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루 구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루 구루는 1968년 독일에서 결성된 밴드로, 프리 재즈와 사이키델릭 록, 스페이스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다. 1970년 첫 앨범 《UFO》를 발매했으며, 197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앨범을 발표하고 TV 쇼에 출연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6년 첫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을 가졌으며, 현재까지도 앨범 발매와 공연을 통해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록 밴드 - 비어 진트 헬덴
    2001년 함부르크에서 결성된 독일 팝 록 밴드 비어 진트 헬덴은 유딧 홀로페르네스를 중심으로 결성되어 EP "Guten Tag"로 인기를 얻고 EMI와 계약, 네 장의 앨범을 발매하며 독일 대표 밴드로 자리매김했으며, 밴드명은 '반영웅'을 위한 '영웅'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독일의 록 밴드 - 노이!
    1971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클라우스 딩거와 미하엘 로터를 주축으로 결성된 크라우트록 밴드 노이!는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과 "모터릭" 비트로 일렉트로니카, 펑크 록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으며, 멤버 교체와 재결합을 거쳐 2010년까지 활동했다.
  • 프로그레시브 록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 프로그레시브 록 - 스페이스 록
    스페이스 록은 우주를 주제로 삼거나 몽환적이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는 록 음악의 하위 장르이며,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핑크 플로이드, 호크윈드 등 다양한 밴드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 1968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레드 제플린
    레드 제플린은 1968년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블루스 기반의 다양한 장르 융합을 통해 1970년대에 큰 성공을 거두며 하드 록과 헤비 메탈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1980년 존 본햄의 사망으로 해산 후 개별 활동과 재결합 공연으로 음악적 영향력을 이어가고 있다.
  • 1968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헨리 카우
    헨리 카우는 1968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재즈, 록, 현대 클래식, 아방가르드 요소를 결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인 밴드로, 복잡한 리듬, 즉흥 연주, 다그마르 크라우제의 보컬이 특징이며, 해체 후에도 멤버들의 활동과 함께 음악적 유산이 지속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구루 구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7년 9월 독일 하이델베르크 공연에서의 Guru Guru
2007년 9월 독일 하이델베르크 공연
원산지독일 하이델베르크
장르크라우트록
실험 음악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재즈 록
활동 기간1968년 – 현재
웹사이트www.guru-guru.com
현재 멤버
이전 멤버

2. 역사

독일의 록 밴드로, 1968년 드러머 마니 노이마이어와 베이시스트 우리 트레프테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초기 이름은 '구루 구루 그루브'였으며, 이후 '구루 구루'로 변경하여 활동했다. 밴드 이름은 독일어 개구리 울음소리의 의성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사이키델릭 록, 스페이스 록, 프리 재즈 등의 영향을 받은 실험적인 음악을 추구했으며, 지미 헨드릭스, 프랭크 자파 등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1970년대 초반까지 《UFO》(1970), 《Hinten》(1971), 《Känguru》(1972) 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이 시기 밴드는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과 연계하는 등 좌파적인 정치색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후 여러 차례 멤버 변화와 음악적 스타일의 변화를 거치며 활동을 지속해왔다. 1996년 첫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한국과도 인연을 맺었으며, 파생 프로젝트 '구루마니악스(Gurumaniax)' 활동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2]

2. 1. 결성과 초기 활동 (1968년 ~ 1972년)

창립자 마니 노이마이어 (2006년)


구루 구루는 원래 '구루 구루 그루브'라는 이름으로 1968년에 결성되었다. 핵심 멤버는 드러머 마니 노이마이어와 베이시스트 울리 트렙테였다. 이 둘은 스위스 출신 피아니스트 이레네 슈바이처의 트리오에서 함께 연주한 경험이 있었고, 프리 재즈에 기반을 둔 실험적인 록 음악을 하기 위해 의기투합했다.[1] 밴드는 사이키델릭 록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특히 지미 헨드릭스, 프랭크 자파, 아서 브라운, 롤링 스톤스, 초기 핑크 플로이드와 같은 음악가들의 색채가 묻어났다.[1] 또한 아몬 뒬, , 쏠 카라반 등 동시대 독일 밴드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잼 세션을 갖기도 했고, 크라안, 클러스터 등과도 함께 활동했다.

1969년, 아지테이션 프리 출신의 기타리스트 악스 겐리히가 합류하면서 밴드 이름을 '구루 구루'로 줄이고 강력한 3인조 라인업을 완성했다. 당시 음악 잡지들은 이들을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나 크림에 비견하기도 했다.

1970년, 데뷔 앨범 《UFO》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강렬한 기계음과 사이키델릭 사운드가 특징인, 다소 거칠고 둔중한 인상을 주는 작품이었다. 1971년에는 유명 프로듀서 콘라드 플랑크가 참여한 두 번째 앨범 《Hinten》을 발표했다. 이 앨범은 전작보다 더 정제된 스페이스 록재즈 록이 결합된 사운드를 선보였다. 수록곡 중 「보 디들리」는 1950년대 미국 로큰롤 선구자에 대한, 마약에 젖은 사이키델릭 세대의 존경이라고 할 수 있다.

1972년에는 세 번째 앨범 《Känguru》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LP의 A면과 B면에 각각 차분한 분위기의 스페이스 록과 전작의 연장선에 있는 재즈 록을 나누어 수록했다. 밴드의 진지하고 실험적인 면을 주도했던 베이시스트 울리 트렙테는 이 앨범을 마지막으로 밴드를 떠났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구루 구루의 라이브 공연은 좌파적인 정치색을 띠었다. 이들은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맹(SDS)과 함께 공연을 기획하거나, 연주 도중 정치적인 메시지를 낭독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교도소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이들의 공연은 전위적이고 무정부주의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환각제를 실험하는 등 당시의 반문화적 흐름을 반영했다. 'LSD 행진(LSD Marsch)'이라는 제목의 곡도 있을 정도였다. 마니 노이마이어는 매년 열리는 크라우트록 페스티벌인 핀켄바흐(Finkenbach)의 주요 조직자이기도 했다.

2. 2. 전성기와 변화 (1972년 ~ 1979년)

1972년 발표된 세 번째 앨범 《캉구루》(Känguru|캥구루de)는 다운 템포의 스페이스 록과 전작의 연장선상에 있는 재즈 록을 LP의 AB면에 나누어 수록했다. 밴드의 진지한 면을 담당했던 우리 트레프테는 이 작품을 마지막으로 탈퇴했으며, 이후 밴드는 마니 노이마이어의 코믹한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프로젝트로 변화했다.

2. 3. 1980년대 이후 ~ 현재

1996년에 첫 내한 공연을 가졌다. 마니 노이마이어는 그전까지 '구루구루'가 일본어로 '회전'을 의미하는 단어라는 것을 몰랐다고 한다. 도쿄 타워의 밀랍 인형관에는 비틀즈프랭크 자파와 함께 마니의 인형이 수집되어 있었고, 이는 마니를 기쁘게 했다. 이후 마니는 솔로 명의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내한하게 된다[2]

2010년에는 옛 멤버인 악스 겐리히와 유니베르 제로의 베이시스트였던 기 세주르(Guy Segers|기 세주르프랑스어)를 더한 트리오로 파생 프로젝트 '구루마니악스(Gurumaniax)'라는 밴드 명의로 활동을 시작하여, 앨범 『Psy Valley Hill』을 발표했다.

2017년, 내한 20주년을 기념하여 마니 노이마이어를 초청한 라이브 공연을 개최했다.

3. 음악 스타일

구루 구루는 드러머 마니 노이마이어와 베이시스트 울리 트렙테가 스위스 프리 재즈 피아니스트 이레네 슈바이처 트리오에서 함께 활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결성되었다. 초기에는 '구루 구루 그루브'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으며, 이들은 실험적인 스페이스 록을 추구했다.[1] 밴드의 음악은 기본적으로 사이키델릭 록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으며, 지미 헨드릭스, 프랭크 자파, 아서 브라운, 롤링 스톤스, 초기 핑크 플로이드와 같은 아티스트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1]

1969년 전 아지테이션 프리의 기타리스트였던 악스 겐리히가 합류하고 그룹 이름을 '구루 구루'로 줄이면서 강력한 3인조 프리 록 트리오로 변모했다. 당시 음악 잡지들은 이들을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나 크림에 비견하기도 했다. 1970년 발표된 첫 앨범 『UFO』는 강력한 기계음을 담은 사이키델릭 록 음반이었고, 이듬해 발표된 2집 『Hinten』은 유명 프로듀서 코니 플랑크의 손을 거쳐 좀 더 정돈되고 듣기 편한 스페이스 재즈 록 사운드를 선보였다. 1972년의 3집 『캉구루』에서는 다운 템포의 스페이스 록과 전작의 연장선에 있는 재즈 록을 레코드 양면에 나누어 담았다.

밴드의 핵심 멤버인 마니 노이마이어는 독창적인 드럼 연주 스타일로 유럽 재즈 록 씬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는 구루 구루 외에도 Tiere der Nacht, The Psychedelic Monsterjam, 다모 스즈키의 네트워크, 글로브 유니티 오케스트라, 하모니아, 애시드 마더스 구루 구루, Voodootrance, Lover 303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구루 구루는 아몬 뒬,[1] ,[1] 숄 캐러밴 등 동시대 독일 밴드들과 긴밀히 교류하며 함께 잼 세션을 갖기도 했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 구루 구루의 라이브 공연은 좌파적 성향을 강하게 띠었다. 초기 라이브 중 일부는 '사회주의 독일 학생 연합'이 운영했으며, 연주 중간에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은 글을 낭독하고 때로는 교도소에서 공연하기도 했다. 이들의 공연은 전위적이고 아나키즘적인 성격이 강했으며, 일부 멤버들은 독일 오덴발트 지역의 코뮌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환각제를 실험하기도 했다. "Der LSD-Marsch"(Der LSD-Marsch|데어 엘에스데-마르슈de, LSD 행진)라는 제목의 곡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밴드의 성향을 반영한다. 마니 노이마이어는 매년 오덴발트의 핀켄바흐에서 열리는 크라우트록 페스티벌의 주요 조직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

4. 구성원

(내용 없음)

4. 1. 현재 구성원


  • 마니 노이마이어 - 드럼, 보컬 (1968년– )
  • 롤란드 셰퍼 - 기타, 색소폰, 보컬 (1975년–1982년, 1995년– )
  • 페터 큠슈테트 - 베이스, 보컬 (1977년–1979년, 1993년– )
  • 얀 린드크비스트 - 기타, 보컬 (2016년– )


마니 노이마이어(드럼) 2006년


롤란드 셰퍼(기타) 2006년


페터 큠슈테트(베이스) 2006년

4. 2. 이전 구성원

wikitext

이름담당 악기활동 기간
에디 네겔리(Eddy Naegeli)기타1968년
울리 트렙테(Uli Trepte)베이스1968년–1972년
악스 겐리히(Ax Genrich)기타1970년–1973년
한스 하르트만(Hans Hartmann)베이스1973년, 1974년
브루노 샤프(Bruno Schaab)베이스1973년
코니 바이트(Conny Veit)기타1973년, 1974년
후샹 네야데푸르(Houschäng Nejadepour)기타1974년
요기 카르펜키엘(Jürgen "Jogi" Karpenkiel)베이스1975년–1977년
잉고 비쇼프(Ingo Bischof)키보드1975년–1981년
헬무트 하틀러(Hellmut Hattler)베이스1975년–1981년, 2008년
제프 얀드리시츠(Josef "Sepp" Jandrisits)기타1975년–1977년
페터 볼브란트(Peter Wolbrandt)기타1975년, 1983년
토미 골드슈미트(Tommy Goldschmidt)드럼1975년–1977년
얀 프리데(Jan Fride)드럼1975년, 1988년, 2007년
게르트 두덱(Gerd Dudek)색소폰1975년
디터 본슐레겔(Dieter Bornschlegel)기타, 보컬1977년–1979년, 1994년–1997년
미셸 필츠(Michel Pilz)클라리넷1977년
부체 피셔(Butze Fischer)드럼, 보컬1979년–1983년
제럴드 루치아노(Gerald Luciano Hartwig)베이스1979년–1981년
하인츠 겜버스(Heinz Gembus)베이스1981년, 1995년
차우메이어(Chowmeier)베이스, 기타1983년
바바라 라르(Barbara Lahr)기타, 보컬1984년–1988년, 1993년
롤프 샤우데(Rolf Schaude)베이스, 드럼1984년, 1985년, 1993년
르크 제발트(Jörg Sebald)베이스1997년
에르빈 디츠너(Erwin Ditzner)드럼1985년–1988년, 1993년
울리 크루크(Uli Krug)베이스1985년–1988년
리세 크라우스(Lise Kraus)보컬1987년–1989년, 2005년
비튼 위토(Wietn Wito)베이스1987년, 1988년
요 바이나크(Jo Weineck)키보드1987년, 1988년
울리 츠플레(Uli Züfle)색소폰1987년, 1988년, 1993년
루이지 아르케티(Luigi Archetti)기타1989년–2005년, 2008년
라젬 뤼벨(Razem Rübel)베이스1993년
위르겐 엥글러(Jürgen Engler)기타1997년, 2008년
다모 스즈키(Kenji "Damo" Suzuki)보컬1999년
미하엘 카롤리(Michael Karoli)기타, 보컬1999년
디터 뫼비우스(Dieter Moebius)키보드2008년
크리스 카러(Chris Karrer)바이올린, 보컬2008년
한스 레페르트(Hans Reffert)기타, 보컬1988년, 1997년–2000년, 2005년–2016년 (2016년 사망)


5. 음반 목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비워둠)

5. 1. 정규 앨범

wikitext

발매 연도원제한국어 제목 (알려진 경우)비고
1970UFO'UFO'
1971Hinten'힌텐'
1971'Live in Germany 71''라이브 앨범
1972Känguru'캉구루'
1973Guru Guru'이상한 나라의 구루 구루'
1973'Dont Call Us, We Call You'''돈 콜 어스, 위 콜 유'
1974Dance of the Flames'댄스 오브 더 플레임스'
1974Der Elektrolurch더블 LP
1975Mani und seine Freunde'마니와 그의 친구들'
1976Tango Fango'탱고 팡고'
1977Globetrotter
1978Live'라이브'라이브 앨범, 더블 LP
1979Hey du'헤이 두!'
1981Mani in Germani'마니 인 저마니'
1983Mani Neumeiers neue Abenteuer일명 Guru Mani ...
1987Jungle'정글'
1988Guru Guru 88구루 구루 88'
1988Live 72라이브 앨범 (1972년 녹음)
1992Shake Well'셰이크 웰'카세트테이프 (MC)
1993Shake Well'셰이크 웰'
1995Wah Wah'와 와'
1996Mask한정판
1997Moshi Moshi'모시 모시'
199830 Jahre Live'탄생 30주년 기념제(GURU GUGU 98 LIVE)'라이브 앨범 (Live 98), 3CD 세트 또는 더블 LP
20002000 Gurus'2000 회전!'
2003Essen 1970'에센 1970'라이브 앨범 (1970년 녹음)
2005In the Guru Lounge'도사의 사교 방'
2007Wiesbaden 1972라이브 앨범 (1972년 녹음)
2008PSY
2009Live on tour 2008라이브 앨범
2009Wiesbaden 1973라이브 앨범 (1973년 녹음)
2011Doublebind
2013Electric Cats
2014Live at Lido라이브 앨범
2016Acid Guru Pond스플릿 앨범: Bardo Pond, Guru Guru, Acid Mothers Temple
2016The Birth of Krautrock
2018Rotate!
2020Live in China라이브 앨범
2023Incredible World Of Guru Guru


5. 2. 라이브 앨범

wikitext

발매 연도앨범 제목비고
1978Live2 LP
1988Live 72
1999Live 983-CD 세트, 2 LP
2003Essen 1970라이브
2007Wiesbaden 1972라이브
2009Live on tour 2008
2009Wiesbaden 1973라이브
2011'Live in Germany 71''
2014Live at Lido
2020Live in China


6. 한국과의 관계

구루 구루는 1996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첫 내한 공연을 가졌다. 이후 밴드의 리더인 마니 노이마이어는 솔로 명의를 포함하여 여러 차례 한국에서 공연을 이어갔다[2]2017년에는 첫 내한 20주년을 기념하여 마니 노이마이어를 초청한 기념 라이브를 개최했다.

참조

[1] 서적 The Guinness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Guinness Publishing 1992
[2] 웹사이트 ゆら帝亀川千代、後藤まりこらマニ・ノイマイヤー来日公演参加 ナタリー 2012-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