4개의 제3,4,5,6과가 신설되었다. 제1부에는 제1,2,3과, 제2과에는 제4,5,6과가 배치되었다. 1941년 4월, 제1부는 총무부로 개명, 제2부가 폐지되고 밑의 제4과는 기병감부과 합쳐져 육군성 외국인 육군기갑본부로 재편성되었다. 제5과는 화병감부, 제6과는 통신병감부로 본부장이 아닌 총감부 직할 병과부가 되었다. 1945년 3월 19일, 혼슈의 방공을 위해 고사병감부가 신설되었다.

3. 1. 부서

교육총감부에는 본부와 여러 병과별 감부가 있었다. 본부장은 오타니 기쿠조 보병 대좌(1898년 3월 3일 - 1900년 4월 25일)였다.

  • 본부
  • 제1부: 총무부 (인사, 회계 등)
  • 제2부: 일반 훈련
  • 제3부: 연구 및 훈련 규정
  • 제4부: 특수학교

  • 기병감부: 1941년 육군기갑본부로 개편되었다.
  • 역대 기병감
  • 사노 노부카츠 대좌: 1887년 6월 3일 - 1898년 2월 2일
  • 아키야마 요시후루 소장: 1906년 2월 6일 - 1913년 1월 15일
  • 요시다 나오시 중장: 1939년 10월 2일 - 1941년 4월 10일 (육군 기갑 본부로 개조)
  • 관할 학교
  • 육군 기병 실시 학교 → 육군기병학교
  • 육군전차학교

  • 포병감부: 야전포병감부(1919년 포병감부로 통합), 요새포병감부(1907년 중포병감부로 개칭), 중포병감부(1919년 포병감부로 통합)를 통합하여 설치되었다.
  • 역대 포병감
  • 와타나베 이와노스케 중장: 1919년 4월 15일 - 1922년 8월 15일[7]
  • 이토 마사키 중장: 1934년 8월 1일 - 1936년 3월 23일[8]
  • 야마무로 무네타케 중장: 1945년 3월 19일 -
  • 관할 학교
  • 육군 요새 포병 사격 학교 → 육군야전포병학교
  • 육군 중포병 사격 학교 → 육군중포병학교
  • 육군방공학교

  • 치중병감부
  • 역대 輜重兵監(시중병감)
  • 도쿠다 마사토시(徳田正稔) 대좌: 1889년 9월 12일 -
  • 시부야 아리ake(渋谷在明) 소장: 1906년 2월 6일 - 1914년 5월 11일
  • 오치아이 타다키치(落合忠吉) 중장: 1945년 6월 16일 -

; 관할 학교

  • 육군자동차학교
  • 육군시중병학교

  • 화병감부: 1941년 신설되었다.
  • 역대 화병감
  • 마치지리 카즈모토 중장: 1941년 4월 10일 -
  • 미야모토 세이이치 소장: 1944년 12월 11일 -
  • 관할 학교
  • 육군습지노학교

  • 통신병감부: 1941년 신설되었다.
  • 역대 통신병감
  • 백무 하루요시 중장: 1941년 4월 10일 -
  • 가와나미 미쓰루 중장: 1945년 3월 19일 -
  • 관할 학교
  • 육군통신학교
  • 도쿄 육군 소년통신병학교
  • 무라마쓰 육군 소년통신병학교

  • 고사병감부: 1945년 신설되었다.
  • 역대 고사병감
  • 다케다 가오루 중장: 1945년 3월 19일 - 9월 8일
  • 관할 학교
  • 지바 육군 고사학교


1941년에는 장갑차 훈련을 담당하는 제2국이 추가되었으나, 군사 항공은 교육총감부 관할이 아니었다.

3. 2. 부서별 군학교

기병감부에는 육군기병학교와 육군전차학교가 있었다. 포병감부에는 육군요새포병사격학교(1907년 10월 9일, 요새포병감부에서 전속), 육군야전포병학교(1919년 4월 15일, 야전포병감부에서 전속), 육군중포병학교(1919년 4월 15일, 중포병감부에서 전속)가 있었다. 공병감부에는 육군공병학교가 있었다. 치중병감부에는 육군자동차학교와 육군치중병학교가 있었다. 화병감부에는 육군나라시노학교가 있었다.

통신병감부에는 육군통신학교(1941년 4월 10일, 공병감부에서 전속), 도쿄 육군소년통신병학교, 무라마쓰 육군소년통신병학교가 있었다. 고사병감부에는 지바 육군고사학교(1945년 3월 19일, 포병감부에서 전속)가 있었다.

총감부 직할 학교로는 육군사관학교(메이지 3년의 병학료가 전신, 1945년 9월 30일 폐쇄),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예비사관학교, 육군유년학교, 육군포공학교(육군과학학교), 육군도야마학교, 육군보병학교, 육군교도학교, 육군궁주링학교가 있었다.

교육총감부 본부는 총무부(인사, 회계 등), 일반 훈련을 담당하는 제2부, 연구 및 훈련 규정을 담당하는 제3부, 특수학교를 담당하는 제4부로 구성되었다. 1941년부터는 장갑차 훈련을 전문으로 하는 제2국이 추가되었다. 교육총감부는 포병, 공병, 군수, 기병(1941년부터 기갑전), 화학전(1941년부터), 통신(1941년부터), 대공포(1945년부터) 부문을 담당했다. 그러나 군사 항공은 항상 교육총감부의 관할 밖에 있었다.

4. 역대 교육총감

교육총감은 육군대신, 참모총장와 함께 육군삼장관으로 묶어서 일컫는 요직이었다. 친임관으로, 육군 중장 이상의 장관이 임명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의 장병 교육에 관한 행정업무를 총괄하였다.

임기 중에 사망한 와타나베 조타로 대장은 천황기관설을 지지하였는데, 당시 황도파 수반인 마사키 진자부로 대장의 후임으로 취임한 것을 계기로 황도파의 미움을 샀고, 2·26 사건에서 보병 제3연대의 반란군에 의해 사살되었다.

역대 교육총감은 다음과 같다.

#성명취임일이임일출신/기수
1데라우치 마사타케1898년 1월 22일1900년 4월 25일조슈 번
2노즈 미치쓰라1900년 4월 25일1904년 3월 17일사쓰마 번
3데라우치 마사타케1904년 3월 17일1905년 5월 9일조슈 번
4니시 간지로1905년 5월 9일1908년 12월 21일사쓰마 번
5오시마 히사나오1908년 12월 21일1911년 9월 6일아키타 번
6아사다 노부오키1911년 9월 6일1914년 4월 22일가와고에 번
7우에하라 유사쿠1914년 4월 22일1914년 12월 17일육사 구3기
8이치노헤 효에1914년 12월 17일1919년 8월 26일육사 구3기
9오타니 키쿠조1919년 8월 26일1920년 12월 28일육사 구2기
10아키야마 요시후루1920년 12월 28일1923년 3월 17일육사 구3기
11오바 지로1923년 3월 17일1926년 3월 2일육사 구8기
12기쿠치 신노스케1926년 3월 2일1927년 8월 26일육사 구11기
13무토 노부요시1927년 8월 26일1932년 5월 26일육사 3기
14하야시 센주로1932년 5월 26일1934년 1월 23일육사 8기
15마사키 진자부로1934년 1월 23일1935년 7월 16일육사 9기
16와타나베 조타로1935년 7월 16일1936년 2월 26일육사 8기
17니시 요시카즈1936년 3월 5일1936년 8월 1일육사 10기
18스기야마 겐1936년 8월 1일1937년 2월 9일육사 12기
19데라우치 히사이치1937년 2월 9일1937년 8월 26일육사 11기
20하타 슌로쿠1937년 8월 26일1938년 2월 14일육사 12기
21안도 리키치1938년 2월 14일1938년 4월 30일육사 16기
22니시오 도시조1938년 4월 30일1939년 9월 12일육사 14기
대리가와베 마사카즈1939년 9월 12일1939년 10월 14일육사 19기
23야마다 오토조1939년 10월 14일1944년 7월 18일육사 14기
24스기야마 겐1944년 7월 18일1944년 7월 22일육사 12기
대리노다 겐고1944년 7월 22일1944년 11월 22일육사 24기
25하타 슌로쿠1944년 11월 23일1945년 4월 7일육사 12기
26도이하라 겐지1945년 4월 7일1945년 8월 25일육사 16기
27시모무라 사다무1945년 8월 25일1945년 10월 15일육사 20기


5. 2.26 사건과 와타나베 조타로

6. 평가

참조

[1] 간행물 官報 1898-01-31
[2] 간행물 官報 1901-04-30
[3] 간행물 官報 1934-03-06
[4] 간행물 官報 1926-03-03
[5] 간행물 官報 1932-08-09
[6] 간행물 官報 1935-08-02
[7] 간행물 官報 1922-08-16
[8] 간행물 官報 1936-03-24
[9] 간행물 官報 1935-08-02
[10] 저널 官報 1898-01-22
[11] 저널 官報 1898-01-31
[12] 저널 官報 1901-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