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성 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성 관리(CM)는 시스템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실무로, 1950년대 미국 국방부에서 하드웨어 관리를 위해 시작되었다. 이후 군사 표준을 거쳐 산업 표준으로 발전했으며, 시스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다. 구성 관리는 구성 관리 계획 및 관리, 구성 식별, 구성 제어, 구성 상태 회계, 구성 확인 및 감사의 5가지 주요 분야로 나뉜다.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는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전반을 관리하는 체계로, 변경 사항 관리, 무결성 유지, 추적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ITIL은 구성 관리 데이터베이스(CMDB)의 사용을 권장하며, 정보 보증 및 유지보수 시스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건설 분야에서도 대규모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구성 관리가 활용되고 있다. 구성 관리는 ANSI/EIA-649, ISO 10007 등 다양한 표준에 의해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전 관리 시스템 -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는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재단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PHP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위키 엔진으로, 확장성, 다양한 기능, 사용자 지정 용이성 등을 바탕으로 위키 기반 웹사이트 구축 및 관리에 기여한다.
  • 버전 관리 시스템 - 깃 (소프트웨어)
    깃은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빠른 분기 및 병합, 분산 개발 환경 지원, 대규모 프로젝트 처리 효율성 등의 특징을 가지며, 깃허브, 깃랩 등에서 서비스되며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소프트웨어 공학 - 통합 개발 환경
    통합 개발 환경(IDE)은 코드 편집, 빌드, 디버깅 등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여러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 소프트웨어 공학 -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은 요구사항 분석, 설계, 코딩, 테스트, 배포, 유지보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법론과 도구가 사용되며, 개발자 외에도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구성 관리

2. 역사

구성 관리는 1950년대 미국 국방부에서 하드웨어 품목에 대한 기술 관리 규율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물질적인 재료 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점차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되었다.

구성 관리(CM) 프로세스는 1960년대 후반, 미국 국방부가 "480 시리즈"로 불리는 일련의 미국 군사 표준(MIL 규격, 예: MIL-STD-480, MIL-STD-481, MIL-STD-483)을 개발하면서 독자적인 기술 분야로 자리 잡았다. 이 표준들은 1970년대에 발행되었다.

1991년, "480 시리즈"는 MIL-STD-973이라는 하나의 규격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표준화 단체(SDO)가 제정한 일반적인 산업 규격을 도입하여 군 고유 규격 수를 줄이려는 미국 국방부의 방침에 따라, MIL-STD-973은 MIL–HDBK–61로 대체되었다.[7][40] 이 과정은 현재 구성 관리 분야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고 인정받는 기술 표준인 ANSI–EIA–649–1998의 제정으로 이어졌다.[8][41]

현재 구성 관리의 개념은 시스템 공학(SE), 통합군수지원(ILS), 능력 성숙도 모델 통합(CMMI), ISO 9000, PRINCE2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COBIT, ITIL, 제품 수명 주기 관리,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 관리 등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구성 관리를 사서 활동과 유사하게 보고, 변경 제어 또는 변혁 관리를 별도의 독립적인 규율로 구분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분야에서는 1998년에 ISO/IEC TR 15846:1998 '정보 기술 --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 프로세스 -- 구성 관리'라는 표준 기술 문서(technical report)가 발행되었으나, 시험 사용 후 2007년에 폐지되었다. 이는 군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부서를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는 너무 상세하여 적용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3. 구성 관리의 주요 분야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 항목 모두에 대한 구성 관리 프로세스는 MIL–HDBK–61A[12] 및 ANSI/EIA-649에서 정의된 대로 다음의 5가지 주요 분야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야들은 기준선 설정, 변경 관리 및 제어, 진행 상황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기 위한 정책 및 절차로 활용된다. IEEE 12207 표준의 IEEE 12207.2 프로세스에도 이러한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추가적으로 "릴리스 관리 및 제공" 활동이 정의되어 있다.

5가지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구성 관리 계획 및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Planning and Management)

# 구성 식별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CI)

# 구성 제어 (Configuration Control)

# 구성 상태 회계 (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 CSA)

# 구성 확인 및 감사 (Configuration Verification and Audit)

3. 1. 구성 관리 계획 및 관리

`MIL–HDBK–61A`[12] 및 `ANSI/EIA-649` 등에서 정의된 구성 관리 프로세스의 5가지 분야 중 하나로, 구성 관리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공식 문서 및 계획 수립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들이 포함된다.

  • 인력 구성 계획
  • 책임 및 자원 배분 계획
  • 교육 요구 사항 정의
  • 행정 회의 지침 (절차 및 도구 정의 포함)
  • 기준선 설정 및 관리 프로세스
  • 구성 제어 및 구성 상태 회계 절차
  • 명명 규칙 정의
  • 감사 및 검토 절차
  • 하청업체 및 벤더에 대한 구성 관리 요구 사항 명시

3. 2. 구성 식별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CI)

구성 식별(Configuration Identification, CI)은 시스템이나 하위 시스템의 구조(아키텍처), 구성 요소, 그리고 개발 과정의 각 시점을 명확히 정의하는 기준선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활동이다. 이 기준선은 시스템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식별하고 문서화하는 기초가 된다. 이를 통해 설계, 개발, 테스트, 최종 배송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다.

구성 식별은 시스템의 전체 수명 주기(개발, 생산, 배포, 운영 지원, 폐기) 동안 시스템과 그 구성 항목(CI)의 구성 상태 회계(CSA)에 대한 결정적인 현재 기반을 점진적으로 설정하고 유지 관리한다.

3. 3. 구성 제어 (Configuration Control)

구성 제어는 모든 변경 요청 및 변경 제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승인 또는 거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6] 이는 시스템설계,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문서에 대한 수정 사항을 통제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6]

3. 4. 구성 상태 회계 (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 CSA)

구성 상태 회계(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 CSA)는 구성 관리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이 활동은 제품의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구성 항목(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에 대한 설명과, 정해진 기준선에서 벗어나는 모든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보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어떤 부분이 언제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추적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 중 문제가 발생하거나 의심될 경우, CSA 기록을 통해 현재 시스템의 기준선 구성 정보와 그동안 승인된 변경 내역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문제 원인 파악 및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5. 구성 확인 및 감사 (Configuration Verification and Audit)

구성 확인 및 감사는 구성 관리의 5가지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이는 개발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사전에 정의된 성능 요구 사항, 관련 상업 및 군사 표준, 그리고 기능적, 할당된, 제품 기준선과 일치하는지를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다.[6]

특히 구성 감사는 시스템이나 하위 시스템이 공식적인 아키텍처 기준선으로 승인되기 전에, 해당 시스템의 구성 관련 문서들이 실제 기능적 성능 특성 및 물리적 특성과 정확하게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활동을 포함한다.[6][35] 이 과정을 통해 문서와 실제 시스템 간의 불일치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4.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CM)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CM)는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뿐만 아니라 개발 환경, 빌드 구조 등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된 환경 전반의 내역을 관리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BOM(Bill of Materials)을 운영하는 체제를 가리키며, 산업 공학이나 생산 시스템에서 다루는 제조 공정 개념을 소프트웨어 공학에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SCM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결과물(바이너리)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아이템)들과 작업 방식(공정)을 정의하고, 이를 다시 만들어낼 수 있도록 전반적인 환경까지 베이스라인으로 설정하여 관리하는 방식 전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리 방식을 체계화한 것을 형상 관리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SCM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최상의 해결책으로 여겨진다.[6] SCM의 주요 목표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속성과 물리적 속성을 각 시점별로 명확하게 식별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이러한 속성에 대한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무결성과 추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6] SCM 프로세스의 주요 단계로는 구성 식별, 구성 제어, 구성 상태 기록, 구성 감사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6]

4. 1. SCM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적인 접근 방식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6] SCM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수명 주기에 걸쳐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 물리적 속성을 시점별로 명확히 식별하고, 식별된 속성에 대한 변경을 체계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무결성과 추적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

또한 SCM 프로세스는 변경 사항 추적의 필요성을 정의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프트웨어에 예정된 모든 개선 사항과 기능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6] 성공적인 SCM 구현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절차를 정의하고 수행해야 한다.[6]

  • 구성 식별
  • 구성 제어
  • 구성 상태 기록
  • 구성 감사


이러한 용어와 세부 정의는 사용되는 표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개념과 목적은 동일하다.[6]

4. 1. 1. 구성 식별

구성 식별(Configuration Identification, CI)은 구성 관리의 핵심 절차 중 하나로, 관리 대상이 되는 시스템이나 제품, 즉 구성 항목(Configuration Item, CI)의 모든 기능적 및 물리적 속성을 정의하고 식별하는 프로세스이다. 구성 항목은 최종 사용자를 위한 목적을 가진 제품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시스템이나 서브 시스템의 아키텍처, 구성 부품, 그리고 특정 시점에서의 개발 요구 사항 등을 명확히 정의한다. 식별된 속성들은 관련 문서에 상세히 기록되며, 이는 시스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선(Baseline) 설정의 기초가 된다.

일단 기준선이 설정되면, 이후 해당 속성에 대한 모든 변경은 공식적인 구성 제어 프로세스를 통해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구성 식별을 통해 정의된 정보는 시스템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구성 상태 기록(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 CSA)의 기반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설계 단계부터 배포 및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시스템 구성 요소에 대한 일관성과 추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4. 1. 2. 구성 제어

구성 제어(Configuration Control영어)는 구성 관리의 핵심 프로세스 중 하나로,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기준선이 설정된 후 발생하는 모든 변경 사항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이는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 관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제어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 변경 요청 관리: 시스템의 설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관련 문서 등에 대한 모든 변경 요청이나 제안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 변경 평가 및 승인: 접수된 변경 요청의 타당성,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여 변경을 승인(채택)할지 또는 거부(불채택)할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는 공식적인 승인 절차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 설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문서 등의 변경을 체계적으로 제어한다.
  • 변경 구현 통제: 승인된 변경 사항이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관리하고, 변경된 속성이 새로운 기준선에 반영되도록 한다.


즉, 구성 제어는 구성 항목의 속성을 변경하고 새로운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절차와 승인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에서는 형상 식별, 형상 통제(구성 제어), 형상 상태 기록, 형상 감사의 네 가지 주요 프로세스 중 하나로 정의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구성 관리 프로세스에서도 구성 식별, 구성 제어, 구성 현황 기록, 구성 검증 및 감사와 함께 5가지 기본 규칙 중 하나로 강조된다. (MIL–HDBK–61AANSI/EIA-649 참고)

4. 1. 3. 구성 상태 기록

구성 상태 기록(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CSAeng)은 각 구성 항목(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과 관련된 구성 기준선을 언제든지 기록하고 보고하는 기능 또는 프로세스이다.[1][2] 이는 설계 및 제조 단계에서 기준선으로부터 벗어난 모든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보고하는 것을 포함한다.[3]

구성 상태 기록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3]

  • 구성 요소의 현재 상태와 변경 이력을 추적한다.
  •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문제가 기준선 구성과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이후에 적용된 변경 사항과 관련된 것인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무결성과 추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4. 1. 4. 구성 감사

구성 감사는 구성 관리 및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 프로세스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로, 개발된 제품이나 시스템이 정해진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구성 감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기능 구성 감사 (Functional Configuration Audit, FCA): 구성 항목(CI)이 요구되는 기능 및 성능 요구사항을 실제로 충족하는지 검증한다. 즉, 제품이 설계된 대로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한다.
  • 물리적 구성 감사 (Physical Configuration Audit, PCA): 구성 항목(CI)이 관련 설계 문서(예: 상세 설계 사양)에 명시된 대로 정확하게 구현되고 문서화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제품이 문서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게 만들어졌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감사는 일반적으로 제품을 사용자에게 인도하는 시점이나, 시스템에 변경 사항을 적용하는 시점에 수행된다. 구성 감사의 목적은 시스템이나 하위 시스템을 기준선에 포함시키기 전에, 해당 구성 관련 문서가 실제 제품의 기능적, 물리적 특성과 정확하게 일치하는지를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5. 구성 관리 데이터베이스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CMDB)

ITIL(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은 구성 관리를 위한 업계 모범 사례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 관리 시스템(CMS) 또는 구성 관리 데이터베이스(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 CMDB)의 사용을 명시하고 있다. CMDB는 구성 항목(Configuration Item, CI)과 해당 항목 간의 종속성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CI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랙, 네트워크 장치, 스토리지, 그리고 이러한 항목 내의 구성 요소 등 추적하고 관리할 가치가 있는 기업 내 항목을 나타낸다. CMS는 CMDB의 연합 컬렉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CMS/CMDB의 장점으로는 근본 원인 분석, 영향 분석, 변경 관리, 미래 상태 전략 개발을 위한 현재 상태 평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구성 관리(CM)는 단일 서버만큼 간단하거나 전체 IT 부서만큼 복잡할 수 있는 IT 시스템 내의 모든 개별 CI를 추적하는 ITIL 특정 ITSM 프로세스이다. 대규모 조직에서는 구성 관리자가 CM 프로세스를 감독하고 관리하도록 임명될 수 있다. ITIL 버전 3에서는 이 프로세스의 이름이 서비스 자산 및 구성 관리로 변경되었다.

6. 정보 보증 (Information Assurance, IA)에서의 구성 관리

정보 보증(Information Assurance, IA)과 관련하여 구성 관리(CM)는 정보 시스템의 수명 주기 동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문서, 테스트, 테스트 설비 및 테스트 문서에 가해지는 변경 사항을 통제함으로써 보안 기능과 보증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13][42] 정보 보증에서의 구성 관리는 Secure Configuration Management(SCM), 즉 안전 구성 관리라고도 불린다. 이는 IT 플랫폼 및 제품의 성능, 기능, 물리적 속성과 그것들이 놓인 환경을 기반으로 시스템 구성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보안 기능과 보증 수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기업 내부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경계 방화벽과 내부 부서 간 방화벽은 요구되는 구성이 다를 수 있다.

7. 유지보수 시스템에서의 구성 관리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구성 관리는 복잡한 자산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소 비용으로 최상의 서비스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자산이나 부품이 계획된 수명을 넘기거나 품질 저하로 인해 갑작스러운 운영 중단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군대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활동을 '임무 준비태세'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는 어떤 자산이 특정 임무에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항공모함에 탑재된 항공기가 지상 지원용 폭탄을 장착했는지, 방어용 미사일을 장착했는지 등을 관리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7. 1. 예방 정비 (Preventive Maintenance)

자산과 주요 구성 요소의 '현재 상태'를 이해하는 것은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 활동의 핵심이며, 전사적 자산 관리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예방 정비(Preventive maintenance)의 필수 요소이다. 구성 관리는 복잡한 자산의 상태를 파악하여 최소 비용으로 최고의 가용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자산이나 그 일부가 계획된 수명을 넘기거나 품질 저하로 인해 운영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10][11]

항공기, 선박, 산업 기계와 같이 복잡한 자산의 가용성은 다양한 구성 요소의 정비 가능성에 달려 있다. 이 정비 가능성은 각 부품이 새것일 때부터 장착, 수리 후 사용된 정도, 전체 수명 동안의 사용량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각 부품의 남은 수명을 파악하는 것은 과거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 기록 관리 작업이었으나, 최근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효율성이 높아졌다.

7. 2. 예지 정비 (Predictive Maintenance)

많은 종류의 부품은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전자 센서를 사용한다. 이 데이터는 컴퓨터를 이용해 기기 내부 또는 원격지에서 분석된다. 분석 과정에서는 현재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과거 고장 사례나 모델링, 평균 고장 간격 등을 기반으로 잠재적인 미래 고장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미래 상태를 예측한다. 이러한 방식이 바로 Predictive Maintenance|예지 정비영어(또는 예지 보전)의 기본 원리이다.

8. 표준

구성 관리는 시스템의 수명 주기 동안 성능, 기능, 물리적 속성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중요한 활동이다. 시스템이 의도대로 작동하고 변경 사항이 체계적으로 관리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들이 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다.[6][35]

구성 관리 기법은 1950년대 미국 국방부에서 군용 하드웨어 관리를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미국 군사 표준(MIL 규격)인 이른바 "480 시리즈"(MIL-STD-480 등)가 제정되면서 독자적인 기술 분야로 자리 잡았다. 1991년 이 표준들은 MIL-STD-973으로 통합되었으나, 이후 산업계 표준을 장려하는 미국 국방부의 정책에 따라 표준화 기구(SDO)가 제정한 민간 표준인 ANSI–EIA–649로 대체되었다.[7][40] ANSI/EIA-649는 현재 구성 관리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는 표준 중 하나이다.[8][41]

오늘날 구성 관리 개념은 시스템 엔지니어링(SE), 통합군수지원(ILS), 역량 성숙도 모델 통합(CMMI), ISO 9000, Prince2, COBIT, ITIL, 제품 수명 주기 관리(PLM),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 관리(ALM) 등 다양한 분야와 방법론에 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구성 관리를 지원하거나 포함하는 주요 표준들은 다음과 같다.[19]


  • ANSI–EIA–649: 구성 관리에 대한 국가/글로벌 합의 표준 (예: ANSI/EIA-649-1998, EIA-649-A 2004, TechAmerica/ANSI EIA-649-B 2011, SAE EIA-649-C 2019)
  • ISO 10007: 품질 관리 시스템 – 구성 관리를 위한 지침 (예: ISO 10007:2003, ISO 10007:2017)
  • IEEE 828: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구성 관리에 대한 표준 (예: IEEE 828-2012)
  • IEEE 829: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테스트 문서화 표준
  • NATO 표준:
  • STANAG 4427: 시스템 수명 주기 관리에서의 구성 관리
  • ACMP 2000: 구성 관리 정책
  • ACMP 2009: 구성 관리 지침[21]
  • ACMP 2100: 구성 관리 계약 요구 사항
  • STANAG 4159: NATO 다국적 공동 프로젝트를 위한 자재 구성 관리 정책 및 절차
  • CMMI: 개발을 위한 역량 성숙도 모델 통합 – 구성 관리 프로세스 영역
  • MIL-HDBK-61: 구성 관리 지침 (예: MIL-HDBK-61B, 2020년)[12]
  • GEIA-836: 구성 관리 데이터 교환 및 상호 운용성 표준 (EIA-836)
  • CMII-100E: 기업 구성 관리를 위한 CMII 표준[22]
  • ITIL: 서비스 자산 및 구성 관리
  • ISO/IEC 20000: 정보 기술 – 서비스 관리 (예: ISO/IEC 20000-1:2011, ISO/IEC 20000-1:2018)
  • ECSS-M-ST-40: 우주 프로젝트를 위한 구성 및 정보 관리 (예: ECSS-M-ST-40C Rev.1)[24]
  • 폐지된 표준:
  • MIL-STD-973: 구성 관리 (2000년 9월 20일 폐지)[20]
  • MIL-STD-3046: 구성 관리 (2015년 6월 1일 폐지)
  • ISO/IEC TR 15846:1998: 정보 기술 –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 프로세스 – 구성 관리 (2007년 폐지)


이 외에도 연방 표준 1037C, ANSI/EIA-632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GEIA-HB-649 (구성 관리 구현 가이드) 등 관련 표준 및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23]

9. 건설 분야에서의 구성 관리

구성 관리는 매우 복잡하고 문서화해야 할 세부 사항과 변경 사항이 많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도 적용된다. 설계 변경이 자주 발생하므로 구성 관리를 통한 체계적인 문서화가 필요하다. 미국 연방 고속도로 관리청과 같은 건설 기관은 도로 건설 등 사회 기반 시설 프로젝트에 구성 관리를 사용해 왔다.[32][47]

건설 분야의 구성 관리 목적은 프로젝트가 예정된 일정과 예산 내에서 유지되도록 설계 변경, 변경 주문 및 정보 요청(RFI) 등을 문서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리를 위한 건설업용 도구(소프트웨어)도 존재하며, 이를 통해 축적된 정보는 인프라가 완공된 후 유지 보수 및 수정 작업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미국 연방 대중교통청(FTA)의 자금 지원으로 ccsNet이라는 구성 관리 도구가 시험된 사례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로스앤젤레스 군 도시권 교통국(LACMTA)의 레드 라인 1, 2단계 건설(53억달러 규모의 철도 건설 프로젝트)에서 진행되었으며, 구성 관리의 효능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구성 관리를 적용하는 것이 상당한 이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33][48]

참조

[1] 웹사이트 "MIL-HDBK-61A, \"\"Military Handbook: Configuration Management Guidance\"\"" https://assist.daps.[...] Department of Defense 2001-02-07
[2] 웹사이트 "ANSI/EIA-649B, \"\"National Consensus Standard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http://www.geia.org/[...] TechAmerica 2011-04-01
[3] 웹사이트 History and Heritage of Civil Engineering http://live.asce.org[...] 2007-08-08
[4] 웹사이트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What is Civil Engineering http://www.ice.org.u[...] 2007-09-22
[5]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the Federal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FTA) National Lessons Learned Program" http://www.pacotechn[...] 2007-09-22
[6] 웹사이트 Systems Engineering Fundamentals http://www.dau.mil/p[...]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Press 2012-03-25
[7] 웹사이트 "Memorandum,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 A New Way of Doing Business" https://acc.dau.mil/[...] Secretary of Defense 2012-03-23
[8]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Compliance Validation: Critical Review and Technology Assessment(CR/TA)Report" http://www.cs.wcupa.[...]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01-05-14
[9] 웹사이트 Guide to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s (CMDBs) https://www.atlassia[...] 2021-07-20
[10] 간행물 Getting started with IT asset management https://ieeexplore.i[...] 2001-06-01
[11] 웹사이트 The ISO 19770-1 standard: A guide to implementing IT asset management https://blog.shi.com[...] 2021-07-20
[12] 웹사이트 Military Handbook: Configuration Management Guidance http://www.product-l[...] Department of Defens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6-07-21
[13] 문서 National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Glossary
[14] 웹사이트 Getting Started with Configuration Management. ;login: issue: April 2011, Volume 36, Number 2 https://www.usenix.o[...] 2012-11-23
[15] 간행물 Choosing between the leading open source configuration managers http://www.admin-mag[...] Linux New Media USA LLC 2014-11-14
[16] 문서 M. Burgess, Cfengine: a site configuration engine, USENIX Computing systems, Vol8, No. 3 1995 https://www.usenix.o[...]
[17] 웹사이트 M. Burgess, On the theory of system administration, Science of Computer Programming 49, 2003. p1-46 http://research.iu.h[...]
[18] 웹사이트 M. Burgess, Configurable immunity for evolving human-computer systems, Science of Computer Programming 51 2004, p197-213 http://research.iu.h[...]
[19] 웹사이트 NISTIR 7339 Analysis of Standards for Lifecycle Management of Systems for US Army http://www.mel.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5-11-25
[20] 웹사이트 ASSIST-QuickSearch - Basic Profile https://assist.daps.[...] 2011-09-27
[21] 웹사이트 http://nso.nato.int/[...]
[22] 웹사이트 Standards for CM | Institute of Configuration Management http://www.icmhq.com[...] 2012-05-02
[23]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Standards: an extensive list of CM and related industry standards http://cmpic.com/con[...]
[24] 웹사이트 "ECSS-M-ST-40C Rev.1 – Configu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6 March 2009) | European Cooperation for Space Standardization" https://ecss.nl/stan[...]
[25] 웹사이트 "IEEE 828-2012 - IEEE Standard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in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 https://standards.ie[...]
[26] 웹사이트 ISO 10007:2017(en) Quality management — Guidelines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https://www.iso.org/[...] 2023-11-29
[27] 웹사이트 ASSIST-QuickSearch Document Details https://quicksearch.[...] Quicksearch.dla.mil 2022-08-28
[28] 웹사이트 ASSIST-QuickSearch Document Details https://quicksearch.[...] Quicksearch.dla.mil 2022-08-28
[29] 웹사이트 Defense Acquisition Guidebook [DAG] https://dag.dau.mil/[...] 2013-02-13
[3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au.mil/p[...] 2022-01-11
[31]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Plan https://acqnotes.com[...]
[32]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Handbook" http://www.everyspec[...] 2012-03-28
[33]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Case Study" http://www.pacotechn[...] 2012-03-28
[34] 웹사이트 "MIL-HDBK-61A, \"\"Military Handbook: Configuration Management Guidance\"\"" https://assist.daps.[...] Department of Defense 2012-03-24
[35] 웹사이트 "ANSI/EIA-649B, \"\"National Consensus Standard for Configuration Management\"\"" http://www.geia.org/[...] TechAmerica 2012-03-24
[36] 웹사이트 History and Heritage of Civil Engineering http://live.asce.org[...] 2007-08-08
[37] 웹사이트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What is Civil Engineering http://www.ice.org.u[...] 2007-09-22
[38]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the Federal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FTA) National Lessons Learned Program" http://www.pacotechn[...] 2007-09-22
[39] 웹사이트 "Systems Engineering Fundamentals" http://www.dau.mil/p[...]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Press 2012-03-25
[40] 웹사이트 "Memorandum,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 A New Way of Doing Business" https://acc.dau.mil/[...] Secretary of Defense 2012-03-23
[41]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Compliance Validation: Critical Review and Technology Assessment(CR/TA)Report" http://www.cs.wcupa.[...]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2001-05-14
[42] 웹사이트 National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Glossary http://www.cnss.gov/[...] Committee on National Security Systems 2003-03-26
[43] 웹사이트 Getting Started with Configuration Management. ;login: issue: April 2011, Volume 36, Number 2 https://www.usenix.o[...] 2012-11-23
[44] 간행물 Cfengine: a site configuration engine http://www.iu.hio.no[...]
[45] 간행물 On the theory of system administration http://research.iu.h[...]
[46] 간행물 Configurable immunity for evolving human-computer systems http://research.iu.h[...]
[47]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Handbook http://www.everyspec[...] 2012-03-28
[48] 웹사이트 Configuration Management Case Study http://www.pacotechn[...] 2012-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