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대통령은 그리스의 국가 원수이며, 그리스군 최고사령관이자 의전 서열 1위이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그리스 의회에서 선출되며, 헌법에 따라 의회 의장이 대통령 유고 시 직무를 대행한다. 1974년 이후 제3공화국에서 현재까지 8명의 대통령이 재임했으며, 현재 대통령은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이다. 대통령의 공식 관저는 아테네에 위치한 대통령 관저이다.
대통령은 그리스군의 명목상 최고사령관이며, 국가 의전 서열에서 첫 번째 자리에 있다. 1974년 그리스 헌법은 대통령에게 상당한 권한을 부여했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스 총리가 그리스 정부의 실질적인 행정 수반이자 국가의 주요 정치 지도자이다. 대통령의 역할은 1986년 그리스 헌법 개정을 통해 실질적인 권한이 축소되면서 공식적으로 관행에 부합하게 되었다.
그리스 헌법 제32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그리스 의회에 의해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임기 만료 최소 한 달 전에 특별 회의에서 선출된다. 투표는 최대 5차에 걸쳐 진행되며, 각 차수 사이에는 5일 이내의 간격이 있다.[2]
대통령은 취임 전 그리스 의회 앞에서 선서를 해야 하며, 이는 그리스 헌법 제33조 2항에 따른다.[2]
그리스 헌법에 따르면, 질병, 해외 여행 등의 사유로 그리스 대통령이 일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의회 의장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아 대통령이 직무를 재개할 때까지 국가 원수로서의 권한을 행사한다.[1] 대통령이 사망, 사임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궐위된 경우에도 새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의회 의장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는다.[1] 가장 최근에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던 사람은 1985년 콘스탄틴 카라만리스의 사임 이후 요안니스 알레브라스였다.[1]
그리스의 역대 대통령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2. 권한
의회의 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에게는 정부의 요청에 따라 선전 포고, 강화 조약 체결, 동맹, 국제 기구 가맹 권한이 부여된다. 이러한 협정 및 조약을 비준하려면 의회 5분의 3의 찬성이 필요하다. 대통령은 또한 각료의 부서 하에 비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1986년 헌법 개정으로 권한이 축소되어, 의회 해산, 총리 해임, 헌법 일부 정지, 비상사태 발령을 할 수 없게 되었다.
3. 선출
1차 및 2차 투표에서는 의회 300명 의원 중 200명(과반수 초과)이 필요하며, 3차 투표에서는 180명으로 줄어든다. 4차 투표에서는 151표(단순 과반수)가 필요하다. 5차 투표는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두 후보 간에 치러지며 상대 다수 득표로 결정된다.[2]
의회의 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1회에 한해 연임이 가능하다.
4. 취임 선서
"나는 거룩하고, 동일본질이며, 불가분한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헌법과 법률을 수호하고, 이를 충실히 준수하며, 국가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옹호하고, 그리스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며, 그리스 국민의 일반적인 이익과 진보에 봉사할 것을 맹세합니다."
5. 대통령 권한 대행
6. 역대 대통령
1828년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그리스 독립 전쟁 중 그리스 제1공화국의 통치자로 취임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이후에는 그의 동생인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통치 평의회를 이끌었다.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파블로스 쿤두리오티스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장군의 군사 독재 기간을 거쳐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대통령 재임 중 왕정이 복고되었다.
1967년 4월 21일 쿠데타로 그리스 군사 정권이 집권하여 1974년까지 지속되었다. 군사 정권은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선포하여 대통령제를 도입했다. 게오르기오스 조이타키스,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페돈 키지키스가 차례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1974년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현재의 제3 헬레니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페돈 기지키스 임시 대통령 이후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가 첫 선출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이후 콘스탄티노스 차초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카롤로스 파풀리아스, 프로코피스 파블로풀로스를 거쳐, 2020년부터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가 현직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다.
6. 1. 제1공화국 (1828-1833)
총독 (Κυβερνήτηςel) 초상 생몰년 임기 비고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776년 2월 11일 - 1831년 10월 9일 1828년 1월 24일 - 1831년 10월 9일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778년 - 1857년 1831년 10월 9일 - 1832년 4월 9일 이오아니스의 동생. 통치 평의회 1832년 4월 9일 - 1833년 2월 2일
6. 1. 1. 통치자
| 총독 (Κυβερνήτηςel) | 초상 | 생몰년 | 임기 | 비고 |
|---|---|---|---|---|
|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 1776년 2월 11일 - 1831년 10월 9일 | 1828년 1월 24일 - 1831년 10월 9일 | ||
|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 1778년 - 1857년 | 1831년 10월 9일 - 1832년 4월 9일 | 이오아니스의 동생. 형의 암살로 인해 임시 정부 위원장을 역임. | |
| 통치 평의회 | 1832년 4월 9일 - 1833년 2월 2일 | 왕정으로 이행되기 전까지 잠정 통치 |
6. 2. 그리스 왕국 (1833-1924, 1935-1973)
그리스 왕국, 그리스 국왕 목록 문서를 참조하라.6. 3. 제2공화국 (1924-1935)
그리스 제2 공화국 참조| 대통령 | 초상 | 생몰년도 | 비고 |
|---|---|---|---|
| 파블로스 쿤두리오티스 | ![]() | 1855년 4월 9일 - 1935년 8월 22일 | 제1기, 제2기 |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 ![]() | 1878년 1월 11일 - 1952년 2월 26일 | 군사 독재 |
|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 ![]() | 1855년 11월 9일 - 1936년 9월 15일 | 왕정 복고로 인해 사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