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임계유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임계 유체는 임계 온도와 임계 압력 이상에서 물질이 나타내는 상태로, 액체와 기체의 성질을 모두 갖는다. 이 상태에서는 액체와 기체의 구분이 사라지고 단일 상으로 존재하며, 압력 변화에 따라 밀도가 크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초임계 유체는 추출, 분해, 크로마토그래피, 화학 반응, 드라이클리닝, 나노 입자 형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특히 이산화 탄소와 물이 널리 사용된다. 또한, 발전, 바이오디젤 생산, 원유 회수 증진, 냉동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그린 케미스트리 측면에서 친환경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질의 상 - 고체
    고체는 물질의 네 가지 기본 상태 중 하나로, 원자, 분자,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하여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가지며, 결합 방식과 전기 전도도, 외부 힘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특성을 나타낸다.
  • 물질의 상 - 초전도 현상
    초전도 현상은 특정 물질이 임계 온도 아래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으로, 마이스너 효과와 자기 선속 양자화 등의 특징을 보이며 BCS 이론으로 일부 설명되지만 고온 초전도체는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고 MRI, 초전도 자석 등에 응용되며 상온 초전도체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응집물질물리학 - 띠구조
    띠구조는 결정 내 전자의 에너지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에너지 띠와 띠틈으로 구성되며, 도체, 절연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응집물질물리학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초임계유체
개요
유형상(相)
정의임계 온도 및 임계 압력 이상에서 액체와 기체의 구분이 없는 상태
활용추출
화학 반응
나노 입자 형성
임계점
설명상전이의 끝점
액체-기체 임계점액체와 기상의 공존이 불가능해지는 특정 온도와 압력
임계 온도 (Tc)주어진 압력에서 기체를 액화시킬 수 있는 최대 온도
임계 압력 (Pc)임계 온도에서 기체를 액화시키는 데 필요한 압력
임계 부피 (Vc)임계 온도 및 임계 압력에서의 물질의 몰 부피
특성
용해도기체와 유사한 높은 확산성과 액체와 유사한 용해력을 동시에 가짐
밀도액체와 기체의 중간 정도
점성액체보다 낮고 기체보다 높음
확산성액체보다 높고 기체보다 낮음
응용 분야
추출카페인 제거 (이산화탄소 사용)
향수 추출
천연 오일 추출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물질 분리 및 분석
화학 반응반응 속도 및 선택성 향상
새로운 화학 경로 개발
나노 입자 형성균일한 크기와 모양의 나노 입자 제조
발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개발
기타지열 발전
폐수 처리
드라이클리닝
예시 물질
이산화탄소임계 온도: 31.1 °C
임계 압력: 7.38 MPa
임계 온도: 374 °C
임계 압력: 22.1 MPa
기타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2. 성질

초임계 유체는 일반적으로 기체와 액체의 중간 정도의 특성을 갖는다. 표 1은 초임계 유체로 주로 사용되는 일부 물질에 대한 임계 특성을 보여준다.

표 1. 다양한 용매의 임계 특성[3]
용매분자량임계 온도임계 압력임계 밀도
g/molKMPa (atm)g/cm3
이산화 탄소 (CO2)44.01304.17.38 (72.8)0.469
물 (H2O)18.015647.09622.064 (217.755)0.322
메테인 (CH4)16.04190.44.60 (45.4)0.162
에테인 (C2H6)30.07305.34.87 (48.1)0.203
프로페인 (C3H8)44.09369.84.25 (41.9)0.217
에틸렌 (C2H4)28.05282.45.04 (49.7)0.215
프로필렌 (C3H6)42.08364.94.60 (45.4)0.232
메탄올 (CH3OH)32.04512.68.09 (79.8)0.272
에탄올 (C2H5OH)46.07513.96.14 (60.6)0.276
아세톤 (C3H6O)58.08508.14.70 (46.4)0.278
아산화 질소 (N2O)44.013306.577.35 (72.5)0.452



†출처: 국제 물 및 증기 특성 협회([http://www.iapws.org IAPWS])[4]

표 2는 일반적인 액체, 기체 및 초임계 유체의 밀도, 확산도 및 점도를 비교하여 보여준다.

표 2. 기체, 초임계 유체 및 액체의 비교[5]
밀도 (kg/m3)점도 (μPa·s)확산도 (mm2/s)
기체1101–10
초임계 유체100–100050–1000.01–0.1
액체1000500–10000.001



초임계 유체는 액체/기체 상 경계가 없으므로 표면 장력이 없다. 압력과 온도를 변경하여 유체의 특성을 액체와 유사하거나 기체와 유사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유체 내 물질의 용해도인데, 초임계 유체의 용해도는 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온도 일정). 밀도는 압력에 따라 증가하므로 용해도 또한 압력에 따라 증가한다. 온도와의 관계는 약간 더 복잡하다. 밀도가 일정하면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증가하지만, 임계점에 가까워지면 온도가 약간 상승할 때 밀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임계 온도 부근에서는 용해도가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기도 한다.[6]

초임계 유체는 일반적으로 서로 완전히 섞이며, 혼합물의 임계점을 초과하면 이성분 혼합물이 단일 기체 상을 형성한다. 그러나 한 성분이 다른 성분보다 훨씬 휘발성이 높은 경우에는 예외가 있는데, 성분 임계점 이상의 고압 및 온도에서 두 개의 혼합되지 않는 기체 상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N2-NH3, NH3-CH4, SO2-N2 및 n-부탄-H2O 시스템 등에서 발견되었다.[7]

이성분 혼합물의 임계점은 다음 식을 통해 두 성분의 임계 온도와 압력의 산술 평균으로 추정할 수 있다.

: ''T''c(mix) = ''χ''''A'' × ''T''c(''A'') + ''χ''''B'' × ''T''c(''B'')

여기서 ''χ''''i''는 성분 ''i''의 몰 분율을 나타낸다.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Peng–Robinson 또는 그룹 기여 방법과 같은 상태 방정식을 사용하여 임계점을 계산할 수 있다. 밀도와 같은 다른 속성도 상태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8]

2. 1. 상 평형 그림

'''그림 1.''' 이산화 탄소 압력-온도 상 평형 그림


'''그림 2.''' 이산화 탄소 밀도-압력 상 평형 그림


그림 1과 그림 2는 상 평형 그림의 2차원 투영을 보여준다. 압력-온도 상 평형 그림 (그림 1)에서 끓는점 곡선은 기체와 액체 영역을 구분하며, 액체와 기체 상이 사라져 단일 초임계 상이 되는 임계점에서 끝난다.

이산화 탄소의 밀도-압력 상 평형 그림(그림 2)에서도 단일 상의 출현을 관찰할 수 있다. 임계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예: 280 K)에서 압력이 증가하면 기체가 압축되고, 결국 40 바를 약간 넘어 훨씬 밀도가 높은 액체로 응축된다. 이때 선에 불연속성이 나타난다(수직 점선). 이 시스템은 화학 평형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상, 즉 고밀도 액체와 저밀도 기체로 구성된다. 임계 온도(300 K)에 가까워질수록 평형 상태의 기체 밀도는 높아지고 액체 밀도는 낮아진다. 임계점(304.1 K, 7.38 MPa (73.8 바))에서는 밀도 차이가 없어지며, 두 개의 상은 하나의 유체 상이 된다. 따라서 임계 온도 이상에서는 압력을 가해도 기체를 액화할 수 없다. 임계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310 K)에서는 임계 압력 근처에서 선이 거의 수직이 된다. 압력이 약간만 증가해도 초임계 상의 밀도가 크게 증가한다. 점도, 상대 유전율, 용매 강도 등 다른 많은 물리적 특성도 임계점 근처에서 압력에 따라 큰 기울기를 보이는데, 이는 모두 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온도가 더 높아지면 유체는 이상 기체와 유사하게 행동하기 시작하며,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밀도와 압력 관계가 더 선형적으로 나타난다. 이산화 탄소의 경우 400 K에서 밀도는 압력에 따라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피셔-와이덤 선, 와이덤 선, 프렌켈 선은 초임계 유체 내에서 액체와 유사한 상태와 기체와 유사한 상태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열역학적 개념이다.

3. 역사

1822년, 샤를 카냐르 드 라 투르 남작(Charles Cagniard de la Tour)은 대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물질의 임계점을 발견했다. 그는 다양한 온도에서 유체로 채워진 밀폐된 대포 안에서 구르는 부싯돌 공 소리의 불연속성을 관찰, 임계 온도를 확인했다. 이 온도 이상에서는 액체와 기체 상의 밀도가 같아져 이들 사이의 구별이 사라지고, 단일 초임계 유체 상이 된다.[11]

최근 초임계 유체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초임계 유체는 꽃에서 향기를 추출하는 것부터 디카페인 커피, 기능성 식품 성분, 의약품, 화장품, 폴리머, 분말, 바이오 및 기능성 재료, 나노 시스템, 천연물, 생명 공학, 화석 및 바이오 연료, 마이크로 전자 공학,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큰 발전과 관심은 관련 실험 도구의 성능 향상 덕분이다. 새로운 실험 방법 개발과 기존 방법 개선은 이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는 유체의 동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자연 현상

열수 순환은 유체가 가열되어 대류가 시작되는 지구 지각 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유체는 여러 환경에서 초임계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서양 중앙 해령에서 이러한 순환은 블랙 스모커로 알려진 열수 분출구의 출현으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최대 400°C의 유체를 분출하며, 유체에 용해된 금속이 침전되어 유체가 마치 검은 연기 구름처럼 보인다. 특히 거북이 구덩이(Turtle Pits)라는 분출구는 분출구에서 잠시 초임계 상태를 보였으며, 케이맨 해구에 있는 비비 분출구는 분출구에서 지속적인 초임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12]

금성의 대기는 96.5% 이산화 탄소와 3.5% 질소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 압력은 9.3MPa이고 표면 온도는 735,000로, 두 주요 구성 요소의 임계점을 넘어섰기 때문에 표면 대기는 초임계 유체 상태이다.[13]

태양계의 네 거대 행성 (목성, 토성, 해왕성, 천왕성)의 내부 대기는 임계점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수소헬륨을 주성분으로 한다. 목성토성과 같은 가스 행성의 기체 외부는 밀도가 높은 액체 내부로 부드럽게 전환되지만, 해왕성천왕성과 같은 얼음 거대 행성의 전환 영역의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4. 1. 열수 순환

블랙 스모커, 일종의 열수 분출구


열수 순환은 유체가 가열되어 대류가 시작되는 지구 지각 내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유체는 반암 구리 광상 형성이나 해저의 고온 해수 순환과 같은 여러 환경에서 초임계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서양 중앙 해령에서 이러한 순환은 "블랙 스모커"로 알려진 열수 분출구의 출현으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최대 400°C의 유체를 분출하는 황화물 및 황산염 광물의 거대한(높이 미터) 굴뚝이다. 유체에 용해된 금속이 침전되어 유체가 마치 검은 연기 구름처럼 보인다. 이러한 분출구의 많은 부분이 그 깊이에서 초임계 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은 해저에 도달할 때까지 충분히 냉각되어 아임계 상태가 된다. 특히 거북이 구덩이(Turtle Pits)라는 분출구는 분출구에서 잠시 초임계 상태를 보였다. 또한 케이맨 해구에 있는 비비 분출구는 분출구에서 지속적인 초임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12]

4. 2. 행성 대기

금성의 대기는 96.5% 이산화 탄소와 3.5% 질소로 구성되어 있다. 표면 압력은 9.3MPa이고 표면 온도는 735,000로, 두 주요 구성 요소의 임계점을 넘어섰기 때문에 표면 대기는 초임계 유체 상태이다.[13]

태양계의 네 거대 행성의 내부 대기는 임계점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수소헬륨을 주성분으로 한다. 목성토성과 같은 가스 행성의 기체 외부는 밀도가 높은 액체 내부로 부드럽게 전환되지만, 해왕성천왕성과 같은 얼음 거대 행성의 전환 영역의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5. 응용

초임계 유체로 자주 사용하는 물질에는 이산화 탄소가 있다.

초임계 상태의 물은 조차 녹일 정도로 강력하며, 셀룰로스다이옥신 같은 안정적인 물질도 분해할 수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물질을 용해하는 능력이 뛰어나, 목표물을 용해한 후 임계점 이하로 낮추면 이산화탄소는 기화하고 용질만 남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기화한 이산화탄소는 회수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초임계 유체의 특징은 중금속이나 강산 등의 촉매, 가연성·독성 용매를 사용하는 기존 공정을 대체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 물질 분해에도 활용될 수 있어 그린 서스테이너블 케미스트리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초임계 유체 공정은 고온 고압 조건 유지를 위한 초기 설비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용해성과 반응성으로 인해 용기나 실 재질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관련 장치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크지 않다.

화력 발전에서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증기를 임계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초임계 유체 상태로 사용한다. 이 기술은 초임계압(SC) 또는 초초임계압(USC)이라고 불리며, 1993년 이후 대한민국의 대형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채택되고 있다.[47]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내에서 100기 이상 가동 중이며, 원자로에 응용한 초임계압 경수 냉각로 연구가 일본, 캐나다, 중화인민공화국,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다.[48]

제2세대 바이오 연료 제조 시 셀룰로스 가수분해, 지하 심부의 초임계 지하수를 이용한 지열 발전 실용화 연구도 진행 중이다.[49][50][51][52]

5. 1. 초임계 유체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은 낮은 점도와 높은 확산성으로 인해 비교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초임계 유체의 대체 용매는 물이나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더 큰 범위에서 독성이 있거나, 가연성이 있거나, 환경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15] 추출은 매체의 밀도를 제어하여 어느 정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추출된 물질은 단순히 감압하여 초임계 유체가 기체 상태로 되돌아가 증발하도록 하여 용매 잔류물을 거의 또는 전혀 남기지 않음으로써 쉽게 회수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가장 흔한 초임계 용매이다. 이는 생두의 카페인 제거, 맥주 생산을 위한 추출, 식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제약 제품 생산에 대규모로 사용된다.[15] 몇몇 실험실 시험 방법에는 전통적인 용매를 사용하는 대신 추출 방법으로 초임계 유체 추출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16][17][18]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여러 가지 물질을 잘 용해한다. 목표물을 용해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임계점 이하로 하면, 이산화탄소는 기화하여 대기로 날아가고 용질만이 남는다. 날아간 이산화탄소는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이 공정은 실제로 커피에서 카페인을 제거할 때 쓰인다. 이산화탄소는 임계 온도가 31℃로 낮기 때문에 분자를 파괴하지 않고 활성을 유지한 상태로 추출할 수 있다.[46]

5. 2. 초임계 유체 분해

초임계수는 바이오매스를 초임계수 가스화를 통해 분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9] 이러한 바이오매스 가스화는 효율적인 연소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탄화수소 연료를 생산하거나 연료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물이 전체 반응에서 수소를 제공하는 수증기 개질에 참여하기 때문에 수소 수율이 바이오매스의 수소 함량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

5. 3. 드라이클리닝

초임계 이산화탄소(SCD)는 드라이클리닝 시 퍼클로로에틸렌(PERC) 또는 기타 용매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때때로 단추에 끼어들어가 압력이 낮아지면 단추가 터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 이산화탄소에 용해되는 세제를 사용하면 용매의 용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20] CO2 기반 드라이클리닝 장비는 단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초임계 CO2가 아닌 액체 CO2를 사용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드라이클리닝은 환경 친화적이지만, 고온 고압 유지를 위한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 한국에서는 상용화되지 않았다.

5. 4.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SFC)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C)의 많은 장점을 결합하여 분석 규모로 사용할 수 있다. GC와 달리 비휘발성 및 열에 불안정한 분석물에 사용할 수 있으며, HPLC와 달리 범용 불꽃 이온화 검출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빠른 확산으로 인해 더 좁은 피크를 생성한다.[21] SFC가 제공하는 장점은 키랄 분리 및 고분자량 탄화수소 분석과 같은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널리 사용되는 HPLC 및 GC를 대체할 만큼 충분하지는 않았다.[21] 제조를 위해 효율적인 조제 모의 이동층(simulated moving bed) 장치가 사용 가능하다.[22] 최종 제품의 순도는 매우 높지만, 비용 때문에 의약품과 같이 매우 고가인 물질에만 적합하다.

5. 5. 화학 반응

반응 용매의 조건을 변경하면 생성물 제거를 위한 상 분리 또는 반응을 위한 단일 상이 가능해진다. 빠른 확산은 확산 제어 반응을 가속화한다. 온도와 압력은 선호하는 경로에 따라 반응을 조절하여, 예를 들어 특정 키랄 이성질체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23] 또한 기존의 유기 용매에 비해 상당한 환경적 이점이 있다. 초임계 조건에서 수행되는 산업적 합성은 초임계 에텐에서 폴리에틸렌, 초임계 프로펜에서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초임계 부텐에서 2-부탄올, 초임계 혼합 질소수소에서 암모니아 합성이 있다.[24] 과거에는 메탄올 합성 및 열적(비촉매) 오일 크래킹을 포함한 다른 반응들이 초임계 조건에서 산업적으로 수행되었다. 효과적인 촉매 개발로 인해, 이 두 공정의 필요한 온도가 감소하여 더 이상 초임계 상태가 아니다.[24]

5. 6. 침투 및 염색

침투는 추출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초임계 유체에 물질을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고체 기질 위로 흘려보내 기질 위에 증착시키거나 기질에 용해시킨다. 분산 염료(비이온성)를 사용해 폴리에스터와 같은 고분자 섬유에 염색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이산화 탄소는 많은 고분자에 용해되어 팽윤 및 가소화시켜 확산 과정을 가속화한다.[45]

5. 7. 나노 및 마이크로 입자 형성

초임계 유체는 좁은 크기 분포를 갖는 작은 입자를 형성할 수 있어 제약 등 여러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된다. 초임계 유체는 희석, 감압 등을 통해 용질의 포화점을 빠르게 초과시켜, 핵 생성 또는 스피노달 분해를 결정 성장보다 촉진함으로써 매우 작고 규칙적인 크기의 입자를 생성한다. 최근에는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5~2000 nm 범위의 입자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25]

5. 8. 의약품 코크리스탈 생성

초임계 유체는 활성 제약 성분(API)의 새로운 결정 형태인 제약 코크리스탈을 생성하는 새로운 매체 역할을 한다. 초임계 유체 기술은 기존 기술로는 얻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입자를 한 단계로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한다. 순수하고 건조된 새로운 코크리스탈(API와 결정 격자 내 하나 이상의 컨포머로 구성된 결정 분자 복합체)의 생성은 초임계 이산화탄소(CO|CO영어) 용매력, 반용매 효과 및 원자화 향상과 같은 다양한 초임계 유체 특성을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SCF)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26][27]

5. 9. 초임계 건조

초임계 건조는 표면 장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액체가 건조될 때, 표면 장력은 고체 내의 작은 구조물을 끌어당겨 변형과 수축을 유발한다. 초임계 상태에서는 표면 장력이 없으며, 초임계 유체는 변형 없이 제거될 수 있다. 초임계 건조는 에어로젤 제조 과정과 고고학 표본 및 전자 현미경용 생물학적 표본과 같은 섬세한 재료의 건조에 사용된다.

5. 10. 초임계수 전기분해

초임계 상태에서 물 전기분해를 하면, 다른 전기분해 장치에서 나타나는 과전압이 감소하여 산소와 수소 생산의 전기적 효율이 향상된다.

온도가 올라가면 열역학적 장벽이 낮아지고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전극에 산소나 수소 기포가 생기지 않아 촉매와 물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옴 손실이 줄어든다. 기체와 유사한 특성 덕분에 물질 전달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5. 11. 초임계수 산화

초임계수 산화는 초임계수를 매질로 사용하여 유해 폐기물을 산화시키며, 연소 시 생성될 수 있는 유독성 연소 생성물의 생성을 제거한다.[45]

산화될 폐기물은 분자 산소(또는 분해 시 산소를 방출하는 산화제, 예: 과산화 수소)와 함께 초임계수에 용해되며, 이 시점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5. 12. 초임계수 가수분해

초임계 가수분해는 초임계 조건에서 물 단독으로 모든 바이오매스 다당류와 관련 리그닌을 저분자 화합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초임계수는 용매, 결합 파괴 열에너지 공급원, 열 전달제 및 수소 원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모든 다당류는 1초 이내에 거의 정량적으로 단순 당으로 전환된다. 리그닌의 지방족 링 간 결합 또한 물에서 유래된 수소에 의해 안정화된 자유 라디칼로 쉽게 절단된다. 짧은 반응 시간 동안 리그닌의 방향족 고리는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리그닌 유래 생성물은 저분자량 혼합 페놀이다. 절단에 필요한 매우 짧은 반응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 연속 반응 시스템을 고안해야 한다. 따라서 초임계 상태로 가열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한다.[49][50][51]

5. 13. 초임계수 가스화

초임계수 가스화는 초임계수의 유익한 효과를 이용하여 수성 바이오매스 흐름을 깨끗한 물과 수소(H2),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등의 가스로 변환하는 공정이다.[28]

5. 14. 발전

화력 발전에서 작동 유체인 수증기의 압력 및 온도는 높으면 높을수록 열효율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보일러에 관류 보일러를 사용하고,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온도를 물의 임계점 이상으로 높인 초임계 유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 기술을 초임계압(Super Critical: '''SC'''), 또는 초초임계압(Ultra Super Critical: '''USC''')이라고 부르며, 1993년 이후 대한민국의 대형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는 채택되고 있다.[47] 현재 기술을 사용하면 효율을 아임계 작동 시 약 39%에서 약 45%까지 높일 수 있다.[30] 초임계 증기 발생기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가동되고 있다.

초임계압 화력 발전소는 2018년 시점, 대한민국 국내에서 100기 이상이 가동하고 있다. 이 기술을 원자로에 응용한 초임계압 경수 냉각로일본, 캐나다, 중화인민공화국, 유럽에서 연구되고 있다.[48] 초임계수 원자로(SCWR)는 첨단 원자력 시스템으로 제안되었다.[33]

5. 15. 바이오디젤 생산

바이오디젤은 전이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식물성 오일을 변환하여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트라이글리세라이드는 지방산의 메틸 에스터와 글리세롤로 바뀐다. 보통 이 반응은 메탄올가성 또는 산 촉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지만, 촉매 없이 초임계 메탄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이오디젤 생산에 초임계 메탄올을 사용하는 방법은 사카(Saka)와 그의 연구진이 처음 연구하였다.[34] 이 방법은 더 다양한 원료(특히 폐식용유)와 원료의 수분 함량을 허용하고, 촉매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과정이 필요 없으며, 연속 공정으로 설계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34]

5. 16. 원유 회수 증진 및 탄소 포집 및 저장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원유 회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동시에, "청정 석탄 기술"을 사용하여 증진 회수 방법을 탄소 격리와 결합할 가능성이 있다. 이산화탄소(CO2)는 다른 배가스로부터 분리되어 초임계 상태로 압축된 후, 지질학적 저장소, 아마도 기존 유전에 주입되어 수율을 향상시킨다.[35]

현재, 화석 CO2를 천연 가스로부터 분리하는 계획만이 실제로 탄소 저장(예: 스레이프너 가스전)을 사용하고 있지만,[35] 사전 연소 또는 사후 연소 CO2와 관련된 미래의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계획에 대한 많은 계획이 있다.[36][37][38][39] 또한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CO2를 격리함으로써 대기 중 CO2의 양을 줄일 가능성도 있다.

5. 17. 향상된 지열 시스템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물 대신 지열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산업성과 도호쿠 대학, 도쿄 대학, 규슈 대학은 지하 심부의 고온 고압에서 초임계 상태가 된 지하수를 이용한 지열 발전의 실용화를 연구하고 있다.[52]

5. 18. 냉동

초임계 이산화 탄소는 새로운 냉매로 부상하고 있으며, 과냉각 사이클을 활용하는 새로운 CFC/HFC를 사용하지 않는 가정용 히트 펌프에 사용되고 있다.[40] 이러한 시스템은 지속적인 개발을 거치고 있으며, 초임계 이산화 탄소 히트 펌프는 이미 아시아에서 성공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일본의 에코큐트 시스템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고온 가정용 온수 히트 펌프 중 하나이다.

5. 19. 초임계 유체 증착

화학 기상 증착에 사용되는 진공 시스템과 비교하여 초임계 유체 내 전구체의 높은 확산율과 농도는 표면 반응 속도 제한 영역에서 증착이 발생하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균일한 계면 성장을 제공한다.[41] 이는 더 강력한 전자 부품 개발에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증착된 금속 입자는 화학 합성전기화학 반응을 위한 강력한 촉매이기도 하다. 또한 용액 내 전구체 수송 속도가 높기 때문에 화학 기상 증착에서는 시스템 출구 근처에서 고갈을 보이고 수지상 결정과 같은 불안정한 계면 성장 특징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고 표면적 입자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원자층 증착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매우 얇고 균일한 박막이 증착된다.[42]

5. 20. 항균 특성

고압의 이산화탄소는 항균 특성을 가지고 있다.[43]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었지만, 비활성화 메커니즘은 60년 이상 연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44]

참조

[1] 논문 Supercritical phase transitions at very high pressure 1989
[2] 논문 Hydrothermal venting at pressure-temperature conditions above the critical point of seawater, 5°S on the Mid-Atlantic Ridge 2008
[3] 서적 The Properties of Gases and Liqui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87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Properties of Water and Steam http://www.iapws.org[...] 2020-01-20
[5] 웹사이트 What is a supercritical fluid? http://sfe.kkft.bme.[...] Budapest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conomics 2014-06-26
[6] 웹사이트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Density Considerations http://eng.ege.edu.t[...] 2007-11-20
[7] 논문 A Supercritical Phase Separation 1972
[8] 웹사이트 Calculation of Thermodynamic Properties of CO2 using Peng–Robinson equation of state http://www.criticalp[...] Critical Processes Ltd 2007-11-20
[9] 논문 Change of Phase under Pressure. I. The Phase Diagram of Eleven Substances with Especial Reference to the Melting Curve 1914
[10] 논문 Melting curve of ice VII 1978
[11] 논문 Critical phenomena: 150 years since Cagniard de la Tour 2009
[12] 웹사이트 Supercritical Venting and VMS Formation at the Beebe Hydrothermal Field, Cayman Spreading Centre http://goldschmidt.i[...] Geochemical Society 2014-07-29
[13] 논문 The deep atmosphere of Venus and the possible role of density-driven separation of CO2 and N2 https://hal.archiv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7-06-26
[14] 웹사이트 The Naked Scientist Interviews http://www.thenakeds[...] 2007-11-20
[15] 논문 Optimization of Supercritical Fluid Consecutive Extractions of Fatty Acids and Polyphenols from Vitis Vinifera Grape Wastes 2015-01-01
[16] 웹사이트 Method 3560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Total Recoverable Hydrocarbons https://www.epa.gov/[...] 1996-12
[17] 웹사이트 Method 3561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https://www.epa.gov/[...] 1996-12
[18] 서적 Use of ozone depleting substances in laboratories http://www.norden.or[...] Nordic Council of Ministers 2011-03-28
[19] 웹사이트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f biomas http://www.energy.ia[...] 2011-11-17
[20] 웹사이트 A Green Clean http://www.sciencene[...] 2007-11-20
[21] 서적 Additives in Polymers: industrial analysi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and Sons 2005
[22] 웹사이트 Simulated Moving Bed Theory http://www.thomasarc[...] 2007-11-20
[23] 논문 Sulfur oxidation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ramatic pressure dependent enhancement of diastereoselectivity for sulphoxidation of cysteine derivatives 1999
[24] 서적 Handbook of green chemistry Wiley-VCH 2010
[25] 논문 Formation of polymer particles with supercritical fluids: A review 2005-07
[26] 논문 Formation of indomethacin–saccharin cocrystals using supercritical fluid technology
[27] 논문 Screening for pharmaceutical cocrystals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enhanced atomization process
[28] 웹사이트 Reforming in supercritical water http://www.btgworld.[...] 2017-05-16
[29] 간행물 Influence of climatic parameters on optimal design of supercritical power plants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 Astronautics 2000
[30] 웹사이트 Supercritical steam cycles for power generation applications http://www.berr.gov.[...] 2007-11-20
[31] 웹사이트 Corrosion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Materials, Environmental Purity, Surface Treatments, and Flow Issues https://neup.inl.gov[...] U.S. Department of Energy 2022-04-03
[32] 웹사이트 3 SAND201Corrosion and Erosion Behavior in Supercritical CO2 Power Cycles https://energy.sandi[...]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2022-04-03
[33] 웹사이트 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ycle for Next Generation Nuclear Reactors http://web.mit.edu/2[...] MIT-ANP-Series 2007-11-20
[34] 논문 Continuous Production of Biodiesel via Transesterification from Vegetable Oils in Supercritical Methanol 2006
[35] 웹사이트 Saline Aquifer CO2 Storage http://www.iku.sinte[...] 2007-12-10
[36] 서적 The hydrogen economy: opportunities, costs, barriers, and R&D needs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37] 웹사이트 FutureGen Technology http://www.futuregen[...]
[38] 웹사이트 Øyvind Vessia: "Fischer- Tropsch reactor fed by syngas" http://www.zero.no/t[...]
[39] 서적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r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5
[40] 웹사이트 FAQs – Supercritical CO2 in heat pumps and other applications http://www.r744.com/[...]
[41] 간행물 Supercritical fluid fabrication of metal nanowires and nanorods templated by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2003
[42] 웹사이트 SFD compared to CVD http://www.navolta.c[...] Navolta 2014-10-03
[43] 간행물 Inactivation of microbes using compressed carbon dioxide - An environmentally sound disinfection process for medical fabrics 2007
[44] 간행물 Bursting bacteria by release of gas pressure
[45] 웹사이트 亜臨界水・超臨界水を用いたバイオマスの資源化技術が実用化へ https://www.asiabiom[...]
[46] 웹사이트 超臨界研究所 http://www.chorinkai[...]
[47] 뉴스 超々臨界圧石炭火力発電!?日本の電力供給を支える「石炭火力発電」の最新技術「USC」に迫る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20-09-04
[48] 뉴스 【次世代原子炉最前線】火力技術と融合で「超臨界」 日経産業新聞 2018-09-27
[49] 웹사이트 亜臨界・超臨界水によるバイオマス廃棄物の有効利用技術の開発 http://www.spc.jst.g[...]
[50] 웹사이트 木質系バイオマス資源の超臨界水処理による石油代替エネルギーの獲得 http://www.nedo.go.j[...]
[51] 웹사이트 超臨界水法によるリグノセルロースからのバイオエタノール生産 http://www.jwrs.org/[...]
[52] 뉴스 経産省、超臨界水で地熱発電 高温高圧を利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電子版 2017-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