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화 (생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화(생물학)는 외래종이 새로운 자연 환경에서 스스로 번식하고 분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식물과 동물 모두에서 나타나며, 고귀화와 광귀화로 분류된다. 귀화는 인간의 이주, 야생 번식, 공생 등을 통해 발생하며, 천이 과정과 관련이 있다. 귀화종은 생태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침입종으로 변하여 토착종을 위협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마디풀, 개망초 등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 식물이 널리 분포하며, 귀화종 관리는 생태계 보전을 위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입종 - 신대륙 작물
    신대륙 작물은 신대륙에서 기원하여 재배되었으며, 옥수수, 감자, 토마토, 고추 등을 포함하며,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구대륙으로 전파되어 세계 식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도입종 - 콜럼버스의 교환
    콜럼버스의 교환은 15세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항해 이후 구대륙과 신대륙 간에 발생한 생물학적, 문화적 교류로, 식물, 동물, 질병, 인구 이동을 통해 두 대륙의 농업, 식생활, 문화, 인구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생태학적 과정 - 생태인류학
    생태인류학은 인간을 생태적 집단으로 보고 문화와 환경 간의 관계를 연구하며, 시스템 이론 등을 활용하여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을 탐구하는 인류학의 하위 분야이다.
  • 생태학적 과정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생물학 용어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생물학 용어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귀화 (생물학)
개요
정의어떤 유기체가 새로운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게 되는 생물학적 과정
관련 용어도입 (introduction)
정착 (establishment)
침입 (invasion)
단계
1단계: 도입유기체가 의도적이거나 우연히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2단계: 정착유기체가 새로운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식하는 단계
3단계: 확산유기체가 원래 정착 장소에서 더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단계
영향
생태적 영향경쟁
포식
질병 전파
서식지 변화
경제적 영향농업 손실
관리 비용 증가
생태계 서비스 감소
사회적 영향인간 건강
문화적 가치 손실
요인
인간 활동무역
여행
토지 이용 변화
생물학적 요인번식률
적응력
경쟁력
환경적 요인기후
서식지 가용성
관리
예방검역
감시
교육
근절물리적 제거
화학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
억제장기적인 관리 전략
연구
중요 연구 분야귀화 과정의 예측
침입 종의 영향 평가
효과적인 관리 전략 개발
추가 정보
관련 개념침입 생물학
생태학
진화
참고 문헌위키 문서 내 참고 문헌 참조
외부 링크위키 문서 내 외부 링크 참조

2. 귀화의 정의 및 개념

귀화는 외래 생물이 새로운 자연 환경에서 스스로 번식하고 분산되는 상황을 말하며, 식물과 동물 모두에게 적용되는 개념이다.

귀화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고귀화: 100년 이상 전에 도입된 경우
  • 양귀화 또는 광귀화: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경우 ('''협귀화'''와 반대)


귀화의 정도는 원산 또는 도입종의 분류군이나 종의 상태와 관련하여 정의된다.

  • 우연적 분류군: 인간의 활동으로 우발적으로 도입되어 드물게 나타나는 비원산 분류군 (의도적인 도입과는 반대)
  • 반자생적 분류군: 우연히 도입된 후 귀화는 되었지만, 아직 완전히 정착하지 못한 분류군
  • 자생적 분류군: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성장하고 번식하며, 완전히 정착한 토착 또는 비토착 분류군 (지역 동식물상과 혼합됨)

2. 1. 식물학에서의 귀화

식물학에서 귀화는 외래 식물이 새로운 자연 환경에서 스스로 번식하고 분산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북미 흰향나무는 영국에서 스스로 번식하기 때문에 귀화 식물로 간주되지만, 꺾꽂이나 씨앗을 통한 인간의 개입이 확산에 필수적인 프랑스에서는 귀화하지 않는다.

새로운 환경에 대해 강한 적응력과 살포력을 가진 식물들은 짧은 기간에 넓은 분포권을 가지게 되는데, 오늘날 전 세계에 걸쳐 발달하여 있는 잡초 가운데 이러한 식물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서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마디풀과의 마디풀이나 국화과의 도깨비바늘, 개망초, 망초, 개쑥갓 등이 이에 속한다. 이것들은 인간에 의해 원산지로부터 다른 지역으로 이동되어, 새로운 토지에서 번식하고 있는 것으로 '귀화 식물'이라 불린다. 이러한 식물들은 넓은 범위에 걸쳐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우세한 살포력과 영양 생식, 단성 생식 등의 뛰어난 생식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급속한 분포권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귀화의 두 가지 범주는 두 가지 다른 매개변수에서 정의된다.

  • '''고귀화''': 특정 시점 이전(100년 이상 전에 도입)에 도입된 경우를 말한다.
  • '''양귀화''' 또는 '''광귀화''': 공간적 확장의 개념을 내포한다(원산지와 동화되어 광범위한 지역에 존재하는 분류군, '''협귀화'''와 반대).


귀화의 정도는 원산 또는 도입종의 분류군이나 종의 상태와 관련하여 정의된다.

  • 우연적 분류군: 인간 활동으로 인한 우발적인 도입의 결과로 드물게 나타나는 비원산 분류군(의도적인 도입과는 반대로).
  • 반자생적 분류군: 우연적인 기원(인간 활동과 관련된 우연적 도입)이나 알려지지 않은 도입 이후 귀화된 분류군으로, 순응 후에는 원산 식물처럼 번식할 수 있지만 아직 잘 정착되지 않음.
  • 자생적 분류군: 고려된 지역에서 의도적인 인간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성장하고 번식하며, 잘 정착된 토착 또는 비토착 분류군(지역 동식물상과 혼합됨).

2. 2. 동물학에서의 귀화

동물 귀화는 주로 번식과 공생을 통해, 그리고 인간 이주에 따라 이루어진다.[5][6]

관련 종은 다음과 같다.

  • 원래 서식지가 아닌 생태계에 자발적으로 도입된 경우
  • 우연히 도입되었거나 반야생화된 경우
  • 또는 공생에 의해 인간의 이주 흐름을 자연스럽게 따라온 경우 (예: 집참새훈족에 이어 서유럽에, 그리고 그 이전에는 고대사 시대에 소아시아에서 동유럽으로 유입된 경우).


귀화된 종이 토착 종과 잡종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6]

3. 귀화의 원인 및 과정

천이는 일정한 지역의 식물 군락이나 군락을 구성하고 있는 종들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천해 가는 현상이다. 이것이 계속됨에 따라 생태계의 속성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맨땅을 그대로 방치하면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양지성 수목, 음지성 광엽수림으로 점차 변한다.[14] 이러한 천이 과정은 귀화생물과의 공존과 생태계의 안정성과의 완충점으로서 토종식물의 건전한 방어 능력을 위한 생태계 변화와도 관련있다. 또한 이러한 생물종 간의 천이 과정은 고유종과 외래종의 경합보다는 변화하는 환경이라는 조건의 변수가 더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학에서 귀화는 외래 식물이 새로운 자연 환경에서 스스로 번식하고 분산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북미 흰향나무는 영국에서 스스로 번식하기 때문에 귀화 식물로 간주되지만, 꺾꽂이나 씨앗을 통한 인간의 개입이 확산에 필수적인 프랑스에서는 귀화하지 않는다.

귀화의 두 가지 범주는 두 가지 다른 매개변수에서 정의된다. 하나는 '''고귀화'''로, 특정 시점 이전(100년 이상 전에 도입)에 도입된 경우를 말하며, 두 번째는 '''양귀화''' 또는 '''광귀화'''로 공간적 확장의 개념을 내포한다(원산지와 동화되어 광범위한 지역에 존재하는 분류군, '''협귀화'''와 반대).

귀화종의 도입지 또는 도입 지역은 귀화 후보 종이 정착하는 장소 또는 더 넓은 의미에서 새로운 환경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종의 원산지와 반대된다.

"자연 분포 지역" 또는 "자연 분포 범위"라는 개념은 다소 모호하다. 특히 인위적 애호 종이나 인위적인 토지 정착(운하, 다리, 삼림 벌채 등)의 혜택을 받아 이전에 고립된 두 지역을 연결한 종(예: 수에즈 운하, 레셉스 이주 유발)에 해당한다.

4. 귀화의 영향

새로운 환경에 적응력이 강한 식물들은 짧은 기간에 넓게 퍼져나가는 경우가 많다. 마디풀과의 마디풀이나 국화과의 도깨비바늘, 개망초, 망초, 개쑥갓 등이 그 예시이다. 이러한 식물들은 '귀화 식물'이라고 불리며, 넓은 범위의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고, 뛰어난 생식 능력을 가지고 있어 빠르게 분포권을 넓혀간다.

천이는 일정한 지역의 식물 군락이나 종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맨땅은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양지성 수목, 음지성 광엽수림으로 변한다.[14] 이러한 천이 과정은 귀화 생물과의 공존, 생태계 안정성, 토종 식물의 방어 능력 등과 관련이 있으며, 고유종과 외래종의 경쟁보다는 변화하는 환경 조건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귀화는 생태계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다.

4. 1. 긍정적 영향

귀화는 때때로 인간의 활동으로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었거나 인간에게 덜 유익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종을 대체하기 위해 인간의 도움을 받아 수행된다.[7]

야자나무와 같은 일부 귀화 종은 서식지를 변화시키고 때로는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틈새를 만들어 생태계 엔지니어 역할을 할 수 있다. 귀화 종의 잠재적이고/또는 인식된 긍정적 영향은 잠재적이고/또는 인식된 부정적 영향보다 덜 연구되었다.[12]

그러나 지역 종에 미치는 영향은 짧은 기간 내에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검은따오기(*Threskiornis aethiopicus*)는 1990년 모르비앙 (프랑스)의 동물원에서 탈출하여 2008년에 제거 캠페인이 벌어졌으나, 2013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는 이 조류 종이 프랑스에서 위협이 되지 않으며, 심지어 넓적부리(Eurasian spoonbill)를 촉진하고 침입성 미국가재의 발달을 제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13]

4. 2. 부정적 영향

귀화된 종이 토착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정도로 많아지면 침입종이 될 수 있으며, 생물 서식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침입 식물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8]과 같이 구체적인 사례도 존재한다.

침입종이 된 귀화 종의 예로는 유럽 원산으로 호주에 풍부한 유럽 토끼, 유럽과 미국을 침범하고 21세기에 100대 세계 최악의 침입 외래종 중 하나로 여겨지는 털고마리가 있다.[10] 토착 개체군과 도입 개체군 사이의 직접적인 경쟁 외에도, 유전자 오염은 잡종 교배에 의해 축적되어 토착 개체군의 보존을 저해하는 환경적 영향에 더해질 수 있다.[11]

그러나, 지역 종에 미치는 영향은 짧은 기간 내에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검은따오기(*Threskiornis aethiopicus*)는 1990년 모르비앙 (프랑스)의 동물원에서 탈출하여 2008년에 제거 캠페인이 벌어졌으나, 2013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는 이 조류 종이 프랑스에서 위협이 되지 않으며, 심지어 넓적부리(Eurasian spoonbill)를 촉진하고 침입성 미국가재의 발달을 제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13]

5. 한국의 귀화 현황

마디풀·도깨비바늘·개망초·망초·개쑥갓 등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귀화 식물이다.[1] 이들은 사람에 의해 원산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토지에서 번식하게 되었다.[1]

귀화 식물은 넓은 범위의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며, 우세한 살포력과 영양 생식, 단성 생식 등의 뛰어난 생식 능력을 가지고 있어 급속하게 분포권을 넓힐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s https://www.invasive[...] 2023-05-04
[2] 서적 Dictionnaire de biogéographie végétale French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3] 논문 Naturalization of introduced plants is driven by life-form-dependent cultivation biases https://onlinelibrar[...] 2024
[4] 서적 Manual of the Flowering Plants of Hawai'i Bishop Museum Press
[5] 논문 Disentangling the role of environmental and human pressures on biological invasions across Europe
[6] 논문 Impact of Non-Native Birds on Native Ecosystems: A Global Analysis
[7] 논문 Replacement of native by non-native animal communities assisted by human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n Isla Victoria, Nahuel Huapi National Park
[8] 논문 Invasive plant species identity affects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a mesocosm experiment https://www.scienced[...]
[9]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f Invasive Alien Plants on Forest Regeneration in European Temperate Forests
[10] 데이터베이스 List compiled from the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http://www.issg.or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ISSG)
[11] 논문 The evolutionary impact of invasive species
[12] 논문 Non-native palms (Arecaceae) as generators of novel ecosystems: A global assessment 2020-11
[13] 논문 Is the sacred ibis a real threat to biodiversity? Long-term study of its diet in the introduction zone compared to its area of origin https://comptes-rend[...] 2013-04
[14] 문서 우리말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