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자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한자 회의는 대한민국, 중화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등 한자 문화권 4개국이 한자의 의미와 형태 차이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개최하는 회의이다. 1991년 제1회 회의를 시작으로 2007년 제8회 회의까지 열렸다. 주요 구성원으로는 한국의 이대순, 이응백, 강신항, 진태하, 김언종 등이 있으며, 중국, 대만, 일본 학자들도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자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한자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 국제 한자 회의 | |
|---|---|
| 국제 한자 회의 | |
| 다른 이름 | 국제 문자 코드 회의 |
| 로마자 표기 | Gukje Hanja Hoeui |
| 영어 | International Ideograph Conference (IIC) |
| 중국어 간체 | 国际汉字研讨会 |
| 중국어 병음 | Guójì Hànzì Yántǎohuì |
| 일본어 | 国際漢字会議 (Kokusai Kanji Kaigi) |
| 개요 | |
| 유형 | 국제 회의 |
| 목표 | 한자 자형의 통일 |
| 참가국 |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타이완 |
| 주요 내용 | 각국 한자 자형 비교 및 분석 자형 통일 원칙 논의 정보 교환 및 협력 |
| 역사 | |
| 첫 번째 회의 | 1992년 10월, 대한민국 서울 |
| 기타 회의 | 제2회: 1993년 10월, 일본 도쿄 제3회: 1994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톈진 제4회: 1995년 10월, 타이완 타이베이 제5회: 1997년 10월, 대한민국 서울 제6회: 1999년 10월, 일본 고베 제7회: 2003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제8회: 2007년 11월,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2. 의의
대한민국(한자)·중화민국(정체자)·일본(신자체)·중화인민공화국(간체자)은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 4개국으로, 한자 최초 전파 이후 독립적으로 분화되어 사용되면서 근래에 들어 의미와 형태가 달라져 발생하는 혼란을 방지하려는 의의가 있다.
국제 한자 회의는 1991년부터 2007년까지 개최되었다.[1]
3. 역사
3. 1. 회의 목록
국제 한자 회의는 1991년 제1회 회의를 시작으로 2007년 제8회 회의까지 개최되었다.
4. 주요 구성원
국제 한자 회의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국가 | 구성원 |
|---|---|
| 대한민국 | 이대순 (한국 한자 진흥 협의회 회장), 이응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강신항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진태하 (인제대학교 석좌교수)[3][4], 김언종 (고려대학교 교수) |
| 중화인민공화국 | 황더관 (안후이 대학 총장), 쑤페이청 (베이징 대학 교수), 리다쑤이 (베이징 대학 교수) |
| 중화민국(타이완) | 쉬쉐런 (중국문학학회 이사장) |
| 일본 | 기요하라 준페이 (교와 협회 전무이사) |
4. 1. 대한민국
- 이대순 (한국 한자 진흥 협의회 회장)
- 이응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강신항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 진태하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 한자의 한국 기원설을 주장하는 인물이다.[3] 2011년에 중국의 국영지인 환구시보가 이를 다루어 파문을 일으켰다.[4]
- 김언종 (고려대학교 교수)
4. 2. 중화인민공화국
4. 3. 중화민국(타이완)
- 쉬쉐런 (중국문학학회 이사장)
4. 4. 일본
일본측 참가자는 교와 협회 전무이사인 기요하라 준페이이다.참조
[1]
뉴스
韓・中・日・台が漢字の字体統一へ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7-11-03
[2]
뉴스
日・韓・中・台が漢字の字体統一を決定、主体は繁体字に―北京市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07-11-12
[3]
뉴스
中학계 "한자는 동이족 문자...한국만 몰라" - Save Internet 뉴데일리!
http://www.newdaily.[...]
NewDaily
[4]
뉴스
中韓炎上…韓国人学者「漢字はわが祖先が発明、中国の学界も承認」
https://news.livedoo[...]
2011-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