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네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네비어는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서 왕의 왕비이자 랜슬롯과의 불륜으로 유명하다. 웨일스어 이름인 Gwenhwyfar에서 유래되었으며, "하얀 요정"을 의미한다. 중세 문학에서 기네비어는 레오데그란스 왕의 딸로 묘사되며, 아서 왕과의 결혼, 랜슬롯과의 사랑, 그리고 그로 인한 갈등이 주요 이야기의 축을 이룬다. 기네비어는 다양한 문학 작품에서 고결한 여인, 배신자, 또는 주체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현대 문화에서도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창조된 가공인물 - 모르간 르 페이
    아서 왕 전설의 주요 인물인 모르간 르 페이는 마법 능력을 지닌 강력한 여인이자, 초기에는 아서 왕의 조력자로 등장했으나 후대에는 적대적인 마녀 등으로 변모했으며, 이름은 "바다에서 태어난"이라는 의미를 지닌 켈트 신화 여신의 잔재로 여겨진다.
  • 아서왕 전설의 인물 - 마그누스 막시무스
    4세기 후반 서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마그누스 막시무스는 브리타니아 주둔 로마군에 의해 추대되어 갈리아를 정복하고 서로마 황제로 인정받았으나,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하다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패배하여 처형되었으며, 이단 박해와 브리튼 및 브르타뉴 지역 역사, 웨일스 전설과 관련된 영웅적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 아서왕 전설의 인물 - 탈리에신
    탈리에신은 6세기 웨일스의 음유시인으로 여러 왕을 섬기며 시를 남겼고, 후대에 신화적 영웅으로 묘사되며 아더왕 전설과도 연관되어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귀네비어
인물 정보
이름귀네비어
원어 이름Gwenhwyfar (Gwenhwyfar)
다른 이름Guinevere, Guenever, Guenevere
등장 작품아더 왕 이야기
기본 정보
역할왕비, 수녀원장
직업브리튼의 여왕, 로레스와 브리튼 (또는 잉글랜드)의 여왕, 수녀원장 (후대)
소속카멜리아드, 카멜롯, 런던탑, 에임즈버리 수도원 (말로리 버전)
종교기독교
가족 관계
아버지르오데그란스
자매구엔후이바흐
배우자아더 왕, 모드레드 (가끔)
연인랜슬롯, 모드레드, 이더 (다양함)
자녀보통 없음, 가끔 아더와의 아들 또는 모드레드와의 자녀
친척사촌 (다양함)
음성 정보
관련 정보
관련 전설아더 왕 전설

2. 이름

이 이름의 원래 웨일스어 형태는 Gwenhwyfarcy (''Guenhuibhar'', ''Gwenhwyvar''로도 쓰임)이며, 아일랜드어 이름 Findabarga와 어원이 같은 것으로 보인다. Gwenhwyfar는 "하얀 요정/유령"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원켈트어 ''*Windo-'' "하얀" + ''*sēbro'' "환영"에서 유래했다.[2][3][4][5] 어떤 사람들은 이 이름이 ''Gwenhwy-fawrcy'', 즉 "위대한 웬휘"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는 ''Gwenhwy-fachcy'', 즉 "작은 웬휘"와 대조되는 것이다. 웬휘바흐 (''Gwenhwyach''로도 표기)는 웨일스 문학에 웬휘바의 자매로 등장하지만, 웨일스 학자 멜빌 리처즈와 레이첼 브롬위치는 둘 다 이 어원을 부정한다.[6] 현대 영어에서 이와 어원이 같은 이름은 제니퍼이며, 이는 콘월어에서 유래했다.[7]

이 이름은 초기 라틴어 텍스트 ''비타 길다에''에 '''''Guennuuar''''' (''Guennuvar'')로 기록되어 있다. 몬머스의 제프리는 자신의 저서 ''영국 열왕사''에서 라틴어 형태로 '''Guenhuuarala''' (''Guenhuvara'')로 묘사했으며, 이는 다시 레이먼에 의해 '''''Wenhauer''''' (''Wenhaiuer'')로, (한 필사본에서는 '''''Gwenayfer'''''로), 그리고 바스의 ''브루트 로망''에서 '''''Genoivre'''''와 '''''Gahunmare'''''로 변형되었다. 연대기 작가 웨일스의 제럴드는 그녀를 '''Wenneuereiacy''' (''Wenneveria'')라고 언급했고, 인기 소설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그녀를 '''''Guenievre''''' (''Guenièvre'')라고 불렀다.

중세 유럽의 여러 시대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그녀의 다른 다양한 이름은 다음과 같다.

작품이름
Alliterative Morte Arthure'Gaynour', 'Waynour' (Waynor[e])
The Awntyrs off Arthure'Gaynour', 'Waynour' (Waynor[e])
Stanzaic Morte Arthur'Genure' (Gaynor)
Romanz du reis Yder'Guenloie'
Sir Gawayn and þe Grene Knyȝt'Guenore'
Polychronicon'Gwenvere' (Guennevere, Guenera, Gwenner)
De Ortu Waluuanii'Gwendoloena' (Gwendolen)
하르트만 폰 아우에와 울리히 폰 자치히코펜의 중고 독일어 로맨스'Ginover' (Ginovere)
데르 플라이어'Jenover'
이탈리아 로맨스'Ginevra' (Zenevra, Zenibra)
15세기 영국, 중세 콘월어 연극 Bewnans Ke'Gwynnever'
중세 영어 작가 토마스 말로리의 아서 왕의 죽음'Gwenever' 또는 'Gwenivere' (Guenever, Guenivere)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 시대의 다양한 국가 및 언어의 문헌에서 그녀의 이름의 다른 몇 가지 형태에는 '''''Ganor''''', '''''Ganora''''', '''''Gainor''''', '''''Gainovere''''', '''''Geneura''''', '''''Guanora''''', '''''Gueneour''''', '''''Guenevera''''', '''''Gwenore''''', '''''Gwinore''''', '''''Ntzenebra''''', '''''Vanour''''', '''''Vanore''''' (''Wanore'')가 있다.[9][10]

3. 중세 문학

헨리 저스티스 포드의 ''귀네비어''(1910년경)


귀네비어의 이름은 원래 웨일스어로 Gwenhwyfarcy이며, "하얀 요정/유령"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는 원켈트어 ''*Windo-'' ("하얀") + ''*sēbro'' ("환영")에서 유래했다.[2][3][4][5] 일각에서는 ''Gwenhwy-fawrcy'' ("위대한 웬휘")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데, 이는 ''Gwenhwy-fachcy'' ("작은 웬휘")와 대조된다. 웬휘바흐 (''Gwenhwyach''로도 표기)는 웨일스 문학에 웬휘바의 자매로 등장하지만, 웨일스 학자들은 이 어원을 부정한다.[6] 현대 영어에서 이와 어원이 같은 이름은 제니퍼이며, 콘월어에서 유래했다.[7]

초기 라틴어 텍스트 ''비타 길다에''에는 '''''Guennuuar''''' (''Guennuvar'')로 기록되어 있다. 몬머스의 제프리는 ''영국 열왕사''에서 '''Guenhuuarala'''로, 레이먼은 '''''Wenhauer'''''로, 바스의 ''브루트 로망''에서는 '''''Genoivre'''''와 '''''Gahunmare'''''로 변형했다. 웨일스의 제럴드는 '''Wenneuereiacy'''로,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Guenievre'''''로 불렀다. 중세 유럽 각지에서는 ''Alliterative ''Morte Arthure''''와 ''The Awntyrs off Arthure''의 '''''Gaynour'''''와 '''''Waynour''''', Stanzaic ''Morte Arthur''의 '''''Genure''''', ''Romanz du reis Yder''의 '''''Guenloie''''', ''Sir Gawayn and þe Grene Knyȝt''의 '''''Guenore''''', ''Polychronicon''의 '''''Gwenvere''''', ''De Ortu Waluuanii''의 '''''Gwendoloena''''' 등으로 불렸다. 하르트만 폰 아우에와 울리히 폰 자치히코펜의 중고 독일어 로맨스에서는 '''''Ginover''''', 데르 플라이어는 '''''Jenover''''', 이탈리아 로맨스에서는 '''''Ginevra'''''로 불렸다. 15세기 영국 중세 콘월어 연극 ''Bewnans Ke''에서는 '''''Gwynnever''''', 중세 영어 작가 토마스 말로리는 ''아서 왕의 죽음''에서 '''''Gwenever''''' 또는 '''''Gwenivere'''''로 썼다.[8]

하워드 파일의 ''귀네비어 부인'', ''아서 왕과 그의 기사 이야기''(1903)


13세기 웨일스 음유시인들의 초기 구전 설화를 바탕으로 한 웨일스 삼인조에는 세 명의 귀네비어가 아서 왕과 결혼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첫 번째는 귈트의 키위리드의 딸, 두 번째는 그위세르 압 그레이다울의 딸, 세 번째는 (G)ogrfan Gawr ("거인")의 딸이다.[11] 다른 웨일스 삼인조 변형판에는 오그프란 가우르의 딸만 언급된다. 한때 웨일스에는 "''귀네비어 페르치 오그르판 가우르 / 드르그 앤 베찬, 그웨스 앤 파우르'' (귀네비어, 오그르판 가우르의 딸 / 어릴 때는 나빴고, 커서는 더 나빴다)"라는 민요가 있었다.[12]

귀네비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1136년경 제프리의 ''Historia''에 있다. 여기서는 브리튼의 위대한 미녀 중 한 명으로, 콘월 공작 캐도르의 지도를 받았다고 전한다.[14] 다른 연대기에는 캐도르가 후견인 또는 친척으로 등장한다. 와스에 따르면 어머니 쪽으로 기사 가문의 후손이었고, 레이아몬은 로마의 후손이며 캐도르와 친척 관계라고 묘사한다.[15]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귀네비어는 아이가 없지만,[17] ''페르레바우스''와 ''파르지팔''에는 아서의 아들 로홀트가 등장한다. Alliterative ''모르테 아르투르''에서는 모드레드의 아내가 되어 두 아들을 낳지만, 죽어가는 아서는 이들의 시체를 바다에 던지라고 명령한다.[19] 웨일스 삼인조에는 아서의 아들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출생은 불분명하다.

에드먼드 H. 가렛의 삽화, ''아서 왕과 그의 궁정의 전설''(1911)

3. 1. 가족 관계

관계이름설명
아버지레오데그란스대부분의 이야기에서 귀네비어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어머니(불명)대개 언급되지 않으며, 때로는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
여동생그웬휘파흐웨일스 전통에서 귀네비어와 적대적인 관계로 기록되어 있다. 캠란 전투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복 여동생(불명)벌게이트 사이클에서 적대적인 역할을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남동생고테긴디 크로네에서 적대적인 역할을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언급되지 않는다.
사촌기오마르여러 프랑스 로맨스에서 모건 르 페이의 초기 연인으로 등장한다.
사촌엘리자벨 (엘리벨)귀네비어의 측근으로 등장한다.
사촌카란트 (가란트)모건의 기사로 등장한다. 게라인트일 가능성도 있다.[20][21]
아들로홀트 (일리노트)페르레바우스파르지팔에 등장하는 아서의 아들.
아들 (모드레드의 아들)(불명)Alliterative 모르테 아르투르에서 귀네비어가 모드레드의 아내가 되어 두 아들을 낳았다고 언급된다.
양녀(불명)란슬롯-그레일에서 사그라모어와 세네하우트의 사생아 딸을 키운다.


3. 2. 납치 설화

카라독 오브 란카판이 1130년에서 1150년 사이에 쓴 ''길다스의 생애''에 따르면, 기네비어는 "여름 나라"(''Aestiva Regio'', 아마도 서머셋을 의미)의 왕 멜와스에게 납치되어 강간당하고 글래스톤베리에 있는 그의 요새에 갇혔다.[38] 아서 왕은 그녀를 찾아 1년 동안 수색했고 멜와스의 요새를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모았지만, 길다스가 평화로운 해결을 협상하여 남편과 아내를 재회시켰다.[38] 이 에피소드는 고대 아일랜드어 납치 모티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9]

이탈리아 모데나 아치볼트에 묘사된 "Winlogee"(c. 1120–1240)


이 이야기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이야기가 이탈리아 모데나 대성당의 아치볼트에 새겨져 있는데, 이는 기네비어에 대한 다른 알려진 아서 왕 이야기보다 먼저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서 아르투스 드 브레타니아와 이스데르누스는 마르독이 '''윈로지'''를 억류하고 있는 탑에 접근하고, 다른 쪽에서는 카라도(아마도 카라독)가 갈바긴(가웨인)과 싸우는 동안, 기사 갈바리운과 케이(케이)가 접근한다. 이스데르누스는 ''쿨후흐와 올웬''에 등장하는 켈트 영웅 에데른 압 누드의 화신으로, 베롤의 ''트리스탄''에 언급된 거의 잊혀진 전통에서 기네비어의 연인이었다.[40]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12세기의 ''수레의 기사 란슬롯''에서 멜리아간트(멜와스에서 파생됨)에 의한 기네비어 납치의 또 다른 버전을 들려준다. 여기에서 여왕을 구출하는 사람은 아서 왕(또는 이더)이 아니라 란슬롯이며, 이 시에서 처음으로 여왕과의 간통이 다루어진다. 크레티앵의 아서 왕-기네비어-란슬롯의 삼각 관계에서 란슬롯은 고르 땅에서 그녀를 구출한다.[41]

빌헬름 리스트의 ''기사와 부인(아서 왕과 기네비어)''(c. 1902)


중세 문학에는 이 모티프의 여러 다른 변형이 있다. 울리히의 ''란제레트''에서 얽힌 숲의 왕 발레린은 그녀와 결혼할 권리를 주장하고 그녀를 자신의 성으로 데려간다. 하인리히의 ''디 크로네''에서 기네비어를 납치하는 사람은 그녀의 오빠 고테그림으로, 요정 기사 가조제인과의 결혼을 거부했기 때문에 그녀를 죽이려고 한다. 가조제인은 거짓으로 그녀의 연인이자 정당한 남편이라고 주장하며,[43] 그녀의 구세주는 가웨인이다. 14세기 웨일스 시인 다피드 압 그윌림은 두 편의 시에서 기네비어의 납치를 언급한다.

메이글 석재 세부 사항


이야기의 또 다른 버전은 조각된 픽트족 석상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메이글과 지역 민속에서 연관되어 있다. 현재 메이글 조각 석 박물관에 있는 돌 중 하나는 기네비어의 지역 이름인 '''바노라'''를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그녀는 모드레드(모르드레드) 왕에게 납치되었다고 한다. 그녀가 결국 아서 왕에게 돌아오면, 그는 그녀의 불륜을 이유로 사형을 선고하고, 야생 짐승에게 찢어 죽이라고 명령한다.[44] 이 사건은 메이글 석 2(바노라 여왕의 석상)에 묘사되어 있다고 한다.[44] 현대 학자들은 메이글 석 2를 사자 굴의 다니엘의 성경 이야기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한다.

중세 시대 연구가 로저 셔먼 루미스는 이 반복되는 모티프가 기네비어가 "켈트족의 페르세포네 역할을 물려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제안했다.[45]

3. 3. 아서 왕과 란슬롯과의 관계

기네비어와 이졸데 (윌리엄 모리스) (1862)


제프리의 ''영국 왕들의 역사''(Historia)에 따르면, 아서 왕은 로마의 지도자 루시우스 티베리우스와 전쟁을 위해 유럽으로 떠날 때 기네비어를 조카 모드레드(Mordred)에게 섭정[24]으로 맡겼다. 아서 왕이 없는 동안, 기네비어는 모드레드에게 유혹당해 그와 결혼하고, 모드레드는 스스로 왕위에 올라 아서 왕의 자리를 차지한다.[25] 이에 아서 왕은 브리튼으로 돌아와 캄란 전투에서 모드레드와 격전을 벌인다.[25] ''브뤼의 로망''(Roman de Brut)은 모드레드의 기네비어에 대한 사랑을 반역의 동기로 묘사한다.[26]

초기 문헌들은 기네비어를 불길하게 묘사하거나 거의 묘사하지 않았다. ''킬후흐와 올웬''에서는 아서 왕의 아내 그웬휘파르로 언급되며, 그의 소중한 소유물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지만,[27] 그 외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28]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은 기네비어를 단순한 아서 왕의 아내 이상으로 묘사한 최초의 작품 중 하나이다. 이는 크레티앵의 독자였던 마리, 샹파뉴 백작 부인의 궁정 때문일 가능성이 있는데, 이 궁정은 사회적 역할을 하는 여성들로 구성되어 있었다.[30]

기네비어와 에니드, 비비안 (조지, 루이스 리드) (1898)


후대 작가들은 기네비어의 장점과 단점을 활용하여 더 큰 역할을 하는 인물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크레티앵의 ''사자 기사 이뱅''에서 기네비어는 지혜, 친절, 우아함으로 칭송받는다. 반면, 마리 드 프랑스의 ''란발''에서는 사악하고 복수심에 불타는 간통을 저지르는 유혹자로 묘사된다. 기네비어는 ''가웨인, 아서 왕의 조카의 탄생''에서 마법의 힘을 사용하기도 한다. 운율을 맞춘 ''아서 왕의 죽음''에서는 기네비어가 남편을 상대로 사용하기 위해 자신이 소유한 아서 왕의 검을 연인 모드레드에게 줌으로써 가장 큰 반역[32]을 저지른다. 토머스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에서는 "기사도 로맨스의 전형적인 여성, 위압적이고 질투심이 많으며 요구가 많고, 유머 감각과 같은 가끔의 특징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다가,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더 깊이를 얻고 그녀의 성격에 큰 변화를 겪는다.[33]

이탈리아의 15세기 로맨스 ''라 타볼라 리톤다''에서 기네비어는 랜슬롯이 아서 왕의 살인자 모드레드의 포위 공격에서 그녀를 구출한 후, 남편의 운명을 알고 슬픔에 겨워 죽는다. ''페를레바''에서는 케이가 그녀의 아들 로홀트를 살해한 것이 기네비어가 고통으로 죽는 원인이 된다. 벨기에 작가 장 드 오트르메즈의 ''리 메뢰르 데 히스토어''에서 기네비어는 승리한 모드레드와 함께 통치하다가 원탁의 기사 중 마지막 기사인 랜슬롯에게 살해되는 사악한 여왕으로 등장한다. 레이어몬의 ''브루트''는 아서 왕이 모드레드의 목을 벤 후 기네비어를 조각내는 예언적인 꿈을 묘사한다.[35]

말리가트에게 납치되기 전의 장면: "기네비어 여왕이 웨스트민스터 근처의 숲과 들판에서 메이잉을 했다."
아서 래컴의 삽화, 토마스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을 알프레드 W. 폴라드가 요약한 ''아서 왕의 로맨스''(1917)에서 발췌


다음 이야기는 대부분 ''랜슬롯-성배''(벌게이트) 산문 주기와 토마스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을 기반으로 한다. 13세기 초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던 궁정 연애 관습에 따라, 기사 랜슬롯 경과 기네비어 여왕의 금지된 로맨스를 다룬다. 벌게이트 ''랜슬롯''에서 기네비어는 랜슬롯의 "여성 군주"이며, 호수의 여인이 그의 "여성 주군"인 것과 같다.[48]

13세기 프랑스 주기적 기사도 로맨스와 이를 기반으로 한 후기 작품들, 맬러리의 작품을 포함하여, 기네비어는 카르멜라이드의 레오데그란스 왕의 딸이다. 아서 왕은 리엔스 왕을 물리쳐 레오데그란스를 지켜냈고, 이를 통해 어린 기네비어를 처음 만난다. 곧 정략 결혼이 시작되고, 아서는 기네비어의 지참금으로 원탁을 받게 되는데, 그는 멀린의 예언적 조언을 무시하고 그녀와 결혼했다.

신비한 백기사(랜슬롯)가 도착하자 기네비어는 즉시 반하게 된다. 십 대 랜슬롯은 기네비어에게 기사 작위를 받은 후 처음으로 원탁의 기사에 합류하여 그녀를 섬기게 된다. 랜슬롯이 말리가트로부터 기네비어를 구출한 후, 호수의 여인과 갈레오의 도움으로 두 사람은 결국 아서의 몰락을 초래하는 로맨스를 시작한다.

벌게이트 사이클에서 랜슬롯의 계모인 호수의 여인 니니안은 그들에게 마법의 반지 한 쌍을 선물하여 마법으로부터 보호한다. 이 버전에서 연인들은 아서가 색슨 공주 카밀레와 잠자리를 하는 동안 첫날밤을 함께 보낸다. 아서는 또한 "가짜 기네비어" 에피소드 동안 불충실했는데, 그녀의 쌍둥이 이복 자매로, 아서는 두 번째 아내로 삼았고, 기네비어가 갈레오의 소렐라이스 왕국에서 랜슬롯과 함께 살기 위해 탈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다. 프랑스 산문 주기 작가들은 아서의 평판을 깎아내리고 중세 궁정의 프랑스 청중에게 그들의 간통을 용납하고 동정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의도했다. 그러나 맬러리의 ''아서 왕의 죽음''은 아서를 기네비어에게 절대적으로 충실한 인물로 묘사한다. 그녀 쪽에서 기네비어는 종종 랜슬롯에게 크게 질투를 느낀다.

몇 년 후, 성배 탐구 후 맬러리는 독자들에게 그들이 공개적으로 부주의하게 행동하기 시작했다고 말하면서, "라운슬롯은 기네비어 여왕에게 다시 의지하기 시작했고, 탐구에서 했던 약속과 완성을 잊었다... 그래서 그들은 이전보다 더 뜨겁게 사랑했다."라고 묘사한다. 그들은 "은밀한 결합"을 즐겼고 "궁정의 많은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정도로" 행동했다. 기네비어는 간통 혐의로 세 번 기소되었으며, 한 번은 마법 혐의도 받았다.[52] 그들의 불륜은 마침내 기네비어의 맹세한 적이자 아서의 이복 누이인 마법사 모르간 르 페이에 의해 폭로되었고, 로트 왕의 아들들인 아가브라인과 모르드레드에 의해 입증되었다. 랜슬롯은 도망쳤고, 아서는 마지못해 아내에게 화형을 선고했다. 랜슬롯은 그의 친족 및 추종자들과 함께 도착하여 여왕을 구출했다. 가웨인의 비무장 형제 가헤리스와 가레스는 전투에서 사망했고, 가웨인을 격노하게 하여 아서에게 랜슬롯과의 직접 대결을 압박했다.

아서가 랜슬롯을 쫓아 프랑스로 가자, 그는 그녀를 모르드레드에게 맡겼고, 그는 여왕과 결혼하여 아서의 왕위를 찬탈할 계획을 세운다. 일부 전설에서 기네비어가 모르드레드의 제안에 동의했지만, 랜슬롯 이야기에 따르면 그녀는 런던 타워에 숨어 모르드레드의 포위를 견뎌내고, 나중에는 수녀 수도원으로 피신한다.[53] 배신 소식을 들은 아서는 영국으로 돌아와 캠란에서 모르드레드를 죽이지만 그의 부상은 너무 심각하여 모르간에 의해 아발론 섬으로 옮겨진다. 아서가 죽은 후 기네비어는 간통에 대한 참회로 수도원에서 은퇴한다. 기네비어는 랜슬롯을 마지막으로 만나 입맞춤을 거부한 후 수도원으로 돌아갔다. 그녀는 이전의 유쾌한 성격과는 대조적으로 기쁨 없는 슬픔 속에서 수녀원장으로 남은 생을 보냈다. 그녀가 죽은 후 랜슬롯은 그녀를 아서의 무덤 옆에 묻었다.

4. 현대 문화

아서왕 전설의 현대적 각색에서 기네비어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는 현대 작가들이 그녀의 이야기 중 특정 부분을 더 자세히 묘사하기 때문이다. 랜슬롯과의 비극적인 사랑으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작품에서 기네비어는 랜슬롯에게 조종당했고 아서 왕을 진정으로 사랑했다고 묘사된다. 어떤 작품에서는 랜슬롯에 대한 사랑이 아서 왕과의 정략결혼 이전부터 있었다고 하며, 아예 불륜을 다루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많은 현대 이야기에서 기네비어는 중세 시대보다 더 적극적인 역할을 맡으며,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 캐서린 커의 소설 『다크스펠(Deverry Cycle)』에서 기네비어는 검에 찔린 심장의 여신에게 맹세한 전사이자 여사제이며, 전투에서 광전사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전쟁 지도자이다.
  • 마리온 짐머 브래들리의 『아발론의 안개』에서 기네비어는 아버지 밑에서 자라 열등감과 광장 공포증을 겪는다. 아이를 낳지 못하고 랜슬롯과 함께할 수 없게 되자, 깊은 우울증에 빠져 광신적인 기독교인이 된다. 이 작품은 웨일스식 철자를 대중화했다.
  • 제럴드 모리스의 『시종의 이야기(The Squire's Tales)』에서 기네비어는 아서 왕의 신혼 왕비로 시작하여 수녀원에서 평화롭게 생을 마감한다.
  • 버나드 콘웰의 『워로드 연대기』에서 기네비어는 북웨일스의 공주이자 이시스의 추종자로, 반기독교적이다. 아서와의 결혼으로 덤노니아의 여왕이 되려는 야망을 품고, 내전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바돈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이 게이브리얼 케이의 피오나바 태피스트리(The Fionavar Tapestry)에서 제니퍼/기네비어는 용기, 힘, 사랑을 가진 중심 인물이다.


기네비어가 등장하는 작품
작품연도작가/감독배우설명
아서왕 (연극)1895J. 코민스 카르엘렌 테리아서 설리번의 부수 음악과 함께 웨스트 엔드에서 공연되었다.[59]
카멜롯 (뮤지컬)1960 (초연)줄리 앤드루스, 샐리 앤 하우즈브로드웨이 뮤지컬.
카멜롯 (영화)1967바네사 레드그레이브뮤지컬 카멜롯의 영화 각색.
엑스칼리버 (영화)1981체리 룬기서사 판타지 영화.
카멜롯 3000 (만화)1983DC 코믹스미국 출신 연합 지구 방위군 사령관 조앤 액턴으로 환생.
아서 왕과 정의의 기사들 (만화)1992캐슬린 바 (목소리)카멜롯의 여왕이자 실제 아서 왕의 아내.
귀네비어 (영화)1994셰릴 리귀네비어의 관점에서 진행되는 페미니즘적 시각의 영화.
프린세스 그웬네베르와 보석 기사들 (만화)1994케리 버틀러, 진 루이자 켈리 (목소리)주인공 그웬네베르(그웬)는 마법 왕국 아발론 왕족의 딸.
퍼스트 나이트 (영화)1995줄리아 오먼드
멀린 (미니시리즈)1998레나 헤디텔레비전 미니시리즈.
아발론의 안개 (미니시리즈)2001사만다 마시스마리온 짐머 브래들리의 소설 동명 소설 각색.
귀네비어 존스 (TV 시리즈)2002타마라 호프주인공 그웬 존스로 환생.
아서 왕 (영화)2004키이라 나이틀리픽트족 공주로 묘사.
아서 왕의 재앙 (애니메이션)2005모르웨나 뱅크스 (목소리)
카멜롯 (TV 시리즈)2005 (프랑스), 2021 (영화)앤 지로드프랑스 텔레비전 시리즈 및 영화.
슈렉 3 (영화)2007드림웍스라티파 우아우 (목소리)우스터셔 아카데미의 학생.
멀린 (TV 시리즈)2008앤젤 콜비, 엘리안 화이트대장장이의 딸이자 모가나의 하녀.
원스 어폰 어 타임 (TV 시리즈)2011호아나 메트라스es카스티야 억양으로 묘사.
카멜롯 (TV 시리즈)2011테임신 에거턴야심차고 강인한 여성.
모바일 레전드: 뱅뱅 (비디오 게임)2016랜슬롯의 여동생으로 묘사.
레전드 오브 투모로우 ("카멜롯/3000" 에피소드)2016엘리즈 르베스크숨겨진 레즈비언으로 묘사.[63]
저주받은 (TV 시리즈)2020벨라 데인바이킹 전사 여성 레스피어, 일명 귀네비어.
마법사: 아르카디아 이야기 (만화)2020모가나의 친구.
그린 나이트 (영화)2021케이트 디키중세 시가 가웨인 경과 녹기사 바탕.
귀네비어 (비디오 게임)2022픽셀버리 스튜디오카멜롯과 아서, 랜슬롯의 멸망을 예언하는 환상에 시달리는 주인공.
윈터 킹 (TV 시리즈)2023조던 알렉산드라버나드 콘웰의 소설 3부작 군주 연대기 바탕.



''랜슬롯 경과 기네비어 여왕의 이별''. 1874년 줄리아 마가렛 캐머런의 사진, 알프레드 테니슨의 ''왕의 목가 및 기타 시''(1875)에 게재


"귀니비어(Guinnevere)"는 1968년 데이비드 크로스비가 작곡한 곡으로, 크로스비, 스틸스 앤 내시의 동명 데뷔 앨범에 수록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oogle Books Ngram Viewer https://books.google[...]
[2] 서적 Studies in British Celtic Historical Phonology https://books.google[...] Rodopi
[3] 논문 'Varia: 1. 1 sál m. ''(eau de) mer''; 2. 1 sed ''cerf''; 3. slabar; 4. slice ''coquille''; 5. ta- ''obtenir, trouver, pouvoir (féad-<ét-)''; 6. 1 tadg ''poète'', 1 tál ''asciam''; 7. Irish tarr, torrach; 8. tinaid; 9. tindabrad, Findabair; 10. 1 úall, úabar, úais; 11. *uern~?'
[4]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5] 문서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Royal Irish Academy, Dublin 1913–76
[6] 문서 Arthurian Onomastics
[7] 웹사이트 Cleveland Evans: Jennifer went from 'strange' to popular https://web.archive.[...] 2015-09-17
[8] 웹사이트 Judy Shoaf |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http://users.clas.uf[...]
[9] 웹사이트 The Reader's Handbook of Allusions, References, Plots and Stories, with Three Appendices https://books.google[...] Chatto and Windus 1890-03-21
[10] 서적 The Arthurian Nam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03-21
[11] 문서 2006
[12] 서적 Studies in the Arthurian Legend Clarendon Press 1891
[13] 웹사이트 Transactions of the Natural History Society of Northumberland, Durham, and Newcastle-upon-Tyne https://books.google[...] 1880
[14] 서적 Works of Tennyson, Volume 5 https://books.google[...]
[15] 서적 King Arthur's Children: A Study in Fiction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Loving Healing Press 2010-01-31
[16] 서적 Lancelot and Guinevere: A Cas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03
[17] 서적 Lancelot and Guinevere: A Casebook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03-21
[18] 웹사이트 Arthurian fiction :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archive.org/d[...] Lanham, Md. : Scarecrow Press 1999-03-21
[19] 서적 Malory's Anatomy of Chivalry: Characterization in the Morte Darthu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11-05
[20] 서적 The Arthurian Nam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1] 서적 The Mammoth Book of King Arthu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1-09-01
[22] 서적 Sources of the Grail: An Anthology https://books.google[...] SteinerBooks
[23] 서적 Postcolonial Fictions in the Roman de Perceforest: Cultural Identities and Hybridities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07
[24] 서적 The Mammoth Book of King Arthu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2011-09
[25] 서적 Relationship Devotional: 365 Lessons to Love & Learn https://books.google[...] Sterling
[26] 서적 The Alliterative Morte Arthure: A Reassessment of the Poem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1981-03-05
[27] 서적 The Celts: History, Lif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4-01
[28] 문서 The Arthurian Name Dictionary Routledge 2013
[29] 문서 Dating Medieval Welsh Literature: Evidence from the Verbal System CMCS Publications, Aberystwyth 2013
[30] 문서 1972
[31] 서적 Morgan le Fay, Shapeshifter Springer
[32] 웹사이트 King Arthur's incest https://childrenofar[...]
[33] 논문 Malory's Guenevere: 'A Woman Who Had Grown a Soul' https://www.jstor.or[...] 1999
[34] 서적 The Arthurian Handbook: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5] 서적 The Alliterative Morte Arthure: A Reassessment of the Poem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1981
[36] 서적 Celtic Culture: A-Celti https://books.google[...] ABC-CLIO 2006-03-21
[37] 웹사이트 Caradoc of Llangarfan: The Life of Gildas https://legacy.fordh[...] Fordham University 2016-04-09
[38] 서적 The Arthurian Nam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03-21
[39] 문서 The Romance of Arthur Garland Publishing, Inc.
[40]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Arthurian Romance i https://books.google[...] Slatkine
[41] 서적 Lancelot, or, The Knight of the C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42] 간행물 An Unlikely Hero: The Rapist-Knight Gasozein in "Diu Crône" https://www.jstor.or[...]
[43] 서적 Diu Crône and the Medieval Arthurian Cycle https://books.google[...] DS Brewer
[44] 웹사이트 Historic Environment Scotland https://www.historic[...] 2018-12-22
[45] 서적 The Development of Arthurian Romance Dover Publications
[46] 서적 Diu Crône and the medieval Arthurian cycle https://books.google[...] D.S. Brewer
[47] 웹사이트 'Siner tugende anegenge sagen': The re-writing of Arthurian (hi)story in 'Diu Crone'.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48] 간행물 Guinevere as Lord
[49] 간행물 Guinevere's Politics in Malory's "Morte Darthur" https://www.jstor.or[...] 2005
[5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rthurian Legen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1] 서적 The Arthur of the French: The Arthurian Legend in Medieval French and Occit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20-10-15
[52] 서적 Studies in Malory https://books.google[...] Medieval Institute Publications, Western Michigan University 1985
[53] 웹사이트 While King Arthur was Away, Did Guinevere with Mordred Play? https://childrenofar[...] 2018-12-07
[54] 서적 Sir Thomas Malory: His Turbulent Career Harvard University Press
[55] 간행물 The Identity of Sir Thomas Malory, Knight-Prisoner
[56] 문서 The Works of Sir Thomas Malory Clarendon Press, Oxford
[57] 문서 An Arthurian Triangle: A Study of the Origi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rthur, Guinevere and Mordred Brill, Leiden
[58] 서적 Divine Intervention II: A Guide to Twin Flames, Soul Mates, and Kindred Spirits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59]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King Arthur'' including an image of the program http://www.c20th.com[...]
[60] 서적 The Dark Fantastic: Race and the Imagination from Harry Potter to the Hunger Games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20-09-22
[61] 서적 Arthurian Animation: A Study of Cartoon Camelots on Film and Televis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3-07-17
[62] 웹사이트 Merlin http://www.merlintvs[...] Merlin TV Series Fansite 2012-04-05
[63] 잡지 Legends of Tomorrow books The Originals alum http://www.ew.com/ar[...] 2016-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