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둥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궁둥신경은 척추의 엉치뼈 부분에서 시작하여 다리로 뻗어 내려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신경이다. 허리엉치 신경총의 신경 섬유 묶음으로 형성되며, 엉덩이를 지나 허벅지 뒤쪽, 오금을 거쳐 정강신경과 총종아리신경으로 분지된다. 이 신경은 다리와 발의 감각을 담당하며, 근육에도 분포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궁둥신경통, 손상, 종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대교 율법에서는 섭취가 금지된 부위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통 - 유륜
유륜은 유방의 젖꼭지를 둘러싼 피부 부위로, 멜라닌 색소 양에 따라 색상이 결정되며, 호르몬 변화, 임신, 노화 등에 따라 색이 변하고 몽고메리샘을 포함하며 유방 파제트병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 몸통 - 흉통
흉통은 가슴 부위에서 느껴지는 통증으로,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심전도 검사, 혈액 검사, 흉부 X선 촬영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인에 따른 약물 치료나 수술이 필요하다. - 말초신경계 - 신경근 접합부
신경근 접합부는 운동 뉴런과 골격근 세포 사이의 시냅스로, 아세틸콜린을 매개로 신경 신호를 근육 수축으로 전환하며, 콜린에스터라제에 의해 신호가 종료되는 과정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여러 질병과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 말초신경계 - 척수신경
척수신경은 척수의 분절에서 나오는 혼합 신경으로, 척추 위치에 따라 나뉘어 신체 부위의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을 수행하며, 손상 시 다양한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하지해부학 - 넓적다리
넓적다리는 대퇴골을 중심으로 근막에 의해 세 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의 근육들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대퇴동맥과 폐쇄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으며, 다양한 질환 및 사회문화적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 하지해부학 - 발
발은 척추동물의 다리 끝부분으로,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등으로 이루어져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사람의 발은 직립보행에 적합한 구조와 아치를 가지고 있고, 측정 단위나 관용구 등 다양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궁둥신경 | |
---|---|
개요 | |
![]() | |
라틴어 이름 | nervus ischiadicus |
분지 시작 | 요추 및 엉치 신경얼기 (L4-S3) |
분지 | 정강 및 총비골 신경 |
분포 | 외회전근 (단, 궁둥구멍근 및 넙다리네모근 제외) 및 허벅지 뒤쪽 구획 |
추가 정보 | |
그레이 해부학 | '213' |
페이지 | '960' |
도를란드 사전 접두사 | n_05 |
도를란드 사전 접미사 | '12566006' |
2. 구조
인간의 궁둥신경은 척수의 엉치뼈 부분에서 나오는 신경 섬유 묶음인 엉치 신경총(L4-S3 분절)에서 형성된다. 허리엉치 줄기(L4, L5 뿌리)는 엉치 곶과 날개 사이로 내려가고, S1-S3 뿌리는 배쪽 엉치뼈 구멍에서 나온다.[1] 이 신경 뿌리들은 궁둥구멍근 앞쪽에서 합쳐져 하나의 신경을 형성한다. 궁둥신경은 궁둥구멍근 아래를 지나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에서 빠져나와 뒤쪽 허벅지를 따라 오금(무릎 뒤)으로 이동한다. 허벅지 뒤칸에서 가장 큰 모음근 뒤, 넙다리두갈래근 긴 머리 앞에 위치한다. 오금에서 정강신경과 총종아리신경(총비골신경)의 두 가지로 나뉜다.[2]
- 정강신경은 다리 뒤칸을 따라 발로 내려간다.
- 총종아리신경(총비골신경)은 다리 앞칸과 다리 가쪽칸을 따라 발로 내려간다.
궁둥신경은 인체에서 가장 큰 신경이다.[5][3][4] 요천골 신경총에서 시작하여 총비골신경과 경골신경으로 나뉘며, 요천골 신경총을 구성하는 말초 신경 중 좌골 신경을 이루는 것은 제4, 제5 요추 신경과 제1~제3 천골 신경(L4~S3)이다.
좌골 신경은 요천골 신경총을 나온 후 이상근 앞면을 지나 하둔 신경과 함께 대좌골공(이상근 하공)을 통과하여 골반 밖으로 나와, 대퇴 후면(대둔근과 넙다리두갈래근의 앞면)을 따라 내려가며, 대퇴굴근군(넙다리두갈래근, 반건양근, 반막양근)과 내전근에 근지를 분지하고, 무릎 뒤쪽(슬와)에서 2개의 종말지(총비골신경과 경골신경)로 갈라진다.
2. 1. 발생
(궁둥신경 발생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현재 부족하며, 추가적인 연구와 자료 보강이 필요하다.)3. 기능
궁둥신경은 발의 피부와 다리 전체(안쪽 제외)에 감각을 제공한다. 발바닥의 피부 감각은 정강신경이, 다리와 발의 위쪽 표면은 총비골신경이 담당한다.[5]
궁둥신경은 또한 근육에 분포한다.[5]
- 정강신경을 통해 다리 뒤쪽 구획과 발바닥(족저면)의 근육에 분포한다.
- 총비골신경을 통해 다리의 앞쪽 및 가쪽 구획 근육에 분포한다.
궁둥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 반건양근
- 반막양근
- 넙다리두갈래근
- 큰모음근
정확히는 큰모음근만이 궁둥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반건양근·반막양근은 궁둥신경의 가지인 정강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또한 넙다리두갈래근은 궁둥신경의 가지인 정강신경·총비골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는다.
4. 임상적 의의
허리 문제로 인해 궁둥신경이 압박되거나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통증을 좌골 신경통이라고 한다. 좌골 신경통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디스크 질환, 요추 협착증, 척추 전방 전위증, 이상근 증후군 등이 있다.[6] 좌골 신경통의 다른 급성 원인으로는 기침, 근육 고혈압, 재채기 등이 있다.[7]
그 외의 질환으로는 악성 종양, 이상근 증후군이 있다.
4. 1. 좌골 신경통
허리 문제로 인해 궁둥신경이 압박되거나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통증을 좌골 신경통이라고 한다. 좌골 신경통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디스크 질환, 요추 협착증, 척추 전방 전위증, 이상근 증후군 등이 있다.[6] 좌골 신경통의 다른 급성 원인으로는 기침, 근육 고혈압, 재채기 등이 있다.[7]4. 2. 손상
궁둥신경 손상은 고관절 치환술 중 0.5%에서 2.0%의 빈도로 발생한다.[8] 궁둥신경 마비는 전체 고관절 성형술의 합병증으로 0.2%에서 2.8%의 빈도로 발생하며, 재수술 후에는 1.7%에서 7.6%의 빈도로 발생한다.[9] 드물게 수술 후 나사, 대전자 와이어의 파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 조각 또는 Burch-Schneider 항요입 케이지가 신경을 압박하여 궁둥신경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각을 제거하고 신경을 풀어주면 해결될 수 있다. 신경은 추가적인 흉터를 예방하기 위해 산화된 재생 셀룰로오스로 둘러쌀 수 있다. 궁둥신경 마비는 수술 후 심각한 척추 협착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는 척추 감압 수술로 해결할 수 있다.[10][11]궁둥신경 손상은 엉덩이에 부적절하게 주사하여 발생할 수도 있으며, 감각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12]
4. 3. 기타 질환
베른 고관절 주위 골절 절골술은 1760명의 환자 중 2.1%에서 궁둥신경(좌골 신경) 또는 넙다리신경(대퇴 신경)에 심각한 신경 결손을 유발했으며, 이 중 약 절반은 평균 5.5개월 이내에 완전히 회복되었다.[13]궁둥신경(좌골 신경) 탐사는 신경 병변을 평가하기 위해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로 수행할 수 있다.[14] 궁둥신경 포착에 대한 내시경 치료는 깊은볼기근증후군(심부 둔근 증후군)에서 연구되었다. 환자는 섬유 혈관 흉터 밴드의 절제, 궁둥구멍근(이상근) 건 유리술, 속폐쇄근(내폐쇄근),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또는 넙다리두갈래근(햄스트링) 건 흉터에 의한 궁둥신경 감압술로 치료받았다.[15]
- 악성 종양
- 궁둥구멍근 증후군(이상근 증후군): 궁둥구멍근(이상근)이 궁둥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4. 4. 진단 및 치료
궁둥신경 및 그 분지에서 오는 신호는 지배 영역에서 통증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국소 마취 신경 차단술이라는 궁둥신경 차단술을 시행하여 차단할 수 있다.[1]5. 사회 및 문화
유대교 율법에 따르면, 궁둥신경(히브리어: 기드 하나셰)은 야곱이 천사와의 씨름에서 입은 부상을 기념하기 위해 유대인이 먹어서는 안 된다.[16]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2]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3]
웹사이트
What Is Sciatica?
https://www.webmd.co[...]
2022-05-12
[4]
서적
Youmans & Winn neurological surgery
Elsevier
[5]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6]
웹사이트
Sciatica - Topic Overview
http://www.webmd.com[...]
WebMD
2012-04-23
[7]
웹사이트
What is sciatica: What causes sciatica?
http://www.medicalbu[...]
MedicalBug
2012-04-23
[8]
간행물
Late sciatic nerve entrapment following pelvic plate reconstruction in total hip arthroplasty
[9]
간행물
Operative Management of Sciatic Nerve Palsy due to Impingement on the Metal Cage after Total Hip Revision: Case Report
[10]
간행물
Late sciatic nerve entrapment following pelvic plate reconstruction in total hip arthroplasty
[11]
간행물
Gluteal nerve damage following total hip arthroplasty. A prospective analysis
[12]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13]
간행물
Prevention of nerve injury after periacetabular osteotomy
[14]
간행물
Endoscopic-assisted sciatic nerve exploration
[15]
간행물
The endoscopic treatment of sciatic nerve entrapment/deep gluteal syndrome
http://www.arthrosco[...]
[16]
웹사이트
1: Not to Eat the Gid HaNasheh
http://www.torah.org[...]
2014-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