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아티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레아티닌은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혈액 내 농도는 콩팥 기능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크레아티닌은 크레아틴과 포스포크레아틴으로부터 생성되며, 콩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와 소변 내 크레아티닌 농도를 통해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계산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하며,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 계산에도 활용된다.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는 콩팥 기능 평가에 널리 사용되지만, 콩팥 질환의 초기 발견에는 적합하지 않다.
크레아티닌은 주로 사구체 여과를 통해 콩팥에서 제거되지만, 근위 세뇨관에서의 분비도 일어난다. 크레아티닌은 세뇨관에서 거의 재흡수되지 않는다. 콩팥 여과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가 상승한다.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는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일반적인 검사이다.[30][39] 콩팥 기능에 문제가 생겨 기능하는 네프론에 손상이 발생하면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이 증가는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신장 질환을 발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39][40]
2. 생물학적 기전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와 요소의 혈중 농도를 함께 분석하여 콩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혈액요소질소 대 크레아티닌 비율은 콩팥 자체의 문제 외에 다른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에 비해 요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다면 혈량 감소와 같은 콩팥 이전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근육 단백질 합성률과 회전율이 높아 크레아티닌 생성량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이는 성별을 구분하지 않는 GFR 알고리즘에 의문을 제기한다.[10]
2. 1. 생성 과정
혈청 크레아티닌은 콩팥에 의해 변하지 않고 배설되는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쉽게 측정되므로 콩팥 건강의 중요한 지표이다. 크레아티닌 자체는 크레아틴, 포스포크레아틴 및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다.[31]
크레아틴은 주로 간에서 ''S''-아데노실메티오닌에 의해 글리코사이아민(콩팥에서 아미노산인 아르지닌과 글리신으로부터 구아니디노아세트산으로 합성됨)의 메틸화로부터 합성된다. 그런 다음, 혈액을 통해 다른 기관들, 근육 및 뇌로 운반되며, 운반된 기관에서 인산화를 통해 고에너지 화합물인 포스포크레아틴이 생성된다.[39] 크레아틴은 크레아틴 키네이스에 의해 포스포크레아틴으로 전환된다. 크레아티닌의 자발적인 형성은 반응 중에 일어난다.[32]
매일 근육 크레아틴의 1~2%가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된다.[39] 이러한 전환 과정은 비효소적이며, 비가역적이다.[34] 일반적으로 골격근의 질량이 더 크기 때문에, 남성은 여성보다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39] 크레아틴의 식이 섭취 증가 또는 육류와 같은 많은 단백질의 섭취는 크레아티닌의 배설을 증가시킬 수 있다.[39]
2. 2. 배설 과정
크레아티닌은 주로 콩팥(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될 뿐만 아니라 근위 세뇨관에서 분비되어 혈액에서 제거된다. 크레아티닌은 세뇨관에서 거의 재흡수되지 않는다.[33] 콩팥의 여과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혈액과 소변의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사구체 여과율(GFR)과 관련이 있다.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만으로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계산할 수도 있다.[33]
사구체 여과율(GFR)은 콩팥의 기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심각한 콩팥 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근위 세뇨관에서 크레아티닌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제거되는 크레아티닌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이 사구체 여과율(GFR)을 과대평가하게 된다.[33] 케토산, 시메티딘, 트리메소프림은 크레아티닌의 세뇨관 분비를 감소시켜, 특히 심각한 콩팥 기능 장애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GFR) 추정치의 정확도를 높인다.[33]
크레아티닌의 혈중 농도와 요소의 혈중 농도를 함께 분석하면 콩팥 기능에 대한 대략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혈액요소질소 대 크레아티닌의 비율은 콩팥 자체의 문제 외에 다른 문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에 비해 요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다면 혈량 감소와 같은 콩팥 이전의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매일 근육 내 크레아틴의 1~2%가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은 비효소적이고 비가역적이다.[39][34] 일반적으로 골격근의 양이 많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보다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39] 육류와 같이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거나 크레아틴을 많이 섭취하면 크레아티닌 배설이 증가할 수 있다.[39]
2. 3. 항균 및 면역억제 특성
연구에 따르면 크레아티닌은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생제 내성 세균 균주에서 많은 종의 세균을 죽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35] 크레아티닌은 균류와 효모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크레아티닌은 대부분의 환경 시료에서 발견되는 정상적인 세균 개체군으로부터 느리게 자라는 균류를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크레아티닌이 세균을 죽이는 메커니즘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의 보고서는 또한 크레아티닌이 면역억제 특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36][37]
3. 임상적 의의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근육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39] 또한, 육류 섭취량이 많거나[39] 조리된 고기(열에 의해 크레아틴에서 전환된 크레아티닌 함유) 섭취,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단백질 및 크레아틴 보충제 과다 섭취 시 증가할 수 있다.[38] 격렬한 운동은 근육 파괴를 증가시켜 크레아티닌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발열을 동반한 염증 과정에 의한 탈수는 실제 콩팥 손상과 관련 없이 크레아티닌 농도를 잘못 증가시킬 수 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일반적인 기준 범위는 남성의 경우 0.7 ~ 1.2 mg/dL (60 ~ 110 μmol/L), 여성의 경우 0.5 ~ 1.0 mg/dL (45 ~ 90 μmol/L)이다. 그러나 단일 크레아티닌 값은 환자의 근육량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 mg/dL (177 μmol/L)는 근육량이 많은 남성 보디빌더에게는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나타낼 수 있지만, 1.6 mg/dL (110 μmol/L)는 노인 여성에게 심각한 신장 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의 변화 추세가 절대적인 크레아티닌 농도보다 더 중요하다.
심부전 및 만성 신부전 치료를 위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CE 억제제)를 복용하면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ACE 억제제 사용 시 30%를 초과하지 않는 증가는 예상할 수 있으며, 고칼륨혈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약물 사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44]
일반적인 정상치는 다음과 같다:
크레아티닌 농도는 표준 소변 약물 검사 중에 확인된다.[1] 예상되는 크레아티닌 농도는 검사 샘플이 희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반면, 소변 중 소량의 크레아티닌은 검사가 조작되었거나 초기 기준 크레아티닌 농도가 낮음을 나타낸다.[1] 낮은 크레아티닌으로 인해 조작된 것으로 간주되는 검사 샘플은 검사하지 않으며, 때로는 검사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1]
3. 1. 콩팥 기능 평가
혈청 크레아티닌(혈액 측정)은 콩팥에 의해 변하지 않고 배설되는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쉽게 측정되므로 콩팥 건강의 중요한 지표이다. 크레아티닌은 크레아틴, 포스포크레아틴 및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다.[31]
크레아티닌은 콩팥, 주로 사구체에서의 여과뿐만 아니라 근위 세뇨관에서의 분비에 의해 혈액에서 제거된다. 콩팥에서 여과가 잘 일어나지 않으면 혈액의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아진다. 혈액과 소변의 크레아티닌 농도를 이용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사구체 여과율(GFR)과 관련이 있다.
사구체 여과율(GFR)은 콩팥의 기능을 측정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나 심각한 콩팥 기능 장애인 경우, 근위 세뇨관에 의한 크레아티닌의 과분비로 인해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이 사구체 여과율(GFR)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33] 케토산, 시메티딘, 트리메소프림은 크레아티닌의 세뇨관 분비를 감소시켜 사구체 여과율(GFR) 추정치의 정확도를 증가시킨다.
크레아티닌의 혈중 농도와 요소의 혈중 농도를 해석하여 콩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혈액요소질소 대 크레아티닌의 비율은 콩팥 자체의 문제 외에 다른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에 비해 요소 농도가 높아진 경우 부피 감소와 같은 신장전(前)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매일 근육 크레아틴의 1~2%가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된다.[39] 골격근의 질량이 더 크기 때문에, 남성은 여성보다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39] 육류와 같은 단백질 섭취 증가는 크레아티닌 배설을 증가시킬 수 있다.[39]
진단 혈청 크레아티닌 연구는 콩팥 기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30] 기준 간격은 0.6 ~ 1.3 mg/dL (53 ~ 115 µmol/L)이다.[30] 혈청 크레아티닌 측정은 간단한 검사이며, 콩팥 기능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39] 혈액 크레아티닌 농도 증가는 기능하는 네프론에 현저한 손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늦은 마커이므로, 초기 신장 질환 발견에는 적합하지 않다.
2009년 일본 연구에 따르면, 일본 남성에서 낮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42]
혈청 크레아티닌은 신장 기능의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지표이다.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이 항상 사구체 여과율(GFR) 감소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높은 수치는 신장 기능 저하 외에도 크레아티닌 생산 증가, 분석 간섭, 크레아티닌 세뇨관 분비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조리된 육류 섭취 증가나 단백질 및 크레아틴 보충제 과다 섭취는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3. 1. 1. 크레아티닌 청소율 (CrCl)
채혈을 통해 혈청 생화학 검사를 실시하여 혈청 Cr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한다. 요중 Cr 농도는 24시간 뇨 검사를 실시하고, 24시간 뇨 중량을 체중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신장 기능 검사를 하려면 혈청 Cr 값과 요중 Cr 농도로부터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계산한다.
3. 1. 2. 추정 사구체 여과율 (eGFR)
미국 당뇨병학회가 제안한 성별, 연령, 체중, 인종과 같은 변수들과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를 사용하여 24시간 소변 수집 없이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40] 많은 실험실에서는 크레아티닌 검사가 요청될 때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2010년 후반, 새로운 분석 방법론의 채택과 이것이 임상 의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대부분의 임상 실험실은 크레아티닌 측정치를 새롭게 표준화된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과 대조하여 측정한다. 혈청 크레아티닌 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예: 0.7 mg/dL),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은 이전의 방법들보다 낮은 값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가진 일부 환자에서 사구체 여과율(GFR)을 과대 평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유도된 사구체 여과율(GFR)을 기준으로 정상적인 콩팥 기능에서도 몇 가지 약물이 투여되는데, 추가적인 조정 없이는 용량이 원하는 것보다 많아져 약물 관련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미국 식품의약국(FDA) 지침은 화학요법 약물인 카보플라틴의 특정 최대 용량을 제한할 것을 제안했다.[41]
3. 2.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는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크레아티닌은 크레아틴, 포스포크레아틴,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근육 대사의 부산물로, 콩팥에 의해 일정하게 배설되기 때문에 쉽게 측정할 수 있다.[31]
크레아틴은 주로 간에서 ''S''-아데노실메티오닌에 의해 글리코사이아민(아르지닌과 글리신으로부터 합성됨)의 메틸화로부터 합성된다. 이후 혈액을 통해 근육, 뇌 등 다른 기관으로 운반되어 인산화를 통해 고에너지 화합물인 포스포크레아틴이 된다.[39] 크레아틴은 크레아틴 키네이스에 의해 포스포크레아틴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크레아티닌이 형성된다.[32]
크레아티닌은 콩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고 근위 세뇨관에서 분비되어 혈액에서 제거된다. 콩팥에서 재흡수는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콩팥 여과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혈액과 소변의 크레아티닌 농도를 이용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사구체 여과율(GFR)과 관련이 있다. 혈액의 크레아티닌 농도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계산하는 데에도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구체 여과율(GFR)은 콩팥의 기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지만, 심각한 콩팥 기능 장애의 경우 근위 세뇨관에서 크레아티닌이 과분비되어 크레아티닌 청소율(CrCl)이 사구체 여과율(GFR)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33] 케토산, 시메티딘, 트리메소프림은 크레아티닌의 세뇨관 분비를 감소시켜 사구체 여과율(GFR) 추정치의 정확도를 높인다.[33]
혈액요소질소(BUN) 대 크레아티닌 비율은 콩팥 자체의 문제 외에 다른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아티닌에 비해 요소 농도가 높으면 부피 감소와 같은 신장전(前)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매일 근육 크레아틴의 1~2%가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되며, 이 과정은 비효소적이고 비가역적이다.[34] 골격근 질량이 큰 남성은 여성보다 크레아티닌 농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39] 육류와 같은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크레아티닌 배설이 증가할 수 있다.[39]
심부전 및 만성 신부전에 대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CE 억제제)를 복용하면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는 심부전 환자에게 생존에 대한 이점을 제공하고 만성 신부전 환자의 질병 진행 속도를 늦춘다. ACE 억제제 사용 시 혈청 크레아티닌이 30%를 초과하지 않는 증가는 예상할 수 있다.[44]
3. 2. 1. 정상 수치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는 콩팥 기능을 확인하는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이다.[30][39] 콩팥 기능에 문제가 생겨 기능하는 네프론에 손상이 발생하면 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이 증가는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신장 질환을 발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39][40]
콩팥 기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에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와 함께 성별, 나이, 체중, 인종 등의 변수가 사용된다.[40] 많은 검사실에서는 크레아티닌 검사 시 eGFR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최근에는 새로운 분석 방법인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이 도입되면서 혈청 크레아티닌 측정값이 이전보다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콩팥 기능이 정상인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GFR)이 과대평가될 수 있으며, 약물 투여량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41]
일본의 한 연구에 따르면 낮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42]
크레아티닌 수치는 보통 mg/dL(미국, 유럽 일부) 또는 μmol/L(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43], 유럽 일부) 단위로 표시된다. 1mg/dL은 88.4μmol/L이다. 일반적인 기준 범위는 여성의 경우 0.5~1.0mg/dL(약 45~90μmol/L), 남성의 경우 0.7~1.2mg/dL(약 60~110μmol/L)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근육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더 높은 농도를 보일 수 있다.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의 변화 추세가 절대적인 크레아티닌 농도보다 중요하다.
심부전 및 만성 신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CE 억제제)는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30% 이내의 증가는 예상 범위 내이며, 고칼륨혈증이 발생하지 않는 한 약물 사용을 중단할 필요는 없다.[44]
일반적인 정상치는 다음과 같다:
3. 2. 2. 검사 결과 해석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는 콩팥 기능을 평가하는 간단하고 일반적인 검사이다.[30][39] 그러나 콩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근위 세뇨관에서 크레아티닌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사구체 여과율(GFR)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33] 케토산, 시메티딘, 트리메소프림은 크레아티닌의 세뇨관 분비를 감소시켜 사구체 여과율(GFR) 추정치의 정확도를 높인다.[33]혈액 내 크레아티닌 농도 증가는 기능하는 네프론에 현저한 손상이 있을 때 관찰되므로, 초기 신장 질환 발견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와 성별, 연령, 체중, 인종 등의 변수를 사용하여 24시간 소변 수집 없이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계산하여 콩팥 기능을 더 잘 추정할 수 있다.[40] 많은 실험실에서는 크레아티닌 검사 요청 시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자동 계산한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는 근육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39] 또한, 육류 섭취량이 많거나[39] 조리된 고기(열에 의해 크레아틴에서 전환된 크레아티닌 함유) 섭취,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단백질 및 크레아틴 보충제 과다 섭취 시 증가할 수 있다.[38] 격렬한 운동은 근육 파괴를 증가시켜 크레아티닌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발열을 동반한 염증 과정에 의한 탈수는 실제 콩팥 손상과 관련 없이 크레아티닌 농도를 잘못 증가시킬 수 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일반적인 기준 범위는 남성의 경우 0.7 ~ 1.2 mg/dL (60 ~ 110 μmol/L), 여성의 경우 0.5 ~ 1.0 mg/dL (45 ~ 90 μmol/L)이다. 그러나 단일 크레아티닌 값은 환자의 근육량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 mg/dL (177 μmol/L)는 근육량이 많은 남성 보디빌더에게는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나타낼 수 있지만, 1.6 mg/dL (110 μmol/L)는 노인 여성에게 심각한 신장 질환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의 변화 추세가 절대적인 크레아티닌 농도보다 더 중요하다.
심부전 및 만성 신부전 치료를 위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CE 억제제)를 복용하면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ACE 억제제 사용 시 30%를 초과하지 않는 증가는 예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ACE 억제제 사용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44]
3. 3. 소변 크레아티닌 검사
남성은 하루에 체중 1kg당 약 150μmol~200μmol의 크레아티닌을 생성하는 반면, 여성은 약 100μmol~150μmol의 크레아티닌을 생성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하루에 생성되는 모든 크레아티닌은 소변으로 배설된다.[1]크레아티닌 농도는 표준 소변 약물 검사 중에 확인된다.[1] 예상되는 크레아티닌 농도는 검사 샘플이 희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반면, 소변 중 소량의 크레아티닌은 검사가 조작되었거나 초기 기준 크레아티닌 농도가 낮음을 나타낸다.[1] 낮은 크레아티닌으로 인해 조작된 것으로 간주되는 검사 샘플은 검사하지 않으며, 때로는 검사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1]
4. 역사와 최신 동향
크레아티닌 측정법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해왔다. 최근 대부분의 임상 실험실에서는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이라는 새로운 표준화된 방법을 사용하여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한다.[41] 이 방법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을 때 기존 방법보다 더 낮은 값을 제공하며, 일부 환자에게서는 콩팥 기능(사구체 여과율, GFR)을 과대평가할 수 있다.[41]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특정 화학요법 약물인 카보플라틴의 최대 용량을 제한하는 지침을 제안하기도 했다.[41]
최근 연구에 따르면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는 콩팥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의 위험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09년 일본의 한 연구에서는 낮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일본 남성의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42]
4. 1.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 (IDMS)
대부분의 임상 실험실에서는 크레아티닌 측정치를 새롭게 표준화된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과 대조하여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한다. 혈청 크레아티닌 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예: 0.7 mg/dL) IDMS는 이전의 방법들보다 낮은 값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IDMS는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가진 일부 환자에서 상응하는 사구체 여과율(GFR)을 과대 평가할 수도 있다. 유도된 사구체 여과율(GFR)로 인해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가진 환자에게도 몇 가지 약물이 투여된다. 용량을 추가로 변경하지 않으면 원하는 것보다 많을 수 있고, 잠재적으로 약물 관련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IDMS로의 변경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지침은 화학요법 약물인 카보플라틴의 특정 최대 용량을 제한할 것을 제안했다.[41]4. 2. 기타 연구
진단 혈청 크레아티닌 연구는 콩팥 기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30] 기준 간격은 0.6mg/dL ~ 1.3mg/dL (53µmol/L ~ 115µmol/L)이다.[30] 혈청 크레아티닌 측정은 간단한 검사이며, 콩팥 기능에 대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39]혈액의 크레아티닌 농도 증가는 늦은 마커이며, 기능하는 네프론에 현저한 손상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따라서 이 검사는 초기 신장 질환을 발견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콩팥 기능은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계산하여 더 잘 추정할 수 있다.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및 미국 당뇨병학회가 제안한 성별, 연령, 체중, 인종과 같은 변수들을 사용하여 24시간 소변 수집없이 추정 사구체 여과율 eGFR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40] 많은 실험실에서는 크레아티닌 검사가 요청될 때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크레아티닌 농도 및 기타 매개 변수들로부터 사구체 여과율(GFR)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은 콩팥 기능에 대한 논문에서 논의된다.
2010년 후반의 우려는 새로운 분석 방법론의 채택과 이것이 임상 의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임상 실험실은 크레아티닌 측정치를 새롭게 표준화된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과 대조하여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한다. 혈청 크레아티닌 값이 비교적 낮은 경우(예: 0.7mg/dL),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은 이전의 방법들보다 낮은 값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은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일부 환자에서 상응하는 사구체 여과율(GFR)의 비교 과대 평가를 초래할 수도 있다. 유도된 사구체 여과율(GFR)의 정상적인 콩팥 기능에서도 몇 가지 약물이 투여된다. 추가로 변형되지 않는 한, 용량은 원하는 것보다 많을 수 있고, 잠재적으로 약물 관련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위원소 희석 질량분석법(IDMS)로의 변경 효과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지침은 화학요법 약물인 카보플라틴으로 특정 최대 용량을 제한할 것을 제안했다.[41]
2009년 일본의 연구에서는 낮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가 일본 남성의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42]
5. 화학적 특성
화학적으로 크레아티닌은 자발적으로 형성된 크레아틴의 고리형 유도체이다. 크레아티닌은 약 300°C에서 분해되기 시작한다.[26] 크레아티닌에는 여러 개의 호변이성질체가 존재하며, 기여도 순으로 다음과 같다.
- 2-아미노-1-메틸-1''H''-이미다졸-4-올 (또는 2-아미노-1-메틸이미다졸-4-올)
- 2-아미노-1-메틸-4,5-디히드로-1''H''-이미다졸-4-온
- 2-이미노-1-메틸-2,3-디히드로-1''H''-이미다졸-4-올 (또는 2-이미노-1-메틸-3''H''-이미다졸-4-올)
- 2-이미노-1-메틸이미다졸리디닌-4-온
- 2-이미노-1-메틸-2,5-디히드로-1''H''-이미다졸-4-올 (또는 2-이미노-1-메틸-5''H''-이미다졸-4-올)
참조
[1]
간행물
Merck Index
[2]
웹사이트
Creatinine, anhydrous - CAS 60-27-5
https://www.scbt.com[...]
2016-10-21
[3]
웹사이트
Creatinine tests - Mayo Clinic
https://www.mayoclin[...]
[4]
서적
Medical-surgical nursing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linical problem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9
[5]
웹사이트
What Is a Creatinine Blood Test? Low & High Ranges
http://www.medicinen[...]
2018-09-21
[6]
논문
Creatine metabolism and psychiatric disorders: Does creatine supplementation have therapeutic value?
2012-05
[7]
논문
Limitations of creatinine as a filtration marker in glomerulopathic patients
1985-11
[8]
논문
Serum creatinine and serum cystatin C as an index of muscle mass in adults
2024
[9]
논문
Conventional measurement of renal function utilizing serum creatinine, creatinine clearance, inulin and para-aminohippuric acid clearance.
1995
[10]
논문
Higher muscle protein synthesis in women than men across the lifespan, and failure of androgen administration to amend age-related decrements
2009-02
[11]
논문
New insights into the regulation of HDL metabolism and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2005-06
[12]
논문
High-density lipoprotein maintains skeletal muscle function by modulating cellular respiration in mice
2013-11
[13]
논문
Low HDL and high triglycerides predict COVID-19 severity
2021-03
[14]
논문
Creatinine inhibits bacterial replication
2012-03
[15]
논문
A novel, broadly applicable approach to isolation of fungi in diverse growth media
2014-10
[16]
논문
Effect of creatine, creatinine, and creatine ethyl ester on TLR expression in macrophages
2011-09
[17]
논문
False estimates of elevated creatinine
[18]
서적
Clinical Chemistry
Wiley
[19]
논문
Diabetic nephropathy: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2005-01
[20]
논문
A new equation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2009-05-05
[21]
웹사이트
Carboplatin dosing
https://web.archive.[...]
[22]
논문
Lower serum creatinine is a new risk factor of type 2 diabetes: the Kansai healthcare study
2009-03
[23]
논문
Prescribing in renal disease
[24]
논문
Serum creatinine and serum cystatin C as an index of muscle mass in adults
2024
[25]
논문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renal insufficiency: how concerned should we be by the rise in serum creatinine?
2002-07
[26]
웹사이트
Creatinine
https://pubchem.ncbi[...]
2022-04-09
[27]
간행물
Merck Index
[28]
웹인용
Creatinine, anhydrous - CAS 60-27-5
https://www.scbt.com[...]
[29]
웹사이트
Creatinine
https://www.mayoclin[...]
[30]
서적
Medical-surgical nursing :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linical problems
[31]
웹인용
What Is a Creatinine Blood Test? Low & High Ranges
http://www.medicinen[...]
2018-09-21
[32]
저널
Creatine metabolism and psychiatric disorders: Does creatine supplementation have therapeutic value?
2012-05
[33]
저널
Limitations of creatinine as a filtration marker in glomerulopathic patients
1985-11
[34]
서적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https://www.ncbi.nlm[...]
Butterworths
"1990"
[35]
저널
Creatinine inhibits bacterial replication
2012-03-01
[36]
논문
A novel, broadly applicable approach to isolation of fungi in diverse growth media
2014-10-01
[37]
논문
Effect of creatine, creatinine, and creatine ethyl ester on TLR expression in macrophages
2011-09-01
[38]
논문
False estimates of elevated creatinine.
[39]
서적
Clinical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40]
논문
Diabetic nephropathy: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2005-01
[41]
웹인용
Carboplatin dosing
https://www.fda.gov/[...]
[42]
논문
Lower serum creatinine is a new risk factor of type 2 diabetes: the Kansai healthcare study
2009-03
[43]
논문
Prescribing in renal disease
[44]
논문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Renal Insufficiency: How Concerned Should We Be by the Rise in Serum Creatinine?
20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