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코젠 분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코젠 분해는 글리코젠이 포도당 1-인산으로 분해되는 대사 과정이다.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 글리코젠 탈분지효소 등의 효소들이 관여하며, 근육과 간에서 일어난다. 근육에서는 에너지 공급을 위해 포도당 6-인산을 생성하고, 간에서는 혈당 조절을 위해 포도당을 혈류로 방출한다. 글리코젠 분해는 글루카곤, 인슐린, 에피네프린에 의해 조절되며, 당뇨병 응급 상황에서 글루카곤 투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글리코젠 합성, 분해 또는 해당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 결핍으로 인한 당원병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사경로 -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는 4개의 융합된 고리 구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산 등 생물학적 활성 분자를 포함하며, 메발론산 경로를 통해 생합성되어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의학적으로 사용되지만 오남용 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 대사경로 - 시트르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는 아세틸-CoA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켜 NADH와 FADH₂를 생성, ATP 생산 및 생합성에 기여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연결하는 중심적인 대사 경로이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여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상태로,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고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관리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간장학 - 간세포암
간세포암은 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만성 간 질환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다양한 원인과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복통,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수술, 간 이식 등의 치료 방법이 사용되고, 예방을 위해 B형 간염 예방 접종 등이 중요하다. - 간장학 - 담관
담관은 간에서 십이지장으로 연결되는 관 네트워크로, 담즙을 운반하여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고, 폐쇄 시 황달을 유발하며, 담관 배액 시술 등으로 치료한다.
글리코젠 분해 | |
---|---|
일반 정보 | |
과정 | 글리코젠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과정 |
위치 | 간, 근육 |
호르몬 조절 | 촉진: 글루카곤, 에피네프린 억제: 인슐린 |
단계 | |
1단계 | 글리코젠 인산분해효소에 의한 글리코젠의 인산분해 |
2단계 | 가지 제거 효소에 의한 글리코젠 가지 제거 |
3단계 | 포스포글루코뮤타아제에 의한 글루코스 1-인산의 글루코스 6-인산으로의 전환 |
조절 | |
간 | 혈당 농도에 따라 조절됨 |
근육 | 에너지 요구량에 따라 조절됨 |
중요성 | |
기능 | 혈당 유지 근육 수축을 위한 에너지 공급 |
관련 질병 | |
질병 | 글리코겐 축적병 |
추가 정보 | |
다른 이름 | 글리코겐 분해 |
2. 작용 기작
글리코젠 분해의 전체적인 반응은 다음과 같다.[7]
: 글리코젠(n 잔기) + Pi 글리코젠(n-1 잔기) + 포도당 1-인산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는 글리코젠의 비환원 말단에서 두 포도당 잔기 사이의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무기 인산(Pi)으로 공격하여 가인산분해를 일으킨다. 생성된 포도당 1-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전환된다.[7]
포도당 잔기는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 부위에서 4개의 포도당 잔기가 남을 때까지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에 의해 가인산분해된다. 이후 글리코젠 탈분지효소가 관여하는데,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전이효소 활성은 나머지 4개의 포도당 잔기 중 3개를 다른 글리코젠 가지의 말단으로 옮긴다. 분지점에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남아있는 마지막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α(1→6) 글루코시데이스 활성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떨어져 나가고 가지가 제거된다. 이때 떨어져 나온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대사산물이 포도당 1-인산이 아닌 유일한 경우이다. 이 포도당은 헥소키네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인산화된다.[7]
근육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cAMP가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에 결합하면서 시작된다. 이는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는 포스포릴레이스 b를 포스포릴레이스 a로 전환시켜 글리코젠 분해를 촉매한다.[2]
2. 1.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 (Glycogen Phosphorylase)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글리코젠 포스포릴레이스)는 글리코젠의 비환원 말단에서 두 포도당 잔기 사이의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무기 인산(Pi)으로 공격하는 반응을 촉매한다.[7] 이 반응의 전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7][1]: 글리코젠(n 잔기) + Pi 글리코젠(n-1 잔기) + 포도당 1-인산
이렇게 생성된 포도당 1-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전환된다.[7]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는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 부위에서 4개의 포도당 잔기가 남을 때까지 포도당 잔기를 가인산분해한다. 이후 글리코젠 탈분지효소가 관여한다.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전이효소 활성은 나머지 4개의 포도당 잔기 중 3개를 다른 글리코젠 가지의 말단으로 옮긴다. 그리고 분지점에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남아있는 마지막 하나의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α(1→6) 글루코시데이스 활성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떨어져 나가고 가지가 제거된다.[7] 이때 떨어져 나온 가지의 마지막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대사산물이 포도당 1-인산이 아닌 유일한 경우이다. 이 포도당은 헥소키네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인산화된다.[7]
근육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cAMP가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에 결합하면서 시작된다. 이는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를 활성 형태로 전환시키고, 이 활성 형태는 다시 포스포릴레이스 b를 포스포릴레이스 a로 전환시켜 글리코젠 분해를 촉매한다.[2]
2. 2.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 (Phosphoglucomutase)
포도당 1-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전환된다.[7]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는 글루코스-1-인산과 글루코스-6-인산을 상호 전환하는 효소이다. 예를 들어, 효소의 인산기를 1번 탄소의 산소가 친핵성 공격을 하면, 글루코스-1,6-비스인산을 거쳐 글루코스-1-인산이 생성된다. 중간체인 글루코스-1,6-비스인산이 해리되면 효소는 비활성화된다. 포스포글루코키나아제는 글루코스-1-인산을 인산화하여 글루코스-1,6-비스인산을 보충하여 효소의 비활성화를 막는다.2. 3. 글리코젠 탈분지효소 (Glycogen Debranching Enzyme)
글리코젠 가인산분해효소에 의해 글루코스 잔기가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 부위에서 4개의 포도당 잔기가 남는 지점에 이를 때까지 가인산분해된다. 그런 다음 글리코젠 탈분지효소가 관여한다. 글리코젠 탈분지효소는 전이효소 활성과 α(1→6) 글루코시데이스 활성을 갖는다.[7][1]글리코젠 탈분지 효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전이효소 활성: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전이효소 활성은 나머지 4개의 포도당 잔기 중 3개를 다른 글리코젠 가지의 말단으로 옮긴다.[7]
- α(1→6) 글루코시데이스 활성: 분지점에 α(1→6)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남아있는 마지막 하나의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탈분지효소의 α(1→6) 글루코시데이스 활성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떨어져 나가고 가지는 제거된다.[7]
글리코젠 탈분지 효소는 4-α-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와 아밀로-1,6-글루코시다제라는 두 개의 활성 부위를 갖는다. 4-α-글루카노트랜스퍼라제는 한계 분지 사슬로부터 α(1→4) 결합의 3개의 글루코스를 다른 비환원 말단으로 전이시키고, 아밀로-1,6-글루코시다제는 α(1→6)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떨어져 나온 가지의 마지막 포도당 잔기는 글리코젠 대사산물이 포도당 1-인산이 아닌 유일한 경우이다. 이렇게 유리된 포도당은 이어서 헥소키네이스에 의해 포도당 6-인산으로 인산화된다.[7]
3. 기능
글리코젠 분해는 호르몬 및 신경 신호에 반응하여 근육과 간 조직의 세포에서 일어난다. 특히, 글리코젠 분해는 투쟁 도피 반응과 혈액 내 포도당 농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육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해당과정에 사용될 포도당 6-인산의 즉각적인 공급원 역할을 하여 근육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간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의 주된 목적은 다른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할 수 있도록 포도당을 혈류로 방출하는 것이다.
3. 1. 간에서의 글리코젠 분해
간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의 주된 목적은 다른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할 수 있도록 포도당을 혈류로 방출하는 것이다. 포도당 6-인산의 인산기는 근육세포에 존재하지 않는 포도당 6-인산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제거되고, 인산기가 제거된 포도당은 간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GLUT2 촉진확산 통로를 통해 세포 밖으로 빠져나간다.[1] 글리코젠 분해는 아드레날린 또는 글루카곤의 자극을 받아 글리코젠이 저장된 간세포에서 일어난다. 간세포에서는 포도당-6-인산을 해당 과정에서 소비할 수도 있고, 글루코스-6-포스파타아제로 인산기를 제거하여 포도당으로 만든 다음 혈류로 방출할 수도 있다.[3]3. 2. 근육에서의 글리코젠 분해
근육 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근육 수축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과정에 즉각적인 포도당 6-인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포도당 6-인산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이를 생성한 근육 세포에서만 사용된다.[1]4. 조절
글리코젠 분해는 혈당량에 반응하여 글루카곤과 인슐린에 의해 조절되고, 투쟁-도피 반응 동안 에피네프린에 의해 자극된다. 근육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신경 신호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8] 인슐린은 글리코젠 분해를 강력하게 억제한다.[4]
글루카곤은 근육 글리코젠 분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
4. 1. 호르몬 조절
글리코젠 분해는 혈당량에 반응하여 글루카곤과 인슐린에 의해 조절되고, 투쟁-도피 반응 동안 에피네프린에 의해 자극된다. 근육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신경 신호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8] 인슐린은 글리코젠 분해를 강력하게 억제한다.[4]근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신경 신호에 의해서도 자극될 수 있으며,[5] 근소포체에 의해 방출되는 에피네프린과 칼슘에 의해 조절된다.[3] 글루카곤은 근육 글리코젠 분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
칼슘은 칼모듈린과 결합하고, 이 복합체는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킨다.[3]
4. 2. 신경 조절
글리코젠 분해는 혈당량에 반응하여 글루카곤과 인슐린에 의해 조절되고, 투쟁-도피 반응 동안 에피네프린에 의해 자극된다.[8] 근육세포에서 글리코젠 분해는 신경 신호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8]글리코젠 분해는 근소포체에 의해 방출되는 에피네프린과 칼슘에 의해 조절된다.[3] 칼슘은 칼모듈린과 결합하고, 이 복합체는 포스포릴레이스 키나아제를 활성화시킨다.[3]
5. 임상적 중요성
글루카곤을 비경구(정맥 내)로 투여하는 것은 당을 입으로 먹을 수 없는 당뇨병 응급 상황에서 일반적인 의학적 조치이다. 글루카곤은 근육 주사로도 투여할 수 있다.[1]
6. 관련 질병
당원병은 일반적으로 근육세포 또는 간세포에서 글리코젠 합성, 글리코젠 분해 또는 해당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장애이다.
참조
[1]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8
[2]
서적
Biochemistry, Glycogenolysis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4-01-09
[3]
서적
Textbook of Biochemistry for Medical Students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Pvt. Limited
2016-06-02
[4]
간행물
Regulation of Glucose Production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5]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6]
서적
ヴォート生化学 第3版
東京化学同人
2005-02-28
[7]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8
[8]
서적 인용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W. H. Freeman and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