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장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장종은 1168년에 태어나 1208년에 사망한 금나라의 황제이다. 그는 '명창의 치'로 불리는 정치와 문화 진흥을 통해 금나라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북송 휘종의 서체를 모방한 서예 작품을 남기는 등 예술에도 능했다. 그러나 재정 압박과 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금나라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으며, 장종은 41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나라의 상서우승상 - 금 해릉양왕
금 해릉양왕은 금나라의 황제로, 희종을 시해하고 황위를 찬탈하여 한족 문화 장려, 수도 이전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폭정과 남송 정벌 실패로 민심을 잃고 살해당해 황제의 지위를 박탈당했다. - 1168년 출생 - 이규보
이규보는 고려 후기 문신이자 문장가, 시인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으며,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동명왕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고려 시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최씨 무인 정권 시대에 정치 활동을 했으며, '신의론'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시적 세계를 구축했다. - 1168년 출생 - 남송 영종
남송 영종은 남송의 제4대 황제로,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한탁주의 금나라 공격 실패와 사미원의 득세로 국정이 혼란스러웠으며, 아들들의 요절로 사미원이 옹립한 이종이 뒤를 이었다.
금 장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한풍 이름은 완안 경(完顔 璟) |
묘호 | 장종(章宗) |
시호 | 헌천광운인문의무신성영효황제(憲天光運仁文義武神聖英孝皇帝) |
출생일 | 대정(大定) 8년 7월 27일 (1168년 8월 31일) |
사망일 | 태화(泰和) 8년 11월 20일 (1208년 12월 29일) |
능호 | 도릉(道陵) |
신상 정보 | |
아버지 | 현종(顯宗) 완안윤공(完顔允恭) |
어머니 | 효의황후(孝懿皇后) 도단씨(徒單氏) |
배우자 | 흠회황후(欽懷皇后) 포찰씨(蒲察氏) |
왕조 | |
왕가 | 완안 |
왕조 | 금 |
즉위 정보 | |
전임자 | 세종(世宗) |
후임자 | 위소왕(衛紹王) |
즉위일 | 1189년 1월 20일 |
퇴위일 | 1208년 12월 29일 |
재위 기간 | 1189년 1월 20일 – 1208년 12월 29일 |
연호 | |
연호 | 명창(明昌): 1190—1196 승안(承安): 1196—1200 태화(泰和): 1201—1208 |
기타 작위 정보 | |
작위 | 대금국 황태손 |
재위 | 1186년 12월 29일 ~ 1189년 1월 20일 |
후임자 | 충회태손(沖懷太孫) 완안갱(完顔鏗) |
작위 | 원왕(原王) |
재위 | 1186년 1월 1일 ~ 1186년 12월 29일 |
작위 | 금원군왕(金源郡王) |
재위 | 1179년 1월 30일 ~ 1186년 1월 1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완안윤공 |
어머니 | 효의황후 |
배우자 | 흠회황후 |
배우자 | 이시얼 |
기타 배우자 | 기타 |
자녀 | 참조 |
2. 생애
1168년, 세종의 적자이자 황태자였던 완안윤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금 세종의 황태자였으나 요절하였기 때문에, 손자였던 그가 조부의 지명을 받아 황태손이 되었다. 1189년, 조부 세종의 사후에 황위를 이었다.
칭기즈 칸은 젊은 시절 케레이트와 함께 금 장종의 신하로서 타타르와 싸운 적이 있었다. 금 장종은 용병의 대가를 지불하였고, 중국식 칭호를 내려주었다.
남송의 한탁주는 금나라가 북쪽의 타타르 등의 침입에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금나라가 약체화되었다고 판단하여 북벌을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실제 금나라는 곤란한 상황이었으나, 그 이상으로 남송군의 약체화가 현저하였다.
1207년 금나라는 조기 화평을 희망하고 한탁주의 머리를 요구하자, 예부시랑(문부대신) 사미원이 한탁주를 살해하고 그의 머리를 소금에 절여 금나라로 보내 금나라와 화의를 맺었다.[1]
1208년에 붕어하였는데, 향년 41세였다. 6명의 왕자가 요절하여 후사가 없어 숙부 완안윤제가 즉위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1168년, 세종의 적자이자 황태자였던 완안윤공(完顔允恭)의 아들로 태어났다. 완안윤공은 본래 황제가 될 운명이었으나 요절했기 때문에 손자인 마달갈(금 장종)이 할아버지로부터 지명되어 황태손이 되었다. 1189년에 세종이 죽자 황위를 계승하여 '''명창의 치'''라고 불리는 정치를 펼쳤다. 예제, 법전, 격식을 비롯하여 과거·관제 등의 체제 정비와 상평창의 설치 등 적극적인 행정 개혁을 실시했다.[6] 이로 인해 금나라는 중국 왕조로서의 모습을 완성했다. 또한 그 치세에 금나라의 문화는 최고조에 달했다고 전해진다.[6] 장종 자신도 금나라 역대 황제 중 뛰어난 풍류 황제였으며, 문인들과의 친교를 즐기고 시문·서화를 잘했다.[6] 북송의 휘종의 서체인 "수금체"를 모방한 서예 작품을 많이 남겼다.[6]2. 2. 명창의 치와 문화 정책
세종의 정책을 이어받아 여진어 사용과 여진족의 관습을 장려하였다. 한족의 옷을 입는 것을 금지하고 신하들에게 여진족의 kowtow 의식을 행하도록 요구했다. 그의 ''meng'an''과 ''mouke''(여진족 세습 봉건 귀족)가 진사 시험을 보려면 사격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했다. 반면에 여진족이 한족의 장례 관습을 따르도록 허용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의 의식이 1194년 그의 궁정에서 행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6]해릉왕의 사업 중 하나를 재개하여 금 장종은 그의 제국 내 모든 주와 현에 유교 사원을 세웠다.
금 장종은 낚시를 하기 위해 베이징에 태액지 건설을 명령했다. 할아버지와 달리 금 장종은 사냥을 자연스럽고 필요한 군사 훈련 방법으로 여기지 않고 오락으로 여겼다.
'''명창의 치'''라고 불리는 정치를 펼쳤다. 예제, 법전, 격식을 비롯하여 과거·관제 등의 체제 정비와 상평창의 설치 등 적극적인 행정 개혁을 실시했다. 이로 인해 금나라는 중국 왕조로서의 모습을 완성했다. 또한 그 치세에 금나라의 문화는 최고조에 달했다고 전해진다. 장종 자신도 금나라 역대 황제 중 뛰어난 풍류 황제였으며, 문인들과의 친교를 즐기고 시문·서화를 잘했다[6]. 북송의 휘종의 서체인 "수금체"를 모방한 서예 작품을 많이 남겼다[6]. 당회영이나 왕정균 등 뛰어난 문인을 중용하여 문화 진흥을 추진했으며, 송금 전쟁으로 흩어진 서화와 서적 수집에 힘썼다[6]. 다만,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국내에 사치스러운 풍조가 만연되어 재정을 압박했다는 평가도 있다. 베이징의 梳粧台(소상대)는 장종이 원비 이씨를 위해 만든 화장대라고 전해진다[7]。
2. 3. 외정 및 군사적 도전
칭기즈 칸은 젊은 시절 케레이트와 함께 금 장종의 신하로서 타타르와 싸운 적이 있었다. 그는 금 장종 완안경의 신하였으며, 금 장종은 용병의 대가를 지불하였고, 중국식 칭호를 내려주었다.남송의 한탁주는 금나라가 북쪽의 타타르 등의 침입에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금나라가 약체화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는 남송의 비원인 금나라 타도를 성공시킨다면 권력을 확고부동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북벌을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실제 금나라는 곤란한 상황이었으나, 그 이상으로 남송군의 약체화가 현저하였던 것이다.
1207년 금나라는 조기 화평을 희망하고, 한탁주의 머리를 요구했다. 예부시랑(문부대신) 사미원은 이 요구를 듣고 한탁주를 살해하고, 그의 머리를 소금에 절여 금나라로 보내 금나라와 화의를 맺었다.[1]
이 분쟁은 송나라가 몽골 제국의 부상과 자연 재해로 인한 여진족의 어려움을 알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송나라는 1204년 이후 금나라 정착지에 대한 습격을 조작하여 장종 황제를 도발하기 시작했다. 싸움은 부분적으로 복수주의를 지지하는 송나라 관리들에 의해 악화되면서 계속 확대되었고, 1206년 6월 14일 금나라에 대한 전쟁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4]
송나라의 진군은 금나라의 군사적 성공과 사기 저하로 인해 많은 병사들이 탈영하면서 방해를 받았다. 1206년 가을까지 여러 마을과 군사 기지가 여진족에게 점령되었다. 양측 모두 싸움을 계속할 의사가 없었고, 1208년 11월 2일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4] 평화를 얻기 위해 송나라는 영토를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강경파 한탁주를 처형해야 했다.[1] 송나라는 매년 은 과 천 50000필을 공납해야 했다. 또한 전쟁을 선동한 한탁주와 소사단의 잘린 머리를 여진족에게 넘겼다.[4]
장종의 치세는 금나라의 쇠퇴가 시작된 시대이기도 했다. 주변 속국의 이반이 일어났을 뿐 아니라, 인접 국가의 침공을 받게 되었다. 명창 7년(1196년)에 금군·몽골부·케레이트부 연합군이 타타르부를 격파한 울자강 전투는 훗날 몽골의 발흥으로 이어지는 큰 전환점이 되었고, 금나라의 장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었다. 그러나 장종 시대의 외적 침공은 모두 격퇴되었다.
2. 4. 후궁 이사아와 국정 운영
금 장종은 만년에 후궁 이사아(李師兒)를 총애하여 그녀의 가족에게 정부 요직을 주었고, 황제로서의 의무를 소홀히 했다.[6] 이로 인해 금나라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쇠퇴하기 시작했다. 장종은 이사아와 웅도(瓊島)에서 로맨스를 나누었는데, 이사아는 황제가 해(日)와 같고 자신은 달(月)과 같다고 말하며, 함께 "명"(明)이라는 글자를 만든다고 하였다.2. 5. 죽음과 계승
1208년 장종이 붕어하였는데, 향년 41세였다. 6명의 왕자가 모두 요절하여 후사가 없었으므로, 숙부인 완안윤제가 황위를 계승하였다.[5] 완안윤제가 즉위한 후, 칭기즈 칸은 그가 무능하다고 판단하여 다음 해에 군대를 남쪽으로 보내 금나라를 침략하였다.장종의 시호는 헌천광운인문의무신성영효황제(憲天光運仁文義武神聖英孝皇帝)였다. 그는 도릉(道陵)에 묻혔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완안윤공 | 세종의 둘째 아들이자 황태자, 사후 현종으로 추존 |
어머니 | 투단씨 | 사후 효의황후로 추존 |
배우자 | 흠회황후 보찰씨 | 1189년 사망 |
배우자 | 원비 이씨 | 이름은 사아(師兒), 1209년 사망 |
배우자 | 소의 협곡씨 | 협곡청신의 딸 |
배우자 | 자명부인 임씨 | |
배우자 | 승어 가씨 | 1208년 유산 |
배우자 | 승어 범씨 | |
장남 | 완안홍유 | 강왕, 1186년 ~ 1188년 |
차남 | 완안홍정 | 형왕, 1192년 ~ 1193년 |
3남 | 완안홍희 | 영왕, 1192년 ~ 1193년 |
4남 | 완안홍연 | 영왕, 1193년 |
5남 | 완안홍휘 | 수왕, 1197년 |
6남 | 완안특린 | 갈왕, 1202년 ~ 1203년 |
3녀 | 순국공주 |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 세종 인효황제(仁孝皇帝) 완안 옹
- '''조모''' : 명덕황후(明德皇后) 오림답씨(烏林答氏)
- '''부친''' : 현종 광효황제(光孝皇帝) 완안 윤공
- '''모친''' : 효의황후(孝懿皇后) 도단씨(徒單氏)
3. 2. 황후와 후궁
봉호 | 시호 | 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흠회황후 | 흠회황후 | 포찰씨 | ? ~ 1189년 | 희종의 딸 정국공주 완안씨와 월국공 포찰정수의 딸[8][9] | |
원비 | 이씨 | ? ~ 1209년 | |||
소의 | 협곡씨 | 협곡청신의 딸 | |||
자명부인 | 임씨 | ||||
승어 | 가씨 | ||||
승어 | 범씨 |
3. 3. 황자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강왕(絳王) | 완안홍유(完顏洪裕) | 1186년 ~ 1188년 | 흠회황후 보찰씨 | 요절함. |
형왕(荊王) | 완안홍정(完顔洪靖)[10] | 1192년 ~ 1193년 | 자명부인 임씨 | 요절함. |
영왕 | 완안홍희(完顔洪熙) | 1192년 ~ 1193년 | 요절함. | |
영왕 | 완안홍연(完顔洪衍) | 1193년 | 요절함. | |
수왕(壽王) | 완안홍휘(完顔洪輝) | 1197년 | 요절함. | |
갈왕(葛王) | 완안특린(完顔忒鄰) | 1202년 ~ 1203년 | 원비 이사아 | 요절함. |
3. 4. 황녀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
1 | 공주 | 요절함. | ||||
2 | 공주 | 요절함. | ||||
3 | 순국공주 | 승어 범씨 | 칭기즈 칸 |
4. 작품
5. 연호
연호 | 기간 | 간지 | 비고 |
---|---|---|---|
명창(明昌) | 1190년 ~ 1196년 | 경술(庚戌) ~ 병진(丙辰) | |
승안(承安) | 1196년 ~ 1200년 | 병진(丙辰) ~ 경신(庚申) | |
태화(泰和) | 1201년 ~ 1208년 | 신유(辛酉) ~ 무진(戊辰) |
참조
[1]
서적
Tao
[2]
서적
Tao
[3]
서적
History of Jin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金史·列傳第三十一
[6]
서적
中国書人名鑑
[7]
서적
三田村
[8]
문서
금원군왕부인
[9]
문서
금 장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
[10]
문서
완얀종요의 제2황자도 완안홍정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