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876 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876 d는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시선 속도 변화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다. 2005년 발표 당시 글리제 876에는 b, c 두 개의 행성이 이미 알려져 있었으며, d는 세 번째로 발견된 행성이다. 0.0208 천문단위 거리에서 약 2일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며, 최소 지구 질량의 5.88배로 추정된다. 높은 궤도 이심률로 인해 조석 가열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표면 온도는 섭씨 341도 정도로 추정된다. 글리제 876 d의 형성에 대해서는 가스 행성 이동설과 휘발성 물질 손실설 두 가지 가설이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리제 876 - 글리제 876 c
글리제 876 c는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공전하며 글리제 876 b와 궤도 공명 관계를 가지고, 목성 질량의 0.62배 이상인 가스 행성이지만, 모항성이 어두워 생물권 내에 위치하여 거대 위성이 있다면 생명체 존재 가능성도 있다는 외계 행성이다. - 글리제 876 - 글리제 876 b
적색 왜성 글리제 87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글리제 876 b는 1998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글리제 876 c와 1:2 궤도 공명 관계를 가진 가스 행성으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바깥에 위치하지만 거대 위성이 존재할 경우 생명체 존재 가능성도 있다. - 슈퍼지구 - MOA-2007-BLG-192Lb
궁수자리에 위치한 적색 왜성 MOA-2007-BLG-192L은 지구로부터 약 7040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0.24배이다. - 슈퍼지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글리제 876 d | |
---|---|
기본 정보 | |
![]() | |
별 | 글리제 876 |
별자리 | 물병자리 |
거리 | 15.2 광년 (4.66 파섹) |
분류 | 태양계 외 행성, 슈퍼 지구? |
다른 이름 | GJ 876 d, Gl 156-057 d, 로스 780d, BD-15 6290d, HIP 113020 d, 물병자리 IL 별 d |
발견 | |
발견 | 리베라 외 |
발견일 | 2005년 6월 13일 |
발견 장소 | 캘리포니아 카네기 행성 탐사 |
발견 방법 | 도플러 분광법 (시선 속도법) |
궤도 요소 | |
궤도 기준점 | BJD 2,450,602.09311 |
궤도 장반축 | 0.021020525 ± 0.00000005 AU |
궤도 이심률 | 0.035 |
공전 주기 | 1.9377904 ± 0.000007 일 |
평균 근점 이각 | 104° |
궤도 경사 | 56.7° |
근일점 인수 | 120° |
반진폭 | 6.0 m/s |
평균 공전 반지름 | 0.02080665 ± 0.00000015 au |
근일점 거리 | 0.0165 au |
원일점 거리 | 0.0251 au |
궤도 경사각 | 50° (추정) |
근일점 인수 | 234 ± 20° |
승교점 황경 | 355 ± 19° |
준진폭 | 6.56 ± 0.37 m/s |
항성 정보 | |
적색 편이 | -0.000005 ± 0.000001 |
시선 속도 | -1.59 ± 0.18 km/s |
고유 운동 (적경) | 959.84 ± 3.36 밀리초/년 |
고유 운동 (적위) | -675.33 ± 1.68 밀리초/년 |
연주 시차 | 213.28 ± 2.12 밀리초/년 |
물리적 특징 | |
질량 | ≥6.83 ± 0.4 ME |
추정 반지름 | 1.23 - 2.27 RE |
나이 | 1억년 - 50억년 |
2. 발견
글리제 876 d는 행성의 중력이 항성의 시선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이용하여 발견되었다. 항성의 분광선에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를 관측하여 시선 속도값을 알 수 있다. 발견 당시 글리제 876에는 이미 외계 행성 글리제 876 b, c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이 둘은 1:2 궤도공명을 보였다. b와 c의 존재를 고려한 후에도 시선 속도는 약 2일 주기로 또 다른 주기를 보였다. 이는 지구 질량의 최소 5.9배에 이르는 세 번째 행성이 있다는 뜻이었다. 새로 발견된 행성은 글리제 876 d로 명명되었으며, 2005년 에우제니오 리베라 연구진이 발견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9]
글리제 876 d는 항성으로부터 고작 0.0208 천문단위(약 311만 킬로미터) 떨어진 매우 가까운 거리를 공전하고 있다.[10] 이 정도 거리에서는 조석 상호작용으로 인해 궤도가 원형이 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0.207의 이심률을 가진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3. 공전 궤도와 질량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된 외계 행성의 질량은 하한값만 알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측정된 질량이 궤도 경사각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데, 이 값은 보통 알려져 있지 않다. 글리제 876 d의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의 5.88배이다. 그러나 글리제 876 b와 c는 공명 상태에 있어, 행성 간 중력 상호작용을 이용한 모델을 통해 궤도 경사각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글리제 876 d가 다른 행성들과 같은 평면에서 공전한다고 가정할 때, 실제 질량은 지구 질량의 6.83배이다. 측정천문학적 관측에 따르면 b의 경사각은 약 84도이며,[12] 이를 바탕으로 글리제 876 d의 질량을 추정할 수도 있다.
낮은 질량 때문에 글리제 876 d는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거대 지구형 행성은 가스 행성의 안쪽 이동으로 인해 별 쪽으로 밀려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3. 1. 조석 가열
글리제 876 d는 높은 궤도 이심률 때문에 강한 조석 가열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모형에 따르면 조석 가열은 행성 지각을 완전히 녹일 정도이다. d 표면에서의 열 플럭스 예상 총량은 약 104-5 W/m2이다. 참고로 목성의 위성 이오 표면의 열 플럭스 총량은 약 3 W/m2이다.[13] 글리제 876 d가 글리제 876으로부터 받는 에너지의 총량은 약 40,000 W/m2이다.[14]
4. 물리적 특징
글리제 876 d는 어머니 항성인 글리제 876에 미치는 중력 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반지름, 화학 조성, 유효 온도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금성과 비슷한 반사율(0.8)을 가정하면 표면 온도는 약 430 ~ 650 켈빈으로 예상된다.[9] 평형 온도는 약 614,000로 추정된다.[1]
질량이 작기 때문에 암석 행성일 가능성이 있으며, 밀도는 약 8,000 kg/m3, 표면 중력은 지구의 2.5배 수준, 반지름은 지구보다 73%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9]
시선 속도로 측정한 외계 행성의 질량은 최소 질량만 알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측정된 질량 값이 궤도 경사각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리제 876의 경우, 공명하는 외행성들 간의 중력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모델을 통해 궤도 경사각을 결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외행성들이 하늘 평면에 대해 약 59°의 경사각으로 거의 공면임을 알 수 있다. 글리제 876 d가 다른 행성들과 같은 평면에서 공전한다고 가정하면, 행성의 실제 질량은 지구 질량의 6.83배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행성은 질량이 작다는 점이 특이하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대부분은 목성 정도의 질량이었고, 가장 작은 것도 천왕성 (지구의 14배) 정도였다. 그러나 글리제 876 d는 최소 질량이 지구 질량의 6배 정도이며, 주성분이 거의 암석으로 구성될 것으로 추정되어 최초의 태양계 외 지구형 행성 발견 사례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핫 쥬피터처럼 중심별에 매우 가까운 거리를 불과 2일도 안 되는 짧은 주기로 공전하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수백 °C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고온으로 인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낮다.
동시에 중심별의 강력한 조석력에 의해 지구의 달처럼 자전과 공전의 주기가 공명하여 일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자전과 공전의 동기 참조).
2006년에는 태양 근처의 항성에 많은 거대 지구형 행성이 존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으며,[8] 더 낮은 질량의 행성 발견을 위해 관측이 계속되고 있다. 글리제 876 d보다 질량이 작은 외계 행성으로는 2010년 중력 렌즈 관측으로 발견된 OGLE-2005-BLG-390Lb, 트랜짓법·시선 속도법으로 관측된 CoRoT-7b 등이 있다. 태양계의 지구형 행성과 비교해도 질량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행성은 "거대 지구형 행성 (슈퍼 지구)"이라고 불린다.
4. 1. 형성 가설
글리제 876 d와 같이 질량이 매우 큰 암석 행성이 어떻게 태어났는지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있다.
- 가스 행성 이동설: 글리제 876 항성 쪽으로 가스 행성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함께 끌려온 물질들이 뭉쳐 암석 행성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이다.[15]
- 휘발성 물질 손실설: 글리제 876 d는 지금보다 먼 곳에서 가스 행성 형태로 태어난 뒤 다른 가스 행성들처럼 항성으로 끌려왔다는 가설이다.[16]
이 두 가설 중 어느 쪽이 맞는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행성의 반지름이나 화학 조성물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확보되어야 한다. 아쉽게도 글리제 876 d는 항성 표면을 통과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존에 확보된 자료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현재의 관측 능력으로는 알 수 없음을 뜻한다.[9]
4. 1. 1. 가스 행성 이동설
글리제 876 항성 쪽으로 가스 행성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함께 끌려온 물질들이 뭉쳐 암석 행성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이다.[15] 이 가설에 따르면, 글리제 876 d와 같은 질량이 매우 큰 암석 행성이 탄생할 수 있다.4. 1. 2. 휘발성 물질 손실설
글리제 876 d는 지금보다 먼 곳에서 가스 행성 형태로 태어난 뒤 다른 가스 행성들처럼 항성으로 끌려왔다는 가설이 있다.[16] 이 경우 원래 d는 물과 같은 휘발성 물질이 풍부했지만, 어머니 항성의 코로나 질량 방출 때문에 원래 지녔던 수소 대기층을 잃어버렸다는 것이다.[16]이 모델에서 행성은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핵에서 상층부로 분리되어 나온, 초임계유체 형태의 압력을 받는 해양을 가질 것이며, 이는 행성 내부의 높은 압력 때문에 얼어붙은 얼음층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한 행성은 수증기와, 자외선 복사에 의해 물이 분해되어 생성된 자유 산소를 포함하는 대기를 가질 것이다.[17]
5. 추가적인 관측의 필요성
두 가지 형성 가설 중 어느 것이 옳은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행성의 반지름과 화학 조성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아쉽게도 글리제 876 d는 항성 표면을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9] 현재의 관측 기술로는 추가 정보를 얻기 어렵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pcf.upr.[...]
2016-08-04
[2]
웹사이트
How Old is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6
[3]
웹사이트
Temperature of the Sun
http://www.universet[...]
Universe Today
2008-09-15
[4]
논문
The Lick-Carnegie Exoplanet Survey: A Uranus-mass Fourth Planet for GJ 876 in an Extrasolar Laplace Configuration
https://iopscience.i[...]
[5]
간행물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IX. Characterization and dynamics of the GJ?876 planetary system
http://ads.nao.ac.jp[...]
[6]
웹사이트
BD-15 6290 -- Variable of BY Dra type
https://simbad.u-str[...]
2016-07-07
[7]
Arxiv
A ''SPITZER'' SEARCH FOR TRANSITS OF RADIAL VELOCITY DETECTED SUPER-EARTHS
2014-01-05
[8]
뉴스
巨大な地球型惑星、太陽近辺に多数存在か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06-06-19
[9]
저널
A ~7.5 M⊕ Planet Orbiting the Nearby Star, GJ 876
http://www.journals.[...]
[10]
저널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http://www.journals.[...]
[11]
저널
A ~7.5 M⊕ Planet Orbiting the Nearby Star, GJ 876
http://cdsads.u-stra[...]
[12]
저널
Dynamical Models of the Resonant Pair of Planets Orbiting the Star GJ 876
http://adsabs.harvar[...]
[13]
저널
Tidal Heating of Extra-Solar Planets
[14]
문서
[15]
저널
Oligarchic and giant impact growth of terrestrial planets in the presence of gas giant planet migration
http://cdsads.u-stra[...]
[16]
저널
The impact of nonthermal loss processes on planet masses from Neptunes to Jupiters
http://www.cosis.net[...]
[17]
저널
Origin and Ubiquity of Short-Period Earth-like Planets: Evidence for the Sequential Accretion Theory of Planet Formation
http://cdsads.u-st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