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망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망초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밭, 들, 길가 등 교란된 지역에서 주로 자란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한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흰색 또는 연자줏빛의 꽃이 피며, 곤충에 의해 수분된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개망초는 망초와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으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7년 기재된 식물 - 랑삿
    랑삿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나무로,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타원형 또는 둥근 모양의 열매는 달콤하고 신맛이 나며, 생으로 먹거나 시럽에 절여 먹고,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 1807년 기재된 식물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 광엽초본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광엽초본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개망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꽃 머리
꽃 머리
학명Erigeron annuus
명명자(L.) Pers.
아종E. annuus subsp. lilacinus
이명기본 명칭
Aster annuus
Aster stenactis | E.H.L.Krause
Cineraria corymbosa | Moench
Diplopappus annuus | Bluff & Fingerh.
Diplopappus dubius | Cass.
Doronicum bellidiflorum | Schrank
Erigeron annuus f. discoideus | Vict. & J.Rousseau
Erigeron annuus var. discoideus | (Vict. & J.Rousseau) Cronquist
Erigeron annuus var. typicus | Cronquist
Erigeron bellidioides | Spenn.
Erigeron diversifolius | Rich. ex Rchb.
Erigeron heterophyllus | Muhl. ex Willd.
Erigeron strigosus | Bigelow
Phalacroloma acutifolium | Cass.
Phalacroloma annuum | (L.) Dumort.
Pulicaria annua | Gaertn.
Pulicaria bellidiflora | Wallr.
Stenactis annua | (L.) Cass. ex Less.
Stenactis annua | Cass.
Stenactis dubia | Cass.
보존 상태
NatureServeG5
일반 명칭
영어annual fleabane, daisy fleabane, eastern daisy fleabane (해마다 벼룩을 쫓는 풀, 데이지 벼룩을 쫓는 풀, 동부 데이지 벼룩을 쫓는 풀)
일본어ヒメジョオン (Himejoon)
한국어개망초

2. 생태

주로 밭이나 들,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0cm~100cm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지를 조금 친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난형이고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m~15m, 너비 1.5m~3m이다. 잎 양면에 털이 있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위에 붙은 잎은 좁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관상화는 황색이다. 5~7월, 9~10월에 백색 또는 연자줏빛 꽃이 두상꽃차례를 이루고 가지 끝과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붙는다. 총포에 짧은 털이 있고 혀 모양의 화관은 길이 7mm~8mm, 너비 1mm 정도이다.

개망초는 목초지, 버려진 밭, 빈터, 길가, 철도변, 쓰레기 처리장 등 교란된 지역을 종종 식민지화하는 토착 개척종이다. 이러한 서식지에서 외래 침입 잡초와 경쟁하여 종종 성공한다.[3]

꽃은 작은 목수벌, 뻐꾸기벌, 땀벌류, 가면벌을 포함한 다양한 과, 꽃등에, 검정파리, 기생파리, 고기파리, 꽃파리과, 집파리를 포함한 파리에 의해 수분된다. 말벌, 작은 나비 및 기타 곤충들도 꿀을 찾기 위해 꽃을 방문하며, 소수의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도 방문한다.[3]

''Schinia lynx''(스핑크스 꽃나방) 애벌레는 개망초 및 기타 개망초의 꽃과 씨앗을 먹고, ''Lygus lineolaris''(애벌레)는 식물 즙을 빨아먹는다. 양, 마멋, 토끼를 포함한 일부 포유류는 잎, 꽃 및 줄기를 먹는다.[3]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전년 가을에 발아하여, 뿌리잎을 펼쳐 겨울을 난다. 어린 시기에는, 뿌리에서 긴 자루가 달린 달걀 모양의 (근생엽)을 단다. 이윽고, 줄기가 높이 뻗으면, 뿌리 잎은 없어지고, 줄기에서 나오는 가늘고 긴 잎만 남는다. 어긋나기하는 줄기 잎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줄기와 잎은 연두색이며, 드문드문 털이 난다. 줄기는 충실하다.

꽃 피는 시기는 6 - 10월경이다.[17] 줄기는 처음에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끝 부분에서 여러 번 가지가 갈라져 줄기 상부에 산방화서를 만들고, 흰색 또는 옅은 자줏빛의 을 피운다. 꽃봉오리는 아래를 향해 늘어지지 않는다. 꽃은 해바라기와 같은 형태이지만, 주변의 꽃잎이 매우 가늘다. 이 꽃으로 보이는 것은 두상화로, 작은 꽃들의 집합체이며, 중앙의 노란 부분은 통상화 (관상화)라고 하며, 주변의 흰 꽃잎과 같은 것은 설상화라고 한다. 또한, 꽃잎의 흰 부분이 약간 자줏빛을 띠는 개체가 보이기도 하는데, 이것은 청정한 공기 속에서 자랐을 때 생기는 것이다.

개체당 47,000개 이상의 종자를 생산하며, 게다가 그 종자의 수명이 35년으로 긴 것도 있어, 놀라운 번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17] 따라서, 제거가 매우 어렵다.

3. 분포 및 서식지

개망초는 북아메리카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미국 대부분 지역, 특히 분포 범위의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서부와 남부 지역에서는 드문 곳에서만 발견된다.[6] 한국,[10] 유럽, 인도아시아의 다른 지역을 포함하여 여러 지역에 도입되었다.[7][8][9]

스콧스 런 자연 보호 구역(Scott's Run Nature Preserve), 페어팩스 카운티 (버지니아주)에 있는 ''E. annuus''


개망초는 충분한 수분을 가진 장소에서 햇빛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받으며 잘 자란다. 자갈과 점토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토양 조건에 내성이 있다. 덥고 건조한 날씨에는 아래쪽 잎이 종종 노랗게 변하고 시든다.[3] 북아메리카 원산[15]으로, 유럽, 아시아 (일본 포함)로 귀화 분포한다.[16]

일본에서는 북아메리카에서 건너온 귀화식물로,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의 시가지에서 농지 등에 분포한다. 일본에는 1865년경에 관엽식물로 도입되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잡초가 되었다.[15] 현재는 전국으로 퍼져 각지에서 야생화되어 있다. 자생종 식물의 생육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자연이 풍부하고 희귀한 식물이 많이 자생하는 국립공원이나 아고산대에서는 문제가 된다.[15] 그 때문에, 개망초는 망초와 함께 주의해야 할 외래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본의 침략적 외래종 베스트 100에도 선정되어 있다.[15]

주로 밭이나 들, 길가에서 자란다.

4. 생태적 역할

개망초는 목초지, 버려진 밭, 빈터, 길가, 철도변, 쓰레기 처리장 등 교란된 지역을 식민지화하는 토착 개척종이다. 이러한 서식지에서 외래 침입 잡초와 경쟁하여 종종 성공한다.[3]

꽃은 작은 목수벌, 뻐꾸기벌, 땀벌류, 가면벌을 포함한 다양한 과, 꽃등에, 검정파리, 기생파리, 고기파리, 꽃파리과, 집파리를 포함한 파리에 의해 수분된다. 말벌, 작은 나비 및 기타 곤충들도 꿀을 찾기 위해 꽃을 방문하며, 소수의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도 방문한다.[3]

''Schinia lynx''(스핑크스 꽃나방) 애벌레는 개망초 및 기타 개망초의 꽃과 씨앗을 먹고, ''Lygus lineolaris''(애벌레)는 식물 즙을 빨아먹는다. 양, 마멋, 토끼를 포함한 일부 포유류는 잎, 꽃 및 줄기를 먹는다.[3]

5. 이름의 유래

개망초를 한자로 표기하면 "姫女菀|희녀원중국어"이 된다.[14] "姫"는 "작은", "女菀|여원중국어"은 "중국산 들풀"을 나타낸다.

같은 종류인 하늘타리(春紫菀|춘자원중국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히메지온"이라고 부르는 것은, 전혀 다른 종류인 개미취(국화과 시온 연 시온속)와 혼동되므로 잘못된 것이다. 개미취(姫紫菀|희자원중국어)와 구별하기 위해 개망초(姫女菀|희녀원중국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

같은 국화과 시온 연 무카시요모기속인 개망초와 하늘타리(속칭・하루조온)는 외형이 매우 유사할 뿐만 아니라, 명칭도 혼동하기 쉽다. 게다가 개망초와는 다른 종인 개미취와도 명칭이 혼동되어,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女菀|여원중국어"은 일본에서의 개미취(姫紫菀|자원중국어}})를 나타내[14]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야나기바히메기쿠(柳葉姫菊)"라고 불리거나[17], 철도선로를 따라 퍼져나갔기 때문에 "테츠도구사(鉄道草)"라고 불리기도 했다.

6. 유사종과의 구별

개망초와 망초는 꽃이 매우 비슷하여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개망초가 키가 더 크고, 꽃은 작고 수가 많으며, 뿌리 부분이 깔끔하다. 개망초의 줄기에는 속이 비어 있지 않고, 개망초의 잎은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이에 반해 망초는 키가 작고, 꽃은 크고 수가 적으며, 뿌리 부분에 잎이 있다. 또한, 망초의 꽃봉오리는 아래를 향해 늘어져 있는 특징이 있다. 망초의 줄기에는 가운데에 속이 비어 있으며[17], 망초는 줄기를 감싸듯이 붙어 있다[17]。 따라서, 자세히 비교해 보면 확실히 구별할 수 있다.

꽃만 확대한 사진으로는 이 둘을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반적인 꽃에서는 개망초가 망초보다 꽃이 한 겹 작고 혀꽃의 수도 적어서 구별할 수 있지만, 판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또한, 개망초와 망초 외에도 넓은잎개망초 등 근연종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7. 이용

어린 잎은 식용하고, 한방에서 감기·학질·전염성감염·위염·장염·설사·항암 치료(암세포의 세포 자살) 등에 사용한다.[1]

식용 가능한 야생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 줄기가 서기 전의 어린 묘를 식용하며, 채취 시기는 관동 지방 이서가 3 - 7월경, 도호쿠 지방이 4 - 7월경, 홋카이도에서는 5 - 7월경으로 알려져 있다.[1] 잎은 데쳐서 나물이나 무침으로 만들거나, 생으로 튀김으로 해 먹는다.[1] 꽃이나 봉오리도 튀김으로 이용할 수 있다.[1] 식미는 "별다른 특징은 없고, 약간 쑥갓과 비슷한 향이 있다"고 평가된다.[1]

8. 문화

문태준의 시 〈번져라 번져라 病이여〉에는 개망초에 대한 구절이 나온다.[1]

8. 1. 문학

꽃별, 무슨 섬광이
이토록 작고 맑고 슬픈가 …[1]

참조

[1] 서적 Plants of Pennsylva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 서적 Field Guide to Wildflowers of North America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Sterling Publishing Co.
[3] Illinois Wildflowers Annual Fleabane (''Erigeron annuus'')
[4] EFloras Erigeron annuus
[5] 웹사이트 Annual Fleabane http://www.npwrc.usg[...] 2006-08-03
[6] 기타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state-level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7] PLANTS
[8] EFloras Erigeron annuus
[9] 기타 Altervista Flora Italiana, Cespica annua, ''Erigeron annuus'' (L.) Desf. http://luirig.alterv[...]
[10] 웹사이트 개망초 http://www.doopedia.[...] 2018-05-07
[11] YList 2023-04-06
[12] YList 2023-04-06
[13] YList 2023-04-06
[14] 문서 ヒメジョオン(姫{{font color|red|'''女{{lang|zh|菀}}'''}})のことを[[中華人民共和国|中国]]では「{{font color|green|'''一年蓬'''}}」と表し、ヒメシオン(姫{{font color|purple|'''紫{{lang|zh|菀}}'''}})のことを中国では「{{font color|red|'''女{{lang|zh|菀}}'''}}」と表す。なお、シオン({{font color|purple|'''紫{{lang|zh|菀}}'''}})のことを中国でも「{{font color|purple|'''紫{{lang|zh|菀}}'''}}」と表すが、中国ではハルジオン(春{{font color|purple|'''紫{{lang|zh|菀}}'''}})に相当する単語は無い。
[15] 서적 日本の外来生物 : 決定版 [[헤이본샤]]
[16] 웹사이트 ヒメジョオン https://www.nies.go.[...] 2012-05-16
[17] 서적 街でよく見かける雑草や野草がよーくわかる本 [[슈와시스템]]
[18] 문서 개망초, 《글로벌 세계 대 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