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 위소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위소왕 완안영기는 금 세종의 아들이자 금 장종의 숙부로, 1208년 장종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올랐다. 그는 즉위 전 여러 작위를 거쳤으며, 재위 기간 동안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완안영기는 무능하고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1213년 반란으로 암살되었다. 이후 선종에 의해 위왕으로 추존되어 위소왕으로 불리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 세종의 황자 - 완얀 윤공
    금나라 세종의 아들이자 황태자였던 완안윤공은 아버지의 정책을 계승하려 노력했으나 병으로 일찍 사망하여, 사후 현종으로 추존되었다.
  • 금나라의 왕작 - 금 애종
    금 애종은 금나라의 제9대 황제로,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부흥시키려 했으나 삼봉산 전투 패배 후 채주에서 몽골-남송 연합군에 의해 자결하여 금나라가 멸망하였다.
  • 금나라의 왕작 - 금 선종
    금 선종은 몽골 침입으로 국력이 쇠퇴한 금나라의 제8대 황제로, 외교 정책 실패와 잦은 천도로 금나라 멸망을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 1213년 사망 - 와다 요시모리
    와다 요시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유력 고케닌이 되었으나, 호조 씨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213년 사망 - 페로 2세
    페로 2세는 1196년부터 1213년까지 아라곤의 왕이었으며, 레콩키스타에 참여하여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알비 십자군과의 대립 끝에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다.
금 위소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휘 (한족 이름)완안 윤제(完顔允濟) ⇒ 완안 영제(完顔永濟)
휘 (여진 이름)완안 흥승(完顔興勝)
시호위소왕(衛紹王)
연호태화(泰和): 1208년 ~ 1209년
대안(大安): 1209년 ~ 1211년
숭경(崇慶): 1212년 ~ 1213년
지녕(至寧): 1213년
재위 기간1208년 12월 29일 ~ 1213년 9월 11일
폐위일1213년 9월 11일
즉위일태화(泰和) 8년 11월 21일 (1208년 12월 30일)
사망일지녕(至寧) 원년 8월 25일 (1213년 9월 11일)
아버지완안 옹(完顔 雍)
어머니광헌황후(光獻皇后) 이씨(李氏)
배우자폐후(廢后) 도단씨(徒單氏), 원씨(元氏)
자녀가족 섹션 참고
작위 정보
작위제7대 대금 황제
이전 작위노왕(潞王)
설왕(薛王)
한왕(韓王)
위왕(衛王)
노왕 책봉대정(大定) 29년 윤 5월 17일 (1189년 7월 2일)
설왕 책봉대정(大定) 11년 1월 2일 (1171년 2월 8일)
한왕 책봉명창(明昌) 2년 4월 17일 (1191년 5월 11일)
위왕 책봉승안(承安) 2년 1월 1일 (1197년 1월 20일)
칭호
별칭위왕(衛王)
이름 정보
완안(完顏)
이름 (한어 병음)Wányán Yǒngjì
이름 (간체)完颜永济
이름 (번체)完顏永濟
묘호없음
어린 시절 이름싱성(Xingsheng, 興勝)
정치
정치 체제금나라 황제
이전 통치자장종(章宗)
다음 통치자선종(宣宗)
사후 정보
능묘도릉(道陵)
가족
아버지완안 옹(完顏 雍)
어머니광헌황후 이씨(光獻皇后 李氏)
배우자도단황후(徒單皇后)
원씨(元氏)
자녀정보 없음

2. 생애

세종의 일곱 번째 아들로, 어머니는 이원비(李元妃)이다. 1171년 설왕(薛王)에 봉해졌고, 1197년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1208년 장종 사후 아들이 없고 형인 오도보가 있으나 서자였기에 작은 아버지인 완안윤제가 황숙(皇叔)의 자격으로 후계자가 되어 황제가 되었다. 위소왕은 장신의 미남으로, 검소한 인물이었지만 우유부단하고 게으르며 어리석다는 평가를 받았다.

비슷한 시기 몽골 초원을 통일한 칭기즈 칸은 금나라에 군신의 예를 요구하였으나, 위소왕의 무능함을 이유로 이를 무시하고 금나라 정복의 기회로 삼았다. 1211년 웅구트의 알라쿠쉬 티긴은 칭기즈 칸의 부하가 되어 금나라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고, 웅구트는 거란인들과 연합하여 금나라를 공격하였다. 1212년 야율유가가 반란을 일으켰다.

1213년 몽골은 선화를 정복하고 산서 중부를 돌파하여 태원과 평양을 함락시켰다.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하북과 산둥 평원을 가로질러 하간과 제남을 함락시켰고, 화북(華北) 일대까지 진출하여 중도(中都)가 위험에 빠지기도 했다. 칭기즈 칸이 북경을 봉쇄하려 할 때, 금나라 조정에서는 호사호(胡沙虎)가 위소왕을 암살하고 오도보를 선종으로 옹립했다. 칭기즈 칸은 선종의 화의를 받아들이고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받은 후 철수하면서, 수도를 옮길 시 전쟁을 재개한다는 조약을 맺었다.

세종 재위 기간 동안 등왕(滕王)에 봉해졌고, 장종에 의해 노왕(潞王)·한왕(韓王)으로 봉해졌다가 1197년 위왕에 봉해졌다. 이복 형 선효태자 호토와 (윤공, 장종의 부친)가 황제(현종)로 추증되면서 피휘하여 이름을 "영제(永濟)"로 고쳤다.

장종의 명으로 몽골에 사신으로 갔을 때, 칭기즈 칸은 위소왕의 용모를 보고 어리석다고 판단하여 무시하고 부사였던 복흥(승휘)에게만 대응했다. 굴욕을 느낀 위소왕은 귀국 후 장종에게 몽골족을 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종이 죽기 직전, 여섯 황자를 잃은 장종은 가까운 숙부인 위소왕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사망했다. 칭기즈 칸은 위왕 즉위 소식을 듣고 "중국의 황제는 하늘의 사람이 되는 줄 알았는데, 위왕 따위라도 될 수 있다니. 저런 어리석은 자에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남쪽으로 침을 뱉었다고 전해진다.

1211년 봄, 칭기즈 칸은 몽골군 전군을 이끌고 금나라 원정에 나섰다. 기병의 장점을 활용하여 화북 지방을 빠르게 이동하는 몽골군의 침공에 위소왕은 효과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 위소왕은 정설 장군에게 몽골군 방어를 명했으나, 금군은 패배하고 궤멸되었다. 의 옛 종족이었던 거란야율유가는 요왕을 칭하며 몽골군에 호응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1213년 8월, 패전 책임을 추궁받을 것을 두려워한 장군 호사호의 병란으로 위소왕은 유폐되었고, 다음 달 호사호의 명을 받은 환관 이사중에 의해 독살되었다. 호사호는 위소왕의 제호를 박탈하려 했으나, 조정 내 동정적인 세력 때문에 동해군후로 강등했다. 1216년 위왕으로 복위되고 "소(紹)"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위소왕의 딸 하돈(하톤) 공주는 선종의 명으로 몽골에 하가했고, 아들 종각은 1234년 금나라 멸망 시 몽골군에 의해 처형되었다.

2. 1. 출생과 즉위

完顏永濟|완안영제중국어세종의 일곱 번째 아들로 1171년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세종의 후궁이었던 발해 출신 이원비(李元妃)였다.[1] 처음에는 설왕(薛王)에 봉해졌으나, 나중에 수왕(禭王), 노왕(潞王), 한왕(韓王)을 거쳐 1197년 위왕(衛王)으로 봉해졌다. 본명은 완안윤제(完顏允濟)였으나, 장종의 아버지 완안윤공(호토와)이 황제(현종)로 추존되면서 피휘를 위해 이름을 영제(永濟)로 고쳤다.[1]

1208년 장종이 아들 없이 사망하자, 영제가 황숙(皇叔)의 자격으로 황제 자리에 올랐다. 영제는 장신의 미남으로 검소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우유부단하고 게으르며 어리석다는 평가도 동시에 받았다. 장종은 생전에 여섯 황자를 잃었기 때문에, 가까운 숙부였던 영제를 후계자로 지명했던 것이다.

영제가 즉위했다는 소식을 들은 칭기즈 칸은 "중국의 황제는 하늘의 사람이 되는 줄 알았는데, 위왕 따위라도 될 수 있다니. 저런 어리석은 자에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남쪽으로 침을 뱉었다고 전해진다.

2. 2. 몽골의 침입과 내부 반란

1211년, 몽골의 칭기즈 칸은 금나라 정복을 위해 금나라의 속국이었던 서하를 먼저 공격했다. 서하가 금나라에 도움을 요청했을 때, 금 세종의 일곱 번째 아들이자 당시 금나라 황제였던 완안영기(위소왕)는 이를 무시했고, 결국 서하는 몽골에 항복했다.[1] 같은 해, 칭기즈 칸은 몽골군 전군을 이끌고 금나라에 대한 전면적인 침략을 시작했다. 몽골군은 기병의 장점을 활용하여 화북 지방을 빠르게 이동하며 금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완안영기는 효과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패배했다.[1]

1212년, 거란족 출신 야율유가지린성에서 금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야율유가는 몽골에 항복하고 반군을 이끌어 금나라 군대를 격파했다.[1]

완안영기는 우유부단하고 무능한 군주로 알려져 있었다.[1] 칭기즈 칸은 위소왕 즉위 소식을 듣고 "중국의 황제는 하늘의 사람이 되는 줄 알았는데, 위왕 따위라도 될 수 있다니. 저런 어리석은 자에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금나라 정복의 기회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2. 3. 폐위와 죽음

1213년 8월, 장군 호사호가 패전 책임을 추궁받는 것을 두려워하여 병란을 일으켰고, 완안영기는 유폐되었다.[1] 같은 해 9월, 호사호의 명을 받은 환관 이사중에 의해 독살되었다.[1]

호사호는 해릉왕의 예에 따라 완안영기의 제호 박탈을 계획했으나, 조정 내 동정적인 세력 때문에 동해군후(東海郡侯)로 강등했다.[1] 선종1216년 완안영기를 황제 즉위 전 작위였던 위왕(衛王)으로 복위시키고, 시호 "소"(紹)를 내렸다.[1] 이 때문에 완안영기는 생전에 황제로 통치했음에도 '위소왕'(衛紹王)으로 불린다.[1] 위소왕의 딸 하돈(하톤) 공주는 사촌 선종의 명으로 몽골에 하가했고, 아들 종각은 1234년 금 멸망 시 몽골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가족 관계

금 위소왕의 가족 관계
관계봉호(시호)성씨이름비고
조부예종완안종요간숙황제
조모이씨정의황후
부친세종완안인효황제
모친이씨광헌황후
배우자투단 황후투단1168년 출생
배우자흠성부인
배우자흠성왕후도단
배우자원귀비
아들양왕완안종각장남, 1233년 사망
아들완안차남, 1233년 사망
아들완안3남, 1233년 사망
아들완안4남, 1233년 사망
기국 공주장녀, 칭기즈 칸과 결혼, 흠성부인 원씨 소생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예종 간숙황제 완안 종요
  • '''조모''' : 정의황후 이씨
  • '''부친''' : 세종 인효황제 완안 옹
  • '''모친''' : 광헌황후 이씨

3. 2. 후비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재위년도생몰년도비고
폐황후도단씨(徒單氏)원비1209년 ~ 1213년1168년 ~ ?
부인원씨(袁氏)흠성부인


  • 투단 황후 도단씨 (徒單皇后 徒單氏중국어, 1168년 출생)
  • 흠성부인 원씨 (欽聖夫人 袁氏)
  • 흠성왕후 도단씨 (欽聖王后 徒単氏)
  • 원귀비 (袁貴妃)

3. 3. 황자

봉호이름생몰년도비고
양왕(梁王)완안 종각(完顔從恪)? ~ 1233년작왕(胙王), 황태자(皇太子)
장왕(蔣王)완안 맹안(完顔猛安)
완안 거(完顔琚)
? ~ 1233년
완안 안출(完顔按出)
완안 선(完顔瑄)
? ~ 1233년
완안 안진(完顔按辰)
완안 조(完顔璪)
? ~ 1233년


3. 4. 황녀

금 위소왕의 장녀는 기국공주(岐國公主)이며, 흠성부인 원씨(欽聖夫人 袁氏)에게서 태어났다. 기국공주는 칭기즈 칸에게 바쳐져 그의 후궁이 되었으며, 공주황후(公主皇后)라고도 불렸다.

금 위소왕의 황녀
순번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별칭비고
1기국공주흠성부인 원씨칭기즈 칸공주황후칭기즈 칸의 후궁으로 바쳐짐.


4. 평가

금 위소왕 완안영기는 결단력이 없고 분별력이 없으며, 전반적으로 무능하고 약한 군주로 평가받는다.[1] 칭기즈 칸은 완안영기가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의 황제는 하늘에서나 정해지는 줄 알았는데, 완안영기 같은 자도 황제가 될 수 있다니, 이런 바보에게 무슨 절을 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남쪽을 향해 침을 뱉었다고 한다.[1]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몽골은 금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몽골은 먼저 서하를 공격했고, 서하가 금나라에 도움을 요청했을 때 완안영기는 이를 무시하여 서하는 결국 몽골에 항복했다. 1211년 몽골은 금나라를 전면적으로 침략하여 금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1212년에는 야율류가가 거란족을 이끌고 금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몽골에 항복하기도 했다.

1213년, 장군 합석열집중(호사호)은 반란을 일으켜 완안영기를 암살했다. 이후 완안영기는 평민으로 강등되었다가 '동해군후'로 강등되었고, 1216년에야 '위왕'으로 복위되고 시호 '소'를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황제였음에도 '위소왕'으로 불리게 되었다.

4. 1. 당대 평가

完顏永濟중국어는 우유부단하고 분별력이 없으며, 전반적으로 무능하고 약한 군주로 알려졌다.[1]

칭기즈 칸은 完顏永濟중국어가 즉위했다는 소식을 듣고 "중국의 황제는 하늘의 사람이 되는 줄 알았는데, 完顏永濟중국어 따위라도 될 수 있다니. 저런 어리석은 자에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남쪽(금나라를 가리킴)으로 침을 뱉었다고 전해진다.[1] 칭기즈 칸은 完顏永濟중국어의 즉위를 금나라를 멸망시킬 좋은 기회로 여겼다.

完顏永濟중국어장종의 명으로 몽골에 사신으로 갔을 때 칭기즈 칸에게 어리석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칭기즈 칸은 일부러 完顏永濟중국어를 무시하고 부사였던 복흥에게만 대응했다고 한다.[1]

4. 2. 후대 평가

위소왕은 결단력이 부족하고 분별력이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무능하고 약한 군주로 알려져 있다.[1] 1213년 8월, 몽골금나라의 수도 중도(현재의 베이징)를 공격했을 때, 장군 합석열집중(호사호)은 반란을 일으켜 위소왕을 암살했다.[1] 호사호는 다음 달 위소왕의 조카인 완안 순(금 선종)을 황제로 즉위시켰다.[1] 이후 호사호는 약 300명의 관리들을 모아 선종에게 위소왕을 평민으로 강등할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했고, 결국 선종은 위소왕을 '동해군후'(東海郡侯)로 강등했다.[1]

1216년, 선종은 위소왕을 즉위 전 작위였던 '위왕'(衛王)으로 복위시키고 시호 '소'(紹)를 내렸다.[1] 이 때문에 위소왕은 황제로 통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위소왕'으로 불리게 되었다.[1]

5. 연호

연호기간
태화 (泰和)1209년
대안 (大安)1209년 ~ 1211년
숭경 (崇慶)1212년 ~ 1213년
지녕 (至寧)1213년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 서적 금사(金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