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는 미국-한국 관계를 조사하고, 일련의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위원회는 "코리아 게이트" 사건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와 통일교의 연루 의혹을 조사했으며, 김형욱의 증언, 통일교의 로비 활동, 그리고 일본 내 통일교 자금 흐름 등을 밝혀냈다. 위원회의 조사 결과는 "프레이저 보고서"로 발표되었으며, 이는 백악관의 정보망 구축 시도, 한국 정부의 미국 내 영향력 행사, 그리고 통일교의 정치적 활동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보고서는 한미 관계에 대한 비판과 함께, 관련자 처벌, 김형욱의 실종, 그리고 한미 관계에 미친 영향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하원 - 미국 하원 선거구 수 배분
    미국 하원 선거구 수 배분은 미국 헌법에 따라 각 주 인구에 비례하여 하원 의석을 배분하는 과정이며, 10년마다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재분배하고 1941년부터 헌팅턴-힐 방식을 사용하며 하원 의원 수는 435명으로 고정되어 있다.
  • 미국 하원 - 스쿼드 (미국 연방의회)
    2018년 미국 하원 선거에서 당선된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 일한 오마르, 아야나 프레슬리, 라시다 탈리브 4명의 진보적인 여성 하원 의원들을 지칭하는 '스쿼드'는 민주당 소속으로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미국 정치에서 진보적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 통일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통일교 - 세계일보 (일본)
    세계일보(일본)는 1975년 통일교와 국제승공연합의 자금으로 창간되어 친미·보수·반공 노선을 고수하며 극우 성향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일본의 일간 신문으로, 현재 한국의 세계일보 등과 제휴하고 다양한 매체를 발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미국 관계 - 주한 미군
    주한미군은 1945년 인천 상륙 후 한반도에 주둔하며 일본군 무장해제,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대한민국 안보에 기여하고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어 활동 중이나, 규모, 역할, 주둔 비용, SOFA 개정 등 여러 쟁점이 있다.
  • 대한민국-미국 관계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는 대한민국의 미국 외교 사절이자 대사관의 수장으로, 과거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를 시작으로 외교 관계 단절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다시 임명되어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에 관여하고 특별한 인연으로 주목받기도 했으나 피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
개요
명칭국제 관계 위원회 산하 국제 기구 소위원회
영문 명칭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별칭프레이저 위원회 (Fraser Committee)
조사 대상한미 관계 및 문선명 기관
활동 기간
기간1976년 - 1977년
주요 활동
내용코리아게이트 조사

2. 배경

2. 1. 닉슨 독트린과 한미 관계의 변화

2. 2. 박정희 정부의 유신 체제와 인권 문제

2. 3. 중앙정보부의 역할 확대

3. 프레이저 위원회 구성 및 활동

'''프레이저 위원회'''는 미국-한국 관계에 대해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일련의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 공청회는 매우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당시 미국 매스 미디어 사이에서 "'코리아 게이트'"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었다.[25]

이 공청회에서 중앙정보부 (KCIA)의 전 부장인 김형욱은, 한국에 대한 미국 판매 중개를 독점한 실업가 박동선이 워싱턴에서 로비 활동을 하는 대가로, 동 인물에게 편의를 제공했다고 증언했다.[25] 또한 김형욱은 공청회 1개월 전에,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이 그의 증언을 막으려 했으며, 증언을 계속하면 유괴·암살하라고 명령했다고 증언했다.[26]

미국 통일교의 여러 구성원은 교회의 구성원이 의회에 대한 로비 활동에 관여했다고 증언했다.[27] 미국 통일교 지도자인 댄 페퍼먼은 공청회에 그다지 협조적이지 않았고, 일부 답변을 거부했다.[28]

3. 1. 위원회 구성

3. 2. 조사 범위 및 방법

프레이저 위원회는 "코리아 게이트"와 관련하여 통일교를 조사 대상에 포함시켰다. 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 부장 김형욱은 "한국에서 거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통일교가 미국에서 수천 명의 젊은 미국인들을 동원하여 활동하고 있다는 것은 수수께끼이다"라고 말했다.[29] 위원회는 1977년 12월에 일본에서 통일교의 일본 내 정치 활동과 재일 KCIA의 재일 한국인 감시 활동을 조사했다.[30]

1978년 3월 15일, 위원회는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KCIA) 창설자인 김종필이 신도 27,000명(당시)의 교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했으며, 교단은 농촌을 중심으로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세력을 확장했다는 중앙정보국 (CIA) 비밀 문서를 공개했다. 문선명은 "겉으로 드러난" 대표였으며, 교단 측은 이를 부정했다.[31]

3월 22일 공청회에서 KCIA로부터 통일교를 통해 일본에 부자연스러운 자금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원회는 문선명의 고문 박보희를 증인 소환하여 KCIA로부터 현금을 받아 교단의 일본인 신자에게 건넸다는 증언을 확보했다. 박보희는 1976년 KCIA 관계자가 워싱턴 D.C. 자택을 방문, 통일교 일본인 신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령과 함께 3,000달러를 건넸고, 서울에서 해당 신자에게 자금을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이 신자는 에가와 야스에이로, 일본에서 지도적 입장에 있었으며, 한국과 미국을 자주 방문했다고 한다.[32] 최소 수 명의 자민당 국회의원이 통일교에 입교하고 있다는 증언도 나왔다.[22] 교단 측은 박보희의 증언을 대체로 인정하면서도, 김종필이 KCIA 관계자였다는 사실은 "당시에는"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33]

6월 6일, 위원회는 문선명에게 임의 증언을 요청했으나 불응하여 강제 출두 영장을 발행했지만, 소환장 도착 직전 "출국"했다. 위원회는 문선명 소유 총기 제조 기업 "통일산업"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소총기관총 등을 대량 납품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교단과 한국 정부 관계에 대한 증언을 요구할 예정이었다.[34]

6월 22일, 통일교는 프레이저 위원회와 도널드 M. 프레이저 위원장을 상대로 3,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프레이저 위원장은 이 소송이 조사를 중단시키고 문선명에 대한 심문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35]

3. 3. 청문회 개최

국제관계위원회는 대한민국-미국 관계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일련의 청문회를 개최했다. 위원회의 청문회는 널리 알려졌으며, 당시 미국 언론 매체들은 "코리아게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

이러한 청문회에서 전 중앙정보부 부장 김형욱은 박동선이 워싱턴 D.C.에서 로비를 하도록 돕는 대가로 그에게 호의를 제공했다고 증언했다.[4] 김형욱은 또한 청문회 한 달 전에 박정희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 증언을 하지 못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며, 만약 증언을 강행할 경우 납치하거나 암살하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5]

미국 통일교의 여러 구성원들은 교회 구성원들이 의회 로비 시도에 관여했다고 증언했다.[6] 미국 통일교 지도자인 댄 페퍼만은 청문회에서 완전히 협조하지 않았다.[7]

프레이저 위원회는 "코리아 게이트"와 관련하여 통일교도 조사 대상에 포함시켰다. 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 부장 김형욱은 "한국에서 거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통일교가 미국에서 수천 명의 젊은 미국인들을 동원하여 활동하고 있다는 것은 수수께끼이다"라고 말했다.[29]

1978년 3월 15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708페이지 분량의 기록 문서를 공개하고, 1963년 2월의 중앙정보국(CIA) 비밀 문서를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 창설자인 김종필은 27,000명의 신도(당시)를 가진 교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교단은 농촌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31]

3월 22일, 프레이저 위원회의 공청회에서 KCIA로부터 통일교를 통해 일본에 부자연스러운 자금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미일한 삼국 간에 상당한 돈이 오갔던 것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문선명의 고문 박보희를 증인 소환하여, 가혹한 추궁 끝에 KCIA로부터 현금을 받았고, 그 돈을 교단의 여성 신자에게 건넸다는 것을 증언하게 했다. 박보희는 "1976년에 KCIA 관계자가 워싱턴 D.C.에 있는 박보희의 자택을 방문했다. KCIA 관계자는 통일교의 일본인 신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고, 3,000달러를 건넸다. 그 후 명령대로 서울에서 교단의 일본인 신자에게 그 자금을 건넸다"라고 말했다.[32] 요미우리 신문은 KCIA가 교단을 통해 일본 정계에 자금을 유입시켰다고 보고 있다.[22]

6월 6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통일교 교주 문선명에게 임의로 증언을 요청했지만 응하지 않아, 강제 출두를 명하는 영장을 발행했으나, 소환장이 도착하기 직전에 "출국"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회는, 문선명이 소유한 총기 제조 기업 "통일산업"은 대한민국 국방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라이플기관총 등의 무기를 대량으로 정부에 납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34]

6월 22일, 통일교는, 프레이저 위원회와 도널드 M. 프레이저 위원장을 상대로 3,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장은 이 소송이 조사를 중단시키고 문선명에 대한 심문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35]

4. 프레이저 보고서 주요 내용

위원회는 그 결과를 "프레이저 보고서"로 알려지게 된 보고서에 공개했다.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백악관에 정보망을 심고 미국 의회, 언론, 성직자, 교육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대한민국 계획이 있었다.[8][9] 보고서는 한국인 사업가 박동선이 1970년, 미국 제7군 사단이 한국에서 철수하자마자 로비를 시작했다고 밝혔다.[1]

위원회는 통일교 창시자인 문선명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가 협력하고 있으며, 일부 교회 신도들이 의회 사무실에서 자원봉사자로 일했다고 밝혔다.[10] 그들은 함께 한국 문화 자유 재단을 설립했으며, 이 단체는 대한민국을 위한 공공 외교 캠페인을 벌였다.[11] 위원회는 또한 워터게이트 사건 당시 리처드 닉슨을 지지하는 통일 운동 캠페인에 대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의 영향 가능성을 조사했다.[12]

위원회 보고서는 또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정치적 목적으로 미국 대학에 자금을 지원하여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3] 또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대한민국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을 괴롭히고 위협했다고 밝혔다.[14]

보고서는, 한국이 백악관에 정보망을 구축하고, 미국 의회, 매스 미디어, 종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려 계획했음을 밝혔고[36][37], 닉슨이 미국 군의 일부 부대를 한국에서 철수한 직후인 1970년에 실업가 박동선이 미국에서 로비 활동을 시작했음을 밝혀냈다[20].

또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와 통일교의 교주인 문선명이 공모하여 미국 의회에 뇌물 제공 등 정치 공작을 벌이고, 수백만 달러의 자금을 불법으로 조달하여 국경을 넘어 이동시켰다는 사실을 공표했다.[38]

보고서는, KCIA의 직원이 미국 하원 의원의 보좌관으로 들어가고, 일부 교단 신자들이 의회 사무실에서 자원 봉사자로 일했으며, 또한 KCIA와 문선명이 설립한 "한국 문화 자유 재단"이라는 비영리 단체가 한국의 "공공 외교"를 담당했음을 인정했다.[39]. 또한, 워터게이트 사건 당시, 통일교에 의한 닉슨 지지 움직임에 대해 KCIA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40].

워싱턴에 있는 교단 관련 단체 "자유 지도 재단(FLF)"의 전 회장 앨런 테이트 우드는, 미국 내 통일교의 정치적 목표와 KCIA의 정치적 목표는 "완전히 일치하며, 그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도 인정할 수 없을 정도"라고 증언했다.

KCIA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 내 대학에 자금 지원을 계획했음도 밝혀졌다.[41] 또한, KCIA는 한국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는 미국 거주 한국인에게 괴롭힘과 협박을 가했다고 한다.[42]

4. 1. 중앙정보부의 대미 로비 활동

대한민국-미국 관계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하고 일련의 청문회를 개최한 국제관계위원회의 청문회는 널리 알려졌으며, 당시 미국 언론 매체들은 "코리아게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3]

이러한 청문회에서 전 중앙정보부 부장 김형욱은 박동선이 워싱턴 D.C.에서 로비를 하도록 돕는 대가로 그에게 호의를 제공했다고 증언했다.[4] 김형욱은 또한 청문회 한 달 전에 박정희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이 증언을 하지 못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며, 만약 증언을 강행할 경우 납치하거나 암살하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5]

미국 통일교의 여러 구성원들은 교회 구성원들이 의회 로비 시도에 관여했다고 증언했다.[6] 댄 페퍼만은 청문회에서 완전히 협조하지 않았다.[7]

4. 2. 통일교 관련 의혹

프레이저 위원회는 "코리아 게이트"와 관련하여 통일교도 조사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와 관련, 위원회에 협력한 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 부장 김형욱은 "한국에서 거의 존재가 인정되지 않는 통일교가 미국에서 수천 명의 젊은 미국인들을 동원하여 활동하고 있다는 것은 수수께끼이다"라고 말했다[29]。 특별 조사단은 1977년 12월에 방일하여 통일교의 일본에서의 정치 활동, 재일 KCIA의 재일 한국인에 대한 감시 활동도 조사 대상에 포함시켰다[30]

1978년 3월 15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708페이지 분량의 기록 문서를 공개하고, 1963년 2월의 중앙정보국 (CIA) 비밀 문서를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중앙정보부(KCIA) 창설자인 김종필은 당시 27,000명의 신도를 가진 통일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교단은 농촌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교단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농촌의 유력자들에게 돈을 뿌렸다. 문선명은 "겉으로 드러난" 대표였을 뿐이라고 한다. 한편, 교단 측은 이를 부정하고 있다[31]

같은 해 3월 22일, 프레이저 위원회의 공청회에서 KCIA로부터 통일교를 통해 일본에 부자연스러운 자금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미일한 삼국 간에 상당한 돈이 오갔던 것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문선명의 고문 박보희를 증인 소환하여, 가혹한 추궁 끝에 KCIA로부터 현금을 받았고, 그 돈을 교단의 여성 신자에게 건넸다는 것을 증언하게 했다. 박보희는 "1976년에 KCIA 관계자가 워싱턴에 있는 박보희의 자택을 방문했다. KCIA 관계자는 통일교의 일본인 신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고, 3,000달러를 건넸다. 그 후 명령대로 서울에서 교단의 일본인 신자에게 그 자금을 건넸다"라고 말했다. 이 신자는 에가와 야스에이였는데[32], 원래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그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에가와는 일본에서 지도적인 입장에 있었으며, 자주 한국과 미국을 방문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미국 의회 관계자의 증언으로, 최소 수 명의 자민당 국회의원이 통일교에 입교하고 있음을 밝혔다. 요미우리 신문은 KCIA가 교단을 통해 일본 정계에 자금을 유입시켰다고 보고 있다[22]。 또한, 교단 측은 박보희의 증언을 대체로 인정하면서도, 김종필이 KCIA 관계자였다는 사실은 "당시에는"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33]

같은 해 6월 6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통일교 교주 문선명에게 임의로 증언을 요청했지만 응하지 않아 강제 출두를 명하는 영장을 발행했으나, 소환장이 도착하기 직전에 "출국"했음을 밝혔다. 위원회는 문선명이 소유한 총기 제조 기업 "통일산업"은 대한민국 국방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라이플기관총 등의 무기를 대량으로 정부에 납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산업"이 어떤 경위로 한국 최대의 무기 제조 회사가 되었는지 의문이며, 교단과 한국 정부의 관계에 대해 증언을 요구할 예정이었다[34]

같은 해 6월 22일, 통일교는 프레이저 위원회와 도널드 M. 프레이저 위원장을 상대로 3,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음을 밝혔다. 프레이저 위원장은 이 소송이 조사를 중단시키고 문선명에 대한 심문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35]

4. 2. 1. 문선명과 통일교의 역할

1978년 3월 15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708페이지 분량의 기록 문서를 공개하고, 1963년 2월의 중앙정보국 (CIA) 비밀 문서를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KCIA) 창설자인 김종필은 27,000명의 신도(당시)를 가진 교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교단은 농촌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교단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농촌의 유력자들에게 돈을 뿌렸다. 문선명은 "겉으로 드러난" 대표였을 뿐이라고 한다. 한편, 교단 측은 이를 부정하고 있다[31]

같은 해 3월 22일, 프레이저 위원회의 공청회에서 KCIA로부터 통일교를 통해 일본에 부자연스러운 자금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미일한 삼국 간에 상당한 돈이 오갔던 것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문선명의 고문 박보희를 증인 소환하여, 가혹한 추궁 끝에 KCIA로부터 현금을 받았고, 그 돈을 교단의 여성 신자에게 건넸다는 것을 증언하게 했다. 박보희는 "1976년에 KCIA 관계자가 워싱턴에 있는 박보희의 자택을 방문했다. KCIA 관계자는 통일교의 일본인 신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고, 3,000달러를 건넸다. 그 후 명령대로 서울에서 교단의 일본인 신자에게 그 자금을 건넸다"라고 말했다. 이 신자는 에가와 야스에이였는데[32], 원래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그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에가와는 일본에서 지도적인 입장에 있었으며, 자주 한국과 미국을 방문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미국 의회 관계자의 증언으로, 최소 수 명의 자민당 국회의원이 통일교에 입교하고 있음을 밝혔다. 요미우리 신문은 KCIA가 교단을 통해 일본 정계에 자금을 유입시켰다고 보고 있다[22]。 또한, 교단 측은 박보희의 증언을 대체로 인정하면서도, 김종필이 KCIA 관계자였다는 사실은 "당시에는"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33]

같은 해 6월 6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통일교의 교주 문선명에게 임의로 증언을 요청했지만 응하지 않아, 강제 출두를 명하는 영장을 발행했으나, 소환장이 도착하기 직전에 "출국"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회는, 문선명이 소유한 총기 제조 기업 "통일산업"은 대한민국 국방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라이플기관총 등의 무기를 대량으로 정부에 납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산업"이 어떤 경위로 한국 최대의 무기 제조 회사가 되었는지 의문이며, 교단과 한국 정부의 관계에 대해 증언을 요구할 예정이었다[34]

같은 해 6월 22일, 통일교는, 프레이저 위원회와 도널드 M. 프레이저 위원장을 상대로 3,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장은 이 소송이 조사를 중단시키고 문선명에 대한 심문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35]

4. 2. 2. 한국 문화 자유 재단

1978년 3월 15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708페이지 분량의 기록 문서를 공개하고, 1963년 2월의 중앙정보국 (CIA) 비밀 문서를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KCIA) 창설자인 김종필은 27,000명의 신도(당시)를 가진 교단을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교단은 농촌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교단은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농촌의 유력자들에게 돈을 뿌렸다. 문선명은 "겉으로 드러난" 대표였다고 한다.[31]

같은 해 3월 22일, 프레이저 위원회의 공청회에서 KCIA로부터 통일교를 통해 일본에 부자연스러운 자금 흐름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원회 관계자는 "미일한 삼국 간에 상당한 돈이 오갔던 것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문선명의 고문 박보희를 증인 소환하여, 가혹한 추궁 끝에 KCIA로부터 현금을 받았고, 그 돈을 교단의 여성 신자에게 건넸다는 것을 증언하게 했다. 박보희는 "1976년에 KCIA 관계자가 워싱턴에 있는 박보희의 자택을 방문했다. KCIA 관계자는 통일교의 일본인 신자에게 돈을 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밝히고, 3,000달러를 건넸다. 그 후 명령대로 서울에서 교단의 일본인 신자에게 그 자금을 건넸다"라고 말했다. 이 신자는 에가와 야스에이였는데[32], 원래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그 후 일본으로 귀화했다. 에가와는 일본에서 지도적인 입장에 있었으며, 자주 한국과 미국을 방문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미국 의회 관계자의 증언으로, 최소 수 명의 자민당 국회의원이 통일교에 입교하고 있음을 밝혔다. 요미우리 신문은 KCIA가 교단을 통해 일본 정계에 자금을 유입시켰다고 보고 있다[22]

같은 해 6월 6일, 프레이저 위원회는, 통일교 교주 문선명에게 임의로 증언을 요청했지만 응하지 않아, 강제 출두를 명하는 영장을 발행했으나, 소환장이 도착하기 직전에 "출국"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회는, 문선명이 소유한 총기 제조 기업 "통일산업"은 대한민국 국방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라이플기관총 등의 무기를 대량으로 정부에 납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통일산업"이 어떤 경위로 한국 최대의 무기 제조 회사가 되었는지 의문이며, 교단과 한국 정부의 관계에 대해 증언을 요구할 예정이었다.[34]

같은 해 6월 22일, 통일교는, 프레이저 위원회와 도널드 M. 프레이저 위원장을 상대로 3,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음을 밝혔다. 동 위원장은 이 소송이 조사를 중단시키고 문선명에 대한 심문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35]

4. 3. 재미 한인 사회와 학계에 대한 영향력 행사

5. 대한민국 내 반응과 영향

5. 1. 박정희 정부의 대응

5. 2. 대한민국 사회에 미친 영향

6. 평가 및 비판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6. 2.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비판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프레이저 위원회에 대한 보수 진영의 비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반론을 제기한다.

먼저, 프레이저 위원회가 대한민국의 내정에 과도하게 간섭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프레이저 위원회는 미국의 대외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조사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진 측면도 있다. 당시 대한민국은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 통치와 인권 탄압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었으며, 프레이저 위원회의 활동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프레이저 위원회가 반미 감정을 조장했다는 주장도 근거가 부족하다. 프레이저 위원회는 미국의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지적했을 뿐, 미국 자체를 비난하거나 반미 감정을 조장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오히려 프레이저 위원회의 보고서는 한미 관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제언을 담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양국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프레이저 위원회가 박동선 사건을 지나치게 부각하여 대한민국의 국격을 훼손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박동선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가 미국의 정치인들에게 불법적인 로비를 시도한 사건으로, 국제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프레이저 위원회가 이 사건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공개한 것은 정당한 활동이며, 오히려 이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의 부패와 비리를 근절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프레이저 위원회에 대한 보수 진영의 비판은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된 측면이 있다. 프레이저 위원회는 한미 관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양국 관계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당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인권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7. 사건 이후

「코리아 게이트」에 관여한 리처드 T. 한나는 뇌물 수수로 유죄 판결을 받고 금고형을 선고받았다[43]

에드워드 R. 로이발은 박동순으로부터 헌금을 받은 것을 보고하지 않아 문책을 받았다[44]。찰스 H. 윌슨과 존 J. 맥폴은 징계를 받았고, 하원 의원 에드워드 J. 패튼은 무죄가 되었다[45]。에드 다빈스키가 한국 정부에 미국의 기밀 정보를 누설했다는 의혹은 결론이 나지 않고 끝났다[46]

김형욱1979년 10월에 실종되었다.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명령으로 암살된 것으로 보인다[47]

7. 1. 관련자 처벌

미국 하원 윤리위원회는 조사 결과에 따라 미국 하원 의원들에 대한 혐의를 제기하고 심리했다.[15] 리처드 T. 한나 의원은 미국 정부를 사기 공모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6개월에서 30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15][43] 에드워드 R. 로이발 의원은 박동선으로부터 1,000달러의 선물을 받은 사실을 보고하지 않아 견책되었다.[16][44] 찰스 H. 윌슨과 존 J. 맥폴은 질책을 받았고, 에드워드 J. 패튼 의원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17][45] 에드워드 데르빈스키가 기밀 정보를 대한민국 관료들에게 유출했다는 주장은 조사가 결론 없이 종료되었다.[18][46]

김형욱1979년 10월 실종되었으며, 당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의 지시로 암살된 것으로 알려졌다.[19][47]

7. 2. 한미 관계에 미친 영향

7. 3. 김형욱 실종 사건

김형욱1979년 10월에 실종되었다.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명령으로 암살된 것으로 보인다[47].

참조

[1]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3-11
[2] 뉴스 House Unit Discloses Korean Plan To Manipulate U.S. Organization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77-11-30
[3] 서적 Great Events from History: 1972-1998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2009
[4]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3-11
[5] 뉴스 EX‐KOREA AIDE SAYS PARK ENVOY TOLD HIM HE SHOULD BE SILENT https://www.nytimes.[...] 2022-01-05
[6] 서적 The Social Impact of New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Unification Theological Seminary 1981
[7] 서적 Of Gods and Men: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West : Proceedings of the 1981 Annual Conference of the 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 Sociology of Religion Study Group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1983
[8] 뉴스 Intelligence Net Bared in Probe https://news.google.[...] Spokane Daily Chronicle 1977-11-29
[9] 뉴스 New York Times 1977-11-30
[10] 뉴스 Donald M. Fraser, Lawmaker Who Bared a South Korea Plot, Dies at 95 https://www.nytimes.[...] 2022-01-05
[11] 서적 Spiritual Warfare: The Politics of the Christian Right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1989
[12] 뉴스 Ex-aide of Moon Faces Citation for Contempt https://news.google.[...] Eugene Register-Guard 1977-08-05
[13] 웹사이트 South Korea's Academic Lobby http://www.jpri.org/[...] Japan Policy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San Francisco 1996-05
[14] 서적 Third World Quarterly https://books.google[...] Carfax Publishing Company 1987-01
[15] 뉴스 Ex‐Rep. Hanna Is Sentenced to Prison in Korean Influence‐Buying Case https://www.nytimes.[...] 2022-01-05
[16] 뉴스 House Votes Reprimands for Roybal, McFall and Wilson https://www.washingt[...] 2022-01-05
[17] 뉴스 Koreagate: Bringing Forth a Mouse, But an Honest One https://www.washingt[...] 2022-01-05
[18] 웹사이트 Derwinski Tipped S. Korea on Defector, Then Denied It https://www.latimes.[...] 2022-01-05
[19] 웹사이트 Report: South Korea spy chief killed https://www.upi.com/[...] 2022-01-05
[20]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3-11
[21] 뉴스 House Unit Discloses Korean Plan To Manipulate U.S. Organizations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1977-11-30
[22] 뉴스 読売新聞 1978-03-23
[23] 뉴스 朝日新聞 1978-03-17
[24] 간행물 暴かれた統一教会の野望ー米下院フレーザー委員会最終報告 朝日ジャーナル 1978-12-15
[25] 서적 Great Events from History: 1972-1998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2009
[26]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3-11
[27] 서적 The Social Impact of New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Unification Theological Seminary 1981
[28] 서적 Of Gods and Men: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West : Proceedings of the 1981 Annual Conference of the 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 Sociology of Religion Study Group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1983
[29] 뉴스 読売新聞 1977-06-23
[30] 뉴스 読売新聞 1977-12-03
[31] 뉴스 読売新聞 1978-03-16
[32] 웹사이트 全国弁連、統一協会関連団体に注意呼び掛け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04-07-05
[33] 뉴스 読売新聞 1978-03-28
[34] 뉴스 読売新聞 1978-06-07
[35] 뉴스 読売新聞 1978-06-23
[36] 뉴스 Intelligence Net Bared in Probe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1977-11-29
[37] 뉴스 New York Times 1977-11-30
[38] 웹사이트 Donald M. Fraser, Lawmaker Who Bared a South Korea Plot, Dies at 95 https://www.nytimes.[...] 2022-10-24
[39] 서적 Spiritual Warfare: The Politics of the Christian Right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40] 뉴스 Ex-aide of Moon Faces Citation for Contempt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1977-08-05
[41] 간행물 South Korea's Academic Lobby http://www.jpri.org/[...] Japan Policy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San Francisco 1996-05
[42] 서적 Third World Quarterly https://books.google[...] Carfax Publishing Company 1987-01
[43] 뉴스 Ex‐Rep. Hanna Is Sentenced to Prison in Korean Influence‐Buying Case https://www.nytimes.[...] 2022-01-05
[44] 뉴스 House Votes Reprimands for Roybal, McFall and Wilson https://www.washingt[...] 2022-01-05
[45] 뉴스 Koreagate: Bringing Forth a Mouse, But an Honest One https://www.washingt[...] 2022-01-05
[46] 웹사이트 Derwinski Tipped S. Korea on Defector, Then Denied It https://www.latimes.[...] 2022-01-05
[47] 웹사이트 Report: South Korea spy chief killed https://www.upi.com/[...] 2022-01-05
[48] 뉴스 House Unit Discloses Korean Plan To Manipulate U.S. Organizations http://select.nytime[...] New York Times 1977-11-30
[49] 뉴스 Intelligence Net Bared in Probe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1977-11-29
[50] 뉴스 New York Times 1977-11-30
[51] 웹인용 Investigation of Korean-American Relations; Report of the 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s://web.archive.[...] 2012-12-12
[52] 서적 Spiritual warfare: the politics of the Christian right http://books.google.[...] 플루토 출판사 1989
[53] 뉴스 Ex-aide of Moon Faces Citation for Contempt http://news.google.c[...] Associated Press 1977-08-05
[54] 간행물 South Korea's Academic Lobby http://www.jpri.org/[...] Japan Policy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San Francisco 1996-05
[55] 서적 Third World Quarterly http://books.google.[...] 제3세계 재단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