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아니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아니딘은 3개의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된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이다. 구아니딘은 플라스틱, 폭약의 원료로 사용되며, 단백질 변성제, 연료 등으로 연구되고 있다. 구아니딘의 짝산인 구아니디늄 이온은 수용액에서 안정적인 +1 양이온으로 존재하며, 다양한 유도체를 생성한다. 구아니딘은 1861년 아돌프 슈트레커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디시안디아미드와 암모늄 염의 반응 또는 아이소티오우로늄 염과 아민의 반응을 통해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유기 화합물 - 요소 (화학)
    요소는 화학식 CO(NH₂)₂을 가지는 무색무취의 결정성 화합물로, 포유류와 양서류의 소변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료, 목재 패널 제조, 배기가스 저감, 단백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1828년 뵐러에 의해 무기물에서 합성된 최초의 유기 화합물이다.
  • 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유기 화합물 - 폼산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인 폼산은 개미 독액에서 처음 발견된 카복실산의 일종으로, 가축 사료 보존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며 메탄올과 일산화 탄소 등으로부터 생산된다.
  • 구아니딘 - 아르기닌
    아르기닌은 높은 염기성을 띠는 아미노산으로, 세포 분열, 상처 치유, 암모니아 제거, 면역 기능 활성화 등 다양한 생체 기능에 관여하며, 요소 회로를 통해 암모니아 해독을 돕고 일산화 질소의 전구체로서 혈압 조절에 기여하며, 식품 섭취나 생합성을 통해 얻을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으로도 판매된다.
  • 구아니딘 -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 산물로,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혈액 및 소변 내 농도 지표이다.
  • 아민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 아민 - 케타민
    케타민은 NMDA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진통, 마취,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지만, 정신과적 부작용, 남용 가능성, 장기 사용 시 독성 위험으로 인해 엄격히 규제되는 아릴시클로헥실아민 유도체이다.
구아니딘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구아니딘의 골격식
구아니딘의 골격식
구아니딘의 골격식 (숨겨진 탄소와 수소 표시)
구아니딘의 골격식 (숨겨진 탄소와 수소 표시)
구아니딘의 공-막대 모형
구아니딘의 공-막대 모형
구아니딘의 공간 채움 모형
구아니딘의 공간 채움 모형
IUPAC 명칭구아니딘
다른 이름이미노메탄디아민
IUPHAR 리간드4783
CAS 등록번호113-00-8
PubChem CID3520
ChemSpider ID3400
UNIIJU58VJ6Y3B
EINECS204-021-8
DrugBankDB00536
MeSH 이름구아니딘
ChEBI42820
ChEMBL821
Beilstein 등록번호506044
Gmelin 등록번호100679
SMILESNC(N)=N
표준 InChI1S/CH5N3/c2-1(3)4/h(H5,2,3,4)
표준 InChIKeyZRALSGWEFCBTJO-UHFFFAOYSA-N
화학적 성질
분자식CH5N3
녹는점50 °C
pKb0.4
짝산구아니디늄
LogP-1.251
pKa13.6
열화학
표준 생성 엔탈피−57 – −55 kJ·mol−1
연소열−1.0511 – −1.0531 MJ·mol−1
약리학
반감기7–8 시간
위험성
LD50 (랫트, 경구)475 mg/kg
관련 화합물
관련 화합물요소
비구아니드

2. 성질

구아니딘은 3개의 질소 원자에 결합되고, 양전하가 분산되어 안정화되므로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pKa = 12.5).[12] 생리적 조건에서는 양성자화된 +1가의 양이온(구아니디늄 이온)으로 존재한다. 공명에 의해 짝산의 양전하가 3개의 질소 위에 비편재화될 수 있어서 안정하다.

2. 1. 구조

구아니딘은 탄산의 질소 유사체로 간주될 수 있다. 즉, 탄산의 C=O기는 C=NH기로 대체되고, 각 OH기는 NH|2영어기로 대체된다.[4] 아이소부텐은 이와 매우 유사하게 탄소 유사체로 볼 수 있다. 구아니딘의 상세한 결정 구조 분석은 분자의 단순성에도 불구하고 최초 합성 148년 후에 밝혀졌다.[5] 2013년에는 단결정 중성자 회절을 사용하여 수소 원자의 위치와 변위 매개변수가 정확하게 결정되었다.[6]

2. 2. 구아니디늄 양이온

구아니딘의 짝산은 '''구아니디늄''' 양이온()이라고 불린다.[12] 이 평면 대칭 이온은 각각 중심 탄소 원자에 결합 차수 4/3의 공유 결합으로 결합된 세 개의 아미노기로 구성된다. 전하의 효율적인 공명 안정화와 물 분자에 의한 효율적인 용매화로 인해 수용액에서 매우 안정적인 +1 양이온이다. 결과적으로 p''K''aH는 13.6[12](구아니딘의 p''K''b는 0.4)인데, 이는 구아니딘이 물에서 매우 강한 염기임을 의미한다. 중성 물에서는 거의 구아니디늄으로만 존재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구아니딘 유도체는 짝산을 포함하는 염이다.

공-막대 모형


공명 혼성체


정규형


구아니딘은 1,2-나프토퀴논-4-술폰산 나트륨(폴린 시약)과 산성화된 요소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13]

3. 생산

구아니딘은 천연 자원에서 얻을 수 있으며, 1861년 아돌프 슈트레커에 의해 처음 분리되었는데, 페루산 구아노에서 분리된 방향족 천연물인 구아닌의 산화적 분해를 통해서였다.[8][7]

구아니딘을 생산하는 실험실 방법은 무수 조건에서 건조한 티오시안산 암모늄의 완만한(180°C~190°C) 열분해이다.

상업적 생산 경로는 디시안디아미드와 암모늄 염의 반응으로 시작하는 2단계 공정을 포함한다. 바이구아니딘의 중간체를 거쳐, 이 암모노리시스 단계는 구아니디늄 양이온의 염을 제공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염을 메톡시화 나트륨과 같은 염기로 처리한다.[8]

아이소티오우로늄 염(S-알킬화된 티오요소)은 아민과 반응하여 구아니디늄 염을 생성한다. 생성된 구아니디늄 이온은 종종 탈 양성자화되어 구아니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발견자인 베른하르트 라트케를 기리기 위해 때때로 라트케 합성이라고 불린다.[10][11]

4. 용도

플라스틱이나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수소 결합을 만들기 쉬운 성질을 이용하여, 생화학 분야에서는 단백질변성제로서 염산염(염화 구아니디늄)이나 티오시안산염(구아니딘 티오시안산염)이 자주 사용된다. 화석 연료를 대체할 연료로서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4. 1. 산업

상업적으로 중요한 주요 염은 질산구아니디늄이며, 에어백과 같은 추진제로 사용된다.

4. 2. 의약

중세 유럽 이래로 구아니딘은 프랑스 라일락의 활성 항고혈당제 성분으로서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었다. 장기간의 간독성으로 인해, 인슐린 발견 이후 혈당 조절을 위한 추가 연구는 처음에는 중단되었다. 이후 비독성, 안전한 비구아니드의 개발로 1950년대 유럽에, 1995년 미국에 도입되어 현재 미국에서 연간 1,700만 명 이상의 환자에게 처방되는 1차 당뇨병 조절 약물 메트포르민이 개발되었다.[14][15]

구아니디늄 클로라이드[14]는 현재 논란이 있는 보툴리즘 치료의 보조제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약물 투여 후 개선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일부 중요한 하위 집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6]

4. 3. 생화학

구아니딘은 생리적 pH에서 양성자화되어 구아니디늄 형태로 존재한다.[12]

염산구아니디늄(구아니딘 염산염)은 카오트로피 성질을 가지며 단백질 변성에 사용된다. 염산구아니디늄은 농도와 자유 에너지의 비선형적 관계를 통해 단백질을 변성시킨다. 6 M 염산구아니디늄 수용액에서 거의 모든 단백질은 전체 2차 구조를 잃고 무작위 코일 펩타이드 사슬이 된다. 구아니딘 티오시안산염 또한 다양한 생물학적 샘플에 대한 변성 효과로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구아니디늄은 박테리아에 의해 독성 부산물로 생성된다. 구아니디늄의 독성을 완화하기 위해 박테리아는 구아니디늄 수출체(Gdx 단백질)를 통해 이온의 과도한 양을 세포 외부로 배출한다.[17] Gdx 단백질은 구아니디늄 및 모노 치환 구아니딜 화합물에 대해 매우 선택적이며 약물 수출체 EmrE와 중첩되는 비정형 기질 집합체를 공유한다.[18]

4. 4. 기타

구아니디늄 수산화물은 일부 무알칼리 헤어 스트레이트너의 활성 성분이다.

5. 유도체

구아니딘의 일반적인 구조


'''구아니딘'''은 일반적인 구조 (R1R2N)(R3R4N)C=N-R5를 공유하는 유기 화합물 그룹이다. 이 그룹 내의 중심 결합은 이민이며, 구조적으로 아미딘 및 요소와 관련이 있다. 구아니딘의 예로는 아르기닌, 트리아자바이사이클로데센, 삭시톡신, 크레아틴 등이 있다.

갈레진은 아이소아밀렌 구아니딘이다.[19]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르기닌은 단백질 내에서 DNA와의 결합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르기닌으로부터 생합성된 구아니디노기를 포함하는 알칼로이드가 알려져 있으며, 삭시톡신이나 테트로도톡신 등 강한 생리 작용을 갖는 것이 많다. 니트로구아니딘은 폭약으로 사용된다.

최근, 아르기닌을 다수 포함하는 펩타이드세포막을 쉽게 투과하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 작용의 근원이 구아니디노기에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구아니디노기를 다수 결합시켜 놓으면 거대 분자량의 단백질이나 인공 분자도 쉽게 세포 내로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약・생화학 분야에서 응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웹사이트 Guanidine hydrochloride https://chem.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08-10
[3] 논문 Plasma concentration and urinary excretion of guanidine derivative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renal failure
[4] 논문 First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guanidine, HN=C(NH(2))(2) 2007-08
[5] 논문 Solid-state structure of free base guanidine achieved at last 2009-06
[6] 논문 Single-Crystal Neutron Diffraction Study on Guanidine, CN3H5
[7] 논문 Untersuchungen über die chemischen Beziehungen zwischen Guanin, Xanthin, Theobromin, Caffeïn und Kreatinin https://zenodo.org/r[...] 2019-07-02
[8] 간행물 Guanidine and Derivatives
[9] 논문 'S''-Methylisothiourea'
[10] 논문 Heinrich Bernhard Rathke. (1840-1923) 1924-10-08
[11] 논문 Ueber Derivate und Constitution des Schwefelharnstoffs https://zenodo.org/r[...] 1881-07
[12] 서적 Dissociation Constants of Organic Bases in Aqueous Solution Butterworths 1972
[13] 논문 A Colorimetric Test for Guanidine 1935-10-01
[14] 논문 Treatment approach to type 2 diabetes: Past, present and future 2018-12
[15]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19 https://clincalc.com[...] 2022-02-17
[16] 서적 Pediatric Anaerobic Infec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Taylor & Francis
[17] 논문 Guanidinium export is the primal function of SMR family transporters 2018-03
[18] 논문 The structural basis of promiscuity in small multidrug resistance transporters 2020-11
[19] 논문 The blooming of the French lilac 2001-10
[20]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1] 웹사이트 Guanidine hydrochloride https://chem.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4-08-10
[22] 웹인용 Guanidine –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2-02-29
[23] 웹사이트 Guanidine hydrochloride http://chem.sis.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