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친임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임관은 일본 제국에서 천황이 직접 임명한 고위 관직을 의미한다. 1886년 고등관 관등 봉급령에 따라 칙임관 중 친임식을 통해 임명되는 관직을 지칭했으며, 내각총리대신, 각 성 대신, 육해군 대장 등이 이에 해당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법령 개정을 거치며 친임관의 범위와 대우가 변화했다.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천황의 관료 임명권이 제한되면서 친임관 제도는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일본의 행정관직 - 판임관
    판임관은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천황의 임명 대권 위임 형식으로 임명된 하위 관료 계층으로, 국가와 공법상의 관계를 가지며 순사, 간수, 교원 등 다양한 직종이 해당되었으나, 1946년 폐지되고 3급 관료로 개정되었다.
  • 폐지된 일본의 행정관직 - 진수부장군
    진수부장군은 일본 고대의 군사 관직으로, 무쓰국과 데와국의 방위를 담당했으며, 세이와 겐지 가문에서 대대로 역임하며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으나 가마쿠라 막부 개창 이후 유명무실해졌다.
친임관
친임관
종류관료의 임용 방식
개요
설명천황이 직접 임명하는 관료
칙임관보다 더 높은 지위
일본어 명칭
일본어親任官 (しんにんかん)
로마자 표기shin'ninkan
같이 보기
관련 항목관위
문관
무관
칙임관

2. 친임관

친임관은 일본에서 천황이 직접 임명하는 관직이다.

1889년 대일본 제국 헌법 공포와 함께 내각관제가 제정되면서 칙임관의 임명, 채용, 퇴직은 각의를 거치도록 규정되었다.[16] 이후 친임관 제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45년 포츠담 선언 수락 후 연합군 점령 아래서도 친임관은 존치되었으나,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폐지되었다.

일본국 헌법에서는 내각총리대신과 최고 재판소의 재판소장은 천황이 임명하고, 국무대신 및 기타 관료는 천황이 임면을 인증하는 인증관 제도가 도입되었다.[43]

2. 1. 연혁

1889년 2월 11일 대일본 제국 헌법 공포와 함께 같은 해 12월 24일 내각관제(메이지 22년 칙령 제135호)가 제정되면서 칙임관의 임명, 채용, 퇴직은 각의를 거치도록 규정되었다.[16]

이후 친임관 제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내용
1890년대일본 제국 헌법 시행
1891년 7월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메이지 24년 칙령 제82호) 제정, 문무관 관등 폐지, 친임식 관직 유지[18] [19]
1891년 11월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메이지 24년 칙령 제215호) 제정, 고등관 10등급, 칙임관 1~3등급, 1등 친임관[27]
1892년 11월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25년 칙령 제96호) 제정, 관등 부활, 친임관 및 1, 2등관 칙임관
1900년문무관 서위 진계 내칙 개정, 친임관 즉시 서위
1946년 4월관료 임용 서급령(쇼와 21년 칙령 제190호) 공포, 칙임관 -> 1급 관료, 친임관 존치[38][40]
1947년 5월 3일일본국 헌법 시행, 친임관 폐지[3][42]



1945년 포츠담 선언 수락 후 연합군 점령 아래서도 친임관은 존치되었으나,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으로 폐지되었다.

일본국 헌법에서는 내각총리대신과 최고 재판소의 재판소장은 천황이 임명하고, 국무대신 및 기타 관료는 천황이 임면을 인증하는 인증관 제도가 도입되었다.[43]

2. 1. 1. 1886년(메이지 19년) 3월 고등관 관등 봉급령

1885년(메이지 18년) 12월 22일에 내각 직권을 정하여 태정관제에서 내각제로 전환한 후, 1886년(메이지 19년) 3월 12일에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19년 칙령 제6호)을 정하여 고등관을 칙임관과 주임관으로 나누고, 칙임관 안에 친임식을 통해 서임하는 관직을 두었다.[4]

친임식을 통해 서임하는 관직은 내대신, 내각총리대신, 궁내대신, 각 성 대신, 원로원 의장, 육군 대장, 해군 대장, 참모본부장, 근위 도독으로 했다.[5]

친임관의 문관 연봉에 관해서는, 내각총리대신의 연봉은 종전의 태정대신의 월봉 12개월분과 같은 액수, 각 성 대신의 연봉은 종전의 참의 및 1등관의 월봉 12개월분과 같은 액수로, 내대신의 연봉은 각 성 대신과 같았으며, 원로원 의장의 연봉은 종전의 1등관의 월봉 12개월분과 종전의 2등관의 월봉 12개월분의 중간 액수로, 고등관 관등 봉급령의 칙임관 1등의 상급 봉급과 같은 액수로 했다.[6] [7] [9] [10]

2. 1. 2. 1891년(메이지 24년) 7월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

1890년 11월 29일에 시행된 대일본 제국 헌법 아래, 1891년(메이지 24년) 7월 24일에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메이지 24년 칙령 제82호)을 제정하여 종전의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19년 칙령 제6호)을 폐지했다[17]. 문무관의 관등은 폐지되었지만, 칙임관 중에서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은 계속 규정되었고, 사령서 절차도 변경되지 않았다[18] [19].

친임관 문관 연봉 중 내각총리대신·각 성 대신의 연봉은 종전과 같았다[7] [20]. 추밀원의 의장·부의장·고문관의 연봉은 인하되었는데, 의장은 종전 추밀원 부의장 또는 칙임관 1등의 상급 봉과 같은 액수, 부의장은 종전 추밀 고문관 또는 칙임관 1등의 하급 봉과 같은 액수, 고문관은 종전 칙임관 2등의 상급 봉과 같은 액수로 하였다[7] [21].

2. 1. 3. 1891년(메이지 24년) 11월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

1891년(메이지 24년) 11월 14일에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明治24年勅令第215号)를 제정하여 고등관 관직을 10등급으로 나누었다. 칙임관은 1등부터 3등까지였으며, 이 중 1등은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직이었다. 1등 친임관에는 내각총리대신, 각 대신[5], 추밀원 의장·부의장·추밀고문관[22], 육해군 대장[5], 그리고 친보직인 참모총장[23]·감군[24]이 있었다. 친임관 및 친보직을 제외한 다른 칙임관 직책으로는 대심원 장이 있었다.[27]

이 고등관 관직 등급은 서위 진계 내칙에서 서위의 규준으로 사용되었다. 내각총리대신·각 대신·추밀원 의장·육해군 대장·참모총장의 초서는 정3위 상당, 추밀원 부의장·추밀고문관·감군의 초서는 종3위 상당이었으며, 상당위 이상 2계를 극위로 하였다.[28]

또한, 서훈 내칙에서도 서훈의 규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제 대신·추밀원 의장·육해군 대장 및 기타 고등관 1등 관직의 초서는 훈2등으로 하고 훈1등까지 진급하도록 하였다.[29]

그러나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明治24年勅令第82号)으로 관등을 폐지하면서 등급을 정할 때 봉급만을 기준으로 할 수밖에 없게 되어 본래의 정신을 잃게 되었다.[30]

2. 1. 4. 1892년(메이지 25년) 11월 고등관 관등 봉급령

1892년(메이지 25년) 11월 12일에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25년 칙령 제96호)을 통해 다시 관등을 정하고, 이전의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메이지 24년 칙령 제82호) 및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메이지 24년 칙령 제215호)를 폐지했다.[17] 친임식을 거쳐 임명하는 관을 제외한 다른 고등관은 9등급으로 나누고, 친임식을 거쳐 임명하는 관 및 1등관·2등관을 칙임관으로 하였다.

관등과 봉급의 기준이 반드시 같지 않았기 때문에,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25년 칙령 제96호)에서는 관등과 봉급을 각자의 기준에 따라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봉급은 메이지 24년의 제도를 계승하고, 관등은 메이지 24년 이전의 관제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문무관 서위 진계 내칙을 개정하여 관등을 서위의 규준으로 하였다. 참모총장의 첫 서위는 정3위에서 종3위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감군과 마찬가지로 1등관보다 친보하는 관이기 때문이다. 대심원장의 첫 서위는 정4위에서 종3위로 변경되었는데, 이는 준친보이며 감군 등에 가깝고 회계검사원장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서훈 내칙을 개정하여 관등을 서훈의 규준으로 하고, 각 대신·추밀원 의장·육해군 대장 및 기타 친임관의 첫 서위는 훈2등으로 하고 훈1등까지 진급하도록 하였다.

2. 1. 5. 1900년(메이지 33년) 문무관 서위 진계 내칙 개정

1900년(메이지 33년) 문무관 서위 진계 내칙 개정으로, 고등관은 신임 승등 후 만 1개월이 지나야 첫 서위 위계를 받았으나, 친임관은 1개월을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첫 서위 위계를 받게 되었다. 또한, 내각총리대신·각 성 대신·추밀원 의장·육해군 대장의 첫 서위는 정4위, 극위는 정2위로, 기타 친임관 및 친임 대우의 첫 서위는 종4위, 극위는 종2위로 하였다.[28]

2. 1. 6. 1946년(쇼와 21년) 4월 관료 임용 서급령

1945년 포츠담 선언 수락 후, 연합군 점령 아래 1946년(쇼와 21년) 4월 1일에 관료 임용 서급령(쇼와 21년 칙령 제190호[38])이 공포·시행되었다. 이 칙령에 따라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을 제외한 다른 관은 1급, 2급 및 3급으로 나뉘었다. 이 때 고등관 관등 봉급령 등이 폐지되면서 '칙임관'은 '1급 관료'로, '주임관'은 '2급 관료'로, '고등관'은 '1급 또는 2급 관료'로 각각 개정되었지만,[39]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 즉 친임관은 존치되었다.[40]

2. 1. 7. 1947년(쇼와 22년) 일본국 헌법 시행

1946년 4월 1일, 포츠담 선언 수락 후 연합군 점령하에 관료 임용 서급령(쇼와 21년 칙령 제190호[38])이 공포·시행되어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을 제외한 다른 관을 1급, 2급 및 3급으로 나누었다. 이때 고등관 관등 봉급령 등이 폐지되면서 '칙임관'은 '1급 관료', '주임관'은 '2급 관료', '고등관'은 '1급 또는 2급 관료'로 각각 개정되었지만[39], 친임관은 존치되었다[38][40]

1947년 5월 2일, 관료 임용 서급령의 일부를 개정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친임식 관련 규정을 수정하여 특별한 관을 제외한 다른 관을 1급, 2급 및 3급으로 나누었다[41]。 다음 날인 5월 3일, 일본국 헌법이 시행되면서 기존의 일본 제국 헌법 제10조의 천황에 의한 관료 임명권을 대신하여 일본국 헌법 제15조에 적합하도록 관료 임용 서급령의 일부를 개정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친임관이 폐지되었다[3][42]

종전에는 내각총리대신, 각 성 대신 및 기타 친임관을 친임식을 통해 임명해 왔으나, 일본국 헌법 제6조 및 법률에 따라 내각총리대신 및 최고 재판소의 재판소장은 천황이 임명하게 되었고[43], 국무대신 및 법률이 정하는 기타 관료는 일본국 헌법 제7조의 국사 행위로서 천황이 그 임면의 인증을 하게 되었다. 그 절차에 대해서는, 내각총리대신의 지명은 중의원 의장으로부터 내각을 경유하여 주상하게 되었고[44], 관료의 임면 인증은 내각총리대신이 주청하게 된다[45]

2. 2. 문관

다음은 친임관에 해당하는 문관 직책 목록이다.

직책
내각총리대신
대만 사무국 총재
추밀원 의장·부의장·고문관
내대신
궁내대신
국무대신
특명전권대사
친임 판사·검사
회계검사원장
행정재판소 장관
조선총독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대만총독
신궁 제주
기획원 총재
도쿄도 장관
지방총감


2. 3. 무관

육군 대장, 해군 대장[5]

3. 친보직

1890년 12월 2일 이후 천황의 친보식에 의해 보직하는 '친보직(親補職)'이 설치되었다. 친보직은 무관의 관직 중 하나로, 해당 직에 재임하는 동안 친임관 대우를 받았다.[75]

1896년 5월 1일, '친보의 직에 있는 자 및 회계 검사원장 대우의 건'(메이지 29년 칙령 제160호)에 의해 '친보의 직에 있는 자 및 회계검사원장은 친임관의 대우를 받는다'라고 명시되었다.[69]

친보직은 육해군의 여러 관제에서 정해졌으며, 육해군의 여러 관제에서 '친보직에는 대장 또는 중장을 보한다'는 취지로 정해져 있었다. 따라서 소장 이하가 친임관 대우를 받는 일은 없었다.[70]

사단장의 경우, 평시 최대 편제로서 천황에게 직속되었으며, '중장으로 이를 보하고'로 규정되어 있었다.[71]

육군 대신 및 해군 대신은 무관으로서 친보직인 동시에 문관으로서 친임관이었기 때문에, 취임자가 중장이더라도 대장에게 행정 명령을 발할 수 있었다.[74]

사법관의 경우에도 관과 직을 구별하였고, 관명은 판사나 검사였으며, 대심원장 및 검사총장을 친보직으로 하였다.[27]

3. 1. 개요

무관문관과 달리 임관과 직무를 구분한다. 특히 장교는 퇴역해도 그 관계를 잃지 않는 종신관이라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1890년 12월 2일 이후 천황의 친보식에 의해 보직하는 '친보직(親補職)'을 설치하였다. 친보직은 육군 대장 또는 육군 중장 1명을 제국 전군의 참모총장으로 친보하도록 하였고, 감군부에 감군 1명을 두고 대장 또는 중장을 이에 친보하도록 하였다. 이는 천황의 통수권을 보좌하고 군령의 통일을 기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3. 2. 주요 친보직

1891년(메이지 24년) 11월 14일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明治24年勅令第215号)를 통해 고등관 관직을 10등급으로 나누고, 칙임관을 1등부터 3등까지로 정했다. 이 중 1등은 칙임관 중 친임식을 거쳐 임명하는 육해군 대장[5], 친보직인 참모총장[23]과 감군[24]이었다.

1892년(메이지 25년) 11월 12일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25년 칙령 제96호)으로 관등을 재정립하고, 이전의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메이지 24년 칙령 제82호) 및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메이지 24년 칙령 제215호)는 폐지되었다.

3. 2. 1. 육군

1891년(메이지 24년) 11월 14일에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明治24年勅令第215号)를 정하여 고등관의 관직을 10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칙임관은 1등부터 3등까지로 하였다. 이 중 1등은 칙임관 중에서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직인 육해군 대장[5], 그리고 친보직인 참모총장[23] 등이 있었다.

3. 2. 2. 해군

해군 대신, 군령부 총장, 해군 총사령관, 함대 사령관, 진수부 사령관, 해상 호위 사령관, 경비부 사령관, 마이즈루 요항부 사령관, 마이즈루 이외의 요항부 사령관, 독립 함대 사령관이 있었다.[5]

3. 2. 3. 대심원

1891년(메이지 24년) 11월 14일에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明治24年勅令第215号)를 정하여 고등관의 관직을 10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칙임관은 1등부터 3등까지로 하였다. 이 중 1등은 칙임관 중에서 친임식을 통해 임명하는 관직인 내각총리대신, 각 대신[5], 추밀원 의장·부의장·추밀고문관[22], 육해군 대장[5], 그리고 친보직인 참모총장[23]·감군[24], 친임관 및 친보직을 제외한 다른 칙임관의 직책인 대심원장[27]으로 하였다.

1892년(메이지 25년) 11월 12일에 고등관 관등 봉급령(메이지 25년 칙령 제96호)으로 다시 관등을 정하고, 종전의 고등관 임명 및 봉급령(메이지 24년 칙령 제82호) 및 문무 고등관 관직 등급표(메이지 24년 칙령 제215호)를 폐지했다.

1900년(메이지 33년)에 문무관 서위 진계 내칙을 개정하여, 대심원장의 첫 서위는 정4위에서 종3위로 옮겼는데, 이는 준친보이며 감군 등에 가깝고 회계검사원장보다 더 무겁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4. 친임관 대우

친임관 대우는 특정 관직이 친임관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친임관 대우를 받는 관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관직
궁내부 특진관
시종원경
규장각 제학
홍문관 제학
육군법원장
해군법원장


관직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이왕직 장관


참조

[1]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十九年・勅令第六号・高等官官等俸給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 문서 官吏任用叙級令の一部を改正する等の政令・御署名原本・昭和二十二年・政令第一〇号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御3066210[...] 国立公文書館
[3] 문서 官吏任用叙級令の一部を改正する等の政令・御署名原本・昭和二十二年・政令第一〇号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御3066210[...] 国立公文書館
[4] Wikiref JACAR:A15111088500 JACAR-A15111088500
[5] 문서 高等官ヲ分テ勅任官奏任官トシ勅任官中親任ノ官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 문서 官禄ヲ月給ニ改定定則ヲ立並定則中改正・二条 国立公文書館、請求番号:太0053010[...] 国立公文書館
[7] Wikiref JACAR:A15111088500 JACAR-A15111088500
[8] 문서 内大臣及宮中顧問官ノ年俸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1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11] 문서 叙位条例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 문서 叙位進階内規ヲ定ムニ依リ内閣総理大臣ヲ経テ上奏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3] 문서 叙勲条例並ニ附則ヲ廃シ文武官叙勲内則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1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16] 문서 内閣官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 Wikiref JACAR:A15112241100 JACAR-A15112241100
[18] Wikiref JACAR:A15112241100 JACAR-A15112241100
[19] Wikiref JACAR:A15112241300 JACAR-A15112241300
[20] Wikiref JACAR:A15112241100 JACAR-A15112241100
[2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22]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一年・勅令第二十二号・枢密院官制及事務規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3]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三年・勅令第二百七十九号・参謀本部条例第二条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三年・勅令第二百八十号・監軍部条例第二条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5] Wikiref JACAR:A03020049700 JACAR-A03020049700
[26] Wikiref JACAR:A15112272000 JACAR-A15112272000
[27]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十五号・文武高等官官職等級表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문서 叙位進階内則ヲ定メラル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9] 문서 叙勲内則ヲ定メラル附叙勲内則取扱手続ヲ更定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Wikiref JACAR:A15112439800 JACAR-A15112439800
[31] Wikiref JACAR:A15112439800 JACAR-A15112439800
[32] Wikiref JACAR:A15112439800 JACAR-A15112439800
[33] Wikiref JACAR:A15112272000 JACAR-A15112272000
[34] 문서 叙勲内則ヲ改定セラル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5] 문서 文武官叙位進階内則ヲ改定セラル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6] Wikiref JACAR:A15113342600 JACAR-A15113342600
[37] Wikiref JACAR:A15113342600 JACAR-A15113342600
[38] 문서 御署名原本・昭和二十一年・勅令第一九〇号・官吏任用叙級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9] Wikiref JACAR:A04017814600 JACAR-A04017814600
[40] 문서 御署名原本・昭和二十一年・勅令第一九一号・親任官及諸官級別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1] 간행물 官吏任用叙級令の一部を改正する等に関する勅令(昭和22年5月2日勅令第205号) 日本マイクロ写真 2024-11-05
[42] 웹사이트 公務員試験及び外交官試験はいつからはじまったの? https://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2024-11-06
[43] 간행물 裁判所法(昭和22年4月16日法律第59号) 日本マイクロ写真 2024-11-10
[44] 간행물 国会法(昭和22年4月30日法律第79号) 日本マイクロ写真 2024-11-10
[45] 간행물 官吏の任免、叙級、休職、復職その他の官吏の身分上の事項に関する手続に関する政令(昭和22年5月3日政令第11号) 日本マイクロ写真 2024-11-04
[46] Wikiref JACAR:A03020049700 JACAR-A03020049700
[47] 문서 裁判所構成法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8] 문서 裁判所構成法中ヲ改正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9]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二年・法律第十五号・会計検査院法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0]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五年・法律第三十六号・会計検査院法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1]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三年・法律第四十八号・行政裁判法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2]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三十一年・勅令第百六十二号・行政裁判所長官待遇ノ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3]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五年・法律第三十七号・行政裁判法中改正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4] 문서 明治43年9月29日 勅令第354号 朝鮮総督府官制 第二条「総督ハ親任トス陸海軍大将ヲ以テ之ニ充ツ」 "{{NDLDC|2951536/14}[...]
[55] 문서 明治30年10月13日 勅令第362号 台湾総督府官制 第二条「総督ハ親任トス陸海軍大将若ハ中将ヲ以テ之ニ充ツ」 "{{NDLDC|2947580/1}}[...]
[56] 문서 大正8年8月19日 勅令393号 台湾総督府官制中改正ノ件 第二条「総督ハ親任トス」 "{{NDLDC|2954226/3}}[...]
[57] 문서 陸軍武官命課規則 国立公文書館
[58] Wikiref JACAR:A15110463300 JACAR-A15110463300
[59] Wikiref JACAR:A15110463300 JACAR-A15110463300
[60] Wikiref JACAR:A15110463300 JACAR-A15110463300
[61] Wikiref JACAR:A15110463300 JACAR-A15110463300
[62]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一年・勅令第九十一号・陸海軍将校分限令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3]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七十九号・海軍将校分限令制定陸海軍将校分限令中海軍将校分限ニ関スル件廃止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4] 문서 陸軍将校免黜条例 国立公文書館
[65] 문서 海軍将校准将校免黜条例改定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6]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二年・勅令第二十五号・参謀本部条例制定参軍官制、陸軍参謀本部条例、海軍参謀本部条例廃止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7]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年・勅令第十八号・監軍部条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8] 문서 御署名原本・明治二十六年・勅令第三十七号・海軍軍令部条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9] 아시아역사자료센터 御署名原本・明治二十九年・勅令第百六十号・親補ノ職ニ在ル者及会計検査院長待遇ノ件 A03020240000
[70] 서적 陸軍省人事局長の回想 芙蓉書房 1977
[7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大艦巨砲主義の盛衰 朝日ソノラマ 1992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陸軍省人事局長の回想 芙蓉書房 1977
[79] 웹사이트 支那駐屯軍司令官の親補に関する件 昭和11年4月25日 「支那駐屯軍司令官は之を親補す/附則 本令は昭和11年5月1日より之を施行す」- 官報. 1936年04月28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문서 昭和20年4月23日 軍令海第二号 海軍総隊司令部令 第三条「海軍総隊司令部ニ海軍総司令長官ヲ置ク 総司令長官ハ親補トス」
[85] 문서 昭和18年11月15日 軍令海第十六号 海上護衛総司令部令 第四条「海上護衛総司令部ニ海上護衛司令長官ヲ置ク 司令長官ハ親補トス」
[86] 서적
[87] 웹사이트 昭和11年6月26日 要港部令中左の通改正す 第8条 要港部に司令官を置く/舞鶴要港部司令官は親補とす 附則 本令は昭和11年7月1日より之を施行す - 官報(昭和11年6月27日付)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3
[88] 웹사이트 昭和16年11月11日/要港部令を改正/「要港部令」を「警備府令」に、「要港部」を「警部府」に、「司令官」を「司令長官」に改む 本令は昭和16年11月20日より之を施行す - 官報. 1941年11月12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89] 웹사이트 昭和16年11月11日/旅順要港部令を改正/「旅順要港部令」を「旅順警備府令」に、「旅順要港部」を「旅順警部府」に、「司令官」を「司令長官」に改む 本令は昭和16年11月20日より之を施行す - 官報. 1941年11月12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90] 웹사이트 "「要港部令 改正」官報. 1938年11月15日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91] 웹사이트 "「旅順要港部令 改正」官報. 1938年11月15日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92] 웹사이트 "「長期戦の陣容強化/呉、佐鎮、第二艦隊各長官更迭/駐満海軍部は廃止」『大阪朝日新聞』 1938年(昭和13年)11月16日付" "{{新聞記事文庫|url|010034[...] 神戸大学 2019-12-11
[93] 웹사이트 "「艦隊令 改正」官報. 1938年11月15日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19-12-11
[9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9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9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9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9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9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912-10
[100]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四十三年・勅令第三百十九号・朝鮮総督府設置ニ関スル件" 国立公文書館
[101]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四十三年・勅令第三百五十五号・朝鮮総督府中枢院官制" 国立公文書館
[102] 문서 "御署名原本・明治四十四年・勅令第二百十二号・日本大博覧会会長ノ待遇ニ関スル件" 国立公文書館
[103] 문서 "御署名原本・大正五年・勅令第百八号・連合国経済会議ニ参列セシムルタメ臨時職員設置" 国立公文書館
[104] 문서 "御署名原本・大正十年・勅令第百六十八号・朝鮮総督府中枢院官制中改正" 国立公文書館
[105] 문서 "御署名原本・昭和二年・勅令第一六八号・行政制度審議会官制" 国立公文書館
[106]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二年・勅令第三四八号・東京控訴院長ノ待遇ニ関スル件 A030216720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7]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六年・勅令第一四〇号・臨時行政財政審議会官制(第二百五十七号ヲ以テ本号中改正第二百九十二号ヲ以テ廃止) A030218119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8]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十三年・勅令第六三二号・臨時外務省ニ外交顧問ヲ置クノ件 A030222310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9] 간행물 御署名原本・昭和十九年・勅令第六〇四号・内閣顧問臨時設置制 A030223151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0]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福岡県知事 吉田茂 A030235400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1]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海軍艦政本部長海軍中将 片岡七郎 A030233746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2]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拓殖局副総裁 男爵後藤新平 A030233805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3]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法制局長官法学博士 一木喜徳郎 A030233882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4]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復興局長官 清野長太郎 A030234411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5]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参謀次長陸軍中将 真崎甚三郎 A030234642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6] 간행물 特ニ親任官ノ待遇ヲ賜フ 海軍次官 井上成美 A03023548800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7] 서적 陸軍省人事局長の回想 芙蓉書房 1977-01-01
[118] 서적 陸軍省人事局長の回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